KR20120028417A - 수납공간용 구획부재 및 그 구획부재를 이용한 조립식 구획용구 - Google Patents

수납공간용 구획부재 및 그 구획부재를 이용한 조립식 구획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8417A
KR20120028417A KR1020100089919A KR20100089919A KR20120028417A KR 20120028417 A KR20120028417 A KR 20120028417A KR 1020100089919 A KR1020100089919 A KR 1020100089919A KR 20100089919 A KR20100089919 A KR 20100089919A KR 20120028417 A KR20120028417 A KR 201200284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partition member
storage space
vertical
gro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9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6657B1 (ko
Inventor
임옥진
Original Assignee
임옥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옥진 filed Critical 임옥진
Priority to KR1020100089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6657B1/ko
Publication of KR20120028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8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6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6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69Drawers having means for organising or sorting the content
    • A47B88/975Drawers having means for organising or sorting the content in the form of repositionable partition wa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4Partition walls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요한 길이로 절단이 가능한 한 종류의 구획부재를 이용하여 수납공간을 자유롭게 구획할 수 있도록 하는 수납공간용 구획부재 및 그 구획부재를 이용한 조립식 구획용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획부재는, 높이보다 길이가 긴 격판과; 상기 격판의 양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대칭되게 다수로 형성된 수직 조립홈부와; 상기 양측에 대칭되게 다수로 형성된 한 쌍의 수직 조립홈부 중 하나의 수직 조립홈부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한 쌍의 수직 조립홈부들 중 하나의 사이를 절단함에 따라 필요한 길이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절단 수직홈부와; 상기 한 쌍의 수직 조립홈부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절단 수직홈부가 절단된 상태에서 상기 수직 조립홈부에 수직으로 삽입 연결되게 형성되는 연결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납공간용 구획부재 및 그 구획부재를 이용한 조립식 구획용구{A section panel for collection box and section apparatus for the same}
본 발명은 수납공간용 구획부재 및 그 구획부재를 이용한 조립식 구획용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필요한 길이로 절단이 가능한 한 종류의 구획부재를 이용하여 수납공간을 자유롭게 구획할 수 있도록 하는 수납공간용 구획부재 및 그 구획부재를 이용한 조립식 구획용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이나 장롱 등에 구비된 서랍의 수납공간에는 옷이나 사무용품 등의 물품들을 수납하고, 책장의 구획공간인 수납공간에는 책이나 장식품등이 수납된다.
그리고 상기 서랍이나 책장 등의 수납공간에는 용도에 따라 단일물품을 수납할 수도 있으나 대부분 경제적인 공간 활용을 위해 다종의 물품을 하나의 수납공간에 수납한다.
그런데 다종의 물품을 하나의 수납공간에 수납하게 되면, 물품을 꺼내거나 수납하는 과정에서 물품들이 서로 섞이게 됨으로써, 다음에 수납공간에 보관된 물품을 찾는데 많은 어려움이 따랐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수납공간을 구획하는 여러 구획용구가 알려져 있는데, 먼저 종래의 구획용구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종래의 일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3-37282호의 "책상서랍 조립식 칸막이"(이하, "종래 제1 실시예의 구획용구"라 한다.)가 알려져 있다.
종래 제1 실시예의 구획용구는, 직선형 블록, L자형 블록, T자형 블록, 십자형 블록들의 여러 형상의 블록들을 이용하여 서랍을 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상기 각각의 블록들의 측단부에는 블록들을 상호 연결하는 더브테일홈과 더브테일삽입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제1 실시예의 구획용구를 사용할 경우에는, 구획공간의 좌우 폭이나 전후 폭을 조정하기 위하여, 상기 직선형 블록들은 길이를 달리하여 다수의 종류별로 제조해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아울러 연결에 쓰이는 상기 L자형 블록, T자형 블록, 십자형 블록들을 소비자에게 다수로 제공해야 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다른 예로 일본 공개특허 제2002-142889호의 "인출 칸막이 구조"(이하, 종래 제2 실시예의 구획용구"라 한다.)가 알려져 있다.
종래 제2 실시예의 구획용구는, 인출 내부 공간을 판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칸막이 부재에 칸막이가 가능한 인출 칸막이 구조이고, 상기 각 칸막이 부재는, 칸막이 방향의 양단에 다른 칸막이 부재가 서로 계합하고 해당 칸막이 부재를 연결하는 소정의 계합 구조를 가지고, 상기 인출 내부공간은, 내주면에 상기 칸막이 부재의 한쪽 단을 계합하고 고정하는 칸막이 부재 고정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제2 실시예의 구획용구를 사용할 경우에는, 인출 내부공간인 서랍의 둘레를 구성하는 벽재에 다수의 수직홈부를 형성해야 함으로써, 서랍의 측벽 둘레의 강도가 약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아울러 서랍을 1차적으로 구획하는 칸막이 보조부 재목과 인출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다수의 칸막이 부재들을 종류별의 다수로 제조해야 함으로써, 구획용구의 제조단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상기 보조부 재목과 칸막이 부재의 높이가 출고시 세팅되어 있음에 따라, 인출 내부공간의 깊이가 깊을 경우에는 인출 내부공간의 높이와 상응되는 구획이 불가능한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납공간의 둘레벽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필요한 길이로 절단이 가능한 한 종류의 구획부재를 이용하여 수납공간을 자유롭게 구획할 수 있도록 하는 수납공간용 구획부재와 그 구획부재를 이용한 조립식 구획용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수납공간의 높이가 깊을 경우에도 상기 한 종류의 구획부재들을 견고하게 상호 적층하여 높이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수납공간용 구획부재와 그 구획부재를 이용한 조립식 구획용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수납공간의 일부만을 선택하여 구획할 수도 있도록 하는 수납공간용 구획부재를 이용한 조립식 구획용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수납공간에 형성되는 공간 구획부를 커버할 수도 있도록 하는 수납공간용 구획부재를 이용한 조립식 구획용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수납공간용 구획부재는, 높이보다 길이가 긴 격판과; 상기 격판의 양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대칭되게 다수로 형성된 수직 조립홈부와; 상기 양측에 대칭되게 다수로 형성된 한 쌍의 수직 조립홈부 중 하나의 수직 조립홈부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한 쌍의 수직 조립홈부들 중 하나의 사이를 절단함에 따라 필요한 길이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절단 수직홈부와; 상기 한 쌍의 수직 조립홈부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절단 수직홈부가 절단된 상태에서 상기 수직 조립홈부에 수직으로 삽입 연결되게 형성되는 연결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단 수직홈부는, 상기 수직 조립홈부를 구성하는 내측면의 전,후방에 전방이나 후방을 선택적으로 절단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전,후방 수직 절단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획부재는, 상부 중간에 길이 방향으로 양측 폭이 좁게 형성된 적층 돌출부와,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타 구획부재의 상기 연결 돌출부가 삽입되어 구획부재들을 적층하는 적층 삽입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수납공간용 구획부재를 이용한 조립식 구획용구는, 높이보다 길이가 긴 격판과, 격판의 양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대칭되게 다수로 형성된 수직 조립홈부와, 상기 양측에 대칭되게 다수로 형성된 한 쌍의 수직 조립홈부 중 하나의 수직 조립홈부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한 쌍의 수직 조립홈부들 중 하나의 사이를 절단함에 따라 필요한 길이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절단 수직홈부와, 상기 한 쌍의 수직 조립홈부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절단 수직홈부가 절단된 상태에서 상기 수직 조립홈부에 수직으로 삽입 연결되게 형성되는 연결 돌출부를 포함하는 다수의 구획부재와; 상기 4개의 구획부재가 서랍이나 책장의 수납공간의 둘레에 모서리 연결수단을 통해 연결 구성된 둘레 격벽부와; 상기 다수의 구획부재가 상호 길이가 동일하게 절단되거나 상호 길이가 다르게 절단되어 각각의 구획부재의 양단에 형성된 상기 연결 돌출부가 상기 둘레 격벽부의 수직 조립홈부나 둘레 격벽부에 먼저 구획 장착된 타 구획부재들의 수직 조립홈부에 삽입 연결되어 구성되는 공간 구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단 수직홈부는, 상기 수직 조립홈부를 구성하는 내측면의 전,후방에 전방이나 후방을 선택적으로 절단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전,후방 수직 절단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획부재는, 상부 중간에 길이 방향으로 양측 폭이 좁게 형성된 적층 돌출부와,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타 구획부재의 상기 적층 돌출부가 삽입되는 적층 삽입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서리 연결수단은, 직각으로 절곡되고 내부에는 상기 구획부재가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되도록 상부와 측부가 개방된 직각 삽입홈을 포함하는 연결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획용구는, 상기 둘레 격벽부에 후방이 고정수단으로 연결되고 후방의 절첩부를 통해 전방이 개방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필요한 길이로 절단이 가능한 한 종류의 구획부재를 이용하여 수납공간을 자유롭게 구획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획부재의 제작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구획부재 및 구획용구의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납공간의 높이가 깊을 경우에도 상기 한 종류의 구획부재들을 견고하게 상호 적층하여 높이를 높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납공간의 높이와 관계없이 호환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효과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수납공간의 일부만을 선택하여 구획할 수도 있도록 함으로써, 수납공간의 공간 활용도 높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수납공간에 형성되는 공간 구획부를 커버할 수도 있도록 함으로써, 공간 구획부의 내부로 먼지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납 물품을 청결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획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획부재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획부재를 절단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획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획부재를 통해 둘레 격벽부를 구성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구획부재를 통해 공간 구획부를 구성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구획용구를 서랍의 수납공간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7a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7b는 사시도이며,
도 7c는 도 7b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구획용구를 서랍의 수납공간에 장착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8a는 커버 개방 사시도이고,
도 8b는 도 8a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구획용구를 서랍의 수납공간에 장착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구획용구를 책장의 수납공간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구획용구를 책장의 수납공간에 장착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획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구획부재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구획부재를 절단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수납공간용 구획부재는, 서랍의 수납공간 및 책장에서 전방이 개방된 수납공간을 구획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격판(11)과, 격판(11)의 양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대칭되게 다수로 형성된 수직 조립홈부(12)와, 상기 양측에 대칭되게 다수로 형성된 한 쌍의 수직 조립홈부(12) 중 하나의 수직 조립홈부(12)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한 쌍의 수직 조립홈부(12)들 중 하나의 사이를 절단함에 따라 필요한 길이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절단 수직홈부(13)와, 상기 한 쌍의 수직 조립홈부(12)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절단 수직홈부(13)가 절단된 상태에서 상기 수직 조립홈부(12)에 수직으로 삽입 연결되게 형성되는 연결 돌출부(14)를 포함한다.
상기 격판(11)은, 높이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절단 수직홈부(13)의 절단을 통해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절단 수직홈부(13)는, 상기 수직 조립홈부(12)의 내측면의 중간에 수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내측면의 전,후방에 형성될 수 있는데, 첨부된 도면에서는 상기 절단 수직홈부(13)가, 전방이나 후방을 선택적으로 절단하여 상기 연결 돌출부(14)를 형성할 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 조립홈부(12) 내측면의 전,후방에 구비된 전,후방 수직 절단홈(131)(132)으로 구성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특히 상기 절단 수직홈부(13)의 절단으로 형성되는 연결 돌출부(14)의 양측 폭과 상기 수직 조립홈부(12)의 전,후방 폭은 상호 동일하게 형성됨으로써, 구획부재(1)의 단부에 형성된 연결 돌출부(14)를 타 구획부재(1)의 수직 조립홈부(12)에 유동없이 삽입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획부재(1)는, 구획부재(1)들을 적층하여 구획부재(1)들의 장착 높이를 높일 수 있도록,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적층 돌출부(15)와,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적층 삽입홈(16)을 포함한다.
상기 적층 돌출부(15)는, 구획부재(1)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양측 폭이 좁게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적층 삽입홈(16)은, 구획부재(1)의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타 구획부재(1)의 상부에 형성된 상기 적층 돌출부(15)가 삽입되어 구획부재(1)들을 적층하는 것이다.
즉 상기 적층 돌출부(15)의 양측폭과 적층 삽입홈(16)의 양측 폭이 동일하게 형성됨으로, 구획부재(1)가 2개 이상으로 적층된 상태에서 유동이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획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구획부재는, 상술한 실시예의 구획부재의 구성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구획부재는, 상기 격판(11)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구획부재를 수납공간의 둘레판에 체결 고정할 수 있도록 체결 고정볼트(34 ; 도12참조)가 관통되는 다수의 조립홀(33)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체결 고정볼트(34)를 통해 구획부재를 조립하는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획부재를 통해 둘레 격벽부를 구성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구획부재를 통해 공간 구획부를 구성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구획용구를 서랍의 수납공간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구획용구를 책장의 수납공간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수납공간용 구획부재를 이용한 조립식 구획용구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구획부재(1)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구획용구는, 상기 구획부재(1)를 포함하며, 상기 4개의 구획부재(1)가 서랍이나 책장의 수납공간(10)의 둘레에 둘레 구획부재 고정수단(3)을 통해 구비되는 둘레 격벽부(2)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구획부재(1)가 상호 길이가 동일하게 절단되거나 상호 길이가 다르게 절단되어 각각의 구획부재(1)의 양단에 형성된 상기 연결 돌출부(14)가 상기 둘레 격벽부(2)의 수직 조립홈부(12)나 둘레 격벽부(2)에 먼저 구획 장착된 타 구획부재(1)들의 수직 조립홈부(12)에 삽입 연결되어 구성되는 공간 구획부(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획부재(1)는, 전술한 바와 같이, 높이보다 길이가 긴 격판(11)과, 격판(11)의 양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대칭되게 다수로 형성된 수직 조립홈부(12)와, 상기 양측에 대칭되게 다수로 형성된 한 쌍의 수직 조립홈부(12) 중 하나의 수직 조립홈부(12)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한 쌍의 수직 조립홈부(12)들 중 하나의 사이를 절단함에 따라 필요한 길이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절단 수직홈부(13)와, 상기 한 쌍의 수직 조립홈부(12)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절단 수직홈부(13)가 절단된 상태에서 상기 수직 조립홈부(12)에 수직으로 삽입 연결되게 형성되는 연결 돌출부(14)를 포함한다.
상기 둘레 구획부재 고정수단(3)은, 직각으로 절곡되고 내부에는 상기 구획부재(1)가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되도록 상부와 측부가 개방된 직각 삽입홈(32)을 포함하는 모서리 연결구(31)로 구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모서리 연결구(31)는 상기 둘레 격벽부(2)를 구성하는 각 모서리부를 상호 연결하는 수단으로써, 좀더 용이하게 둘레 격벽부(2)를 구성하는 구획부재(1)들을 직각으로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모서리 연결구(31)는, 직각으로 절곡되고 내부에는 상기 구획부재(1)가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되도록 상부와 측부가 개방된 직각 삽입홈(32)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구획용구를 서랍의 수납공간(10)과 책장(또는 장식장)의 수납공간을 장착한 상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구획용구를 서랍의 수납공간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7a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7b는 사시도이며, 도 7c는 도 7b의 A-A선 단면도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구획용구를 서랍의 수납공간(10)에 장착할 경우에는, 먼저 서랍의 수납공간(10)의 내측 모서리부분에 4개의 연결구(31)를 위치시킨다.
다음 수납공간(10)의 양측폭과 상응되게 2개의 구획부재(1)를 절단하여 준비하고, 수납공간(10)의 전,후방 폭과 상응되게 2개의 구획부재(1)를 절단하여 준비한다.
다음 상기와 같이 준비된 4개의 구획부재(1)를 상기 4개의 연결구(31)들의 사이에 삽입함으로써, 수납공간(10)의 내부 둘레에 둘레 격벽부(2)를 설치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둘레 격벽부(2)들에 형성된 수직 조립홈부(12)에 양단으로 연결 돌출부(14)가 구비된 구획부재(1)를 하나 이상 삽입한다. 그런 다음 둘레 격벽부(2)의 사이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구획부재(1)의 수직 조립홈부(12)와 둘레 격벽부(2)를 구성하는 구획부재(1)의 수직 조립홈부(12)에 양단으로 연결 돌출부(14)가 구비된 구획부재(1)를 하나 이상 삽입하거나, 또는 먼저 구획되게 장착된 타 구획부재(1)들의 수직 조립홈부(12)에 양단으로 연결 돌출부(14)가 구비된 구획부재(1)를 하나 이상 삽입하는 과정을 통해 둘레 격벽부(2)의 내부에 여러 구획공간으로 구획된 공간 구획부(4)를 완성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절단 수직홈부(13)를 통해 필요한 길이로 절단이 가능한 한 종류의 구획부재(1)를 이용하여 수납공간을 자유롭게 구획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상기 한 종류의 긴 구획부재(1)를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모서리 연결수단(3)을 통해 상기 둘레 격벽부(2)를 구성하고, 한 종류의 긴 구획부재(1)를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각 구획부재(1)의 양 단부에 형성된 연결 돌출부(14)를 각 구획부재(1)의 측부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수직 조립홈부(12)에 삽입 연결하는 과정을 통해 공간 구획부(4)를 완성함으로써, 간단한 조립과정으로 수납공간(10)을 자유롭게 구획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구획용구를 서랍의 수납공간에 장착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8a는 커버 개방 사시도이고, 도 8b는 도 8a의 B-B선 단면도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구획용구를 서랍의 수납공간에 장착함에 있어서, 구획용구를 수납공간의 일부에만 설치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모서리 연결수단(3)을 구성하는 4개의 연결구(31)를 수납공간(10)의 측부에 편중되게 설치한 다음, 상술한 바와 같은 순서로 다수의 구획부재(1)의 연결을 통해 둘레 격벽부(2)와 공간 구획부(4)를 완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필요에 따라 수납공간(10)의 일부만을 선택하여 구획할 수도 있도록 함으로써, 수납공간의 공간 활용도 최대로 높일 수 있는 장점도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획용구는, 상기 둘레 격벽부(2)에 후방이 고정수단(52)으로 연결되고 후방의 절첩부(51)를 통해 전방이 개방되는 커버(5)를 더 포함한다.
상기 커버(5)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둘레 격벽부(2) 내부의 공간 구획부(4)를 덮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방에는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홀이나 홈이 형성되는데, 첨부된 도면에서는 홈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상기 절첩부(51)는 접히는 부분에 길이 방향으로 함몰부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수단(52)은 커버(5)의 후방과 둘레 격벽부(2)를 구성한 후방에 위치된 구획부재(1)의 후방에 연결 고정되는 것으로, 양면 테이프나 접착제 또는 나사못 등이 사용될 수 있는데, 첨부된 도면에서는 양면 테이프를 도시하였다.
따라서 상기 공간 구획부(4)를 커버(5)를 통해 덮을 수도 있도록 함으로써, 공간 구획부(4)의 내부로 먼지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수납 물품을 청결하게 보관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구획용구를 서랍의 수납공간에 장착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구획용구를 서랍의 수납공간에 장착함에 있어서, 둘레 격벽부(2)를 구성하는 구획부재(1)들 및 공간 구획부(4)를 구성하는 구획부재(1)들을 2단 이상으로 적층함으로써, 구획공간의 높이를 높일 수도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구획부재(1)는, 상부 중간에 길이 방향으로 양측 폭이 좁게 형성된 적층 돌출부(15)와,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타 구획부재(1)의 상기 적층 돌출부(15)가 삽입되어 구획부재(1)들을 적층하는 적층 삽입홈(16)을 포함한다.
따라서, 각각의 구획부재(1)의 상부에 형성된 적층 돌출부(15)에 타 구획부재(1)의 적층 삽입홈(16)을 삽입하는 과정을 통해 구획부재(1)들을 다단으로 연속하여 적층함에 따라, 둘레 격벽부(2)와 공간 구획부(4)의 높이를 높여 깊이가 깊은 수납공간에도 높이가 높은 구획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수납공간의 높이가 깊을 경우에도 수납공간의 높이와 관계없이 호환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장점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구획용구를 책장의 수납공간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구획용구를 책장의 수납공간(10)에 장착할 경우에는, 먼저 수납공간(10)의 양측폭과 상응되게 2개의 구획부재(1)를 절단하여 준비하고, 수납공간(10)의 높이와 상응되게 2개의 구획부재(1)를 절단하여 준비한다.
다음 먼저 책장의 수납공간(10)의 내측 모서리부분에 4개의 연결구(31)를 위치시키면서, 상기와 같이 준비된 4개의 구획부재를 상기 4개의 연결구(31)들의 사이에 삽입함으로써, 전방이 개방된 수납공간(10)의 내부 둘레인 양측과 상,하부에 둘레 격벽부(2)를 설치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둘레 격벽부(2)들에 형성된 수직 조립홈부(12)에 양단으로 연결 돌출부(14)가 구비된 구획부재(1)를 하나 이상 삽입한다. 그런 다음 둘레 격벽부(2)의 사이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구획부재(1)의 수직 조립홈부(12)와 둘레 격벽부(2)를 구성하는 구획부재(1)의 수직 조립홈부(12)에 양단으로 연결 돌출부(14)가 구비된 구획부재(1)를 하나 이상 삽입하거나, 또는 먼저 구획되게 장착된 타 구획부재(1)들의 수직 조립홈부(12)에 양단으로 연결 돌출부(14)가 구비된 구획부재(1)를 하나 이상 삽입하는 과정을 통해 둘레 격벽부(2)의 내부에 여러 구획공간으로 구획된 공간 구획부(4)를 완성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절단 수직홈부(13)를 통해 필요한 길이로 절단이 가능한 한 종류의 구획부재(1)를 이용하여 수납공간을 자유롭게 구획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책장에서 전방이 개방된 수납공간(10)을 다수의 구획부재(1)를 통해 수평 및 수직으로 분할된 구획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작은 책은 다수의 층으로 적층할 수 있고, 소형의 기념품은 공간을 많이 차지 않으면서 세워 장식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구획부재(1)들을 통해 수평 및 수직으로 분할된 다수의 구획공간으로 인하여 공간 활용도를 최대로 높일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구획용구를 책장의 수납공간에 장착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구획용구를 책장의 전방이 개방된 수납공간에 장착함에 있어서, 둘레 격벽부(2)를 구성하는 구획부재(1)들 및 공간 구획부(4)를 구성하는 구획부재(1)들을 전방으로 2단 이상 적층함으로써, 구획공간의 전,후방 높이를 높일 수도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구획부재는, 상부 중간에 길이 방향으로 양측 폭이 좁게 형성된 적층 돌출부(15)와,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타 구획부재(1)의 상기 적층 돌출부(15)가 삽입되어 구획부재(1)들을 적층하는 적층 삽입홈(16)을 포함한다.
따라서, 각각의 구획부재(1)의 상부에 형성된 적층 돌출부(15)에 타 구획부재(1)의 적층 삽입홈(16)을 삽입하는 과정을 통해 구획부재(1)들을 전방을 향해 다단으로 연속하여 적층함에 따라, 둘레 격벽부(2)와 공간 구획부(4)의 전후방 높이를 높여 전,후방의 깊이가 깊은 수납공간에도 전,후방의 높이가 높은 구획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책장 수납공간의 전,후방 높이가 깊을 경우에도 수납공간(10)의 높이와 관계없이 호환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장점도 있음은 물론, 전,후방의 길이가 긴 책 등을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한편, 도 1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둘레 구획부재 고정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12a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둘레 구획부재 고정수단를 통해 둘레 격벽부를 서랍에 설치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b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둘레 구획부재 고정수단를 통해 둘레 격벽부를 책장에 설치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둘레 구획부재 고정수단(3)은, 상기 둘레 격벽부(2)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획부재(1)에 형성된 다수의 조립홀(33)을 포함하고, 각 둘레 격벽부(2)를 구성하는 구획부재(1)에 형성된 조립홀(33)에 관통되어 상기 서랍이나 책장의 수납공간(10)의 둘레판(20)에 체결 고정되는 체결 고정볼트(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다른 실시예의 둘레 구획부재 고정수단(3)을 통해, 각각의 구획부재(1)를 서랍 또는 책장의 수납공간(10)의 둘레판(20)에 체결 고정함으로써, 둘레 격판부(2)를 완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다른 실시예의 둘레 구획부재 고정수단(3)을 통해 책장의 수납공간(10)에 4개의 둘레 격벽부(2)로 구성된 둘레 격판부(2)를 고정하게 되면, 둘레 격판부(2)가 유동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책들과 장식품들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수납공간용 구획부재 및 그 구획부재를 이용한 조립식 구획용구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내용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는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 : 구획부재
11 : 격판
12 : 수직 조립홈부
13 : 절단 수직홈부
131 : 전방 수직 절단홈, 132 : 후방 수직 절단홈
14 : 연결 돌출부
15 : 적층 돌출부
16 : 적층 삽입홈
2 : 둘레 격벽부
3 : 둘레 구획부재 고정수단
31 : 모서리 연결구
32 : 직각 삽입홈
33 : 조립홀
34 : 체결 고정볼트
4 : 공간 구획부
5 : 커버
51 : 절첩부
52 : 고정수단
10 : 수납공간
20 : 둘레판

Claims (10)

  1. 높이보다 길이가 긴 격판(11)과;
    상기 격판(11)의 양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대칭되게 다수로 형성된 수직 조립홈부(12)와;
    상기 양측에 대칭되게 다수로 형성된 한 쌍의 수직 조립홈부(12) 중 하나의 수직 조립홈부(12)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한 쌍의 수직 조립홈부(12)들 중 하나의 사이를 절단함에 따라 필요한 길이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절단 수직홈부(13)와;
    상기 한 쌍의 수직 조립홈부(12)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절단 수직홈부(13)가 절단된 상태에서 상기 수직 조립홈부(12)에 수직으로 삽입 연결되게 형성되는 연결 돌출부(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공간용 구획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수직홈부(13)는,
    상기 수직 조립홈부(12)를 구성하는 내측면의 전,후방에 전방이나 후방을 선택적으로 절단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전,후방 수직 절단홈(131)(13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공간용 구획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재는,
    상부 중간에 길이 방향으로 양측 폭이 좁게 형성된 적층 돌출부(15)와,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타 구획부재(1)의 상기 연결 돌출부(14)가 삽입되어 구획부재(1)들을 적층하는 적층 삽입홈(1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공간용 구획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재는,
    상기 격판(11)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구획부재를 수납공간의 둘레판에 체결 고정할 수 있도록 체결 고정볼트(34)가 관통되는 다수의 조립홀(3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공간용 구획부재.
  5. 높이보다 길이가 긴 격판(11)과, 격판(11)의 양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대칭되게 다수로 형성된 수직 조립홈부(12)와, 상기 양측에 대칭되게 다수로 형성된 한 쌍의 수직 조립홈부(12) 중 하나의 수직 조립홈부(12)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한 쌍의 수직 조립홈부(12)들 중 하나의 사이를 절단함에 따라 필요한 길이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절단 수직홈부(13)와, 상기 한 쌍의 수직 조립홈부(12)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절단 수직홈부(13)가 절단된 상태에서 상기 수직 조립홈부(12)에 수직으로 삽입 연결되게 형성되는 연결 돌출부(14)를 포함하는 다수의 구획부재(1)와;
    상기 4개의 구획부재(1)가 서랍이나 책장의 수납공간(10)의 둘레에 둘레 구획부재 고정수단(3)을 통해 구비되는 둘레 격벽부(2)와;
    상기 다수의 구획부재(1)가 상호 길이가 동일하게 절단되거나 상호 길이가 다르게 절단되어 각각의 구획부재(1)의 양단에 형성된 상기 연결 돌출부(14)가 상기 둘레 격벽부(2)의 수직 조립홈부(12)나 둘레 격벽부(2)에 먼저 구획 장착된 타 구획부재(1)들의 수직 조립홈부(12)에 삽입 연결되어 구성되는 공간 구획부(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공간용 구획부재를 이용한 조립식 구획용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수직홈부(13)는,
    상기 수직 조립홈부(12)를 구성하는 내측면의 전,후방에 전방이나 후방을 선택적으로 절단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전,후방 수직 절단홈(131)(13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공간용 구획부재를 이용한 조립식 구획용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재(1)는,
    상부 중간에 길이 방향으로 양측 폭이 좁게 형성된 적층 돌출부(15)와,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타 구획부재(1)의 상기 적층 돌출부(15)가 삽입되는 적층 삽입홈(1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공간용 구획부재를 이용한 조립식 구획용구.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 구획부재 고정수단(3)은,
    직각으로 절곡되고 내부에는 상기 구획부재(1)가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되도록 상부와 측부가 개방된 직각 삽입홈(32)을 포함하는 모서리 연결구(3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공간용 구획부재를 이용한 조립식 구획용구.
  9.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 구획부재 고정수단(3)은,
    상기 둘레 격벽부(2)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획부재(1)에 형성된 다수의 조립홀(33)과,
    조립홀(33)에 관통되어 상기 서랍이나 책장의 수납공간(10)의 둘레판(20)에 체결 고정되는 체결 고정볼트(3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공간용 구획부재를 이용한 조립식 구획용구.
  10.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용구는,
    상기 둘레 격벽부(2)에 후방이 고정수단(52)으로 연결되고 후방의 절첩부(51)를 통해 전방이 개방되는 커버(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공간용 구획부재를 이용한 조립식 구획용구.
KR1020100089919A 2010-09-14 2010-09-14 수납공간용 구획부재 및 그 구획부재를 이용한 조립식 구획용구 KR1012366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919A KR101236657B1 (ko) 2010-09-14 2010-09-14 수납공간용 구획부재 및 그 구획부재를 이용한 조립식 구획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919A KR101236657B1 (ko) 2010-09-14 2010-09-14 수납공간용 구획부재 및 그 구획부재를 이용한 조립식 구획용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8417A true KR20120028417A (ko) 2012-03-23
KR101236657B1 KR101236657B1 (ko) 2013-02-22

Family

ID=46133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9919A KR101236657B1 (ko) 2010-09-14 2010-09-14 수납공간용 구획부재 및 그 구획부재를 이용한 조립식 구획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66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0970A (ko) * 2020-05-14 2021-11-23 김궁언 칸막이 세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61966A (zh) * 2016-03-22 2016-06-15 林涛 一种可以调节的抽屉分隔架及含有其的抽屉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4611Y2 (ja) * 1991-07-18 1995-08-09 タケヤ化学工業株式会社 収納用仕切り構造
JPH11113662A (ja) * 1997-10-09 1999-04-27 Yamashita Seisakusho:Kk 収納箱の仕切り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0970A (ko) * 2020-05-14 2021-11-23 김궁언 칸막이 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6657B1 (ko) 2013-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854597B (zh) 组合产品和装配该组合产品的方法
US5893617A (en) Connecting assembly for horizontal boards and wall boards of a cabinet
US20030222545A1 (en) System of interlocking storage and display modules connectable in a plurality of different configurations
JP2019504250A (ja) 機械式係止装置を備えたパネル及びこれらのパネルを含む組立製品
US20120286637A1 (en) Drawer Which Can Be Dismantled and Stacked
US10123615B2 (en) Modular storage unit
US20040149758A1 (en) Adjustable drawer organizer
US6216397B1 (en) Modular partition
US20070051721A1 (en) Storage box
KR101236657B1 (ko) 수납공간용 구획부재 및 그 구획부재를 이용한 조립식 구획용구
JP2006020979A (ja) 多目的収納ユニット
US20040068946A1 (en) Box-assembly device
KR20120003264U (ko) 다목적 다단 부품 보관함
KR200288118Y1 (ko) 조립방식의 적층구조 수납함
KR200360505Y1 (ko) 수납장
JP4918837B2 (ja) 壁面構造体
EP2174567A1 (en) Modular shelving system
DE102013213451B4 (de) Möbelelement für ein Möbelsystem sowie derartiges Möbelsystem
WO1995015704A1 (en) Compartment defining apparatus
CN218605765U (zh) 一种柜体
KR20200052077A (ko) 벌집모양 공간정리장
KR101805735B1 (ko) 서랍장
KR20220001334U (ko) 조립식 수납장
KR200334259Y1 (ko) 조립식 수납장치
JP2002282074A (ja) 仕切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