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0954A - 조립식 가구의 연결 구조체 - Google Patents

조립식 가구의 연결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0954A
KR20170100954A KR1020160023488A KR20160023488A KR20170100954A KR 20170100954 A KR20170100954 A KR 20170100954A KR 1020160023488 A KR1020160023488 A KR 1020160023488A KR 20160023488 A KR20160023488 A KR 20160023488A KR 20170100954 A KR20170100954 A KR 20170100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iture
horizontally
connection
upper side
sid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3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동운
양동현
Original Assignee
양동운
양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동운, 양동현 filed Critical 양동운
Priority to KR1020160023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0954A/ko
Publication of KR20170100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09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75Flat or flat-like panels connected without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66Formed panels connected without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4Chests of drawers;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2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stackable ; stackable and link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조립식 가구의 연결 구조체는, 연결판의 상면에 수평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각각 돌출되어 다수의 가구들의 하면 코너부분에 각각 형성된 하부측 연결홈과 대응되는 끼워맞춤에 의해 다수의 가구들이 수직 적층 및 수평 확장되도록 연결하는 상부측 연결돌기와, 상기 연결판의 하면에 수평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각각 돌출되어 다수의 가구들의 상면 코너부분에 각각 형성된 상부측 연결홈과 대응되는 끼워맞춤에 의해 다수의 가구들이 수직 적층 및 수평 확장되도록 연결하는 하부측 연결돌기를 구성한 구조이기 때문에 소비자 취향에 따라 다수의 가구를 다양한 방향으로 수직 적층 및 수평 확장되게 조립함과 동시에 견고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연결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가구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가구의 연결 구조체{Coupling structure of an assembing furniture}
본 발명은 조립식 가구의 연결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가구를 수직으로 적층되게 연결하면서도 수평으로 확장되게 연결할 수 있는 조립식 가구의 연결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형 서랍장이나 서류함 또는 박스형 책장 및 각종 진열장 등을 동일한 사이즈로 형성하여 소비자가 현재 필요로 하는 개수를 구입하여 사용하다가 일정기간이 다시 필요로 하는 만큼의 가구류를 구입하여 다시 적층하여 사용하는 추세이다.
또한 이러한 적층용 가구류는 소비자의 취향이나 설치위치에 따라 원하는 형태로 적층하여 사용하고 일정기간이 지난 후에 다른 형태로 변화시켜 적층하여 새로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적층 가구류는 단순히 동일한 사이즈로 형성하여 상하좌우로 소비자의 취향이나 감각에 따라 단순히 적층하여 사용하므로 약간의 외력에도 적층상태의 가구류가 흐트러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고 이로 인하여 수시로 가구류를 바르게 정렬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으며 심지어 어린아이 등의 장난이나 심한 외력으로 상측에 적층된 가구류의 일부가 바닥으로 떨어져 훼손될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그래서, 제안된 종래기술인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0-0066840(공개일자 2000.11.15)의 가구 고정구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을 상하좌우 및 후측에 격판을 형성하여 전면을 개구시키되 상하면의 각각에 고정홈(114)을 전후좌우에서 수직으로 형성시킨 다수개의 적층가구(110)와, 상기 적층가구(110)의 전면에 결합시켜 전후로 슬라이딩시키는 상부가 개구된 서랍(120)과, 상기 다수개의 적층가구(110) 중에 최하단 적층가구(110)의 하면에 설치하되 적층가구(110)의 하면에 형성된 고정홈(114)에 대향되는 고정홈(131)을 상면에 형성시킨 메인하부판(130)과, 상기 적층가구(110) 중에 최상단 적층가구(110)의 상면에 설치하되 적층가구(110)의 상면에 형성된 고정홈(114)에 대향되는 고정홈(141)을 하면에 형성시킨 메인상부판(140)과, 상기 대향되는 고정홈(114,131,141)에 끼워 적층상태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150)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고정부재(150)는 적층가구(110)에 형성된 고정홈(114,131,141)과 가이드홈(115,132,142)에 삽입되는 핀(151)을 형성할 때 핀(151)의 외주연 중앙 높이에 형성된 가이드편(152)을 중심으로 상하 한 쌍으로만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적층가구(110)를 수직방향으로 적층하는 데에는 적합할 수는 있으나, 좌우 또는 전후 수평방향으로 확장되게 연결할 수는 없으므로 적층가구(110)를 다양한 방향으로 배치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단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소비자 취향에 따라 다수의 가구를 다양한 방향으로 수직 적층 및 수평 확장되게 조립함과 동시에 견고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연결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가구배치할 수 있는 조립식 가구의 연결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가구의 연결 구조체는, 연결판과, 상기 연결판의 상면에 수평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각각 돌출되어 다수의 가구들의 하면 코너부분에 각각 형성된 하부측 연결홈과 대응되는 끼워맞춤에 의해 다수의 가구들이 수직 적층 및 수평 확장되도록 연결하는 상부측 연결돌기와, 상기 연결판의 하면에 수평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각각 돌출되어 다수의 가구들의 상면 코너부분에 각각 형성된 상부측 연결홈과 대응되는 끼워맞춤에 의해 다수의 가구들이 수직 적층 및 수평 확장되도록 연결하는 하부측 연결돌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연결판에는, 그 상면에 2방향, 3방향, 4방향 중에서 선택된 어느 방향 수평으로 상기 상부측 연결돌기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각각 돌출 형성되고, 그 하면에 2방향, 3방향, 4방향 중에서 선택된 어느 방향 수평으로 상기 하부측 연결돌기가 좌우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각각 돌출 형성되면서 상기 상부측 연결돌기의 지점과 상하 대칭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연결판에는, 그 상면 일측에 상기 상부측 연결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그 하면에 2방향 수평으로 상기 하부측 연결돌기가 좌우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각각 돌출 형성되면서 어느 하나가 상기 상부측 연결돌기의 지점과 상하 대칭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연결판의 평면적 중앙에는 상부측 연결돌기와 하부측 연결돌기의 상하 한 쌍이 독립적으로 사용되도록 절취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상부측 연결돌기와 하부측 연결돌기는 상기 연결판을 기반으로 동일한 높이의 사각기둥 모양을 이루도록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립식 가구의 연결 구조체는, 연결판의 상면과 하면에 수평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방향성을 가진 다수의 상부측 연결돌기와 하부측 연결돌기가 각각 돌설되어 있기 때문에 소비자 취향에 따라 다수의 가구를 다양한 방향으로 수직 적층 및 수평 확장되게 조립함과 동시에 견고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연결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가구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가구를 적층하여 고정시키는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가구 적층상태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면으로서,
도 3(a)는 본 발명의 연결 구조체를 도시한 평면도,
도 3(b)(c)는 본 발명의 연결 구조체를 도시한 정면도,
도 3(d)는 본 발명의 연결 구조체에 의해 가구를 적층시키는 결합 관계를 도시한 사용상태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면으로서,
도 4(a)는 본 발명의 연결 구조체를 도시한 평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연결 구조체를 도시한 정면도,
도 4(c)는 본 발명의 연결 구조체에 의해 가구를 적층시키는 결합 관계를 도시한 사용상태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면으로서,
도 5(a)는 본 발명의 연결 구조체를 도시한 평면도,
도 5(b)(c)는 본 발명의 연결 구조체를 도시한 정면도,
도 5(d)는 본 발명의 연결 구조체에 의해 가구를 적층시키는 결합 관계를 도시한 사용상태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도면으로서,
도 6(a)는 본 발명의 연결 구조체를 도시한 평면도,
도 6(b)(c)는 본 발명의 연결 구조체를 도시한 정면도,
도 6(d)는 본 발명의 연결 구조체에 의해 가구를 적층시키는 결합 관계를 도시한 사용상태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조립식 가구의 연결 구조체는, 일정한 평면적으로 형성된 연결판(10)과, 상기 연결판(10)의 상면에 수평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각각 돌출되어 다수의 가구(30)들의 하면 코너부분에 각각 형성된 하부측 연결홈(32)과 대응되는 끼워맞춤에 의해 다수의 가구(30)들이 수직 적층 및 수평 확장되도록 연결하는 상부측 연결돌기(20)와, 상기 연결판(10)의 하면에 수평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각각 돌출되어 다수의 가구(30)들의 상면 코너부분에 각각 형성된 상부측 연결홈(34)과 대응되는 끼워맞춤에 의해 다수의 가구(30)들이 수직 적층 및 수평 확장되도록 연결하는 하부측 연결돌기(22)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연결판(10)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상면에 2방향 수평으로 상기 상부측 연결돌기(20)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각각 돌출 형성되고, 그 하면에 2방향 수평으로 상기 하부측 연결돌기(22)가 좌우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각각 돌출 형성되면서 상기 상부측 연결돌기(20)의 지점과 상하 대칭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판(10)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상면 일측에 상기 상부측 연결돌기(20)가 돌출 형성되고, 그 하면에 2방향 수평으로 상기 하부측 연결돌기(22)가 좌우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각각 돌출 형성되면서 어느 하나가 상기 상부측 연결돌기(20)의 지점과 상하 대칭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판(10)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상면에 3방향 수평으로 상기 상부측 연결돌기(20)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각각 돌출 형성되고, 그 하면에 3방향 수평으로 상기 하부측 연결돌기(22)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각각 돌출 형성되면서 상기 상부측 연결돌기(20)의 지점과 상하 대칭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판(10)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상면에 4방향 수평으로 상기 상부측 연결돌기(20)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각각 돌출 형성되고 , 그 하면에 3방향 수평으로 상기 하부측 연결돌기(22)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각각 돌출 형성되면서 상기 상부측 연결돌기(20)의 지점과 상하 대칭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판(10)의 평면적 중앙에는 상부측 연결돌기(20)와 하부측 연결돌기(22)의 상하 한 쌍이 독립적으로 사용되도록 절취선(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측 연결돌기(20)와 하부측 연결돌기(22)는 상기 연결판(10)을 기반으로 동일한 높이의 사각기둥 모양을 이루도록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연결판(10)의 상면에는 상부측 연결돌기(20)가 없이 하면에만 하부측 연결돌기(22)를 형성하여 도 3(c), 도 5(c),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다수의 가구(30)들이 연결될 때 맨 마지막 상면에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다수의 가구(30)에는 상기 하부측 연결홈(32)과 상부측 연결홈(34)이 형성되는 입구 가장자리에 상기 연결판(10)의 두께에 대응하는 폭만큼 단차홈(미도시)을 형성할 수도 있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조립식 가구의 연결 구조체에 대한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조립식 가구의 연결 구조체를 이용하여 다수의 가구(30)를 수직 적층 및 수평 확장되게 조립하기 위해서는, 먼저 다수의 가구(30)들이 좌우 및 전후방향으로 맞닿으면서 동일한 높이를 이루도록 밀착시킨 후, 이들 가구(30)의 상면 코너부분에 인접하도록 형성된 상부측 연결홈(34)에 대응하도록 연결판(10)의 하면에 돌설된 다수의 하부측 연결돌기(22)를 각각 끼운 다음, 이들 연결판(10)의 상면에 돌설된 다수의 상부측 연결돌기(20)에 대응하여 끼워맞춤되도록 또 다른 다수의 가구(30)들을 적층시킨다.
즉, 연결판(10)의 상면과 하면에 좌우측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부측 연결돌기(20)와 하부측 연결돌기(22)가 각각 2개씩 돌설된 연결 구조체일 경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가구(30)를 수직으로 적층되게 연결하면서 수평으로 확장되도록 연속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 연결판(10)의 상면에 1개의 상부측 연결돌기(20)가 돌설되고, 하면에 2개의 하부측 연결돌기(22)가 돌설된 연결 구조체일 경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가구(30)를 수평으로 연결하면서 그 위에 또 다른 1개의 가구(30)가 포개어지도록 연결할 수 있다.
또, 연결판(10)의 상면과 하면에 좌우 및 전후측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부측 연결돌기(20)와 하부측 연결돌기(22)가 각각 3개씩 돌설된 연결 구조체일 경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가구(30)를 좌우로 연결하면서 이들 중 어느 1개의 가구(30)에 또 다른 1개의 가구(30)를 전후로 연결함과 동시에 수직으로 적층되도록 연속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 연결판(10)의 상면과 하면에 좌우 및 전후측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부측 연결돌기(20)와 하부측 연결돌기(22)가 각각 4개씩 돌설된 연결 구조체일 경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가구(30)를 좌우 및 전후측으로 수평으로 확장되도록 연속적으로 연결함과 동시에 수직으로 적층되도록 연속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상부측 연결돌기(20)와 하부측 연결돌기(22)는 사각기둥 모양을 이루도록 돌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구(30)에 형성된 하부 및 상부측 연결홈(32)(34)와 대응하여 끼워맞춤될 경우, 다수의 가구(30)들이 수직으로 적층되거나 수평으로 확장되도록 연결될 때 원하는 연결 위치에서 틀어지거나 어긋나지 않게 잡아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립식 가구의 연결 구조체는 연결판(10)의 상면과 하면에 수평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방향성을 가진 다수의 상부측 연결돌기(20)와 하부측 연결돌기(22)가 각각 돌설되어 있기 때문에 소비자 취향에 따라 다수의 가구(30)를 다양한 방향으로 수직 적층 및 수평 확장되도록 조립함과 동시에 견고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연결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가구배치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 : 연결판 12 : 절취선
20 : 상부측 연결돌기 22 : 하부측 연결돌기
30 : 가구 32 : 하부측 연결홈
34 : 상부측 연결홈

Claims (5)

  1. 연결판(10)과, 상기 연결판(10)의 상면에 수평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각각 돌출되어 다수의 가구(30)들의 하면 코너부분에 각각 형성된 하부측 연결홈(32)과 대응되는 끼워맞춤에 의해 다수의 가구(30)들이 수직 적층 및 수평 확장되도록 연결하는 상부측 연결돌기(20)와, 상기 연결판(10)의 하면에 수평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각각 돌출되어 다수의 가구(30)들의 상면 코너부분에 각각 형성된 상부측 연결홈(34)과 대응되는 끼워맞춤에 의해 다수의 가구(30)들이 수직 적층 및 수평 확장되도록 연결하는 하부측 연결돌기(2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구의 연결 구조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10)에는, 그 상면에 2방향, 3방향, 4방향 중에서 선택된 어느 방향 수평으로 상기 상부측 연결돌기(20)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각각 돌출 형성되고, 그 하면에 2방향, 3방향, 4방향 중에서 선택된 어느 방향 수평으로 상기 하부측 연결돌기(22)가 좌우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각각 돌출 형성되면서 상기 상부측 연결돌기(20)의 지점과 상하 대칭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구의 연결 구조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10)에는, 그 상면 일측에 상기 상부측 연결돌기(20)가 돌출 형성되고, 그 하면에 2방향 수평으로 상기 하부측 연결돌기(22)가 좌우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각각 돌출 형성되면서 어느 하나가 상기 상부측 연결돌기(20)의 지점과 상하 대칭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구의 연결 구조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10)의 평면적 중앙에는 상부측 연결돌기(20)와 하부측 연결돌기(22)의 상하 한 쌍이 독립적으로 사용되도록 절취선(1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구의 연결 구조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측 연결돌기(20)와 하부측 연결돌기(22)는 상기 연결판(10)을 기반으로 동일한 높이의 사각기둥 모양을 이루도록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구의 연결 구조체.
KR1020160023488A 2016-02-26 2016-02-26 조립식 가구의 연결 구조체 KR201701009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3488A KR20170100954A (ko) 2016-02-26 2016-02-26 조립식 가구의 연결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3488A KR20170100954A (ko) 2016-02-26 2016-02-26 조립식 가구의 연결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0954A true KR20170100954A (ko) 2017-09-05

Family

ID=59925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3488A KR20170100954A (ko) 2016-02-26 2016-02-26 조립식 가구의 연결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0095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9760B1 (ko) * 2021-01-20 2022-01-10 정성철 조립식 수납장
KR20220080607A (ko) * 2020-12-07 2022-06-14 정형준 확장형 수납가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0607A (ko) * 2020-12-07 2022-06-14 정형준 확장형 수납가구
KR102349760B1 (ko) * 2021-01-20 2022-01-10 정성철 조립식 수납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2807B1 (ko) 모듈형 플로어링 시스템
US10159338B2 (en) Universal piece of furniture consisting of panels
US9510678B2 (en) Modular shelving
KR101478953B1 (ko) 조립식 선반
KR20070019494A (ko) 조립식 선반
KR20170100954A (ko) 조립식 가구의 연결 구조체
JP5419552B2 (ja) ユニット本棚
US8708165B2 (en) Apparatus configured to store media cases and boxes
JP6771130B2 (ja) 金属板製の組立式物入れ
KR101212315B1 (ko) 조립식 가구
KR101419177B1 (ko) 조립식 수납상자 체결장치
KR101725491B1 (ko) 스프링락, 꼭지 스프링락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애완동물용 가구
KR200482790Y1 (ko) 적층 조립식 서가
JP2014092014A (ja) 仕切り構造
KR101056522B1 (ko) 장식용 조립식상자
JP4738917B2 (ja) 組み合わせ商品陳列台及び商品陳列セット
JP6727070B2 (ja) システムキッチン及びシステムキッチンの組み立て方法
KR102290749B1 (ko) 모듈형 가구 시스템
JP2020092756A (ja) 収納棚
KR101805735B1 (ko) 서랍장
JPH08500265A (ja) 相互接続可能な要素による組み立てセット
JP6877032B2 (ja) 組み立て式のラック
KR20230000174U (ko) 조립 선반용 앵글 프레임
CN208302204U (zh) 积木组合结构
KR20150003434U (ko) 책장용 중간수직연결부재와 중간부 측판 및 후판의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