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2315B1 - 조립식 가구 - Google Patents

조립식 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2315B1
KR101212315B1 KR1020100056991A KR20100056991A KR101212315B1 KR 101212315 B1 KR101212315 B1 KR 101212315B1 KR 1020100056991 A KR1020100056991 A KR 1020100056991A KR 20100056991 A KR20100056991 A KR 20100056991A KR 101212315 B1 KR101212315 B1 KR 101212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vertical
horizontal member
prefabricated furniture
vertica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6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7019A (ko
Inventor
최병조
정호상
Original Assignee
정호상
최병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호상, 최병조 filed Critical 정호상
Priority to KR1020100056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2315B1/ko
Publication of KR20110137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70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2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2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2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stackable ; stackable and link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074Mortise and tenon joints or the like including some general male and female connections
    • A47B2230/0085Mutually slotted furniture joi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074Mortise and tenon joints or the like including some general male and female connections
    • A47B2230/0092Furniture assembled by mutually slotted joi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25Horizontal connecting members adapted to receive and retain the edges of several panel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91Modular arrangements of similar assemblies of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4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made mainly of wood or plastic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가구는 서로 이격된 상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가로부재; 및 서로 이격된 상태로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가로부재와 교차된 상태로 조립되어 적어도 하나의 내부 공간을 생성하는 복수의 세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로부재에는 복수의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세로부재에는 상기 안내홈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가로부재는 상기 안내홈에 상기 삽입홈이 삽입 결합되는 방식으로 상기 세로부재와 조립된다.

Description

조립식 가구{ASSEMBLY FURNITUR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책꽂이, 거실장, 책상 등의 가구를 쉽고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는 조립식 가구에 관한 것이다.
현재 생활에 주로 사용되는 가구들, 예컨대 책꽂이, 거실장, 책상들은 주변 환경이나 주어진 공간에 의해 그 크기를 알맞은 것으로 선택하여 설치하게 된다. 따라서, 제조 공장에서는 대개가 대, 중, 소의 서로 다른 크기들로 정해진 규격으로 구분하여 제작하고, 특수한 경우는 주문에 의해 설치 장소에 알맞은 크기로 제작한 것을 설치하는 경우도 있다.
이들은 대개가 폭을 기준하여 크기를 구분하는 것이며, 그 높이는 통상적인 크기를 감안하여 일정하게 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므로 가구가 설치될 수 있는 정도의 대략적인 크기로 약간 여유 있는 것을 선택하여 구입하게 되어 가구가 설치된 후, 쓸데 없는 공간이 남게 되어 미관을 해치게 하는 경우도 있다.
상기 여유 공간으로는 불가피하게 옷걸이나 기타 물품들을 배치하는 용도로 사용하기도 하나, 이는 공간 활용도에 비하여 전체적인 장식적 미관을 크게 해치는 결과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 이러한 정해진 크기로 고정된 가구를 배치한 후, 이를 다른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그 설치 공간이 변하게 되므로 보다 넓은 공간에 재설치할 때는 상기와 같이 불필요한 공간이 더욱 크게 노출되어 가구의 품위를 더 저하시키게 되는 반면, 설치 공간이 오히려 좁은 곳에 배치하게 되는 경우는 가구를 설치하지 못하고 방치하거나, 새로운 가구로 교체해야 되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경제적 손실을 주게 된다.
따라서, 쉽고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는 조립식 가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가로부재와 세로부재를 삽입홈과 안내홈을 이용하여 서로 교차되게 삽입 결합함으로써 쉽고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는 조립식 가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가구는 서로 이격된 상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가로부재; 및 서로 이격된 상태로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가로부재와 교차된 상태로 조립되어 적어도 하나의 내부 공간을 생성하는 복수의 세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로부재에는 복수의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세로부재에는 상기 안내홈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가로부재는 상기 안내홈에 상기 삽입홈이 삽입 결합되는 방식으로 상기 세로부재와 조립된다.
상기 안내홈은 상기 가로부재의 같은 쪽 면에 상기 내부 공간의 크기를 고려하여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은 상기 세로부재의 같은 쪽 면에 상기 내부 공간의 크기를 고려하여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홈은 상기 가로부재의 같은 쪽 면에 상기 내부 공간의 크기를 고려하여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은 상기 세로부재의 다른 쪽 면에 상기 내부 공간의 크기를 고려하여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가구는 상기 안내홈 및 상기 삽입홈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조립 시의 소음을 감소시키는 보조결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결합부재는 상기 안내홈 및 상기 삽입홈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보조결합부재는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상기 단면의 폭은 상기 가로부재 및 상기 세로부재의 두께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가로부재 및 세로부재는 나무, 금속, 유리 또는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세로부재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상기 조립식 가구를 여러 단으로 쌓아 올릴 수 있도록 돌기와 돌기용 홈이 형성되고, 상기 돌기용 홈은 상기 돌기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로부재와 세로부재를 삽입홈과 안내홈을 이용하여 서로 교차되게 삽입 결합함으로써 쉽고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가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가구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가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조립식 가구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가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가구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가구(100)는 제1 가로부재(110), 제2 가로부재(120), 제1 세로부재(130) 및 제2 세로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로부재(110)와 상기 제2 가로부재(120)는 서로 대향된 상태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1 가로부재(110)가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가로부재(120)가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상기 제1 가로부재(110)는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가로부재(120)는 상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세로부재(130) 및 제2 세로부재(140) 역시 상기 제1 및 제2 가로부재(110, 120)와 마찬가지로 두 부재(130, 140)가 서로 대향된 상태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1 세로부재(130)는 좌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세로부재(140)는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1 세로부재(130)는 우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세로부재(140)는 좌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가로부재(110)는 상기 제1 세로부재(130)와 교차된 상태로 조립되고, 상기 제2 가로부재(120)는 상기 제2 세로부재(140)와 교차된 상태로 조립됨으로써, 상기 조립식 가구(100)에 하나의 내부 공간을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및 제2 가로부재(110, 120) 각각에는 제1 안내홈(111, 112)과 제2 안내홈(121, 122)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세로부재(130, 140) 각각에는 제1 삽입홈(131, 132)과 제2 삽입홈(141, 14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가로부재(110)는 상기 제1 안내홈(111, 112)에 상기 제1 삽입홈(131, 132)이 삽입 결합되는 방식으로 상기 제1 세로부재(130)와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가로부재(120)는 상기 제2 안내홈(121, 122)에 상기 제2 삽입홈(141, 142)이 삽입 결합되는 방식으로 상기 제2 세로부재(140)와 조립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삽입홈(131, 132)은 상기 제1 안내홈(111, 112)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2 삽입홈(141, 142)은 상기 제2 안내홈(121, 122)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및 제2 삽입홈(131, 132, 141, 142)은 상기 제1 및 제2 안내홈(111, 112, 121, 122)에 대응하는 형상인 'ㄷ'자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가로부재(110, 120)는 상기 제1 및 제2 세로부재(130, 140)와 제대로 조립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 안내홈(111, 112)은 상기 제1 가로부재(110)의 같은 쪽 면에 일정 간격 떨어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안내홈(121, 122)은 상기 제2 가로부재(120)의 같은 쪽 면에 일정 간격 떨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안내홈(111, 112) 간의 이격 거리 및 상기 제2 안내홈(121, 122) 간의 이격 거리는, 상기 조립식 가구(100)에 생성되는 내부 공간의 크기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삽입홈(131, 132)은 상기 제1 세로부재(130)의 같은 쪽 면에 일정 간격 떨어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삽입홈(141, 142)은 상기 제2 세로부재(140)의 같은 쪽 면에 일정 간격 떨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삽입홈(131, 132) 간의 이격 거리 및 상기 제2 삽입홈(141, 142) 간의 이격 거리는 상기 조립식 가구(100)에 생성되는 내부 공간의 크기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조립식 가구(100)에는 상기 결정된 이격 거리만큼의 내부 공간이 생성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 및 제2 가로부재(110, 120)와 상기 제1 및 제2 세로부재(130, 140)는 나무, 금속, 유리,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가로부재(110, 120)와 상기 제1 및 제2 세로부재(130, 140)에는 실내 장식 효과를 낼 수 있도록 장식 무늬나 색상이 가미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세로부재(130, 140)는 그 상부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돌기용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돌기용 홈은 상기 돌기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조립식 가구(100)를 여러 단으로 안정되게 쌓아 올릴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가구(100)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보조결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결합부재는 상기 가로부재(110, 120)의 안내홈(111, 112, 121, 122)과, 상기 세로부재(130, 140)의 삽입홈(131, 132, 141, 142)에 각각 삽입 결합되어, 상기 가로부재(110, 120)와 상기 세로부재(130, 140)의 조립 시에 발생되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보조결합부재는 상기 안내홈(111, 112, 121, 122) 및 상기 삽입홈(131, 132, 141, 142)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로부재(110, 120)와 상기 세로부재(130, 140)는 보다 견고히 조립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보조결합부재는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결합부재는 상기 가로부재(110, 120) 및 상기 세로부재(130, 140)와 밀착되는 면의 폭, 즉 상기 단면의 폭이 상기 가로부재(110, 120) 및 상기 세로부재(130, 140)의 두께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보조결합부재는 상기 가로부재(110, 120) 및 상기 세로부재(130, 140)에 더욱 밀착된 상태로 삽입되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가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가구(200)는 제1 가로부재(210), 제2 가로부재(220), 제1 세로부재(230) 및 제2 세로부재(24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조립식 가구(200)는 도 1a의 조립식 가구(100)와 그 구성에 있어서 매우 유사한 면이 있다.
다만, 상기 조립식 가구(200)는 상기 제1 및 제2 가로부재(210, 220)의 구조에 있어서 도 1a의 조립식 가구(100)의 제1 및 제2 가로부재(110, 120)와 상이한 면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가구(2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 가로부재(210)와 상기 제2 가로부재(220)는 서로 대향된 상태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1 가로부재(210)가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가로부재(220)가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상기 제1 가로부재(210)는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가로부재(220)는 상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세로부재(230) 및 제2 세로부재(240) 역시 상기 제1 및 제2 가로부재(210, 220)와 마찬가지로 두 부재(230, 240)가 서로 대향된 상태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1 세로부재(230)는 좌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세로부재(240)는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1 세로부재(230)는 우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세로부재(240)는 좌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가로부재(210)는 상기 제1 세로부재(230)와 교차된 상태로 조립되고, 상기 제2 가로부재(220)는 상기 제2 세로부재(240)와 교차된 상태로 조립됨으로써, 상기 조립식 가구(200)에 하나의 내부 공간을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및 제2 가로부재(210, 220) 각각에는 제1 안내홈(211, 212)과 제2 안내홈(221, 222)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세로부재(230, 240) 각각에는 제1 삽입홈(231, 232)과 제2 삽입홈(241, 24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가로부재(210)는 상기 제1 안내홈(211, 212)에 상기 제1 삽입홈(231, 232)이 삽입 결합되는 방식으로 상기 제1 세로부재(230)와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가로부재(220)는 상기 제2 안내홈(221, 222)에 상기 제2 삽입홈(241, 242)이 삽입 결합되는 방식으로 상기 제2 세로부재(240)와 조립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삽입홈(231, 232)은 상기 제1 안내홈(211, 212)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2 삽입홈(241, 242)은 상기 제2 안내홈(221, 222)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및 제2 삽입홈(231, 232, 241, 242)은 상기 제1 및 제2 안내홈(211, 212, 221, 222)에 대응하는 형상인 'ㄷ'자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가로부재(210, 220)는 상기 제1 및 제2 세로부재(230, 240)와 제대로 조립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 안내홈(211, 212)은 상기 제1 가로부재(210)의 다른 쪽 면에 일정 간격 떨어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안내홈(221, 222) 역시 상기 제2 가로부재(220)의 다른 쪽 면에 일정 간격 떨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안내홈(211, 212)은 상기 제1 가로부재(210)의 일측과 타측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안내홈(221, 222)은 상기 제2 가로부재(220)의 일측과 타측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안내홈(211, 212) 간의 이격 거리 및 상기 제2 안내홈(221, 222) 간의 이격 거리는, 상기 조립식 가구(200)에 생성되는 내부 공간의 크기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삽입홈(231, 232)은 상기 제1 세로부재(230)의 같은 쪽 면에 일정 간격 떨어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삽입홈(241, 242) 역시 상기 제2 세로부재(240)의 같은 쪽 면에 일정 간격 떨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삽입홈(231, 232) 간의 이격 거리 및 상기 제2 삽입홈(241, 242) 간의 이격 거리는 상기 조립식 가구(200)에 생성되는 내부 공간의 크기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조립식 가구(200)에는 상기 결정된 이격 거리만큼의 내부 공간이 생성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 및 제2 가로부재(210, 220)와 상기 제1 및 제2 세로부재(230, 240)는 나무, 금속, 유리,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가로부재(210, 220)와 상기 제1 및 제2 세로부재(230, 240)에는 실내 장식 효과를 낼 수 있도록 장식 무늬나 색상이 가미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세로부재(230, 240)는 그 상부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돌기용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돌기용 홈은 상기 돌기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조립식 가구(200)를 여러 단으로 안정되게 쌓아 올릴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가구(200)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보조결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결합부재는 상기 가로부재(210, 220)의 안내홈(211, 212, 221, 222)과, 상기 세로부재(230, 240)의 삽입홈(231, 232, 241, 242)에 각각 삽입 결합되어, 상기 가로부재(210, 220)와 상기 세로부재(230, 240)의 조립 시에 발생되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보조결합부재는 상기 안내홈(211, 212, 221, 222) 및 상기 삽입홈(231, 232, 241, 242)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로부재(210, 220)와 상기 세로부재(230, 240)는 보다 견고히 조립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보조결합부재는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결합부재는 상기 가로부재(210, 220) 및 상기 세로부재(230, 240)와 밀착되는 면의 폭, 즉 상기 단면의 폭이 상기 가로부재(210, 220) 및 상기 세로부재(230, 240)의 두께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보조결합부재는 상기 가로부재(210, 220) 및 상기 세로부재(230, 240)에 더욱 밀착된 상태로 삽입되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가로부재와 세로부재를 각각 2개씩으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상기 가로부재 및 세로부재가 3개 이상 채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안내홈과 삽입홈이 가로부재와 세로부재에 각각 2개씩 형성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안내홈과 상기 삽입홈이 상기 가로부재 및 세로부재에 각각 3개 이상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조립식 가구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조립식 가구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책꽂이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조립식 가구는 도 3의 오른쪽 그림과 같이 가로부재와 세로부재를 각각 2개씩 사용하여 조립된 책꽂이를 여러 단으로 쌓아 올린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립식 가구는 도 3의 왼쪽 그림과 같이 5개의 가로부재와 2개의 세로부재를 사용하여 조립된 책꽂이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2개의 세로부재에는 각각 5개의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4개의 내부 공간(책을 꽂을 수 있는 공간)이 생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조립식 가구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실장(장식장)으로 사용될 수도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책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조립식 가구는 가로부재와 세로부재를 삽입홈과 안내홈을 이용하여 서로 교차되게 삽입 결합함으로써 쉽고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조립식 가구는 상기 삽입홈과 상기 안내홈에 삽입 가능한 보조결합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가로부재와 상기 세로부재를 조립함으로써, 상기 가로부재와 상기 세로부재의 조립 시에 발생되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제1 가로부재
111, 112: 제1 안내홈
120: 제2 가로부재
121, 122: 제2 안내홈
130: 제1 세로부재
131, 132: 제1 삽입홈
140: 제2 세로부재
141, 142: 제2 삽입홈

Claims (8)

  1. 서로 이격된 상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가로부재; 및
    서로 이격된 상태로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가로부재와 교차된 상태로 조립되어 적어도 하나의 내부 공간을 생성하는 복수의 세로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가로부재에는 복수의 안내홈이 형성되되, 상기 안내홈은 상기 가로부재의 같은 쪽 면에 상기 내부 공간의 크기를 고려하여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세로부재에는 상기 안내홈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삽입홈이 형성되되, 상기 삽입홈은 상기 세로부재의 다른 쪽 면에 상기 내부 공간의 크기를 고려하여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가로부재는 상기 안내홈에 상기 삽입홈이 삽입 결합되는 방식으로 상기 세로부재와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은 상기 가로부재의 같은 쪽 면에 상기 내부 공간의 크기를 고려하여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은 상기 세로부재의 같은 쪽 면에 상기 내부 공간의 크기를 고려하여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구.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 및 상기 삽입홈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조립 시의 소음을 감소시키는 보조결합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결합부재는 상기 안내홈 및 상기 삽입홈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결합부재는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상기 단면의 폭은 상기 가로부재 및 상기 세로부재의 두께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부재 및 세로부재는 나무, 금속, 유리 또는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부재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상기 조립식 가구를 여러 단으로 쌓아 올릴 수 있도록 돌기와 돌기용 홈이 형성되고,
    상기 돌기용 홈은 상기 돌기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구.
KR1020100056991A 2010-06-16 2010-06-16 조립식 가구 KR101212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6991A KR101212315B1 (ko) 2010-06-16 2010-06-16 조립식 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6991A KR101212315B1 (ko) 2010-06-16 2010-06-16 조립식 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7019A KR20110137019A (ko) 2011-12-22
KR101212315B1 true KR101212315B1 (ko) 2012-12-13

Family

ID=45503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6991A KR101212315B1 (ko) 2010-06-16 2010-06-16 조립식 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231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8818B1 (ko) 2016-12-13 2018-06-19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직판과 수평판으로 자체 조립되는 조립식 책장 및 그 조립방법
KR101877794B1 (ko) * 2017-01-18 2018-07-12 김예솔 가변형 조립식 가구
KR20190085310A (ko) 2018-01-10 2019-07-18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직판과 배면판 및 수평판으로 자체 조립되는 조립식 책장 및 그 조립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7291Y1 (ko) * 2000-01-21 2000-07-01 이경재 조립식 수납함
JP3085878U (ja) 2001-11-07 2002-05-24 文燦 王 組み立て式展示棚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7291Y1 (ko) * 2000-01-21 2000-07-01 이경재 조립식 수납함
JP3085878U (ja) 2001-11-07 2002-05-24 文燦 王 組み立て式展示棚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8818B1 (ko) 2016-12-13 2018-06-19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직판과 수평판으로 자체 조립되는 조립식 책장 및 그 조립방법
KR101877794B1 (ko) * 2017-01-18 2018-07-12 김예솔 가변형 조립식 가구
KR20190085310A (ko) 2018-01-10 2019-07-18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직판과 배면판 및 수평판으로 자체 조립되는 조립식 책장 및 그 조립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7019A (ko) 2011-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056604A1 (en) Connecting structure for sectional rack
KR101212315B1 (ko) 조립식 가구
JP2018114094A (ja) 組立式ディスプレイケース
KR20180093303A (ko) 학습기능을 갖는 조립식 책꽂이
KR100789193B1 (ko) 넉다운 가구의 조립구
KR101393691B1 (ko) 철제 가구
KR101794156B1 (ko) 못을 쓰지 않고 조립이 가능하고 높낮이, 넓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책꽂이
KR20120006433U (ko) 가변형 선반
KR101755404B1 (ko) 조립식 책꽂이 및 그 시공 방법
KR102598229B1 (ko) 조립식 책장
KR20090115376A (ko) 장식장
US8794576B2 (en) Knockdown table leg of game table
KR200430359Y1 (ko) 조립식가구
KR20160000210U (ko) 조립식 가구 및 교육완구
KR20150074536A (ko) 수납용 조립식 가구
KR102260427B1 (ko) 다용도 선반
JP2015123227A (ja) 組み立て椅子
KR102091307B1 (ko) 넉다운 붙박이장 구조물
KR102289294B1 (ko) 조립식 가구
KR102379485B1 (ko) 모듈형 조립가구 및 이의 조립방법
KR200471323Y1 (ko) 계단식 수납공간을 갖는 목재 책장
JP3214510U (ja) 猫用遊戯棚
KR200340568Y1 (ko) 가구용 기둥체
KR102181520B1 (ko) 시스템 선반
JP3192770U (ja) 組立式ラックの接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