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9294B1 - 조립식 가구 - Google Patents

조립식 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9294B1
KR102289294B1 KR1020190137863A KR20190137863A KR102289294B1 KR 102289294 B1 KR102289294 B1 KR 102289294B1 KR 1020190137863 A KR1020190137863 A KR 1020190137863A KR 20190137863 A KR20190137863 A KR 20190137863A KR 102289294 B1 KR102289294 B1 KR 102289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ole
housing
coupling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7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1937A (ko
Inventor
이상명
Original Assignee
이상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명 filed Critical 이상명
Priority to KR1020190137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9294B1/ko
Priority to PCT/KR2020/007361 priority patent/WO2021085783A1/ko
Publication of KR20210051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1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9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9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pins coacting with ho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03Connecting table tops to 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20Telescopic guid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21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 A47B2013/022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with detachable connection of a tubular leg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면 상에 설치되며, 복수개의 관통홀이 각각 형성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외면에 안착되는 외판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결합부; 및 상기 프레임부의 외면 중 상기 외판부가 안착되지 않은 부분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하우징부를 포함하는 조립식 가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가구에 의하면, 프레임부에 각각 형성된 관통홀에 결합부를 삽입하는 방식을 통하여 프레임부와 프레임부를 서로 결합시키며, 결합부를 이용하여 프레임부와 외판부를 서로 결합시키고, 프레임부의 외면 중 외판부가 안착되지 않은 부분에는 하우징부를 이용하여 덮는 방식으로 조립식 가구가 설계됨으로써, 정해진 크기와 디자인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자의 의도에 맞게 가구를 제작 및 변경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가구{Assemble type furniture}
본 발명은 조립식 가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의도에 맞게 여러 부품을 조립하여 제조되는 조립식 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란 집안 살림에 사용되는 것을 의미한다. 가구는 책상, 의자, 서랍, 침대 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이러한 가구는, 거주 공간의 바닥면 상에 설치되며, 프레임에 여러 부품들이 설치되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예를 들어, 책상의 경우에는, 수직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는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판으로 이루어진다. 서랍의 경우에는, 수직프레임과, 수직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수평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는 수납케이스로 이루어진다. 이렇듯, 가구는 그 목적과 종류에 따라, 부품의 배치관계 및 설계방식이 조금씩 차이를 나타낸다.
홈 퍼니싱, DIY 시장의 성장과 함께, 독특한 기능이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가구제품에 대한 고객의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소규모, 1인가구의 증가로 개인의 취향에 따라 공간을 꾸밀 수 있는 가구ㆍ인테리어에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나, 기존의 제품은 크기와 디자인이 고정되어 있어 구조적 변형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기존 가구제품이 가진 불편함과 창작 욕구를 해결하는 동시에 사용자 취향의 디자인, 인테리어, 공간제작을 위해 장난감 블록처럼 조립이 간편하고 직관적인 모듈형 스마트가구에 대한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개발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의도에 맞게 모듈화된 부품들을 서로 간편하게 조립하는 방식을 통하여 가구를 제작 및 변경할 수 있는 조립식 가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바닥면 상에 설치되며, 복수개의 관통홀이 각각 형성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외면에 안착되는 외판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결합부; 및 상기 프레임부의 외면 중 상기 외판부가 안착되지 않은 부분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하우징부를 포함하는 조립식 가구를 제공한다.
상기 프레임부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옆면에 복수개의 제1관통홀이 형성되고, 밑면에 제2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부는, 제2관통홀이 인접하는 다른 프레임부의 복수개의 제1관통홀 중 어느 하나와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프레임부는, 바닥면 상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수평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개의 수직프레임과, 각각 상기 복수개의 수직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수평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프레임은, 제2관통홀이 상기 수직프레임의 복수개의 제1관통홀 중 어느 하나와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2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부의 밑면에 설치되는 너트부재와, 대향하는 상기 제1관통홀 및 제2관통홀에 각각 관통되는 제1볼트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외판부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기 프레임부 측 대향면에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부에 안착되는 보조결합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보조결합부재는, 상기 프레임부에 형성된 상기 복수개의 관통홀과 대응되도록 서로 이격 배치되며, 내벽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3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단부가 상기 보조결합부재의 제3관통홀에 삽입되는 제2볼트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일 측과 타 측을 각각 둘러싸며, 상기 프레임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한 쌍의 하우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하우징부재에 설치되며,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전자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부재는, 외면에 상기 전자모듈이 장착되는 장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의 내벽에 외부 전원의 전선이 배치되는 보조홈이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하우징부재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우징부재 측 대향면에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하우징부재 중 다른 하나는,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결합홀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가구에 의하면, 프레임부에 각각 형성된 관통홀에 결합부를 삽입하는 방식을 통하여 프레임부와 프레임부를 서로 결합시키며, 결합부를 이용하여 프레임부와 외판부를 서로 결합시키고, 프레임부의 외면 중 외판부가 안착되지 않은 부분에는 하우징부를 이용하여 덮는 방식으로 조립식 가구가 설계됨으로써, 정해진 크기와 디자인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자의 의도에 맞게 가구를 제작 및 변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가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프레임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수직프레임 및 결합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외판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낸 하우징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낸 하우징부의 배면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가구(100)는, 프레임부(110), 외판부(120), 결합부(130) 및 하우징부(140)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부(110)는, 바닥면(미도시) 상에 설치되며, 복수개의 관통홀(110a,110b)이 각각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프레임부(110)는, 사각의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옆면에 복수개의 제1관통홀(110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부(110)의 밑면에는, 제2관통홀(110b)이 형성된 너트부재(132)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부(110)는, 전면(Whole surface)에 걸쳐서 관통홀(110a,110b)이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부(110)는, 바닥면 상에 복수개로 구비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프레임부(110)는, 복수개의 수직프레임(111)과, 복수개의 수평프레임(112)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수직프레임(111)은, 바닥면 상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수평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복수개의 수평프레임(112)은, 각각 상기 복수개의 수평프레임의 사이에서 수평으로 배치된다.
상기 프레임부(110)는, 어느 하나의 프레임부(110)에 존재하는 제2관통홀(110b)이, 인접하는 다른 프레임부(110)의 복수개의 제1관통홀(110a) 중 어느 하나와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수평프레임(112)은, 상기 수평프레임(112)의 제2관통홀(110b)이, 상기 수직프레임(111)의 복수개의 제1관통홀(110a) 중 어느 하나와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수평프레임(112)은, 상기 수직프레임(111)과 수직프레임(111)의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수직프레임(111)의 상측에 안착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수직프레임(111)은, 상기 수직프레임(111)의 제2관통홀(110b)이, 상기 수평프레임(112)의 복수개의 제1관통홀(110a) 중 어느 하나와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결합부(130)는, 상기 관통홀(110a,110b)에 삽입되어 상기 수직프레임(111)과 수평프레임(112)을 서로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개의 제1볼트부재(131) 및 복수개의 너트부재(132)를 포함한다. 상기 제1볼트부재(131)는, 대향하는 상기 제1관통홀(110a)과 제2관통홀(110b)을 각각 관통한다. 만약, 상기 수직프레임(111)의 제1관통홀(110a)과 수평프레임(112)의 제2관통홀(110b)이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1볼트부재(131)는 상기 수직프레임(111)의 반대 측에서 상기 수직프레임(111)을 가로지르도록 관통한 후 수평프레임(112)의 제2관통홀(110b)에 삽입된다. 반대로 상기 수평프레임(112)의 제1관통홀(110a)과 수직프레임(111)의 제2관통홀(110b)이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1볼트부재(131)는 상기 수평프레임(112)의 반대 측에서 상기 수평프레임(112)을 가로지르도록 관통한 후 수직프레임(111)의 제2관통홀(110b)에 삽입된다.
상기 너트부재(132)는, 상기 제2관통홀(110b)이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부(110)의 밑면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1볼트부재(131)는, 상기 너트부재(132)에 형성된 상기 제2관통홀(110b)로 삽입된다. 상기 수직프레임(111)의 제1관통홀(110a)과 수평프레임(112)의 밑면이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경우, 상기 너트부재(132)는 상기 수평프레임(112)의 밑면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프레임(112)의 제1관통홀(110a)과 수직프레임(111)의 밑면이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경우, 상기 너트부재(132)는 상기 수직프레임(112)의 밑면에 설치된다. 상기 제1볼트부재(131)가 상기 수직프레임(111) 또는 수평프레임(112)을 가로지른 후 상기 너트부재(132)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결합부(130)는 상기 프레임부(110)와 프레임부(110)를 서로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가구(100)에 의하면, 실시자는 상기 결합부(130)를 상기 프레임부(110)로부터 분리시켜 상기 프레임부(110)를 해체한 후, 원하는 형태로 상기 프레임부(110)를 재배치시킨 상태에서 다시 상기 결합부(130)를 상기 프레임부(110)에 결합시킴으로써, 실시자가 의도하는 형상의 가구를 보다 용이하게 설계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외판부(120)는, 베이스플레이트(121)와 보조결합부재(122)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21)는, 사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부(110)의 외면에 설치된다. 상기 보조결합부재(122)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21)의 상기 프레임부(110) 측 대향면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결합부재(122)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21)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부(110)의 외면에 안착된다. 도 1에서는 상기 외판부(120)가 상기 프레임부(110)의 상측에 안착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가구(100)의 사용 목적에 따라 상기 외판부(120)는 상기 프레임부(110)의 상하 좌우 앞뒤 어디든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조결합부재(122)는, 복수개의 제3관통홀(122a)이 소정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복수개의 제3관통홀(122a)은, 상기 프레임부(110)에 형성된 상기 복수개의 제1관통홀(110a)과 대응되도록 서로 이격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3관통홀(122a)은, 내벽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130)는, 복수개의 제2볼트부재(133)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볼트부재(133)는, 상기 프레임부(110)의 상기 제1관통홀(110a)을 관통하여, 단부가 상기 보조결합부재(122)의 제3관통홀(122a)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제2볼트부재(133)는, 단부가 상기 제3관통홀(122a)에 나사산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2볼트부재(133)는, 상기 외판부(120)를 상기 프레임부(110)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부(140)는, 상기 프레임부(110)의 외면 중 상기 외판부(120)가 안착되지 않은 부분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도 1에서는 상기 하우징부(140)가 상기 프레임부(110)의 외면 중 일부만을 둘러싸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상기 하우징부(140)는 상기 프레임부(110)의 외면 중 상기 외판부(120)가 안착되지 않은 부분 전부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부(140)는, 한 쌍의 하우징부재(141) 및 전자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하우징부재(141)는, 각각 상기 프레임부(110)의 일 측과 타 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하우징부재(141)는, 각각 상기 프레임부(110)의 일 측과 타 측이 삽입되는 삽입홈(141a)이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하우징부재(141)가 상기 프레임부(110)를 둘러싸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프레임부(110)의 제1관통홀(110a)이 외부에 드러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상기 프레임부(110)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게 된다.
상기 전자모듈은, 상기 하우징부재(141)에 설치되며, 외부 전원(미도시)과 연결된다. 상기 전자모듈은, 전원 콘센트, USB 포트, LED 램프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부재(141)는, 외면에 상기 전자모듈이 장착되는 장착홈(141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부재(141)는, 상기 삽입홈(141a)의 내벽에 외부 전원의 전선(미도시)이 배치되는 보조홈(141c)이 형성된다.
상기 보조홈(141c)은, 상기 삽입홈(141a)보다 폭이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삽입홈(141a)에 상기 프레임부(110)가 삽입되더라도, 상기 프레임부(110)와 상기 하우징부재(141)의 사이에는, 상기 보조홈(141c) 만큼의 공간이 남아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부(110)에 상기 한 쌍의 하우징부재(141)가 장착된 상태에서, 외부 전원과 연결된 전선이 상기 보조홈(141c)을 통해 상기 장착홈(141b)에 장착된 상기 전자모듈에 연결되는 경우, 전선이 상기 하우징부재(141)의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가구(100)에 의하면, 상기 하우징부재(141)에 형성된 장착홈(141b)에 상기 전자모듈을 장착시킴으로써 실시자로 하여금 보다 편리하게 전자모듈을 사용하도록 할 수 있으며, 보다 간단하고도 깔끔한 구조로서 상기 전자모듈을 외부 전원에 연결시킬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한 쌍의 하우징부재(141)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우징부재(141) 측 대향면에 결합돌기(142)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하우징부재(141) 중 다른 하나는, 상기 결합돌기(142)가 삽입되는 결합홀(143)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하우징부재(141)는, 각각의 삽입홈(141a)에 상기 프레임부(110)가 안착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어느 하나에 형성된 결합돌기(142)가 다른 하나에 형성된 결합홈(143)에 삽입되는 방식을 통해 서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프레임부(110)의 외면을 둘러싸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가구(100)에 의하면, 실시자는, 상기 하우징부(140)를 상기 프레임부(110)로부터 분리하고, 상기 결합부(130)를 상기 프레임부(110) 및 상기 외판부(120)로부터 분리한 다음, 상기 프레임부(110)와 상기 외판부(120)를 재배치한 후, 다시 상기 결합부(130)와 하우징부(140)를 상기 프레임부(110)에 결합시킴으로써, 조립식 가구(100)의 형상, 구조 및 배치관계를 실시자의 의도에 맞게 보다 용이하게 설계 및 변경할 수 있다.
100 : 조립식 가구 110 : 프레임부
120 : 외판부 130 : 결합부
140 : 하우징부

Claims (9)

  1. 바닥면 상에 설치되며, 복수개의 관통홀이 각각 형성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외면에 안착되는 외판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결합부; 및
    상기 프레임부의 외면 중 상기 외판부가 안착되지 않은 부분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하우징부를 포함하되,
    상기 외판부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기 프레임부 측 대향면에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부에 안착되는 보조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옆면에 복수개의 제1관통홀이 형성되고, 밑면에 제2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부는, 제2관통홀이 인접하는 다른 프레임부의 복수개의 제1관통홀 중 어느 하나와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보조결합부재는,
    상기 프레임부에 형성된 상기 복수개의 제1관통홀과 대응되도록 서로 이격 배치되며, 내벽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3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제1관통홀을 관통하여 단부가 상기 보조결합부재의 제3관통홀에 삽입되는 제2볼트부재를 포함하는 조립식 가구.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바닥면 상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수평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개의 수직프레임과,
    각각 상기 복수개의 수직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수평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프레임은, 제2관통홀이 상기 수직프레임의 복수개의 제1관통홀 중 어느 하나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조립식 가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2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부의 밑면에 설치되는 너트부재와,
    대향하는 상기 제1관통홀 및 제2관통홀에 각각 관통되는 제1볼트부재를 포함하는 조립식 가구.
  5. 삭제
  6. 삭제
  7. 바닥면 상에 설치되며, 복수개의 관통홀이 각각 형성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외면에 안착되는 외판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결합부; 및
    상기 프레임부의 외면 중 상기 외판부가 안착되지 않은 부분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하우징부를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일 측과 타 측을 각각 둘러싸며, 상기 프레임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한 쌍의 하우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하우징부재에 설치되며,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전자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부재는, 외면에 상기 전자모듈이 장착되는 장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의 내벽에 외부 전원의 전선이 배치되는 보조홈이 형성된 조립식 가구.
  8. 삭제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하우징부재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우징부재 측 대향면에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하우징부재 중 다른 하나는,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결합홀이 형성된 조립식 가구.
KR1020190137863A 2019-10-31 2019-10-31 조립식 가구 KR1022892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7863A KR102289294B1 (ko) 2019-10-31 2019-10-31 조립식 가구
PCT/KR2020/007361 WO2021085783A1 (ko) 2019-10-31 2020-06-05 조립식 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7863A KR102289294B1 (ko) 2019-10-31 2019-10-31 조립식 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1937A KR20210051937A (ko) 2021-05-10
KR102289294B1 true KR102289294B1 (ko) 2021-08-12

Family

ID=75715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7863A KR102289294B1 (ko) 2019-10-31 2019-10-31 조립식 가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89294B1 (ko)
WO (1) WO2021085783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3987Y1 (ko) * 2001-12-28 2002-05-01 김미아 사무용 가구의 높이조절장치
KR200401000Y1 (ko) * 2005-08-10 2005-11-15 송진태 책상의 코너부재 구조
KR200424908Y1 (ko) * 2005-12-09 2006-08-29 이상구 가구 다리
JP2013226188A (ja) * 2012-04-24 2013-11-07 Itoki Corp 什器の天板取付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2744A (ja) * 1997-01-24 1998-10-06 Itoki Co Ltd オフィス設備システム
KR20180000759A (ko) * 2016-06-23 2018-01-04 정일 조립형 가구 및 그 프레임의 결합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3987Y1 (ko) * 2001-12-28 2002-05-01 김미아 사무용 가구의 높이조절장치
KR200401000Y1 (ko) * 2005-08-10 2005-11-15 송진태 책상의 코너부재 구조
KR200424908Y1 (ko) * 2005-12-09 2006-08-29 이상구 가구 다리
JP2013226188A (ja) * 2012-04-24 2013-11-07 Itoki Corp 什器の天板取付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85783A1 (ko) 2021-05-06
KR20210051937A (ko) 2021-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08725U (ko) 시스템 가구용 선반받침대
JPH0641460Y2 (ja) 組立机および机の脚連結枠
KR200441498Y1 (ko) 수납가구의 선반 고정시스템
KR102289294B1 (ko) 조립식 가구
US20140314470A1 (en) Connector for a modular rack
KR20170034061A (ko) 액세서리 부착 격자형 조립식 수납함
KR20140028686A (ko) 조립식 가구 세트
KR101212315B1 (ko) 조립식 가구
KR20130058456A (ko) 테이블 조립체
KR20190024225A (ko) 조립식 모듈형 가구
JP2007021003A (ja) 収納キャビネット
KR200324319Y1 (ko) 조립식 가구의 지지프레임
US8794576B2 (en) Knockdown table leg of game table
KR200430359Y1 (ko) 조립식가구
KR101913132B1 (ko) 테이블
KR102598229B1 (ko) 조립식 책장
JP7048133B1 (ja) ジョイント部材、組み立てフレーム、及び、組み立てキット
KR0126563Y1 (ko) 다목적 조립가구
CN110612374A (zh) 用于护壁板的分隔构件
JP7214435B2 (ja) スタンドパネル、及び什器システム
CN209750488U (zh) 一种可自由配置的组合床
GB2300805A (en) A bedstead
JP2010255327A (ja) 壁面型装飾家具
KR101613820B1 (ko) 다양한 가구 조립용 커넥터
KR20140000778U (ko) 서랍 장착용 레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