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5404B1 - 조립식 책꽂이 및 그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조립식 책꽂이 및 그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5404B1
KR101755404B1 KR1020140065287A KR20140065287A KR101755404B1 KR 101755404 B1 KR101755404 B1 KR 101755404B1 KR 1020140065287 A KR1020140065287 A KR 1020140065287A KR 20140065287 A KR20140065287 A KR 20140065287A KR 101755404 B1 KR101755404 B1 KR 101755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grooves
vertical
book shelf
pres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5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7431A (ko
Inventor
김궁언
Original Assignee
김궁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궁언 filed Critical 김궁언
Priority to KR1020140065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5404B1/ko
Priority to PCT/KR2015/005289 priority patent/WO2015182980A1/ko
Publication of KR20150137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74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5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5404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 A47B63/02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drawin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책꽂이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소비자가 책꽂이 모양과 규격을 임의로 선택하고 설계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조립식 책꽂이와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책꽂이는 표면에 소정 간격으로 세로 홈과 가로 홈이 형성되어 격자 문양이 형성된 배면 판재; 상기 세로 홈에 끼워져 고정되는 다수의 세로 판재; 상기 가로 홈에 끼워져 고정되는 다수의 가로 판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립식 책꽂이 및 그 시공 방법{PREFABRICATED BOOKSHELF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조립식 책꽂이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소비자가 책꽂이 모양과 규격을 임의로 선택하고 설계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조립식 책꽂이와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최근 거실이나 방의 벽면 전체에 책꽂이를 설치하여 방이나 거실을 서재로 사용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책꽂이들이 일률적인 디자인으로 구성되어 있어 소비자가 원하는 디자인을 구현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10-2009-0085812호에서는 수직판재와 수평판재를 어긋나게 결속시켜 도 1과 같이 책꽂이를 조립하는 방식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 제1247047호에서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무한확장 가능한 칸막이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조립식 책꽂이는 주로 가로판과 세로판의 조립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조립은 편리하지만 책꽂이의 뒷면을 막아주는 배면판이 없기 때문에, 책꽂이 뒤편의 배후 벽면이 그대로 노출되어 인테리어적인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배면판에 결합되지 않기 때문에, 견고하지 못하고 내구성이 낮아 장기 사용시 뒤틀림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가로판 및 세로판을 배면판과 결합할 경우, 조립식으로 구현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책을 받치는 가로판 및 세로판이 배면판에 결합된 조립식 책꽂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책꽂이는
표면에 소정 간격으로 세로 홈과 가로 홈이 형성되어 격자 문양이 형성된 배면판;
상기 세로 홈에 끼워지는 다수의 세로 판재;
상기 가로 홈에 끼워지는 다수의 가로 판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로 홈의 간격은 사용자가 가로 판과 가로 판의 간격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선반의 높낮이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10~20 cm의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세로 홈의 간격은 사용자가 세로 판과 세로 판의 간격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정삭형의 격자 무늬를 이룰 수 있도록 가로 홈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면판재는 벽면에 부착되어 고정되며, 바람직하게는 못이나 접착제를 이용해서 벽면에 고정되도록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면 판재와 가로 판재들과 세로 판재들은 목재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로 판재에는 세로 판재에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가로 판재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관통구를 형성하고, 가로 판재의 하면에 맞닿는 세로 판재의 상면에 소정 깊이의 원통형 홈을 형성하여, 핀으로 고정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면 판재에 결합하는 세로 판재 및/또는 가로 판재는 홈의 폭과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세로 판재 및/또는 가로 판재의 두께가 더 두꺼울 경우 홈의 폭으로 깎아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배면 판재의 홈에는 결합력을 높일 수 있도록 계단식 홈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세로 판재 및/또는 배면 판재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책꽂이는 격자형 홈이 벽면 판재 전체에 형성되어 있어, 세로 판재와 가로 판재를 필요한 위치에 끼우는 것만으로도 책꽂이를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서 선반의 위치를 임의로 바꿀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책꽂이는 배면 판재가 부착되어 있어, 책꽂이 뒷면의 벽체가 노출되는 문제가 해결되었다. 또한, 배면 판재에 가로 판재와 세로 판재가 결합하여 조립됨으로써, 조립식 책꽂이임에도 견고한 결합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조립식 책꽂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다른 조립식 책꽂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배면판이 있는 고정식 책꽂이를 보여주는 사진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면판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a) 벽면에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 (b) AA’ 선분을 절단면으로 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로 판재의 (a) 평면도 및 (b)단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세로 판재의 (a) 평면도 및 (b)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로 판재와 세로 판재가 배면 판재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로 판재와 세로 판재가 결합되는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9는 가로 판재 또는 세로 판재가 배면 판재의 홈에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책꽂이를 벽면에 시공하는 시공사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가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하더라도,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임을 유념하여야 한다.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서재, 방 또는 거실의 한쪽 벽면에 격자형 홈이 형성된 15 mm두께의 배면 판재(100)가 부착된다. 배면 판재(100)는 벽면에 접착제를 이용해서 부착되며, 필요에 따라 추가로 못으로 고정할 수 있다.
배면 판재(100)의 정면에 형성된 세로 홈(110)의 폭은 12 mm이며, 세로 홈(110)의 깊이는 10 mm로 형성된다. 상기 세로 홈(110)들은 99 mm 간격으로 배면 판재(100)에 형성된다. 가로 홈(120)의 폭은 세로 홈(110)의 폭과 동일하고, 가로 홈(120)들의 간격도 세로 홈(110)들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로 판재(300)는 도 4의 배면 판재(100)의 가로 홈(120)에 상응하는 두께를 가지는 직사각형 형태의 판재이며, 가로 판재(300)에는 배면 판재(100)의 세로 홈(110)의 폭에 상응하는 간격으로 관통구(310)들이 중앙에 일렬로 형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로 판재(200)는 도 4의 배면 판재(100)의 세로 홈(110)에 상응하는 두께를 가지는 직사각형 형태의 판재이며, 세로 판재(200)에는 가로 판재(300)와 접하는 접합면에 관통구(310)에 상응하는 위치에 원통형 홈(210)이 형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책꽂이는 벽면에 설치되는 배면 판재(100)의 세로 홈(110)과 가로 홈(120)에 원하는 길이의 세로 판재(200)과 가로 판재(300)을 삽착하여 고정하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판재(300)의 관통 홈(310)과 세로 판재(200)의 원통형 홈(210)에 나사(400)을 이용하여 결착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책꽂이는 다음과 같이 시공된다. 먼저 소정 간격으로 홈이형성된 벽면 판재(100)을 책꽂이를 설치할 벽면에 고정하였다. 고정된 벽면 판재(100)의 세로 홈(110)과 가로 홈(120)에 각각 소정 간격으로 세로 판재(200)과 가로 판재(300)를 끼워서 고정하고, 세로 판재(200)와 가로 판재(300)가 접하는 면에서는 나사를 이용하여 가로 판재(300)와 세로 판재(200)을 고정하였다.
벽면 판재 : 100
세로 판재 : 200
가로 판재 : 300

Claims (2)

  1. 표면에 각각 동일한 간격의 세로 홈들과 동일한 간격의 가로 홈들이 형성되어 격자 문양이 형성되고, 벽멱에 고정되는 플라스틱 배면 판재;
    상기 세로 홈에 끼워져 고정되며, 상기 가로홈에 끼워져 고정되는 가로판재에 결합할 수 있는 다수의 세로 판재; 및
    상기 가로 홈에 끼워져 고정되며, 상기 세로홈에 끼워져 고정되는 세로판재에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다수의 가로 판재;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가로 판재에는 상기 세로 홈의 간격에 상응하는 간격으로 관통구들이 중앙에 일렬로 형성되고, 상기 세로 판재는 상기 가로 판재와 접합되는 접합면에 원통형 홈이 상기 관통구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관통구와 원통홈을 나사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책꽂이.
  2. 삭제
KR1020140065287A 2014-05-29 2014-05-29 조립식 책꽂이 및 그 시공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7554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5287A KR101755404B1 (ko) 2014-05-29 2014-05-29 조립식 책꽂이 및 그 시공 방법
PCT/KR2015/005289 WO2015182980A1 (ko) 2014-05-29 2015-05-27 조립식 책꽂이 및 그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5287A KR101755404B1 (ko) 2014-05-29 2014-05-29 조립식 책꽂이 및 그 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7431A KR20150137431A (ko) 2015-12-09
KR101755404B1 true KR101755404B1 (ko) 2017-07-10

Family

ID=54699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5287A Expired - Fee Related KR101755404B1 (ko) 2014-05-29 2014-05-29 조립식 책꽂이 및 그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55404B1 (ko)
WO (1) WO20151829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1437B1 (ko) 2016-05-11 2017-03-30 주식회사 울타리 조립식 책꽂이 및 그 시공 방법
KR20180093303A (ko) 2017-02-13 2018-08-22 주식회사 울타리 학습기능을 갖는 조립식 책꽂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45960U (zh) * 1988-02-24 1989-10-18 钟艳萍 一种活动式书架(柜)
US20070284974A1 (en) * 2006-06-09 2007-12-13 Buhrman Gary R Modular furniture system
KR100978620B1 (ko) * 2008-02-05 2010-08-30 주원산기 주식회사 조립식 책꽂이
KR200450183Y1 (ko) * 2008-10-31 2010-09-08 김성우 수납공간의 높이와 폭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책장(선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82980A1 (ko) 2015-12-03
KR20150137431A (ko) 2015-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36837A (zh) 适合于快速安装和拆卸的表面覆盖结构
KR20150035373A (ko) 모듈형 플로어링 시스템
KR101755404B1 (ko) 조립식 책꽂이 및 그 시공 방법
US20120227346A1 (en) Wall Structure
KR20190112349A (ko) 가구 배면판넬 조립구조
KR101212315B1 (ko) 조립식 가구
KR20180093303A (ko) 학습기능을 갖는 조립식 책꽂이
CN211795141U (zh) 一种层板及具有该层板的柜体
KR102562669B1 (ko) 레고형 조립식 책장
KR101794156B1 (ko) 못을 쓰지 않고 조립이 가능하고 높낮이, 넓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책꽂이
WO2019017832A1 (en) CONSTRUCTION MODULE AND STRUCTURE FORMED THEREFROM
KR102829795B1 (ko) 조립식 가구
JP6178260B2 (ja) 組立式デスク
KR200329188Y1 (ko) 수납공간 가변형 수납선반
KR200467569Y1 (ko) 천장용 조명등커버의 측면판 고정구조
KR200466486Y1 (ko) 칸막이조립용 바닥고정 틀
JP2018108418A (ja) 収納箱及び収納箱の製造方法
KR200471323Y1 (ko) 계단식 수납공간을 갖는 목재 책장
JP3203306U (ja) 組立て和室
RU181531U1 (ru) Сборно-разборная мебель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JP2004223227A (ja) 棚装置
JP2005329003A (ja) 多段棚
JP3214510U (ja) 猫用遊戯棚
KR20240130941A (ko) 조립식 가구
KR100616779B1 (ko) 원목마루판의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7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7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7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