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9177B1 - 조립식 수납상자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조립식 수납상자 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9177B1
KR101419177B1 KR1020130065105A KR20130065105A KR101419177B1 KR 101419177 B1 KR101419177 B1 KR 101419177B1 KR 1020130065105 A KR1020130065105 A KR 1020130065105A KR 20130065105 A KR20130065105 A KR 20130065105A KR 101419177 B1 KR101419177 B1 KR 101419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rojection
protrusion
storage box
protru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5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석만
Original Assignee
강석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석만 filed Critical 강석만
Priority to KR1020130065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91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9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9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65D25/06Partitions adapted to be fitted in two or more alternative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13Containers presenting a continuous stacking profile along the upper or lower edge of at least two opposite 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3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having bodies formed by folding and interconnecting two or more blanks each blank forming a body part, whereby each body part comprises at least one outside face of the box, carton or tray
    • B65D5/32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having bodies formed by folding and interconnecting two or more blanks each blank forming a body part, whereby each body part comprises at least one outside face of the box, carton or tray at least one container body part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to essentially U-shape with or without extensions which form openable lid elements
    • B65D5/323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having bodies formed by folding and interconnecting two or more blanks each blank forming a body part, whereby each body part comprises at least one outside face of the box, carton or tray at least one container body part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to essentially U-shape with or without extensions which form openable lid elements and two further opposed body panels formed from two essentially planar bl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수납상자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바닥판, 전판, 후판, 좌판, 우판이 서로 단순 끼워 맞춤식으로 조립되어 하나의 수납상자를 구성하는 조립식 수납상자에 있어서; 상기 전판, 후판, 좌판, 우판이 세워진 상태로 조립될 때 각 판의 상단 중앙에는 상방향으로 돌출된 상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돌기와 대향되는 각 판의 하단 중앙에는 상기 상부돌기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향 요입된 하부요홈이 형성되며; 상기 좌판과 우판의 수평방향 일측면에는 상기 상부돌기와 동일 형상으로 돌출된 전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전방돌기와 대향되는 좌판과 우판의 각 타측면에는 상기 하부요홈과 동일 형상의 후방요홈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돌기와 전방돌기의 각 안쪽면에는 라운드돌기와 걸림홈이 'S' 형 단면을 가진 상태로 상부돌기와 전방돌기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돌기 혹은 전방돌기가 각각 이웃하는 상부돌기 또는 전방돌기와 서로 간격을 두고 맞대지게 두 개의 수납상자 수평하게 배열될 때 상기 라운드돌기를 거쳐 걸림홈에 끼워져 걸림고정되는 'ㄷ' 형상의 고정부재를 구비하여 두 개의 수납상자를 체결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납상자 체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납상자를 상하로 적층하거나 혹은 좌우로 배열할 때 상호 결속력이 강화되어 안정성이 증대되고, 흔들림이 없으며, 한 묶음처럼 사용할 수 있어 사용상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수납상자 체결장치{APPARATUS FOR COMBINING PREFABRICATED STORAGE BOX}
본 발명은 조립식 수납상자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판형 부재를 조립하여 사용하는 수납상자를 상하 혹은 좌우로 배열하여 여러개를 한 묶음으로 용이하고 견고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체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식 수납상자는 종이나 합성수지재를 일정한 두께의 판지로 바닥판의 사방으로 정면판과 배면판 및 양측 측판을 일체형으로 만들어 측판 등을 접거나 끼워 맞춰 조립하는 형태로서, 의류를 포함한 신변잡기류 등이 수납 보관된다.
이러한 조립식 수납상자는 유통과정에서 차지하는 전체 부피를 줄이고, 운반, 보관 등의 취급 편리성을 높이기 위하여 여러 부분의 조립판 형태로 분해된 상태로 유통되는 것이 보통하며, 관련 기술로는 공개실용 제2012-0007633호, 등록실용 제0355806호 등이 개시되어 있다.
예컨대, 도 1 및 도 2는 조립식 수납상자의 대표적인 예를 보여 주는데, 예시와 같이, 바닥판(10), 전판(20), 후판(30), 좌판(40), 우판(50) 등 5개의 판이 바닥판(10)을 기준으로 4측면에 상호 조립 체결되어 일측, 바람직하게는 상부가 개방된 일종의 수납상자를 구성하게 된다.
이때, 상호 조립을 위해 바닥판(10)의 둘레를 따라 4면에는 조립돌기(12)가 돌출되고, 상기 조립돌기(12)가 끼워질 수 있도록 대응되는 전,후,좌,우판(20,30,40,50) 각 지점에는 돌기삽입구멍(22,32,42,52)이 천공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후,좌,우판(20,30,40,50) 상호간의 끼움 조립을 위해 전판(20)의 양측면 및 후판(30)의 양측면에는 각각 판고정돌기(24,34)가 돌출되고, 이들이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좌판(40) 및 우판(50)의 양측면 대응개소에는 각각 돌기끼움구멍(44,54)이 천공형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돌기들이 상기 구멍들에 각각 삽입된 후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들 상에 고무링(60)이 끼워져 돌기들이 빠져 나가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호 고정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고무링(60)이 쉽게 빠지지 않고 걸려 있는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돌기들의 양측면에는 도 1에 확대 도시한 바와 같은 고무링결합홈(62)이 요입 형성된다.
이렇게 하여 이들을 조립하게 되면 도 2와 같은 수납상자(Box)를 형성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수납상자(Box)를 상하로 적층하여 공간 점유율을 줄일 수 있도록 각 판의 상면에는 상부돌기(70)가 돌출되고, 각 판의 하면에는 하부요홈(80)이 형성되어 상하 적층시 상부돌기(70)와 하부요홈(80)이 서로 맞물림으로써 도 3의 (a)와 같이 수납상자(Box)를 안전하게 쌓아 올릴 수 있게 된다.
한편, 경우에 따라서는 도 3의 (b)와 같이 수납상자(Box)를 좌우방향, 즉 수평방향으로 배열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그런데, 이 경우에는 수납상자(Box)를 좌우방향으로 배열했을 때 이들을 상호 고정하기 위한 결속수단이 없어 수납상자(Box)가 개별적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정렬하기 어렵고, 사용중 흩트러져 매번 정리 정돈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르며, 경우에 따라서는 전도(넘어짐)되는 현상도 발생하여 수납품들이 쏟아지는 단점도 있었다.
뿐만 아니라, 도 3의 (b)와 같은 형태로 배열한 상태에서 수납용적을 넓히기 위해 상하로 적층하고자 할 때 서로 잡아 주는 부분이 없어 적층하기 어렵고, 적층한다고 하더라도 쉽게 미끌리면서 적층 상태가 무너짐은 물론 안정성이 떨어져 정리 정돈하기 매우 곤란하고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조립식 수납상자를 상하좌우로 배열하여 물건들을 정리 수납할 때 수납상자들 사이를 긴밀하고 안정적으로 붙잡아 줄 수 있도록 체결장치를 구현하되, 구조적으로는 간단하면서 사용하기 쉽도록 하여 사용상 편의성을 증진시킨 조립식 수납상자 체결장치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바닥판, 전판, 후판, 좌판, 우판이 서로 단순 끼워 맞춤식으로 조립되어 하나의 수납상자를 구성하는 조립식 수납상자에 있어서; 상기 전판, 후판, 좌판, 우판이 세워진 상태로 조립될 때 각 판의 상단 중앙에는 상방향으로 돌출된 상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돌기와 대향되는 각 판의 하단 중앙에는 상기 상부돌기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향 요입된 하부요홈이 형성되며; 상기 좌판과 우판의 수평방향 일측면에는 상기 상부돌기와 동일 형상으로 돌출된 전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전방돌기와 대향되는 좌판과 우판의 각 타측면에는 상기 하부요홈과 동일 형상의 후방요홈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돌기와 전방돌기의 각 안쪽면에는 라운드돌기와 걸림홈이 'S' 형 단면을 가진 상태로 상부돌기와 전방돌기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돌기 혹은 전방돌기가 각각 이웃하는 상부돌기 또는 전방돌기와 서로 간격을 두고 맞대지게 두 개의 수납상자 수평하게 배열될 때 상기 라운드돌기를 거쳐 걸림홈에 끼워져 걸림고정되는 'ㄷ' 형상의 고정부재를 구비하여 두 개의 수납상자를 체결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납상자 체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닥판, 전판, 후판, 좌판, 우판이 서로 단순 끼워 맞춤식으로 조립되어 하나의 수납상자를 구성하는 조립식 수납상자에 있어서; 상기 전판, 후판, 좌판, 우판이 세워진 상태로 조립될 때 각 판의 상단 중앙에는 상방향으로 돌출된 상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돌기와 대향되는 각 판의 하단 중앙에는 상기 상부돌기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향 요입된 하부요홈이 형성되며; 상기 좌판과 우판의 수평방향 일측면에는 상기 상부돌기와 동일 형상으로 돌출된 전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전방돌기와 대향되는 좌판과 우판의 각 타측면에는 상기 하부요홈과 동일 형상의 후방요홈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돌기와 전방돌기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돌기 혹은 전방돌기가 각각 이웃하는 상부돌기 또는 전방돌기와 서로 간격을 두고 맞대지게 두 개의 수납상자 수평하게 배열될 때 상기 체결구멍에 끼워져 결속하는 일부가 절개된 링 형상의 고정부재가 구비되어 두 개의 수납상자를 체결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납상자 체결장치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바닥판, 전판, 후판, 좌판, 우판의 각 내면에는 대응되는 형상과 크기 및 간격을 갖고 다수의 엠보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엠보와 엠보 사이에는 칸막이가 끼워지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납상자를 상하로 적층하거나 혹은 좌우로 배열할 때 상호 결속력이 강화되어 안정성이 증대되고, 흔들림이 없으며, 한 묶음처럼 사용할 수 있어 사용상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수납상자의 예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상자 체결장치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납상자 체결장치는 바닥판(10)과 전판(20) 및 후판(30)과, 좌판(40) 및 우판(50)이 상호 조립된 수납상자(Box) 다수개를 상하방향으로 적층하거나 혹은 좌우방향으로 연속 배열할 때 상호 결속되도록 하는 수단이다.
따라서, 수납상자(Box)를 구성하는 판들의 기본 구조는 앞서 설명한 도 1의 예와 유사하다.
즉, 바닥판(10)을 중심으로 그 4변에서 돌출된 다수의 돌기들과 각 판들(전,후,좌,우판)에 형성된 돌기와 구멍들의 상호 끼워맞춤과, 끼워진 후 돌기에 걸려 고정하는 고무링(60)의 구조는 그대로 사용된다.
이때, 본 발명이 채택하고 있는 수납상자를 구성하는 끼워 맞춤식은 후크형상(예. 결합후크, 후크형 고리 등)이 아닌 단순 민자형 돌기와 구멍간의 끼워 맞춤식 구조를 말하는 것으로, 후크형 결합구조를 갖는 끼워맞춤식 수납상자 구성은 본 발명의 범주에서 제외됨이 마땅하다.
때문에, 도 1에서 수납상자(Box)를 만들기 위해 설명했던 판들 간의 결합에 관한 구조는 중복되기 때문에 그와 관련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는 수납상자(Box)들 상호간의 결속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인 바, 이를 위해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과 달리 상기 좌판(40)과 우판(50)의 각 일측면 중심에는 상부돌기(70)와 직각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전방돌기(72)가 돌출되고, 그와 대향되는 타측면 상에는 후방요홈(82)이 각각 형성되어 묶음 배열시 상호 맞춤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수평방향으로 연결 배열하여 묶을 때에는 전방돌기(72)와 후방요홈(82)의 상호 맞춤에 의해 보다 견고하고 안정적인 묶음 배열이 가능하고, 수직방향으로 연결 배열하여 묶을 때에는 상부돌기(70)와 하부요홈(80)의 상호 맞춤에 의해 보다 견고하고 안정적인 묶음 배열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돌기(70) 및 전방돌기(72)의 안쪽면, 다시 말해 상기 좌판(40)과 우판(50)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쪽의 각 면 상에는 라운드돌기(100)와 걸림홈(110)이 형성된다.
상기 라운드돌기(100)와 걸림홈(110)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대략 'S' 형상을 그리도록 구성되는데, 걸림홈(110)을 이렇게 'S' 형상으로 형성하는 이유는 플라스틱 소재의 경우 완전한 걸림턱 형태를 갖도록 홈 가공하게 되면 금형을 분리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형상을 갖도록 구성하여야 한다.
더구나, 'S' 형상은 부드럽고 자연스럽게 라운드가 형성된 것이어서, 후술할 고정부재(200)를 삽입시켜 끼워 넣을 때 끼워 넣기 편리하여 사용상 편의성을 높여 준다.
즉, 상기 걸림홈(110)에는 고정부재(200)가 끼워지고, 고정부재(200)의 양단에 형성된 걸림부(210)가 걸림되어 수납박스(box) 다수개를 하나로 묶을 수 있는데, 이때 상기 걸림부(210)는 상기 걸림홈(110)과 대향되는 라운드 형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호 형합 특성이 우수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고정부재(200)는 대략 'ㄷ' 형상을 갖는 부재이며, 길이는 상기 상부돌기(70) 및 전방돌기(72)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며, 수납박스(box)를 좌우로 배열했을 때 박스간 간격을 커버하면서 하나의 상부돌기(70)와 이웃하는 상부돌기(70), 혹은 하나의 전방돌기(72)와 이웃하는 전방돌기(72)를 묶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이웃한다는 의미는 두 개의 상자가 맞대어진 상태로 좌우로 배열될 때 평행하게 배치되는 상부돌기(70)들 혹은 전방돌기(72)들의 배치상태를 설명하는 개념으로 이해하면 된다.
이에 따라, 수납박스(box) 다수개를 묶어 수납장으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5와 같이, 수납박스의 개방부가 상부로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전방돌기(72)들이 상호 인접하도록 맞대어 배치하고, 이들 전방돌기(72)의 전방에서 고정부재(200)를 눌러 끼우게 되면 고정부재(200)의 양단이 라운드돌기(100)를 타고 이동하면서 탄성변형되며, 라운드돌기(100)를 지난 지점에서는 복원되면서 걸림부(210)가 걸림홈(110)에 걸리는 형태로 상호 맞춤 체결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수납박스 다수개를 도 5와 같이 좌판(40)과 우판(50)이 서로 인접 배치되는 방향인 x방향으로 묶어 고정할 수 있고, 또한 전판(20)과 후판(30)이 상호 인접 배치되는 방향인 y방향으로도 묶어 고정할 수도 있으며, x-y 양방향으로도 묶어 고정할 수 있게 된다.
그러면, 다양한 크기의 수납장을 구성할 수 있는데, 그 상태 그대로 유지한 채 상부로도 쌓아 올리게 되면 하층의 상부돌기(70)와 인접 상층의 하부요홈(80)이 서로 맞물리면서 간단 용이하게 다층 수납장을 만들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도 6과 같이, 개방부가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한 후 고정부재(200)로 묶게 되면 책꽂이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책꽂이 형태는 도 7처럼 상하로도 함께 적층하여 책장 형태로 활용할 수도 있다.
상하 적층은 도 5의 설명과 같다. 다만, 맞춤되는 부분이 전방돌기(72)와 후방요홈(82)이라는 점만 다를 뿐인데, 이것은 도 5의 상태를 눕히고 회전시켰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납상자(box)는 전판(20), 후판(30), 좌판(40), 우판(50)에 초승달 형상의 손잡이 구멍(H)이 형성되어 수납상자를 들어 올리거나 이동하기 편리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도시된 예는 하나의 예에 불과하며 조립 형태에 따라 변형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하겠다.
그리고, 도 7과 같이, 다수의 수납상자(box)를 결속하여 묶는 수단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는데, 이를 테면 책꽂이 형태로 사용할 경우 상부돌기(70) 및 전방돌기(72)가 형성된 부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구멍(220)을 만들고, 이 체결구멍(220)에 끼워져 상기 상부돌기(70)와 이웃하여 배치되는 다른 수납상자에 구비된 상부돌기들, 혹은 상기 전방돌기(72)와 이웃하여 배치되는 다른 수납상자에 구비된 전방돌기들을 탄성적으로 결속하는 일부가 절개된 링 형상의 고정부재(200'), 다시 말해 고정고리 형태의 고정부재(200')를 이용하여 이들을 결속시켜 한 묶음이 되도록 연결할 수 있다.
이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도 5처럼 수납장으로 사용할 때에는 당연히 전방돌기(72)들에 체결구멍(220)이 형성되고, 고정부재(200')가 끼워져 고정될 것임은 당연하다.
또한, 도시된 도 7의 경우는 상부돌기(70) 및 전방돌기(72)의 각 내측면에 라운드돌기(100)와 걸림홈(110)을 형성하지 않았는데, 이는 도 4에 도시된 고정부재(200)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이며, 고정부재(200,200') 양자를 공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면 당연히 도 7의 경우에도 도 4처럼 라운드돌기(100)와 걸림홈(110)을 더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고정부재(200,200')는 결속 기능 외에도 두 개의 수납상자(Box)를 결속했을 때 전면부 벌어짐을 막고, 이를 커버함으로써 외관상 미려함도 제공하게 된다.
또다른 예로, 도 8 내지 도 10에서와 같이, 전판(20), 후판(30), 좌판(40), 우판(50) 내면에 일정간격을 둔 다수의 엠보(300)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엠보(300) 사이의 간격과 대응되는 두께를 가진 칸막이(400)를 끼워 넣음으로써 수납상자(Box)의 내부 공간을 분할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9는 수납상자(Box)를 세운 상태에서 칸막이(400)로 공간을 분할한 예를 보인 것이며, 도 10은 수납상자(Box)를 옆으로 눕힌 상태에서 칸막이(400)로 공간을 분할한 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10의 경우는 책꽂이 용도로도 활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칸막이(400)는 끼웠다 빼기가 쉽기 때문에 공간 조절이 용이하여 활용도가 클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납상자 체결장치는 구조적으로 간단하면서도 기능적으로 매우 우수하여 단품으로 각각 사용되는 수납상자(Box)들을 상호 결속시켜 하나의 묶음처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용도는 대폭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뿐만 아니라, 상하로 적층하거나 혹은 좌우로 배열하거나 그 상태에서 다시 적층할 때에도 체결구에 의해 견고히 고정되기 때문에 쉽게 넘어지지 않고, 흔들리지도 않아 물건을 수납할 때 안정성이 증가되며, 사용하기도 편리한 장점을 제공한다.
이 경우, 상부돌기(70)와 전방돌기(72)의 내측면에는 도 4와 동일한 구조의 라운드돌기(100)와 걸림홈(110)이 형성되며, 이들을 묶음 배열할 때에는 앞서 설명한 고정부재(200)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200) 대신 체결구멍(220)을 만들고, 이에 끼워지는 형태로 결속하는 또다른 형태, 즉 일부가 절개된 링 형상의 고정부재(200')를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100: 라운드돌기 110: 걸림홈
200,200': 고정부재 300: 엠보
400: 칸막이

Claims (3)

  1. 바닥판, 전판, 후판, 좌판, 우판이 서로 단순 끼워 맞춤식으로 조립되어 하나의 수납상자를 구성하는 조립식 수납상자에 있어서;
    상기 전판, 후판, 좌판, 우판이 세워진 상태로 조립될 때 각 판의 상단 중앙에는 상방향으로 돌출된 상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돌기와 대향되는 각 판의 하단 중앙에는 상기 상부돌기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향 요입된 하부요홈이 형성되며;
    상기 좌판과 우판의 수평방향 일측면에는 상기 상부돌기와 동일 형상으로 돌출된 전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전방돌기와 대향되는 좌판과 우판의 각 타측면에는 상기 하부요홈과 동일 형상의 후방요홈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돌기와 전방돌기의 각 안쪽면에는 라운드돌기와 걸림홈이 'S' 형 단면을 가진 상태로 상부돌기와 전방돌기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돌기 혹은 전방돌기가 각각 이웃하는 상부돌기 또는 전방돌기와 서로 간격을 두고 맞대지게 두 개의 수납상자 수평하게 배열될 때 상기 라운드돌기를 거쳐 걸림홈에 끼워져 걸림고정되는 'ㄷ' 형상의 고정부재를 구비하여 두 개의 수납상자를 체결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납상자 체결장치.
  2. 바닥판, 전판, 후판, 좌판, 우판이 서로 단순 끼워 맞춤식으로 조립되어 하나의 수납상자를 구성하는 조립식 수납상자에 있어서;
    상기 전판, 후판, 좌판, 우판이 세워진 상태로 조립될 때 각 판의 상단 중앙에는 상방향으로 돌출된 상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돌기와 대향되는 각 판의 하단 중앙에는 상기 상부돌기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향 요입된 하부요홈이 형성되며;
    상기 좌판과 우판의 수평방향 일측면에는 상기 상부돌기와 동일 형상으로 돌출된 전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전방돌기와 대향되는 좌판과 우판의 각 타측면에는 상기 하부요홈과 동일 형상의 후방요홈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돌기와 전방돌기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돌기 혹은 전방돌기가 각각 이웃하는 상부돌기 또는 전방돌기와 서로 간격을 두고 맞대지게 두 개의 수납상자 수평하게 배열될 때 상기 체결구멍에 끼워져 결속하는 일부가 절개된 링 형상의 고정부재가 구비되어 두 개의 수납상자를 체결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납상자 체결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 전판, 후판, 좌판, 우판의 각 내면에는 대응되는 형상과 크기 및 간격을 갖고 다수의 엠보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엠보와 엠보 사이에는 칸막이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납상자 체결장치.
KR1020130065105A 2013-06-07 2013-06-07 조립식 수납상자 체결장치 KR101419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5105A KR101419177B1 (ko) 2013-06-07 2013-06-07 조립식 수납상자 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5105A KR101419177B1 (ko) 2013-06-07 2013-06-07 조립식 수납상자 체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9177B1 true KR101419177B1 (ko) 2014-07-14

Family

ID=51742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5105A KR101419177B1 (ko) 2013-06-07 2013-06-07 조립식 수납상자 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91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912Y1 (ko) * 2018-12-04 2020-01-21 김용률 다용도 종이용기
KR102636617B1 (ko) 2023-02-22 2024-02-14 (주)신원 결합식 수납박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7134U (ja) * 1992-10-24 1994-05-17 吉比化成株式会社 合成樹脂製容器の連結構造
JPH10218185A (ja) * 1997-02-05 1998-08-18 Yamato Shiki Kk 段ボール箱
KR200432471Y1 (ko) 2006-09-19 2006-12-04 고길환 분할결합 선택형 다중음식물용기
JP2008093253A (ja) 2006-10-13 2008-04-24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ラックの連結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7134U (ja) * 1992-10-24 1994-05-17 吉比化成株式会社 合成樹脂製容器の連結構造
JPH10218185A (ja) * 1997-02-05 1998-08-18 Yamato Shiki Kk 段ボール箱
KR200432471Y1 (ko) 2006-09-19 2006-12-04 고길환 분할결합 선택형 다중음식물용기
JP2008093253A (ja) 2006-10-13 2008-04-24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ラックの連結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912Y1 (ko) * 2018-12-04 2020-01-21 김용률 다용도 종이용기
KR102636617B1 (ko) 2023-02-22 2024-02-14 (주)신원 결합식 수납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86776B2 (en) Storage and organization system and connectivity of the components therein
BE1020219A3 (nl) Opbergvolume.
KR101419177B1 (ko) 조립식 수납상자 체결장치
KR20150049610A (ko) 포장박스용 조립 앵글
WO2009015448A1 (en) Wheel packaging device
CN101674752A (zh) 支架模块及具有支架模块的家具
JP3199898U (ja) 組立式整理棚
JP5909072B2 (ja) トレー及びその収納棚
KR101597738B1 (ko) 수납박스
KR20140143512A (ko) 개폐형 도어를 구비한 조립식 수납상자
KR101835839B1 (ko) 분리형 음식물 포장용 상자
KR100782634B1 (ko) 수납모듈 및 수납모듈을 이용한 조립식 가구
JP2002264983A (ja) Cdケース用積み重ね具
JP6548878B2 (ja) 収納箱、多段収納箱及び多段連結収納箱
CN102405005A (zh) 用于建立空间分隔机构的装置
KR101056522B1 (ko) 장식용 조립식상자
KR20140106119A (ko) 조립식 수납상자
KR20170100954A (ko) 조립식 가구의 연결 구조체
JP3023112U (ja) 仕切り板
JP4852446B2 (ja) 仕切体
JP2004042932A (ja) 梱包システム
JP6018371B2 (ja) 板材を使用した収納ラック
KR101596426B1 (ko) 서로 연결이 가능한 부품 보관함
KR20220077594A (ko) 조립식 수납함
KR101429670B1 (ko) 요철형 표면을 구비한 조립식 가구 구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