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6119A - 조립식 수납상자 - Google Patents

조립식 수납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6119A
KR20140106119A KR1020130020241A KR20130020241A KR20140106119A KR 20140106119 A KR20140106119 A KR 20140106119A KR 1020130020241 A KR1020130020241 A KR 1020130020241A KR 20130020241 A KR20130020241 A KR 20130020241A KR 20140106119 A KR20140106119 A KR 201401061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upling
storage box
side plate
fron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0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국
Original Assignee
금명산업주식회사
정영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명산업주식회사, 정영국 filed Critical 금명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0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6119A/ko
Publication of KR20140106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61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3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having bodies formed by folding and interconnecting two or more blanks each blank forming a body part, whereby each body part comprises at least one outside face of the box, carton or tray
    • B65D5/32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having bodies formed by folding and interconnecting two or more blanks each blank forming a body part, whereby each body part comprises at least one outside face of the box, carton or tray at least one container body part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to essentially U-shape with or without extensions which form openable lid elements
    • B65D5/323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having bodies formed by folding and interconnecting two or more blanks each blank forming a body part, whereby each body part comprises at least one outside face of the box, carton or tray at least one container body part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to essentially U-shape with or without extensions which form openable lid elements and two further opposed body panels formed from two essentially planar bl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수납상자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전면판, 후면판, 좌측면판, 우측면판, 바닥판의 수납상자를 이루는 각 판형부재에 대한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고 각 판형부재를 분해 해체한 후 운반이 간편하며, 수납상자의 적층 사용시 정렬이 용이함과 동시에 적층 상태의 안정적인 유지가 가능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수납상자는 다수 개의 판형부재가 선택적으로 조립되어 상부가 개방된 육면체 상으로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조립식 수납상자에 있어서, 장방형의 판형부재로 형성되되 둘레부분으로 양측에 결합후크가 돌출형성되고 하단부 면상에 결합공이 관통형성되는 전면판; 상기 전면판과 대향되어 장방형의 판형부재로 형성되되 둘레부분으로 양측에 결합후크가 돌출형성되고 하단부 면상에 결합공이 관통형성되는 후면판;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의 일측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과 직교하여 연결되도록 장방형의 판형부재로 형성되되 둘레부분으로 하단부와 양단부의 면상에 결합공이 관통형성되는 좌측면판; 상기 좌측면판과 대향되어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의 타측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과 직교하여 연결되도록 장방형의 판형부재로 형성되되 둘레부분으로 하단부와 양단부의 면상에 결합공이 관통형성되는 우측면판; 및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 및 상기 좌측면판과 우측면판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장방형의 판형부재로 형성되되 둘레부분으로 전, 후단부에 상기 전, 후면판의 하단부 면상에 형성된 각 결합공에 결합되는 결합후크가 돌출형성되고, 양측단부에 상기 좌, 우측면판의 하단부 면상에 형성된 각 결합공에 결합되는 결합후크가 돌출형성되는 바닥판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조립식 수납상자{Prefabricated storage box}
본 발명은 조립식 수납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면판, 후면판, 좌측면판, 우측면판, 바닥판의 수납상자를 이루는 각 판형부재에 대한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고 각 판형부재를 분해 해체한 후 운반이 간편하며, 수납상자의 적층 사용시 정렬이 용이함과 동시에 적층 상태의 안정적인 유지가 가능하도록 한 조립식 수납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납상자는 유통과정에서 차지하는 전체 부피를 줄이고, 운반, 보관 등의 취급 편리성을 높이기 위하여 여러 부분의 조립판 형태로 분해된 상태로 유통된다.
상기와 같은 수납상자에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수납상자의 조립이 요구되며, 이에 따라 조립식 수납상자가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조립식 수납상자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의 수납상자는 본체(1)와, 제1 및 제2측면판(5,6)과, 이들을 결합하는 결합부재(7)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1)는 저면부(2)와, 상기 저면부(2)의 양변 각각에서 절곡 가능하게 연장 형성된 정면부(3) 및 배면부(4)를 포함하며, 이러한 본체(1)와 상기 제1 및 제2측면판(5,6)을 결합하는 결합부(9)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결합부(9)는 상기 제1 및 제2측면판(5,6)과 마주하는 상기 저면부(2), 정면부(3) 및 배면부(4) 각각의 양변에서 절곡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부(9)는 상기 결합부재(7)가 결합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제1체결공(8)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9)는 상기 저면부(2), 정면부(3) 및 배면부(4) 각각의 양변에 걸쳐 6개소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1체결공(8)은 상기 결합부(8)의 6개소 각각에 대해 3개씩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 및 제2측벽판(5)(6) 각각과 마주하는 상기 결합부(9) 각각에는 9개씩의 제1체결공(8)이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측벽판(5,6) 각각은 상기 복수의 제1체결공(8)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2체결공(8a)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종래의 조립식 수납상자는 조립시 상기 본체(1)를 구성하는 정면부(3)와, 배면부(4) 및 결합부(9)를 절곡하여 상자의 일부 형상을 만든 후, 상기 제1 및 제2측벽판(5,6)을 마주하게 배치한 상태에서 상호 대응되는 상기 제1 및 제2체결공(8,8a) 각각을 관통하여 상기 결합부재(7)를 결합함으로써 조립이 완료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결합부재(7)는 상기 복수의 제1 및 제2체결공(8,8a) 각각에 대응되게 마련되며, 암수구조의 제1 및 제2결합부재(7a,7b)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결합부재(7a)와 제2결합부재(7b)는 나사결합 또는 후크 결합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상기 본체(1)와 제1 및 제2측벽판(5,6)의 결합이 완료되는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조립식 수납상자는 일 측벽판을 본체에 조립하기 위해서 9개소에 대해 결합부재를 체결하는 등 총 18개소에 대해 체결이 필요한 구조이기 때문에, 수납상자의 조립시간이 오래 걸리는 등 조립이 불편한 문제가 있다.
아울러, 이사나 재활용 등을 위하여 수납상자를 분해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총 18개소에 결합된 결합부재 각각에 대하여 분해를 하여야 하기 때문에 해체작업에도 소요되는 시간이 많이 걸리는 등 분해, 해체가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다.
즉, 종래의 조립식 수납상자는 조립 및 분해, 해체가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조립식 수납상자는 본체(1)와, 제1 및 제2측벽판(5,6)을 결합함에 있어서, 제1 및 제2체결공(8,8a)에 제1 및 제2결합부재(7a,7b)만을 관통체결하여 조립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물품을 수납한 상태의 복수의 수납상자를 적층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수납상자의 지지력이 약하고 특히 각 모서리부분의 지지력이 약하여 외형이 변형되어 복수의 수납상자를 적층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더욱이, 복수의 수납상자를 적층하기가 어려움과 동시에 별도의 정렬 또는 고정 부재가 없이는 적층상태를 유지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므로, 조립 및 분해, 해체가 용이하며 적층이 용이함과 동시에, 적층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조립식 수납상자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면판, 후면판, 좌측면판, 우측면판, 바닥판의 수납상자를 이루는 각 판형부재의 둘레부분에 각각 결합후크 또는 결합돌기와 상호 대응되는 결합공 또는 삽입공이 선택적으로 형성됨으로써 수납상자를 이루는 각 판형부재에 대한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고 각 판형부재를 분해 해체한 후 운반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조립식 수납상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전면판, 후면판, 좌측면판, 우측면판, 바닥판의 수납상자를 이루는 각 판형부재의 상단 중앙과 하단 중앙에 상호 대응되는 정렬돌기와 정렬홈을 형성함으로써 수납상자의 적층 사용시 복수의 수납상자에 대한 적층 정렬이 용이함과 동시에 적층 상태의 안정적인 유지가 가능하도록 함에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전면판, 후면판, 좌측면판, 우측면판, 바닥판의 수납상자를 이루는 각 판형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양면에 각각 요철부가 형성됨으로써 각 판형부재의 강도를 보강하여 수납상자의 적층 사용시 하중에 따른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전면판의 전면과 후면판의 후면에 운반손잡이가 돌출 형성됨으로써 조립된 수납상자의 운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수납상자는 다수 개의 판형부재가 선택적으로 조립되어 상부가 개방된 육면체 상으로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조립식 수납상자에 있어서, 장방형의 판형부재로 형성되되 둘레부분으로 양측에 결합후크가 돌출형성되고 하단부 면상에 결합공이 관통형성되는 전면판; 상기 전면판과 대향되어 장방형의 판형부재로 형성되되 둘레부분으로 양측에 결합후크가 돌출형성되고 하단부 면상에 결합공이 관통형성되는 후면판;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의 일측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과 직교하여 연결되도록 장방형의 판형부재로 형성되되 둘레부분으로 하단부와 양단부의 면상에 결합공이 관통형성되는 좌측면판; 상기 좌측면판과 대향되어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의 타측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과 직교하여 연결되도록 장방형의 판형부재로 형성되되 둘레부분으로 하단부와 양단부의 면상에 결합공이 관통형성되는 우측면판; 및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 및 상기 좌측면판과 우측면판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장방형의 판형부재로 형성되되 둘레부분으로 전, 후단부에 상기 전, 후면판의 하단부 면상에 형성된 각 결합공에 결합되는 결합후크가 돌출형성되고, 양측단부에 상기 좌, 우측면판의 하단부 면상에 형성된 각 결합공에 결합되는 결합후크가 돌출형성되는 바닥판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전면판, 후면판, 좌측면판, 우측면판 및 바닥판의 둘레부분에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상기 각 결합후크는 양측에 외향 협소해지도록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는 후크부와, 상기 후크부가 상기 결합공에 탄성 걸림 결합되도록 상기 후크부의 각 내측에 슬리팅 형성되는 슬릿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전면판, 후면판, 좌측면판, 우측면판 및 바닥판의 둘레부분에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상기 각 결합공은 모서리부가 각이진 장방형 타입으로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전면판, 후면판, 좌측면판, 우측면판 및 바닥판은 각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전체에 걸쳐 유연하게 만곡되어 산과 골이 반복되는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판, 후면판, 좌측면판, 우측면판 및 바닥판은 각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일정길이만큼에 걸쳐 유연하게 만곡되어 산과 골이 반복되는 요철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 전면판 및 후면판은 각각 대향되어 마주하는 반대 측 면상의 중앙에 'ㅡ'자 형 타입의 운반손잡이가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운반손잡이는 위로 볼록하게 만곡 라운드지게 돌출 형성되는 라운드 형 타입 또는 타원형으로 돌출 형성되는 타원형 타입 중 택일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운반손잡이는 타원형 타입으로 형성될 경우에 중앙에 타원형의 관통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판, 후면판, 좌측면판 및 우측면판은 각각 장방형의 상자 타입으로 조립되어 적층 사용시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유동이 방지되어 정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각 상단부 중앙에 정렬돌기가 각각 더 형성되며, 각 하단부 중앙에 상기 각 정렬돌기와 대응되는 정렬홈이 각각 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수납상자에서 상기 전면판, 후면판, 좌측면판, 우측면판 및 바닥판의 둘레부분에 선택적으로 결합돌기와 삽입공이 형성되되, 상기 각 결합돌기는 선단에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와, 상기 돌기부 일측에 함몰 형성되는 걸림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각 삽입공은 양측이 반구형으로 라운드진 장방형 타입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삽입공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삽입공에 삽입된 후 상기 걸림홈에 고정링이 선택적으로 결착고정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전면판, 후면판, 좌측면판, 우측면판 및 바닥판은 각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전체에 걸쳐 유연하게 만곡되어 산과 골이 반복되는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판, 후면판, 좌측면판, 우측면판 및 바닥판은 각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일정길이만큼에 걸쳐 유연하게 만곡되어 산과 골이 반복되는 요철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 전면판 및 후면판은 각각 대향되어 마주하는 반대 측 면상의 중앙에 'ㅡ'자 형 타입의 운반손잡이가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운반손잡이는 위로 볼록하게 만곡 라운드지게 돌출 형성되는 라운드 형 타입 또는 타원형으로 돌출 형성되는 타원형 타입 중 택일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 운반손잡이는 타원형 타입으로 형성될 경우에 중앙에 타원형의 관통공이 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전면판, 후면판, 좌측면판 및 우측면판은 각각 장방형의 상자 타입으로 조립되어 적층 사용시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유동이 방지되어 정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각 상단부 중앙에 정렬돌기가 각각 더 형성되며, 각 하단부 중앙에 상기 각 정렬돌기와 대응되는 정렬홈이 각각 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수납상자에서 상기 전면판, 후면판, 좌측면판, 우측면판 및 바닥판의 둘레 부분에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상기 각 결합공은 상기 결합후크의 후크부가 결합고정되는 결합턱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후크가 상기 결합공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결합공 내에 결합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면판, 후면판, 좌측면판, 우측면판 및 바닥판은 각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으로 전체 또는 양측 일정길이 만큼에 걸쳐 유연하게 만곡되어 산과 골이 반복되는 요철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 전면판, 후면판, 좌측면판 우측면판 및 바닥판이 각각 조립되어 장방형의 상자를 형성하되, 조립된 상자를 전면부가 개방된 상태로 적층 사용시 유동이 방지되어 정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좌측면판은 일측면의 모서리부분에 각각 정렬돌부가 더 형성되며, 상기 우측면판은 일측면 모서리부분에 상기 정렬돌부와 대응되는 정렬홈부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수납상자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면판, 후면판, 좌측면판, 우측면판, 바닥판의 수납상자를 이루는 각 판형부재의 둘레부분에 각각 결합후크 또는 결합돌기와 상호 대응되는 결합공 또는 삽입공이 선택적으로 형성됨으로써 수납상자를 이루는 각 판형부재에 대한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고 각 판형부재를 분해 해체한 후 운반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둘째, 전면판, 후면판, 좌측면판, 우측면판, 바닥판의 수납상자를 이루는 각 판형부재의 상단 중앙과 하단 중앙에 상호 대응되는 정렬돌기와 정렬홈을 형성함으로써 수납상자의 적층 사용시 복수의 수납상자에 대한 적층 정렬이 용이함과 동시에 적층 상태의 안정적인 유지가 가능하다.
셋째, 전면판, 후면판, 좌측면판, 우측면판, 바닥판의 수납상자를 이루는 각 판형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양면에 각각 요철부가 형성됨으로써 각 판형부재의 강도를 보강하여 수납상자의 적층 사용시 하중에 따른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전면판의 전면과 후면판의 후면에 운반손잡이가 돌출 형성됨으로써 조립된 수납상자의 운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조립식 수납상자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납상자를 나타낸 분리사시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납상자를 나타낸 결합사시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납상자를 나타낸 결합단면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납상자의 적층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예시도.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납상자에서 요부인 전면판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낸 요부 사시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납상자를 나타낸 분리사시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납상자에서 요철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납상자를 나타낸 분리사시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납상자를 나타낸 결합사시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납상자를 나타낸 결합단면구성도.
도 13 및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납상자에서 요부인 전면판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낸 요부 사시구성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납상자의 적층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예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납상자를 나타낸 분리사시구성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납상자에서 요철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구성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납상자를 나타낸 분리사시구성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납상자를 나타낸 결합사시구성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납상자를 나타낸 결합단면구성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납상자의 적층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예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납상자를 나타낸 분리 사시구성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납상자를 나타낸 분리사시구성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납상자를 나타낸 결합사시구성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납상자수납상자의 적층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수납상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납상자를 나타낸 분리사시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납상자를 나타낸 결합사시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납상자를 나타낸 결합단면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납상자의 적층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예시도이다.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납상자에서 요부인 전면판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낸 요부 사시구성도이다.
도 2 내지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납상자(1)는 다수 개의 판형부재가 선택적으로 조립되어 상부가 개방된 육면체 상으로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조립식 수납상자(1)는 각각 판형부재로 구비되며, 이러한 각 부재가 선택적으로 조립되어 상부가 개방된 수납상자를 형성하는 전면판(100), 후면판(200), 좌측면판(300), 우측면판(400) 및 바닥판(5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면판(100)은 장방형의 판형부재로 형성되되 둘레부분으로 양측에 결합후크(110)가 돌출형성되고 하단부 면상에 결합공(150)이 관통형성된다.
또한, 상기 후면판(200)은 상기 전면판(100)과 대향되어 장방형의 판형부재로 형성되되 둘레부분으로 양측에 결합후크(210)가 돌출형성되고 하단부 면상에 결합공(250)이 관통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좌측면판(300)은 상기 전면판(100)과 후면판(200)의 일측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전면판(100)과 후면판(200)과 직교하여 연결되도록 장방형의 판형부재로 형성되되 둘레부분으로 하단부와 양단부의 면상에 결합공(350)이 관통형성된다.
또한, 상기 우측면판(400)은 상기 좌측면판(300)과 대향되어 상기 전면판(100)과 후면판(200)의 타측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전면판(100)과 후면판(200)과 직교하여 연결되도록 장방형의 판형부재로 형성되되 둘레부분으로 하단부와 양단부의 면상에 결합공(450)이 관통형성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바닥판(500)은 상기 전면판(100)과 후면판(200) 및 상기 좌측면판(300)과 우측면판(400)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장방형의 판형부재로 형성되되 둘레부분으로 전, 후단부에 상기 전, 후면판(100, 200)의 하단부 면상에 형성된 각 결합공(150, 250)에 결합되는 결합후크(510)가 돌출형성되고, 양측단부에 상기 좌, 우측면판(300, 400)의 하단부 면상에 형성된 각 결합공(350, 450)에 결합되는 결합후크(510)가 돌출형성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상기 조립식 수납상자(1)에서 특히, 상기 전면판(100), 후면판(200), 좌측면판(300), 우측면판(400) 및 바닥판(500)의 둘레부분에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상기 각 결합후크(110, 210, 510)는 양측에 외향 협소해지도록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는 후크부(111, 211, 511)와, 상기 후크부(111, 211, 511)가 상기 결합공(150, 250, 350, 450)에 탄성 걸림 결합되도록 상기 후크부(111, 211, 511)의 각 내측에 슬리팅 형성되는 슬릿부(113, 213, 513)를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전면판(100), 후면판(200), 좌측면판(300), 우측면판(400) 및 바닥판(500)의 둘레부분에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상기 각 결합공(150, 250, 350, 450)은 모서리부가 각이진 장방형 타입으로 관통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전면판(100), 후면판(200), 좌측면판(300), 우측면판(400) 및 바닥판(500)이 각각 장방형의 수납상자를 이루도록 선택적으로 상호 결합 고정되되, 탄성적으로 결합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 전면판(100) 및 후면판(200)은 각각 대향되어 마주하는 반대 측 면상의 중앙에 'ㅡ'자 형 타입의 운반손잡이(101, 201)가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운반손잡이(101, 201)는 도 6 및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위로 볼록하게 만곡 라운드지게 돌출 형성되는 라운드 형 타입 또는 타원형으로 돌출 형성되는 타원형 타입 중 택일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운반손잡이(101, 201)는 타원형 타입으로 형성될 경우에는 중앙에 타원형의 관통공(103, 203)이 더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관통공(103, 203)을 통하여 조립된 상기 조립식 수납상자(1)의 내부에 수용된 물품에 대한 정리 상태 및 수용공간에 대한 물품의 수용 여부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전술한 조립식 수납상자(1)는 상기 전면판(100), 후면판(200), 좌측면판(300) 및 우측면판(400)은 각각 장방형의 상자 타입으로 조립되어 적층 사용시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유동이 방지되어 정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각 상단부 중앙에 정렬돌기(180, 280, 380, 480)가 각각 더 형성되며, 각 하단부 중앙에 상기 각 정렬돌기(180, 280, 380, 480)와 대응되는 정렬홈(190, 290, 390, 490)이 각각 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납상자를 나타낸 분리사시구성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납상자에서 요철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구성도이다.
먼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전면판(100), 후면판(200), 좌측면판(300), 우측면판(400) 및 바닥판(500)은 각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전체에 걸쳐 유연하게 만곡되어 산과 골이 반복되는 요철부(170, 270, 370, 470, 57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면판(100), 후면판(200), 좌측면판(300), 우측면판(400) 및 바닥판(500)은 각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일정길이만큼에 걸쳐 유연하게 만곡되어 산과 골이 반복되는 요철부(170, 270, 370, 470, 570)가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바닥판(500)의 요철부(570)는 길이방향으로 산과 골이 반복되는 타입으로 적용됨이 바람직하나, 폭방향으로 산과 골이 반복되는 타입으로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요철부(170, 270, 370, 470, 570)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전면판(100), 후면판(200), 좌측면판(300), 우측면판(400) 및 바닥판(500)의 각 판형부재에 대한 강도를 보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조립식 수납상자(1)의 내구성을 현저히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납상자를 나타낸 분리사시구성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납상자를 나타낸 결합사시구성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납상자를 나타낸 결합단면구성도이다.
도 13 및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납상자에서 요부인 전면판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낸 요부 사시구성도이다.
도 10 내지 14에서 보는 바와 같은 제3실시예는 도 1 내지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2실시예와는 각 결합후크(110, 210, 510)와 각 결합공(150, 250, 350, 450)가 결합돌기(120, 220, 520)와 삽입공(160, 260, 360, 460)으로 변경 적용되는 점에서만 차이를 가지는 것으로, 이하에서는 동일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 내지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납상자(1)는 전면판(100), 후면판(200), 좌측면판(300), 우측면판(400) 및 바닥판(500)의 둘레부분에 선택적으로 결합돌기(120, 220, 520)와 삽입공(160, 260, 360, 46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각 결합돌기(120, 220, 520)는 선단에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121, 221, 521)와, 상기 돌기부(121, 221, 521) 일측에 함몰 형성되는 걸림홈(123, 223, 523)을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 삽입공(160, 260, 360, 460)은 양측이 반구형으로 라운드진 장방형 타입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돌기(120, 220, 520)는 상기 삽입공(160, 260, 360, 46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삽입공(160, 260, 360, 460)에 삽입된 후 상기 걸림홈(123, 223, 523)에 고정링(129, 229, 529)에 의해 선택적으로 결착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상술한 제3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납상자(1)에서도 상기 전면판(100) 및 후면판(200)은 각각 대향되어 마주하는 반대 측 면상의 중앙에 'ㅡ'자 형 타입의 운반손잡이(101, 201)가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운반손잡이(101, 201)는 도 13 및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위로 볼록하게 만곡 라운드지게 돌출 형성되는 라운드 형 타입 또는 타원형으로 돌출 형성되는 타원형 타입 중 택일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운반손잡이(101, 201)는 타원형 타입으로 형성될 경우에는 중앙에 타원형의 관통공(103, 203)이 더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관통공(103, 203)을 통하여 조립된 상기 조립식 수납상자(1)의 내부에 수용된 물품에 대한 정리 상태 및 수용공간에 대한 물품의 수용 여부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전술한 조립식 수납상자(1)는 상기 전면판(100), 후면판(200), 좌측면판(300) 및 우측면판(400)은 각각 장방형의 상자 타입으로 조립되어 적층 사용시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유동이 방지되어 정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각 상단부 중앙에 정렬돌기(180, 280, 380, 480)가 각각 더 형성되며, 각 하단부 중앙에 상기 각 정렬돌기(180, 280, 380, 480)와 대응되는 정렬홈(190, 290, 390, 490)이 각각 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납상자의 적층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예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납상자의 적층 사용상태를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납상자의 적층 사용상태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한 적층 방향으로 적층하여 사용될 수도 있는 것임을 밝혀두는 바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납상자(1)는 조립식 수납상자(1)의 개방부가 전면을 향하도록 적층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것으로, 적층되는 조립식 수납상자(1)와 조립식 수납상자(1) 사이에 스페이서(600)를 개재하여 적층 사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스페이서(600)는 연질의 고무재질이나 경질의 나무재질 등으로 다양하게 선택적으로 개재되어 적용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납상자를 나타낸 분리사시구성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납상자에서 요철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구성도이다.
도 16 및 17의 제4실시예는 제3실시예와는 전면판(100), 후면판(200), 좌측면판(300), 우측면판(400) 및 바닥판(500)의 각 일측면과 타측면에 요철부(170, 270, 370, 470, 570)가 형성되는 점에서만 차이를 가진다.
즉,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전면판(100), 후면판(200), 좌측면판(300), 우측면판(400) 및 바닥판(500)은 각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전체에 걸쳐 유연하게 만곡되어 산과 골이 반복되는 요철부(170, 270, 370, 470, 570)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전면판(100), 후면판(200), 좌측면판(300), 우측면판(400) 및 바닥판(500)은 각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일정길이만큼에 걸쳐 유연하게 만곡되어 산과 골이 반복되는 요철부(170, 270, 370, 470, 570)가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바닥판(500)의 요철부(570)는 길이방향으로 산과 골이 반복되는 타입으로 적용됨이 바람직하나, 폭방향으로 산과 골이 반복되는 타입으로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요철부(170, 270, 370, 470, 570)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전면판(100), 후면판(200), 좌측면판(300), 우측면판(400) 및 바닥판(500)의 각 판형부재에 대한 강도를 보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조립식 수납상자(1)의 내구성을 현저히 증대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수납상자(1)는 상기 전면판(100), 후면판(200), 좌측면판(300), 우측면판(400), 바닥판(500)의 수납상자를 이루는 각 판형부재의 둘레부분에 각각 결합후크(110, 210, 510) 또는 결합돌기(120, 220, 520)와 상호 대응되는 결합공(150, 250, 350, 450) 또는 삽입공(160, 260, 360, 460)이 선택적으로 형성됨으로써 수납상자를 이루는 각 판형부재에 대한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고 각 판형부재를 분해 해체한 후 운반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판(100), 후면판(200), 좌측면판(300), 우측면판(400), 바닥판(500)의 수납상자를 이루는 각 판형부재의 상단 중앙과 하단 중앙에 상호 대응되는 정렬돌기(180, 280, 380, 480)와 정렬홈(190, 290, 390, 490)을 형성함으로써 수납상자의 적층 사용시 복수의 수납상자에 대한 적층 정렬이 용이함과 동시에 적층 상태의 안정적인 유지가 가능하다.
더욱이, 상기 전면판(100), 후면판(200), 좌측면판(300), 우측면판(400), 바닥판(500)의 수납상자를 이루는 각 판형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양면에 각각 요철부(170, 270, 370, 470, 570)가 형성됨으로써 각 판형부재의 강도를 보강하여 수납상자의 적층 사용시 하중에 따른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전면판(100)의 전면과 후면판(200)의 후면에 운반손잡이(101, 201)가 돌출 형성됨으로써 조립된 수납상자의 운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조립식 수납상자(1)를 이루는 상기 전면판(100), 후면판(200), 좌측면판(300), 우측면판(400) 및 바닥판(500)의 각 판형부재는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물론 골판지나 종이재질 등의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도 1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납상자를 나타낸 분리사시구성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납상자를 나타낸 결합사시구성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납상자를 나타낸 결합단면구성도이며, 도 2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납상자의 적층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예시도이다.
도 18 내지 21에서 보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납상자는 앞서 설명한 도 2 내지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실시예와는 전면판, 후면판, 좌측면판, 우측면판 및 바닥판이 일정두께 두껍게 형성되어 각 결합공 내에 각 결합후크의 후크부가 결합되는 결합턱이 형성되어 결합후크가 결합공 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결합 고정되는 점에서만 차이를 가지는 것으로, 이하 동일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8 내지 21을 참조하면, 조립식 수납상자(1)에서 전면판(100), 후면판(200), 좌측면판(300), 우측면판(400) 및 바닥판(500)의 둘레 부분에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각 결합공(150, 250, 350, 450)은 결합후크(110, 210, 510)의 후크부(111, 211, 511)가 결합고정되는 결합턱(151, 251, 351, 451)이 형성된다.
이를 통하여, 상기 결합후크(110, 210, 510)가 상기 결합공(150, 250, 350, 45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결합공(150, 250, 350, 450) 내에 결합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5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납상자(1)는 개방된 부분이 전면을 향하도록 하고 상기 좌측면판(300) 또는 우측면판(400)이 하측을 향하도록 하여 다수 개로 적층시켜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결합턱(151, 251, 351, 451)을 통하여 상기 결합후크(110, 210, 510)가 상기 결합공(150, 250, 350, 45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결합공(150, 250, 350, 450) 내에 결합고정됨으로써 상기 좌측면판(300) 또는 우측면판(400)이 하측을 향하도록 하여 다수 개로 적층시켜 사용함에 있어 상하 방향으로 맞닿는 면에 간극이 없이 안정적으로 적층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전술한 제5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납상자(1)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은 제1실시예에서의 적층방향과 동일하게, 상기 바닥판(500)의 저면이 하측을 향하도록 하여 다수 개로 적층시켜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납상자를 나타낸 분리 사시구성도이다.
도 22에서 보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납상자(1)는 앞서 설명한 도 18 내지 21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5실시예와는 전면판(100), 후면판(200), 좌측면판(300), 우측면판(400) 및 바닥판(500)이 각각 일측면과 타측면에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으로 전체에 걸쳐 유연하게 만곡되어 산과 골이 반복되는 요철부(170, 270, 370, 470, 570)가 형성되는 점에서만 차이를 가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납상자(1)는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으로 전체에 걸쳐 상기 요철부(170, 270, 370, 470, 570)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전면판(100), 후면판(200), 좌측면판(300), 우측면판(400), 바닥판(500)의 수납상자를 이루는 각 판형부재의 강도를 보강하여 수납상자의 적층 사용시 하중에 따른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상술한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납상자(1)에서 상기 요철부(170, 270, 370, 470, 570)는 전면판(100), 후면판(200), 좌측면판(300), 우측면판(400) 및 바닥판(500)의 각 일측면과 타측면에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으로 각각 양측 일정길이 만큼에 걸쳐 유연하게 만곡되어 산과 골이 반복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납상자를 나타낸 분리사시구성도이고, 도 24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납상자를 나타낸 결합사시구성도이며, 도 25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납상자수납상자의 적층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예시도이다.
도 23 내지 25에서 보는 바와 같은 제7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납상자(1)는 앞서 도 18 내지 21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5실시예와는 조립 후의 상자에서 좌측면판(300) 및 우측면판(400)의 상호 대향되는 외측면에 정렬돌부(330) 또는 정렬홈부(430)가 선택적으로 더 형성되는 점에서만 차이를 가지는 것으로, 이하 동일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도 23 및 24에서 보는 바와 같은 제7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납상자(1)는 전면판(100), 후면판(200), 좌측면판(300), 우측면판(400) 및 바닥판(500)이 각각 조립되어 장방형의 상자를 형성하되, 조립된 상자를 전면부가 개방된 상태로 적층 사용시 유동이 방지되어 정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좌측면판(300)은 일측면의 모서리부분에 각각 정렬돌부(330)가 더 형성되며, 상기 우측면판(400)은 일측면 모서리부분에 상기 정렬돌부(330)와 대응되는 정렬홈부(430)가 더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정렬돌부(330)와 정렬홈부(430)를 통하여 조립된 상자(1)를 전면이 개방된 부분이 위치하도록 하여 수직방향으로 다수 개로 적층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정렬돌부(330)와 정렬홈부(430)에 의해 조립된 상자(1)를 전면이 개방된 부분이 위치하도록 하여 수직방향으로 다수 개로 적층이 용이함에 따라 상기 조립된 상자(1)를 전면이 개방된 부분이 위치하도록 하여 수직방향으로 안정적으로 다수 개로 적층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 조립식 수납상자
100: 전면판 101: 운반손잡이 103: 관통공
110: 결합후크 111: 후크부 113: 슬릿부
120: 결합돌기 121: 돌기부 123: 걸림홈
129: 고정링 150: 결합공 151: 결합턱
160: 삽입공
170: 요철부 180: 정렬돌기 190: 정렬홈
200: 후면판 201: 운반손잡이 203: 관통공
210: 결합후크 211: 후크부 213: 슬릿부
220: 결합돌기 221: 돌기부 223: 걸림홈
229: 고정링 250: 결합공 251: 결합턱
260: 삽입공
270: 요철부 280: 정렬돌기 290: 정렬홈
300: 좌측면판 330: 정렬돌부 350: 결합공
351: 결합턱 360: 삽입공 370: 요철부
380: 정렬돌기 390: 정렬홈
400: 우측면판 430: 정렬홈부 450: 결합공
451: 결합턱 460: 삽입공
470: 요철부 480: 정렬돌기 490: 정렬홈
500: 바닥판 510: 결합후크 511: 후크부
513: 슬릿부 520: 결합돌기 521: 돌기부
523: 걸림홈 529: 고정링 570: 요철부
580: 정렬돌기 590: 정렬홈 600: 스페이서

Claims (18)

  1. 다수 개의 판형부재가 선택적으로 조립되어 상부가 개방된 육면체 상으로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조립식 수납상자(1)에 있어서,
    장방형의 판형부재로 형성되되 둘레부분으로 양측에 결합후크(110)가 돌출형성되고 하단부 면상에 결합공(150)이 관통형성되는 전면판(100);
    상기 전면판(100)과 대향되어 장방형의 판형부재로 형성되되 둘레부분으로 양측에 결합후크(210)가 돌출형성되고 하단부 면상에 결합공(250)이 관통형성되는 후면판(200);
    상기 전면판(100)과 후면판(200)의 일측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전면판(100)과 후면판(200)과 직교하여 연결되도록 장방형의 판형부재로 형성되되 둘레부분으로 하단부와 양단부의 면상에 결합공(350)이 관통형성되는 좌측면판(300);
    상기 좌측면판(300)과 대향되어 상기 전면판(100)과 후면판(200)의 타측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전면판(100)과 후면판(200)과 직교하여 연결되도록 장방형의 판형부재로 형성되되 둘레부분으로 하단부와 양단부의 면상에 결합공(450)이 관통형성되는 우측면판(400); 및
    상기 전면판(100)과 후면판(200) 및 상기 좌측면판(300)과 우측면판(400)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장방형의 판형부재로 형성되되 둘레부분으로 전, 후단부에 상기 전, 후면판(100, 200)의 하단부 면상에 형성된 각 결합공(150, 250)에 결합되는 결합후크(510)가 돌출형성되고, 양측단부에 상기 좌, 우측면판(300, 400)의 하단부 면상에 형성된 각 결합공(350, 450)에 결합되는 결합후크(510)가 돌출형성되는 바닥판(50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조립식 수납상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100), 후면판(200), 좌측면판(300), 우측면판(400) 및 바닥판(500)의 둘레부분에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상기 각 결합후크(110, 210, 510)는 양측에 외향 협소해지도록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는 후크부(111, 211, 511)와, 상기 후크부(111, 211, 511)가 상기 결합공(150, 250, 350, 450)에 탄성 걸림 결합되도록 상기 후크부(111, 211, 511)의 각 내측에 슬리팅 형성되는 슬릿부(113, 213, 51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전면판(100), 후면판(200), 좌측면판(300), 우측면판(400) 및 바닥판(500)의 둘레부분에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상기 각 결합공(150, 250, 350, 450)은 모서리부가 각이진 장방형 타입으로 관통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납상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100), 후면판(200), 좌측면판(300), 우측면판(400) 및 바닥판(500)은 각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전체에 걸쳐 유연하게 만곡되어 산과 골이 반복되는 요철부(170, 270, 370, 470, 570)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납상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100), 후면판(200), 좌측면판(300), 우측면판(400) 및 바닥판(500)은 각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일정길이만큼에 걸쳐 유연하게 만곡되어 산과 골이 반복되는 요철부(170, 270, 370, 470, 570)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납상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100) 및 후면판(200)은 각각 대향되어 마주하는 반대 측 면상의 중앙에 'ㅡ'자 형 타입의 운반손잡이(101, 201)가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납상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손잡이(101, 201)는 위로 볼록하게 만곡 라운드지게 돌출 형성되는 라운드 형 타입 또는 타원형으로 돌출 형성되는 타원형 타입 중 택일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납상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손잡이(101, 201)는 타원형 타입으로 형성될 경우에 중앙에 타원형의 관통공(103, 203)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납상자.
  8.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100), 후면판(200), 좌측면판(300) 및 우측면판(400)은 각각 장방형의 상자 타입으로 조립되어 적층 사용시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유동이 방지되어 정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각 상단부 중앙에 정렬돌기(180, 280, 380, 480)가 각각 더 형성되며, 각 하단부 중앙에 상기 각 정렬돌기(180, 280, 380, 480)와 대응되는 정렬홈(190, 290, 390, 490)이 각각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납상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100), 후면판(200), 좌측면판(300), 우측면판(400) 및 바닥판(500)의 둘레부분에 선택적으로 결합돌기(120, 220, 520)와 삽입공(160, 260, 360, 460)이 형성되되, 상기 각 결합돌기(120, 220, 520)는 선단에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121, 221, 521)와, 상기 돌기부(121, 221, 521) 일측에 함몰 형성되는 걸림홈(123, 223, 523)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각 삽입공(160, 260, 360, 460)은 양측이 반구형으로 라운드진 장방형 타입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120, 220, 520)는 상기 삽입공(160, 260, 360, 46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삽입공(160, 260, 360, 460)에 삽입된 후 상기 걸림홈(123, 223, 523)에 고정링(129, 229, 529)이 선택적으로 결착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납상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100), 후면판(200), 좌측면판(300), 우측면판(400) 및 바닥판(500)은 각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전체에 걸쳐 유연하게 만곡되어 산과 골이 반복되는 요철부(170, 270, 370, 470, 570)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납상자.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100), 후면판(200), 좌측면판(300), 우측면판(400) 및 바닥판(500)은 각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일정길이만큼에 걸쳐 유연하게 만곡되어 산과 골이 반복되는 요철부(170, 270, 370, 470, 570)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납상자.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100) 및 후면판(200)은 각각 대향되어 마주하는 반대 측 면상의 중앙에 'ㅡ'자 형 타입의 운반손잡이(101, 201)가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납상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손잡이(101, 201)는 위로 볼록하게 만곡 라운드지게 돌출 형성되는 라운드 형 타입 또는 타원형으로 돌출 형성되는 타원형 타입 중 택일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납상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손잡이(101, 201)는 타원형 타입으로 형성될 경우에 중앙에 타원형의 관통공(103, 203)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납상자.
  15. 제9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100), 후면판(200), 좌측면판(300) 및 우측면판(400)은 각각 장방형의 상자 타입으로 조립되어 적층 사용시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유동이 방지되어 정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각 상단부 중앙에 정렬돌기(180, 280, 380, 480)가 각각 더 형성되며, 각 하단부 중앙에 상기 각 정렬돌기(180, 280, 380, 480)와 대응되는 정렬홈(190, 290, 390, 490)이 각각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납상자.
  1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100), 후면판(200), 좌측면판(300), 우측면판(400) 및 바닥판(500)의 둘레 부분에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상기 각 결합공(150, 250, 350, 450)은 상기 결합후크(110, 210, 510)의 후크부(111, 211, 511)가 결합고정되는 결합턱(151, 251, 351, 451)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후크(110, 210, 510)가 상기 결합공(150, 250, 350, 45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결합공(150, 250, 350, 450) 내에 결합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납상자.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100), 후면판(200), 좌측면판(300), 우측면판(400) 및 바닥판(500)은 각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으로 전체 또는 양측 일정길이 만큼에 걸쳐 유연하게 만곡되어 산과 골이 반복되는 요철부(170, 270, 370, 470, 570)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납상자.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100), 후면판(200), 좌측면판(300), 우측면판(400) 및 바닥판(500)이 각각 조립되어 장방형의 상자를 형성하되, 조립된 상자를 전면부가 개방된 상태로 적층 사용시 유동이 방지되어 정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좌측면판(300)은 일측면의 모서리부분에 각각 정렬돌부(330)가 더 형성되며, 상기 우측면판(400)은 일측면 모서리부분에 상기 정렬돌부(330)와 대응되는 정렬홈부(430)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납상자.
KR1020130020241A 2013-02-26 2013-02-26 조립식 수납상자 KR201401061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0241A KR20140106119A (ko) 2013-02-26 2013-02-26 조립식 수납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0241A KR20140106119A (ko) 2013-02-26 2013-02-26 조립식 수납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6119A true KR20140106119A (ko) 2014-09-03

Family

ID=51754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0241A KR20140106119A (ko) 2013-02-26 2013-02-26 조립식 수납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0611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5450A (ko) * 2017-10-24 2019-05-03 김진호 목재판의 결합구조
KR102096219B1 (ko) * 2019-12-30 2020-04-01 구진섭 복토장치용 흙 공급량 조절 부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5450A (ko) * 2017-10-24 2019-05-03 김진호 목재판의 결합구조
KR102096219B1 (ko) * 2019-12-30 2020-04-01 구진섭 복토장치용 흙 공급량 조절 부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27076B2 (en) Modular panel-packing box
EP0192495B1 (en) Box-forming corner member and box using the same
JPH04267736A (ja) 組立式フォークリフト用パレット
US20160101897A1 (en) Collapsible storage container
JP2001199439A (ja) リストアパックおよびその輸送方法
JP2009166894A (ja) 簡易組立式収納箱
KR20140106119A (ko) 조립식 수납상자
KR101926420B1 (ko) 절첩식 상자
JP3116269U (ja) 収納箱
JP6154499B1 (ja) コンテナ
JP3177322U (ja) 強化段ボール製の簡易パーテーション
KR101597738B1 (ko) 수납박스
CN207275241U (zh) 一种木质拼装盒
JPH062503B2 (ja) 組立て箱
JP6833559B2 (ja) パレット
KR101235565B1 (ko) 끼움식 연결 탁자용 상판
KR200489608Y1 (ko) 조립식 상자
JP5882589B2 (ja) 組立式コンテナ
JP3023112U (ja) 仕切り板
KR100939482B1 (ko) 수납상자
JP5317626B2 (ja) 立ち姿勢で複数枚の薄板状部品を並行に梱包するのに用いる梱包体
CN208233763U (zh) 组合式承盘的挡角件及组合式承盘
JP3934945B2 (ja) 組立式コンテナ
KR20100019302A (ko) 장식용 조립식상자
KR101429670B1 (ko) 요철형 표면을 구비한 조립식 가구 구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