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9302A - 장식용 조립식상자 - Google Patents

장식용 조립식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9302A
KR20100019302A KR1020090011322A KR20090011322A KR20100019302A KR 20100019302 A KR20100019302 A KR 20100019302A KR 1020090011322 A KR1020090011322 A KR 1020090011322A KR 20090011322 A KR20090011322 A KR 20090011322A KR 20100019302 A KR20100019302 A KR 201000193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s
plate
plate fitting
grooves
low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1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6522B1 (ko
Inventor
안덕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부산아크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부산아크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부산아크릴
Priority to KR1020090011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6522B1/ko
Publication of KR20100019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93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6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6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0Testing of optical apparatus; Testing structures by optical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8Testing mechanical properties
    • G01M11/081Testing mechanical properties by using a contact-less detection method, i.e. with a camer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5/00Testing of engines
    • G01M15/02Details or accessories of testing apparatu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7/00Structures or fai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7/02Nacel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29/00Power-plant nacelles, fairings, or cowlings
    • B64D29/06Attaching of nacelles, fairings or cowling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색상의 구현이 가능하고, 일정 이상의 두께 및 강도를 갖는 아크릴수지와 같은 합성수지 패널로 이루어진 조립식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분해 조립이 용이하고 다양한 색상의 구현으로 인한 화려한 미관을 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관 및 운송 시 분해 조립이 용이함에 따른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식용 조립식상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몸체의 상.하측 끝단부 양단 소정 위치에는 제1상.하판 끼움돌기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몸체 모서리부분의 내측 소정 위치에는 측판 끼움홈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 양측의 모서리 가까운 위치에는 요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판 끼움홈의 타측에는 일정 폭 만큼의 확장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전.후면판과, 몸체의 상.하측 끝단부 양단 소정 위치에는 제2상.하판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양측 끝단부 소정 위치에는 상기 전.후면판의 측판 끼움홈에 각각 유입 결합되는 측판 끼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2상.하판 끼움돌기의 타측에는 요홈부가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진 제1, 제2측면판과, 몸체의 일측에는 상기 전.후면판에 형성된 제1상.하판 끼움돌기가 유입 결합되는 제1끼움홈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타측에는 상기 제1, 제2측면판에 형성된 제2상.하판 끼움돌기가 유입 결합되는 제2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제2끼움홈의 타측에는 일정 폭 만큼의 확장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상.하면판이 구비되고, 상기 전.후면판과 제1, 제2측면판 및 상.하면판을 착탈 가능한 연결구로서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연결구는 바닥면을 구성하는 베이스의 상면 일측 끝단부에 형성된 제1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에 형성된 확장부가 유입되는 가이드홈과, 상기 가이드홈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전.후면판 및 제1, 제2측면판을 서로 밀착 고정시키는 제2지지부와, 상기 가이드홈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상.하면판과 전.후면판및 제1, 제2측면판을 서로 밀착 고정시키고 확장부의 높이만큼 형성된 제3지지부와, 상기 제3지지부 및 제2지지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전.후면판 및 제1, 제2측면판의 요홈부에 유입되는 제4지지부로 이루어지는 것에 특징이 있다.
장식상자, 조립식상자, 합성수지패널, 아크릴, 연결구

Description

장식용 조립식상자{A prefabricated box for decoration}
본 발명은 다양한 색상의 구현이 가능하고, 일정 이상의 두께 및 강도를 갖는 아크릴수지와 같은 합성수지 패널로 이루어진 조립식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분해 조립이 용이하고 다양한 색상의 구현으로 인한 화려한 미관을 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관 및 운송 시 분해 조립이 용이함에 따른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식용 조립식상자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특정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조립식상자는 골판지 등을 이용한 종이재질을 주로 사용하고 있으나, 구조적으로 습기 및 강도가 약하여 그 수명이 매우 짧아 사용범위가 제한적이었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습기에 강한 플라스틱 시트를 사용하여 특정 물품, 부품 등을 보관할 수 있는 조립식상자가 제안되었다.
이와 같이 플라스틱 시트를 사용한 조립식상자는 습기에 강한 반면, 강도면에서 매우 약하여 운반 또는 적재 시 적은 충격에도 일그러지거나 파손되기 쉬울 뿐만 아니라, 내부에 유입된 물품의 하중에 의해 조립상태가 해체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약한 강도로 인하여 소형 제작이 어려움에 따라 장식용 물품을 유입 보관하기에는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색상의 구현이 가능하고, 일정 이상의 두께 및 강도를 가지는 아크릴수지와 같은 합성수지 패널로 이루어진 조립식상자를 제공하여 분해 조립이 용이하고 다양한 색상의 구현으로 인한 화려한 미관을 연출함은 물론, 보관 및 운송 시 분해 조립이 용이함에 따른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몸체의 상.하측 끝단부 양단 소정 위치에는 제1상.하판 끼움돌기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몸체 모서리부분의 내측 소정 위치에는 측판 끼움홈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 양측의 모서리 가까운 위치에는 요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판 끼움홈의 타측에는 일정 폭 만큼의 확장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전.후면판과, 몸체의 상.하측 끝단부 양단 소정 위치에는 제2상.하판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양측 끝단부 소정 위치에는 상기 전.후면판의 측판 끼움홈에 각각 유입 결합되는 측판 끼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2상.하판 끼움돌기의 타측에는 요홈부가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진 제1, 제2측면판과, 몸체의 일측에는 상기 전.후면판에 형성된 제1상.하판 끼움돌기가 유입 결합되는 제1끼움홈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타측에는 상기 제1, 제2측면판에 형성된 제2상.하판 끼움돌기가 유입 결합되는 제2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제2끼움홈의 타측에는 일정 폭 만큼의 확장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상.하면판이 구비되고, 상기 전.후면판과 제1, 제2측면판 및 상.하면판을 착탈 가능한 모서리연결구로서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모서리연결구는 바닥면을 구성하는 베이스의 상면 일측 끝단부에 형성된 제1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에 형성된 확장부가 유입되는 가이드홈과, 상기 가이드홈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전.후면판 및 제1, 제2측면판을 서로 밀착 고정시키는 제2지지부와, 상기 가이드홈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상.하면판과 전.후면판 및 제1, 제2측면판을 서로 밀착 고정시키고 확장부의 높이만큼 형성된 제3지지부와, 상기 제3지지부 및 제2지지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전.후면판 및 제1, 제2측면판의 요홈부에 유입되는 제4지지 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모서리연결구는 2개가 상.하 대칭으로 형성된 수평연결구이거나, 4개가 상.하.좌.우 대칭으로 형성된 사방연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상.하판 끼움돌기와, 상기 제2상.하판 끼움돌기 및 상기 측판 끼움돌기는 중앙부에 절개부가 형성하고, 상측에는 경사부에 의해 형성된 걸림턱을 갖는 탄성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측판 끼움홈 및 상기 제1, 제2끼움홈은 직경이 적은 제1유입홈이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유입홈 상측에는 상기 제1유입홈 보다 직경이 큰 제2유입홈이 계단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색상의 구현이 가능하고, 일정 이상의 두께 및 강도를 가지는 아크릴수지와 같은 합성수지 패널로 이루어진 조립식상자를 제공하여 분해 조립이 용이하고 다양한 색상의 구현으로 인한 화려한 미관을 연출함은 물론, 보관 및 운송 시 분해 조립이 용이함에 따른 부피를 최소화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 1a 내지 도 5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장식용 조립식상자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용 조립식상자의 일부 분해사시도이며,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용 조립식상자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용 조립식상자에 있어 연결구를 제외한 전.후면판과 양측면판 및 상.하면판의 분 해사시도이다.
또한, 도 2의 (가)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용 조립식상자를 구성하는 전.후면판의 정면도이고, 도 2의 (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용 조립식상자를 구성하는 양측면판의 정면도이고, 도 2의 (다)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용 조립식상자를 구성하는 상.하면판의 평면도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장식용 조립식상자를 구성하는 전.후면판(10)(20)은 도 2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상의 수지패널로 이루어진 몸체(11)가 구비되고, 이 몸체(11) 상측 끝단부 양단의 소정 위치에는 제1상판 끼움돌기(13a)(13b)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몸체(11) 하측 끝단부 양단의 소정 위치에는 제1하판 끼움돌기(14a)(14b)가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11) 양측의 모서리 가까운 위치에는 후술되는 연결구(70)의 제4지지부(74b)가 유입되는 요홈부(12a)(12b)(12c)(12d)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요홈부(12a~12d)의 하측에는 측판 끼움홈(15a~15d)이 형성되고, 상기 측판 끼움홈(15a~15d)의 타측 몸체(11)에는 후술되는 모서리연결구(70)의 가이드홈(75)에 유입되는 일정 폭 만큼의 확장부(16a)(16b)가 형성된다.
상기 몸체(11)의 상하측에 형성된 제1상.하판 끼움돌기(13a)(13b)(14a) (14b)와 측판 끼움홈(15a~15d) 및 요홈부(12a~12d)는 서로 상하좌우 대칭을 이루고 있다.
도 2의 (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용 조립식 상자를 구성하는 제1, 제2측면판(30)(40)의 정면도로서 사각형상의 수지패널로 이루어진 몸체(31)가 구비되며, 이 몸체(31) 상측 끝단부 양단의 소정 위치에는 제2상판 끼움돌기(33a)(33b)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몸체(31) 하측 끝단부 양단의 소정 위치에는 제2하판 끼움돌기(34a)(34b)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2상하판 끼움돌기(33a)(33b)(34a)(34b)의 타측에는 후술되는 연결구(70)의 제4지지부(74b)가 유입되는 요홈부(32a)(32b)(32c) (32d)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몸체(11)의 양측 끝단부 소정 위치에는 상기 전.후면판(10)(20)에 형성된 끼움홈(15a,15c)(15b,15d)에 각각 유입 결합되는 측판 끼움돌기(35a,35c)(35b,35d)가 형성된다.
즉, 상기 몸체(31)의 상측에 형성된 제2상판 끼움돌기(33a)(33b), 측판 끼움돌기(35a)(35b)와, 상기 몸체(31)의 하측에 형성된 제2하판 끼움돌기(34a)(34b), 측판 끼움돌기(35c)(35d), 요홈부(32a~32d)는 서로 상하좌우 대칭을 이루고 있다.
도 2의 (다)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용 조립식상자를 구성하는 상.하면판(50)(60)의 평면도로서 사각형상의 수지패널로 이루어진 몸체(51)가 구비되며, 이 몸체(51)의 네모서리 일측에는 전.후면판(10)(20)에 형성된 제1상.하판 끼움돌기(13a)(13b)(14a)(14b)가 유입 결합되는 제1끼움홈(52a~52d)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51)의 네모서리 타측에는 제1, 제2측면판(30)(40)에 형성된 제2상.하판 끼움돌기(33a,33b)(34a,34b)가 유입 결합되는 제2끼움홈(53a~53d)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제2끼움홈(52a~52d)(53a~53d)의 타측에는 일정 폭 만큼의 확장부(54)가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조립식상자를 구성하는 전.후면판(10)(20)과 제1, 제2측면판(30)(40) 및 제1, 제2측면판(30)(40)의 모서리부분을 서로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모서리연결구(70)의 사시도로서 바닥면을 구성하는 베이스(71)의 상면 일측 끝단부 에 제1지지부(72)가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부(72)의 타측에는 전.후면판(10)(20) 또는 상.하면판(50)(60)의 몸체(11)(51)에 형성된 확장부(16a)(16b)(54)가 유입되는 가이드홈(7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75)의 일측에는 전.후면판(10)(20)과 제1, 제2측면판(30)(40)을 서로 밀착 고정시키는 제2지지부(73)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75)의 타측에는 상.하면판(50)(60)과 전.후면판(10)(20)과 및 제1, 제2측면판(30)(40)의 일측면을 동시에 서로 밀착 고정시키며 확장부(16a)(16b)(54)이 높이 만큼 형성된 제3지지부(7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3지지부(74)와 제2지지부(73) 사이에는 전.후면판(10)(20)에 형성된 요홈부(12a~12d) 또는 제1, 제2측면판(30)(40)에 형성된 요홈부(32a~32d)에 유입되어 제1, 제2측면판(30)(40)을 전.후면판(10)(20)과 상.하면판(50)(60)에 서로 밀착 고정시키는 제4지지부(76)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모서리연결구(70)는 일정한 강도와 연성을 동시에 가지는 합성수지로서 일체로 사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장식용상자의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장식용상자의 조립과정은 도 2의 (가), (나), (다)에서 도시된 전.후면판(10)(20)과 제1, 제2측면판(30)(40) 및 상.하면판(50)(60)을 도 1c에서와 같이 조립하여 상자 틀체를 만든 다음, 그 상자 틀체의 모서리부분에 모서리연결구(70)을 설치하여 전.후면판(10)(20)과 제1, 제2측면판(30)(40) 및 상. 하면판(50)(60)을 고정하는 순서로 이루어진다.
즉, 도 1c 분해사시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면판(10)의 일측에 형성된 측판 끼움홈(15a)(15c)에는 제1측면판(30)의 측판 끼움돌기(35a)(35c)를 유입시킴과 동시에 전면판(10)의 타측에 형성된 측판 끼움홈(15b)(15d)에는 제2측면판(40)의 측판 끼움돌기(35a)(35c)를 유입시켜 상기 전면판(10)의 양측에 제1, 제2측면판(30)(40)을 각각 설치한다.
그 다음, 전술한 바와 같이 전면판(10)의 양측에 제1, 제2측면판(30)(40)이 각각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측면판(30)의 타측에 형성된 측판 끼움돌기(35b) (35d)를 후면판(20)의 측판 끼움홈(15a)(15c)에 유입시킴과 동시에 제2측면판(40)의 타측에 형성된 측판 끼움돌기(35b)(35d)를 후면판(20)의 측판 끼움홈(15b)(15d)에 유입 결합시킴으로써 전.후면판(10)(20)과 제1, 제2측면판(30)(40)이 서로 결합된 사각틀체 형상을 이루게 한다.
이 후, 전술한 바와 같이 전.후면판(10)(20)과 제1, 제2측면판(30)(40)이 서로 결합된 사각틀체 형상을 이루게 한 상태에서 하면판(60)에 형성된 제1끼움홈(52a~52d)에는 전.후면판(10)(20)에 형성된 제1하판 끼움돌기(14a)(14b)를 유입시킴과 동시에 하면판(60)에 형성된 제2끼움홈(53a~53d)에는 제1, 제2측면판(30)(40)에 형성된 제2하판 끼움돌기(34a)(34b)를 유입 결합시킴으로써 사각틀체를 구성하는 전.후면판(10)(20)과 제1, 제2측면판(30)(40)을 하면판(60) 위에 고정 설치한다.
마지막으로 전.후면판(10)(20)과 제1, 제2측면판(30)(40)이 조립된 사각틀체 를 하면판(60)에 설치한 상태에서 상면판(50)에 형성된 제1끼움홈(52a~52d)에는 전.후면판(10)(20)에 형성된 제1상판 끼움돌기(13a)(13b)를 유입시킴과 동시에 상면판(50)에 형성된 제2끼움홈(53a~53d)에는 제1, 제2측면판(30)(40)에 형성된 제2상판 끼움돌기(33a)(33b)를 유입 결합시킴으로써 장식용 상자의 틀체 조립을 완료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조립된 본 발명에 따른 상자는 제1, 제2측면판(30)(40)에 형성된 측판 끼움돌기(35a,35c)(35b,35d)는 전.후면판(10)(20)에 형성된 측판 끼움홈(15a~15d)에 결합되는 한편, 상.하면판(50)(60)에 형성된 제1, 제2끼움홈(52a~52d)(53a~53d)에는 전.후면판(10)(20)에 형성된 제1상.하판 끼움돌기(13a)(13b)(14a)(14b) 및 제1, 제2측면판(30)(40)에 형성된 제2상.하판 끼움돌기(33a)(33b)(34a)(34b)가 유입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조립과정에서는 전.후면판(10)(20)과 제1, 제2측면판(30)(40) 및 제1, 제2측면판(30)(40)은 서로 견고하게 결합되지 않지만 무너지지 않을 정도로 느슨하게 서로를 지탱하고 있는 상태가 되며, 이 상태에서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연결구(70)를 사용하여 전.후면판(10)(20)과 제1, 제2측면판(30)(40) 및 상.하면판(50)(60)을 견고하게 결합함으로써 튼튼한 장식용 상자를 조립하게 된다.
도 4a의 (가), (나)는 모서리연결구(70)를 사용하여 전면판(10)과 제1측면판(30)의 모서리부분을 고정하도록 하는 상자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일부 절개 분해사시도이며, 도 4b의 (가), (나)는 도 4a의 조립단면도이다.
즉, 도 4a의 (가) 및 도 4b의 (가)에서와 같이 전면판(10)의 측판 끼움홈(15b)에 제1측면판(30)의 측판 끼움돌기(35b)를 유입시킨 상태에서 전면판(10)에 형성된 확장부(16b)를 모서리연결구(70)의 가이드홈(75)에 유입한 후, 베이스(71)에 도달하도록 유입시키게 되면 도 4a의 (나) 및 도 4b의 (나)에서와 같이 제3지지부(74)가 전면판(10)과 제1측면판(30)의 내벽 면을 동시에 밀착 고정시키는 한편, 제1지지부(72)와 제2지지부(73)는 전면판(10)과 제1측면판(30)의 외벽 면을 동시에 밀착 고정시키게 되고, 또한 제4지지부(76)는 제1측면판(30) 형성된 요홈부(32b)에 유입됨으로써 전면판(10)과 제1측면판(30)의 유동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도 5의 (가) 내지 (다)는 모서리연결구(70)를 사용하여 상면판(50)과 전면판(10) 및 제1측면판(30)의 모서리부분을 동시에 고정하도록 하는 상자의 조립단면도로서 먼저, 도 5의 (가)에서와 같이 전면판(10)의 측판 끼움홈(15b)에 제1측면판(30)의 측판 끼움돌기(35b)를 유입시킨 상태에서 도 5의 (나)에서와 같이 제1측면판(30)의 상측에 형성된 제2상판 끼움돌기(33b)를 상면판(50)에 형성된 제2끼움홈(53b)에 유입시킴으로서 상면판(50)과 전면판(10) 및 제1측면판(30)을 서로 조립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5의 (다)에서와 같이 상면판(50)의 확장부(54)를 연결구(70)의 가이드홈(75)에 유입한 후 베이스(71)의 바닥 면까지 도달하도록 유입시키게 되면 제1지지부(72)는 상면판(50)을, 제2지지부(73)는 전면판(10)을, 제3지지부(74)는 전면판(10) 및 제1측면판(30)의 외벽 면을 각각 동시에 밀착 고정시키게 되고, 또한 제4지지부(76)는 전면판(10)에 형성된 요홈부(12b)에 유입됨으로써 전 면판(10)과 제1측면판(30)의 유동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전.후면판(10)(20), 제1, 제2측면판(30)(40), 상.하면판(50) (60)을 모서리연결구(70)에 의해 결합시킴으로써 견고한 상태의 상자가 조립될 뿐만 아니라, 유연성을 가지는 모서리연결구(70)의 착탈이 용이하여 장식용 상자의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게 되어 보관 및 운송 시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용 조립식상자의 다른 조립상태의 예시도로서 도 1b는 모서리연결구(70)에 의해 상면판(50)이 제1, 제2측면판(30)(40)과 상.하면판(50)(60)이 결합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면판(50)이 개폐 가능하도록 조립한 것이나, 도 6은 모서리연결구(70)에 의해 상면판(50)이 제1, 제2측면판(30)(40)과 상.하면판(50)(60)이 결합되도록 하여 상면판(50)의 개폐가 불가능 하도록 조립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조립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의 (가), (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용 조립식상자에 있어 전.후면판(10)(20)과 제1, 제2측면판(30)(40)에 형성된 각 끼움돌기와, 전.후면판(10)(20) 및 상.하면판(50)(60)에 형성된 끼움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조립단면도로서 조립 후,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력을 높이도록 한 것이다.
즉, 제1측면판(30)에 형성된 제2상판 끼움돌기(33a)의 중앙부분을 절개한 절개부(36)를 형성하고, 상기 제2상판 끼움돌기(33a)의 상측은 경사부(37)에 의해 형성된 걸림턱(38)을 갖는 탄성부(39)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면판(50)에 형성된 제2끼움홈(53a)은 하측은 직경이 적은 제1유입홈(54)가 형성되고, 이 제1유입홈(54) 상측에는 상기 제1유입홈(54) 보다 직경이 큰 제2유입홈(55)이 형성된 계단 형태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다른 실시예는 제2상판 끼움돌기(33a)를 상면판(50)의 제2끼움홈(53a)에 억지끼움 시 절개부(36)에 의한 경사부(37)가 탄성이 작용하여 내측으로 유동되어 제1, 제2유입홈(54)(55)에 쉽게 유입되나, 제2유입홈(55)에 유입되는 즉시 탄성부(39)가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어 경사부(37)의 하측에 형성된 걸림턱(38)이 제1, 제2유입홈(54)(55)의 경계면에 걸리게 되어 분리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측면판(30)에 형성된 제2상판 끼움돌기(33a)와 상면판(50)에 형성된 제2끼움홈(53a)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조립식상자에 형성된 모든 끼움돌기와 끼움홈에 적용된다.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용 조립식상자를 좌.우.상.하로 연결 적층한 예시도로서, 최상하단 양측 끝단부에 위치한 조립식상자의 모서리부분은 모서리연결구(70)를 사용하여야 하며, 두 개의 조립식상자가 맞닿는 모서리부분을 서로 결합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수평연결구(70a)를 사용하여야 하며, 또한 4개의 조립식상자가 모두 맞닿는 부분의 모서리부분은 서로 이웃한 4개의 모서리부분을 모두 결합시킬 수 있는 사방연결구(70b)를 사용함으로써 좌.우.상.하로 연결 적층할 경우 상호간에 견고하게 고정 결합할 수 있다.
즉, 도 8b의 (가)는 두 개의 조립식상자가 맞닿는 모서리부분을 서로 결합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수평연결구(70a)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모서리연결구(70)가 상.하대칭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도 8b의 (나)는 4개의 모서리부분을 모두 결합시키는 사방연결구(70b)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모 서리연결구(70)가 상.하.좌.우대칭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연결구(70a) 및 사방연결구(70b)는 도 4a 및 도 4b와 같은 형태로 설치된다.
이와 같이 수평연결구(70a) 및 사방연결구(70b)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상자를 좌.우, 상.하로 연결 적층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용 조립식상자의 일부 분해사시도.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용 조립식상자의 결합사시도.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용 조립식상자에 있어 연결구를 제외한 전.후면판과 양측면판 및 상.하면판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용 조립식상자를 구성하는 전.후면판과 양측판 및 상.하판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조립식상자를 구성하는 전.후면판과 양측면판 및 상.하면판을 결합하는 연결구의 사시도.
도 4a는 연결구를 사용하여 전면판과 측면판의 모서리부분을 조립 고정하는 일부 절개 분해사시도.
도 4b는 도 4a의 조립단면도.
도 5의 (가) 내지 (다)는 모서리연결구를 사용하여 상면판과 전면판 및 측면판의 모서리부분을 동시에 고정하도록 조립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용 조립식상자의 다른 조립상태의 예시도.
도 7의 (가), (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용 조립식상자에 있어 끼움돌기와끼움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조립단면도.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용 조립식상자를 적층 연결한 상태의 사시도.
도 8b의 (가), (나)는 모서리연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면판 11 : 몸체
12a~12d : 요홈부 13a, 13b : 제1상판 끼움돌기
14a, 14b : 제1하판 끼움돌기 15a~15d : 측판 끼움홈
16a, 16b : 확장부 20 : 후면판
30 : 제1측면판 31 : 몸체
32a~32d ; 요홈부 33a, 33b : 제2상판 끼움돌기
34a, 34b : 제2하판 끼움돌기 35a~35d : 측판 끼움돌기
40 : 제2측면판 50 : 상면판
51 : 몸체 52a~52d : 제1끼움홈
53a~53d : 제2끼움홈 60 : 하면판
54 : 확장부 70 : 모서리연결구
70a : 수평연결구 70b : 사방연결구
71 : 베이스 72 : 제1지지부
73 : 제2지지부 74 : 제3지지부
75 : 가이드홈 76 : 제4지지부

Claims (5)

  1. 몸체(11)의 상.하측 끝단부 양단 소정 위치에는 제1상.하판 끼움돌기(13a) (13b)(14a)(14b)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몸체(11) 모서리부분의 내측 소정 위치에는 측판 끼움홈(15a~15d)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11) 양측의 모서리 가까운 위치에는 요홈부(12a~12d)가 형성되고, 상기 측판 끼움홈(15a~15d)의 타측에는 일정 폭 만큼의 확장부(16a)(16b)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전.후면판(10)(20)과,
    몸체(31)의 상.하측 끝단부 양단 소정 위치에는 제2상.하판 끼움돌기(33a) (33b)(34a)(34b)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31)의 양측 끝단부 소정 위치에는 상기 전.후면판(10)(20)의 측판 끼움홈(15a~15d)에 각각 유입 결합되는 측판 끼움돌기(35a~35d)가 형성되며, 상기 제2상.하판 끼움돌기(33a)(33b)(34a)(34b)의 타측에는 요홈부(32a~32d)가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진 제1, 제2측면판(30)(40)과,
    몸체(51)의 일측에는 상기 전.후면판(10)(20)에 형성된 제1상.하판 끼움돌기(13a)(13b)(14a)(14b)가 유입 결합되는 제1끼움홈(52a~52d)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51)의 타측에는 상기 제1, 제2측면판(30)(40)에 형성된 제2상.하판 끼움돌기(33a,33b)(34a,34b)가 유입 결합되는 제2끼움홈(53a~53d)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제2끼움홈(52a~52d)(53a~53d)의 타측에는 일정 폭 만큼의 확장부(54)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상.하면판(50)(60)이 구비되고,
    상기 전.후면판(10)(20)과 제1, 제2측면판(30)(40) 및 상.하면판(50)(60)을 착탈 가능한 모서리연결구(70)로서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용 조립식상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연결구(70)는
    바닥면을 구성하는 베이스(71)의 상면 일측 끝단부에 형성된 제1지지부(72)와,
    상기 제1지지부(72)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11)(51)에 형성된 확장부(16a)(16b)(54)가 유입되는 가이드홈(75)과,
    상기 가이드홈(75)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전.후면판(10)(20) 및 제1, 제2측면판(30)(40)을 서로 밀착 고정시키는 제2지지부(73)와,
    상기 가이드홈(75)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상.하면판(50)(60)과 전.후면판(10)(20) 및 제1, 제2측면판(30)(40)을 서로 밀착 고정시키고 확장부(16a)(16b) (54)의 높이만큼 형성된 제3지지부(74)와,
    상기 제3지지부(74) 및 제2지지부(73)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전.후면판(10) (20) 및 제1, 제2측면판(30)(40)의 요홈부(12a~12d)(32a~32d)에 유입되는 제4지지부(7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조립식상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연결구(70)는 2개가 상.하 대칭으로 형성된 수평연결구(70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조립식상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연결구(70)는 4개가 상.하.좌.우 대칭으로 형성 된 사방연결구(70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조립식상자.
  5. 제1항 내지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하판 끼움돌기(13a)(13b)(14a)(14b)와, 상기 제2상.하판 끼움돌기(33a)(33b)(34a)(34b) 및 상기 측판 끼움돌기(35a~35d)는 중앙부에 절개부(36)가 형성하고, 상측에는 경사부(37)에 의해 형성된 걸림턱(38)을 갖는 탄성부(39)로 이루어지고,
    상기 측판 끼움홈(15a~15d) 및 상기 제1, 제2끼움홈(52a~52d)은 직경이 적은 제1유입홈(54)이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유입홈(54) 상측에는 상기 제1유입홈(54) 보다 직경이 큰 제2유입홈(55)이 계단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조립식상자.
KR1020090011322A 2009-02-12 2009-02-12 장식용 조립식상자 KR101056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322A KR101056522B1 (ko) 2009-02-12 2009-02-12 장식용 조립식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322A KR101056522B1 (ko) 2009-02-12 2009-02-12 장식용 조립식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9302A true KR20100019302A (ko) 2010-02-18
KR101056522B1 KR101056522B1 (ko) 2011-08-11

Family

ID=42089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1322A KR101056522B1 (ko) 2009-02-12 2009-02-12 장식용 조립식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65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8447B1 (ko) 2020-05-06 2020-09-22 김유권 분해 조립이 가능한 장식용 아크릴 박스 제품 및 이를 이용한 멀티 결합형 장식용 아크릴 박스 제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6835B1 (ko) * 2019-03-11 2020-07-22 최다은 조립식 가변상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7028A (ja) * 2003-04-08 2004-11-04 Toyokon:Kk 梱包装置、梱包板材及び梱包用連結具
KR20050017229A (ko) * 2003-08-11 2005-02-22 티비테크애드 주식회사 조립식 상자
KR20050099953A (ko) * 2005-09-26 2005-10-17 최진영 포도주 보관용 조립식 상자
KR200433659Y1 (ko) * 2006-09-29 2006-12-13 성우로텍(주) 조립식 포장박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8447B1 (ko) 2020-05-06 2020-09-22 김유권 분해 조립이 가능한 장식용 아크릴 박스 제품 및 이를 이용한 멀티 결합형 장식용 아크릴 박스 제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6522B1 (ko) 2011-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9859B1 (en) User assembled metallic cabinet
KR100300753B1 (ko) 선반 또는 수납장용 조립식 프레임 부재세트
KR100683494B1 (ko) 넉다운 가구
KR101056522B1 (ko) 장식용 조립식상자
KR101841156B1 (ko) 조립식 다단 수납장
JP3116269U (ja) 収納箱
JP6154499B1 (ja) コンテナ
KR20130003282U (ko) 조립식 진열장
JP3142249U (ja) 組立式収納箱
KR200476369Y1 (ko) 팔레트 박스
KR100822320B1 (ko) 판유리 양면 적재용 조립식 박스
KR20190130256A (ko) 조립식 가구
KR100789193B1 (ko) 넉다운 가구의 조립구
JP2015006894A (ja) 組立式コンテナ
KR102512859B1 (ko) 종이책장용 조립키트
KR20140106119A (ko) 조립식 수납상자
KR200497069Y1 (ko) 스크린 패널 조립체
TWI698378B (zh) 組合式置物籃結構(一)
JP2001124028A (ja) 板材の連結構造及びそれを用いた箱体
JP5882589B2 (ja) 組立式コンテナ
KR101094029B1 (ko) 유리 상자의 조립 골조
KR200164273Y1 (ko) 멀티비젼 적층용 조립식 케이스
JP3162088U (ja) 避難所用簡易型間仕切り
KR20140000597U (ko) 조립식 책장
JP6877032B2 (ja) 組み立て式のラ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