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9482B1 - 수납상자 - Google Patents

수납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9482B1
KR100939482B1 KR1020070111190A KR20070111190A KR100939482B1 KR 100939482 B1 KR100939482 B1 KR 100939482B1 KR 1020070111190 A KR1020070111190 A KR 1020070111190A KR 20070111190 A KR20070111190 A KR 20070111190A KR 100939482 B1 KR100939482 B1 KR 100939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box
main body
support frame
fastening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1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4906A (ko
Inventor
방연억
Original Assignee
(주) 씨엔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씨엔팜 filed Critical (주) 씨엔팜
Priority to KR1020070111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9482B1/ko
Publication of KR20090044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4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9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9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made mainly of cardboard, textile, paper, or the like, e.g. with separate frame of othe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4Cubic corner parts joining sectional strips for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enabling folding of the cabinet or the like
    • A47B43/02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enabling folding of the cabinet or the like made of cardboard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4Chests of drawers;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Landscapes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과 분해가 편리하고, 적층시 상자 변형을 줄일 수 있도록 된 구조의 조립식 수납상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납상자는, 저면부와, 저면부의 각 변에 정면부, 배면부, 제1 및 제2측면부를 구비하며, 정면부, 배면부, 제1 및 제2측면부 중 적어도 어느 한 부재가 저면부에 대해 절곡 가능하게 연장 형성되고, 정면부, 배면부, 제1 및 제2측면부의 양측 변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홀이 형성된 본체; 정면부, 배면부, 제1 및 제2측면부 각각의 절곡시 이웃하는 변의 모서리부분 외측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 지지프레임의 일면에 돌출형성되어 본체의 삽입홀에 삽입되는 체결부; 및 정면부, 배면부, 제1 및 제2측면부 각각의 절곡시 이웃하는 변의 모서리부분 내측을 지지하고, 체결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체결홀이 형성된 내부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납상자, 조립, 서랍식, 수납구조체, 지지프레임, 내부프레임, 결합부재

Description

수납상자{Collection box}
본 발명은 수납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과 분해가 편리하고, 적층시 상자 변형을 줄일 수 있도록 된 구조의 조립식 수납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납상자는 유통과정에서 차지하는 전체 부피를 줄이고, 운반, 보관 등의 취급 편리성을 높이기 위하여 여러 부분의 조립판 형태로 분해된 상태로 유통된다. 따라서, 이 수납상자에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수납상자의 조립이 요구된다.
도 1은 종래의 조립식 수납상자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의 수납상자는 본체(1)와, 제1 및 제2측면판(5,6)과, 이들을 결합하는 결합부재(7)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1)는 저면부(2)와, 이 저면부(2)의 양변 각각에서 절곡 가능하게 연장 형성된 정면부(3) 및 배면부(4)와, 이 본체(1)와 상기 제1 및 제2측면판(5,6)을 결합하는 결합부(9)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9)는 상기 제1 및 제2측면판(5,6)과 마주하는 상기 저면부(2), 정면부(3) 및 배면부(4) 각각의 양변에서 절곡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부(9)는 상기 결합부재(7)가 결합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제1체결공(8)을 포함한다.
도 1의 경우, 상기 결합부(9)는 상기 저면부(2), 정면부(3) 및 배면부(4) 각각의 양변에 걸쳐 6개소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1체결공(8)은 상기 결합부(8)의 6개소 각각에 대해 3개씩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측벽판(5)(6) 각각과 마주하는 상기 결합부(9) 각각에는 9개씩의 제1체결공(8)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측벽판(5,6) 각각은 상기 복수의 제1체결공(8)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2체결공(8a)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수납상자는 조립시 상기 본체(1)를 구성하는 정면부(3)와, 배면부(4) 및 결합부(9)를 절곡하여 상자의 일부 형상을 만든 후, 상기 제1 및 제2측벽판(5,6)을 마주하게 배치한 상태에서 상호 대응되는 상기 제1 및 제2체결공(8,8a) 각각을 관통하여 상기 결합부재(7)를 결합함으로써 조립이 완료된다.
상기 결합부재(7)는 상기 복수의 제1 및 제2체결공(8,8a) 각각에 대응되게 마련되며, 암수구조의 제1 및 제2결합부재(7a,7b)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결합부재(7a)와 제2결합부재(7b)는 나사결합 또는 후크 결합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상기 본체(1)와 제1 및 제2측벽판(5,6)의 결합이 완료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의 수납상자는 일 측벽판을 본체에 조립하기 위 해서 9개소에 대해 결합부재를 체결하는 등 총 18개소에 대해 체결이 필요한 구조이기 때문에, 이에 따라 조립시간이 오래 걸리고 조립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마찬가지로, 이사, 재활용 등을 위하여 수납상자를 분해하고자 하는 경우, 총 18개소에 결합된 결합부재 각각에 대하여 분해를 하여야 하기 때문에 해제작업에도 소요되는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수납상자는 본체(1)와, 제1 및 제2측벽판(5,6)을 결합함에 있어서, 제1 및 제2체결공(8,8a)에 제1 및 제2결합부재(7a,7b)만을 관통체결하여 조립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물품을 수납한 상태의 복수의 수납상자를 적층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수납상자의 지지력이 약하고 특히 각 모서리부분의 지지력이 약하여 외형이 변형되어 복수의 수납상자를 적층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조립과 분해가 용이함과 아울러 지지력이 보강된 수납상자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수납상자를 채용하여 지지력이 보강된 서랍식 수납구조를 구현할 수 있도록 개선된 서랍식 수납구조체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에 따른 수납상자는, 저면부와, 상기 저면부의 각 변에 정면부, 배면부, 제1 및 제2측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정면부, 배면부, 제1 및 제2측면부 중 적어도 어느 한 부재가 상기 저면부에 대해 절곡 가능하게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정면부, 배면부, 제1 및 제2측면부의 양측 변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홀이 형성된 본체; 상기 정면부, 상기 배면부, 상기 제1 및 제2측면부 각각의 절곡시 이웃하는 변의 모서리부분 외측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면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삽입홀에 삽입되는 체결부; 및 상기 정면부, 상기 배면부, 상기 제1 및 제2측면부 각각의 절곡시 이웃하는 변의 모서리부분 내측을 지지하고, 상기 체결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체결홀이 형성된 내부프레임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에는 끼움턱이 형성된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저면부와, 상기 저면부의 각 변에 정면부, 배면부, 제1 및 제2측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정면부, 배면부, 제1 및 제2측면부 중 적어도 어느 한 부재가 상기 저면부에 대해 절곡 가능하게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정면부, 배면부, 제1 및 제2측면부의 양측 변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홀이 형성된 본체; 상기 정면부, 상기 배면부, 상기 제1 및 제2측면부 각각의 절곡시 이웃하는 변의 모서리부분 외측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는 상기 본체의 삽입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끼움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의 삽입홀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끼움홀에 관통체결되어 상기 본체와 지지프레임을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수납상자가 제공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본체의 삽입홀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끼움홀에 관통체결된 상기 결합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단부는, 상기 정면부, 상기 배면부, 상기 제1 및 제2측면부 각각의 절곡시 이웃하는 변의 상단부를 감싸도록 절곡형성된 보강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의 상부를 덮을 수 있는 뚜껑을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구획판에 의하여, 복수의 서랍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및 상기 서랍 공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기 수납상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식 수납구조체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납상자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첫째, 수납상자의 조립과 분해에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고, 그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둘째, 지지프레임을 이용하여 본체를 보강함으로써, 수납상자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복수의 수납상자를 적층하여 사용하더라도, 수납상자의 외형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서랍식 수납구조체는 하우징의 수납공간에 상기한 수 납상자를 채용함으로써, 지지력이 보강된 서랍식 구조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납상자 및 이를 채용한 서랍식 수납구조체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상자를 보여주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수납상자의 본체를 펼쳐보인 평면도이다.
도 4a는 도 2에 도시된 수납상자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4b는 도 2에 도시된 수납상자가 결합되었을 때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먼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상자는, 수납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본체(10)와, 본체(10)의 외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본체(10)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프레임(20)과, 상기 지지프레임(20)에 돌출형성된 체결부(21)와, 상기 본체(10)의 내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체결부(21)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체결홀(31)이 형성된 내부프레임(3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저면부(11)를 중심으로 상기 저면부(11)의 네 변에 각각 정면부(12), 배면부(13), 제1 및 제2측면부(14,15)를 구비하며, 상기 정면부(12), 배면부(13), 제1 및 제2측면부(14,15)의 각각의 양측 변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홀(16)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정면부(12), 배면부(13), 제1 및 제2측면부(14,15)는 상기 저면부(11)의 네 변 각각에 절곡 가능하게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저면부(11)를 바닥으로 하고 상부가 개방된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수납상자를 조립하고자 할 때는 상기 정면부(12), 배면부(13), 제1 및 제2측면부(14,15)를 절곡선(10a; 도 3 참조)을 따라 각각 절곡하여 조립한다.
한편, 상기 정면부(12), 배면부(13), 제1 및 제2측면부(14,15) 모두가 상기 저면부(11)의 각 변에 절곡 가능하게 연장 형성된 것을 예를 들어 나타내었으나, 이는 일 실시예일 뿐이고, 상기 정면부(12), 배면부(13), 제1 및 제2측면부(14,15) 중 적어도 어느 한 부재가 상기 저면부(11)에 대해 절곡 가능하게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면 되며, 이때 상기 정면부(12), 배면부(13), 제1 및 제2측면부(14,15) 중 일부가 상기 저면부(11)에 대해 일체로 연장 형성되지 않은 경우는 별도의 결합구조에 의하여 상기 저면부(11)의 해당 위치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 결합구조 자체는 널리 알려져 있는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본체(10)는 골판지와 부직포로 이루어진 합지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20)은 상기 정면부(12), 배면부(13), 제1 및 제2측면부(14,15) 각각의 절곡시 이웃하는 변의 모서리부분 외측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ㄱ'형상으로 절곡형성되어,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본체(10)를 조립할 때, 상기 정면부(12), 배면부(13), 제1 및 제2측면부(14,15) 각각의 절곡시 모서리부분을 외측에 면접촉하면서 상기 본체(10)를 지지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상기 본체(10)와 접촉하는 내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부(21)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20)에서 상기 체결부(21)는, 상기 본체(10)의 각 부재를 절곡했을 때 상기 삽입홀(16)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홀(16)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본체를 결합지지하고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내부프레임(30)은, 상기 수납공간 형성시, 정면부(12), 배면부(13), 제1측면부 및 제2측면부(14,15)의 절곡시 이웃하는 변의 모서리부분 내측을 지지하고, 상기 체결부(21)가 삽입되는 체결홀(31)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내부프레임(30)은 모서리부분의 내측에 면접촉하여, 상기 지지프레임(20)과 본체(10)를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ㄱ'형상으로 절곡형성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내부프레임(30)의 체결홀(31)은, 상기 본체(10)를 조립하여 수납공간 형성시 본체(10)의 이웃하는 변에 형성된 각각의 삽입홀(16)의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수납상자는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체결부(21)가 본체(10)의 외측면에서 상기 본체(10)의 삽입홀(16)과 내부프레임(30)의 체결홀(31)을 동시에 관통체결하여 결합되어 조립된다.
이때, 상기 체결부(21)에는 상기 본체(10)의 삽입홀(16)과 내부프레임(30)의 체결홀(31)에 용이하게 삽입결합할 수 있도록 삽입되는 단부가 라운드형상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본체(10)의 삽입홀(16)과 체결홀(31)에 삽입된 후 쉽게 빠지지 않도록 돌출형성된 끼움턱(21a;도 4a참조)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끼움턱(21a)은 상기한 목적과 작용을 할 수 있는 구조와 형상이라면 어느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상기 지지프레임(20)의 상단부에는, 수납공간 형성시 상기 정면부(12), 배면부(13), 제1 및 제2측면부(14,15) 각각의 절곡시 이웃하는 변이 마주하는 모서리부분의 상단부를 끼움홈(23)을 통해 감싸면서 상기 지지프레임(20)과 본체(10)와 내부프레임(30)을 더욱 견고히 고정할 수 있는 절곡된 형상의 보강부(22)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이때 상기 보강부(22)는 별도로 제작하여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상단부에 결합시킬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프레임(20)과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상기한 구조의 지지프레임(20)과 내부프레임(30)에 따라, 본 발명은 수납상자를 편리하고 신속히 조립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프레임(20)과 내부프레임(30)에 의해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본체(10)의 각 부재가 마주하는 모서리 부분이 벌어져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모서리부분 전체를 접촉지지하기 때문에 수납상자를 더욱 견고히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20)과 본체(10)와 내부프레임(30)의 결합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정면부(12)와 제1 및 제2측면부(14,15), 상기 제1측면부(14)와 상기 배면부(13), 상기 배면부(13)와 상기 제2측면부(15)를 결합하기 위한 지지프레임(20), 본체(10) 및 내부프레임(30)의 결합구조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중 정면부(12)와 제1측면부(14)에 대한 결합구조를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a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은 상기 정면부(12)와 제1측면 부(14)와 이웃하는 변을 마주하게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프레임(20)을 정면부(12)와 제1측면부(14)가 이어지는 모서리부분의 외측으로 접촉시키고, 이때 상기 본체의(10) 정면부(12)와 제1측면부(14)에 형성된 각각의 삽입홀(16)에 체결부(21)를 삽입하여, 상기 정면부(12)와 제1측면부(14)를 결합시킨다.
그런 다음, 상기 지지프레임(20)과 본체(10)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정면부(12)와 제1측면부(14)가 이어지는 모서리부분의 내측으로 상기 지지프레임(20)과 대응되게 접촉시키고, 상기 체결부(21)를 내부프레임(30)의 체결홀(31)에 관통체결하여 수납상자를 조립한다.
상기한 바에 따라, 상기 지지프레임(20)과 본체(10)의 내부프레임(30)이 결합되는 구조는 도 4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20)과 내부프레임(30)은 'ㄱ'형상으로 절곡형성된 프레임 구조로, 본체(10) 조립시 본체(10)를 사이에 두고 수납상자의 모서리부분의 외측면과 내측면에 각각 접촉하여 본체(10)를 결합지지하기 때문에, 수납상자에 있어서 각 부재의 변부가 연결되는 모서리부분의 벌어짐을 방지하여 수납상자를 견고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20)과 내부프레임(30)은 단일의 프레임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본체(10)를 절곡한 다음, 간편한 조작으로 수납상자를 용이하게 조립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상자는, 삽입홀(16)이 형성된 본체(10)와, 본체(10)가 절곡되어 수납공간을 형성하였을 때 각 부재가 마주하 는 모서리부분을 접촉 지지하는 지지프레임(20)과, 지지프레임(20)에 구비된 체결부(21)와, 체결부(21)에 삽입되는 체결홀(31)이 형성된 내부프레임(30)을 포함하여, 상기 체결부(21)에 본체(10)의 삽입홀(16)과 내부프레임(30)의 체결홀(31)을 동시에 삽입결합하여 수납상자를 구성함으로써, 수납상자의 조립과 분해를 용이하고 신속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견고한 결합력과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상자를 보여주는 분리사시도이며, 도 6a 및 도 6b는 도 5에 도시된 수납상자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단면도 및 수납상자가 결합되었을 때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수납상자에 있어서, 결합부재에 고정부재가 결합되었을 때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상자는, 수납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삽입홀(16)이 형성된 본체(10)와, 본체(10)의 모서리 외측에 접촉하면서 상기 본체(10)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프레임(40)과, 상기 지지프레임(40)에 형성된 끼움홀(41)과 본체(10)의 삽입홀(16)에 관통체결되는 결합부재(43)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저면부(11)를 중심으로 상기 저면부(11)의 네 변에 각각 정면부(12), 배면부(13), 제1 및 제2측면부(14,15)를 구비하며, 상기 정면부(12), 배면부(13), 제1 및 제2측면부(14,15)의 각각의 양측 변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홀(16)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10)와 기술적 구성이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지지프레임(40)은, 'ㄱ'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본체(10)를 조립할 때, 상기 정면부(12), 배면부(13), 제1 및 제2측면부(14,15) 각각의 절곡시 이웃하는 변의 외측 모서리부분에 각각 접촉하면서 상기 본체(10)를 결합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본체(10)의 삽입홀(16)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끼움홀(4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40)의 상단부에는 절곡형성된 보강부(42)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기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납상자의 보강부(22)와 그 기술적 구성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결합부재(43)는,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삽입홀(16)과 상기 지지프레임(40)의 끼움홀(41)에 동시에 관통체결되어 상기 본체(10)를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지지결합한다.
상기 결합부재(43)는 상기 본체(10)의 삽입홀(16)과 지지프레임(40)의 끼움홀(41)을 동시에 관통체결하여 상기 본체(10)와 지지프레임(40)을 결합지지하며, 이때 상기 결합부재(43)는 수납상자의 분해 후 재조립이 가능하도록 탄성변형 가능한 후크 구조의 단일구조로 할 수 있으며, 또한 조립 후 쉽게 빠지지 않도록 단부에 턱(미도시)을 마련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부재(43)를 나사형식을 가지고 있는 구성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삽입홀(16)과 끼움홀(41)에 관통체결되어 본체(10)와 지지프레임(40)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느 것이든 적용가능하며 이에 대한 다양한 적용예는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부가하여, 상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상자는,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삽입홀(16)과 지지프레임(40)의 끼움홀(41)에 상기 결합부재(43)가 관통체결된 후에 상기 결합부재(43)와 결합하여 본체(10)와 지지프레임(40)을 견고하게 결합시키고, 결합부재(43)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탈부착이 가능한 고정부재(4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재(43)와 고정부재(44)는 나사결합, 후크결합 등 다양한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상자는, 도 2에 도시된 내부프레임(30)을 구비하지 않고, 본체(10)의 삽입홀(16)과 지지프레임(40)의 끼움홀(41)에 동시에 관통체결하는 결합부재(43)를 구비하여 상기 본체(10)와 지지프레임(40)을 결합지지함으로써, 지지프레임(40)을 통해 수납상자의 각 모서리부분을 견고히 지지하고, 별개로 구성된 결합부재(43)를 통하여 수납상자를 조립하여 조립성이 좋으며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수납상자에서 뚜껑을 가지는 수납상자를 보여주는 분리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8에 도시된 수납상자는 내부에 수납공간(60a)을 가지는 수납상자(60)와, 수납공간(60a) 내에 수납된 물품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외부로부터 먼지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의 상부 다시 말해 수납공간(60a)을 덮을 수 있는 뚜껑(50)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수납상자(60)는 도 2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 른 수납상자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이러한 수납상자(60)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도 8에서는 도 2에 도시된 수납상자를 예로 하여 도시 하였으나, 도 5에 도시된 수납상자를 적용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이와 달리하여 하나의 수납상자(60)가 아니라, 복수의 수납상자(60)를 수직으로 적층한 후, 최상부에 위치한 수납상자(60)의 상부에 뚜껑(50)을 덮는 구조로도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랍식 수납구조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서랍식 수납구조체는, 복수의 서랍공간(120)을 형성하는 하우징(100)과, 이 서랍공간(1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수납상자(6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0)은 그 내부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구획판(110)을 포함하며, 이를 통하여 복수의 서랍공간(120)을 형성한다.
상기 수납상자(60)는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상자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수납상자(60)의 외측면에는 하우징(100) 내에서 수납상자(60)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131)가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랍식 수납구조체를 구성하는 경우, 지지보강 구조가 개선된 수납상자를 활용하므로, 서랍식으로 수납상자(60)를 적층 하더라도, 수납상자(60)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 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조립식 수납상자를 보여주는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상자를 보여주는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수납상자의 본체를 펼쳐보인 평면도,
도 4a는 도 2에 도시된 수납상자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b는 도 2에 도시된 수납상자가 결합되었을 때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상자를 보여주는 분리사시도,
도 6a는 도 5에 도시된 수납상자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b는 도 5에 도시된 수납상자가 결합되었을 때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수납상자에 있어서, 결합부재에 고정부재가 결합되었을 때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수납상자에서 뚜껑을 가지는 수납상자를 보여주는 분리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랍식 수납구조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체 10a... 절곡선
11... 저면부 12... 정면부
13.. 배면부 14,15... 제1 및 제2측면부
16... 삽입홀 20,40... 지지프레임
21... 체결부 21a... 끼움턱
22,42... 보강부 23... 끼움홈
30... 내부프레임 31... 체결홀
41... 끼움홀 43... 결합부재
44... 고정부재 50... 뚜껑
60... 수납상자 100... 하우징
110... 구획판 120... 서랍공간
131... 손잡이

Claims (7)

  1. 저면부(11)와, 상기 저면부(11)의 각 변에 정면부(12), 배면부(13), 제1 및 제2측면부(14),(15)를 구비하며, 상기 정면부(12), 배면부(13), 제1 및 제2측면부(14),(15) 중 적어도 어느 한 부재가 상기 저면부(11)에 대해 절곡 가능하게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정면부(12), 배면부(13), 제1 및 제2측면부(14),(15)의 양측 변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홀(16)이 형성된 본체(10);
    상기 정면부(12), 상기 배면부(13), 상기 제1 및 제2측면부(14),(15) 각각의 절곡시 이웃하는 변의 모서리부분 외측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20)으로 구성된 수납상자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일면에는 상기 본체(10)의 삽입홀(16)에 삽입되는 체결부(21)가 끝단에 끼움턱(21a)을 갖는채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정면부(12), 상기 배면부(13), 상기 제1 및 제2측면부(14),(15) 각각의 절곡시 이웃하는 변의 모서리부분 내측을 지지하고, 상기 체결부(21)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체결홀(31)이 형성된 내부프레임(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상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상단부에는, 상기 정면부(12), 상기 배면부(13), 상기 제1 및 제2측면부(14),(15) 각각의 절곡시 이웃하는 변의 상단부를 감싸도록 절곡형성된 보강부(22)가 일체 구비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상자.
  6. 삭제
  7. 삭제
KR1020070111190A 2007-11-01 2007-11-01 수납상자 KR100939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1190A KR100939482B1 (ko) 2007-11-01 2007-11-01 수납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1190A KR100939482B1 (ko) 2007-11-01 2007-11-01 수납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4906A KR20090044906A (ko) 2009-05-07
KR100939482B1 true KR100939482B1 (ko) 2010-01-29

Family

ID=40855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1190A KR100939482B1 (ko) 2007-11-01 2007-11-01 수납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94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317Y1 (ko) * 2016-07-14 2017-01-10 박도진 복합 선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9849Y1 (ko) 1999-11-15 2000-04-15 김도환 보강재가 장착된 종이상자
KR200348503Y1 (ko) 2004-01-16 2004-04-28 혜 숙 김 수납박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9849Y1 (ko) 1999-11-15 2000-04-15 김도환 보강재가 장착된 종이상자
KR200348503Y1 (ko) 2004-01-16 2004-04-28 혜 숙 김 수납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4906A (ko) 2009-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44770B (zh) 周转箱
KR100939482B1 (ko) 수납상자
KR101841156B1 (ko) 조립식 다단 수납장
JP3116269U (ja) 収納箱
US20030098256A1 (en) Storage box structure
JP2007062837A (ja) 段ボール製パレット
JP6154499B1 (ja) コンテナ
KR20090022156A (ko) 수납상자
JP5288956B2 (ja) パレット及び箱体
JP4182863B2 (ja) キャビネット構造
JP4535593B2 (ja) 収納ケース
JP3133668U (ja) 組立式収納箱
JP5463607B2 (ja) デスクトップパネルシステム
KR20140106119A (ko) 조립식 수납상자
KR20090121165A (ko) 조립식 수납상자용 지지프레임
CN216456194U (zh) 消毒柜内胆片材拼合结构
JP4253030B1 (ja) 組立式収納箱
KR102535977B1 (ko) 다용도 조립식 보관함 조립체
JP2001124028A (ja) 板材の連結構造及びそれを用いた箱体
KR100995342B1 (ko) 조립식 골판지 수납함
KR20100019302A (ko) 장식용 조립식상자
JP3058289U (ja) 整理ケース
KR200449838Y1 (ko) 정리상자
KR200355806Y1 (ko) 조립식수납상자
JPH0612669Y2 (ja) 組立式引出しケ−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11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