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317Y1 - 복합 선반 - Google Patents

복합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317Y1
KR200482317Y1 KR2020160004053U KR20160004053U KR200482317Y1 KR 200482317 Y1 KR200482317 Y1 KR 200482317Y1 KR 2020160004053 U KR2020160004053 U KR 2020160004053U KR 20160004053 U KR20160004053 U KR 20160004053U KR 200482317 Y1 KR200482317 Y1 KR 2004823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upport bar
fixed
base
bas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40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도진
김승유
Original Assignee
박도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도진 filed Critical 박도진
Priority to KR20201600040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3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3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31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1Structural features of shelf b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47B96/1433Hollow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47B96/145Composite members, i.e. made up of several elements joined together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복합 선반이 개시된다. 복합 선반은, 결합홈이 가장자리 부분에 복수개로 형성된 베이스부와, 결합홈에 삽입 고정되는 복수개의 지지부와, 지지부의 사이를 연결하는 측판과, 지지부의 상부를 덮는 덮개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지지부는, 베이스부에 고정되는 서포트바 및 서포트바의 외측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측판을 서포트바의 외측에 고정하는 고정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합 선반{COMPLEX RACK}
본 발명은 미려하고 내구성이 향상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 가능한 복합 선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상 장식장 또는 선반은 물품을 올려놓거나 넣어 두는 장을 말한다.
이러한 장식장 또는 선반은, 물품의 수납의 용도를 넘어서 설치되는 실내 또는 실외의 전체적인 인테리어의 중요한 요소로 다양한 디자인으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반면, 장식장 또는 선반은, 제조자에 의하여 디자인 및 개발되어 제공되는 경우, 설치되는 공간 및 전체적인 인테리어 측면에서의 수요자의 다양한 요구를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특히, 장식장 또는 선반의 내부 확인이 가능하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측판을 측면에 설치하는 경우, 측판을 고정하는 고정 수단이 외부로 노출되는 바, 미려한 장식장 또는 선반의 구현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측판을 고정하는 고정 작업 과정이 복잡하여, 설치 과정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10-2015-0058997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미려한 설치가 가능하고, 용이하게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복합 선반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결합홈이 가장자리 부분에 복수개로 형성된 베이스부와, 결합홈에 삽입 고정되는 복수개의 지지부와, 지지부의 사이를 연결하는 측판과, 지지부의 상부를 덮는 덮개부를 포함한다.
지지부는, 베이스부에 고정되는 서포트바 및 서포트바의 외측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측판을 서포트바의 외측에 고정하는 고정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는, 복수개의 리브가 형성되며 지지부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내부에 형성되고 가장자리에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베이스 바디와, 베이스 바디를 덮는 베이스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서포트바의 측면에는 끼움홈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 커버에는 끼움홈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 돌기가 돌출될 수 있다.
고정 커버는 서포트바의 표면에서 이격된 상태로 서포트바의 제1 측면과 제2 측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확인이 가능한 측판의 고정이 고정 수단이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여 미려한 설치가 가능하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여 사용자의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선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복합 선반의 베이스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베이스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선반의 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지지부의 고정 커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지지부에 측판이 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선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선반(100)은, 결합홈(11)이 가장자리 부분에 복수개로 형성된 베이스부(10)와, 결합홈(11)에 삽입 고정되는 복수개의 지지부(30)와, 지지부(30)의 사이를 연결하는 측판(40)과, 지지부(30)의 상부를 덮는 덮개부(5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0)의 하부에는 하단 지지부(19)가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단 지지부(19)는 베이스부(10)의 하부에 추가로 설치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베이스부(10)가 추가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도 1의 복합 선반의 베이스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베이스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0)는 복합 선반(100)이 바닥면에 지지되는 부분을 말하는 것으로, 복합 선반(100)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부(10)는, 가장자리에는 결합홈(11)이 형성되는 베이스 바디(12)와, 베이스 바디(12)를 덮는 베이스 커버(14)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바디(12)는 바닥면에 접촉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사각형의 평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베이스 바디(12)는 사각형의 평면 형상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가장자리의 전체 또는 일부분이 라운드 형상을 이루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베이스 바디(12)의 내부에는 내구성의 향상을 위해 복수개의 리브(16)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리브(16)는 베이스 바디(12)의 내부에서 복수개가 일방향 또는 엇갈리는 방향으로 교차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 바디(12)의 리브의 일부분에는 걸림 고리(16a)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걸림 고리(16a)는 고정 커버의 고정 과정에서 걸림 기능을 할 수 있다.
한편, 베이스 바디(12)의 내부에는 삽입부(18)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삽입부(18)는 베이스 바디(12)의 내부에서 베이스 바디(12)의 길이 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삽입부(18)는 베이스 바디(12)의 내부에 형성되는 리브(16)의 일부분이 제거된 상태로 베이스 바디(12)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삽입부(18)가 베이스 바디(12)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은 지지부(30)를 베이스 바디(12)의 내부에 삽입하기 위한 것이다. 즉, 삽입부(18)는 지지부(30)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베이스 바디(12)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30)는 베이스 바디(12)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 삽입부(18)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이 가능한 바, 복합 선반(100)을 이송하는 경우 포장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 바디(12)의 가장자리에는 결합홈(11)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 바디(12)가 바닥면에 위치한 상태에서 지지부(30)는 일부분이 결합홈(11)에 삽입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덮개부(50)는 베이스 바디(12)의 상부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덮개부(50)는 베이스 바디(12)의 삽입부(18)를 덮으면서 상부 표면에는 거치하고자하는 소정이 대상물이 안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복합 선반(100)을 다단으로 설치하는 경우, 덮개부(50)는 베이스부(10)와 동일 구성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지지부(30)는 베이스 바디(12)의 4개의 모서리의 각각에 형성된 결합홈(11)에 일부분이 삽입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선반의 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지지부의 고정 커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30)는, 베이스부(10)에 고정되는 서포트바(31)와, 서포트바(31)의 외측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측판(40)을 서포트바(31)의 외측에 고정하는 고정 커버(33)를 포함할 수 있다.
서포트바(31)는 사각 기둥 또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베이스부(10)의 결합홈(11)에 일부분이 삽입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서포트바(31)는 복수개가 서로간에 끼움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길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서포트바(31)의 외표면에는 고정 커버(33)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포트바(31)의 외표면에는 복수개의 끼움홈(31a)이 형성될 수 있다.
끼움홈(31a)은 고정 커버(33)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해 서포트바(31)의 측면에 적어도 2개 이상의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 커버(33)는 서포트바(31)에 형성된 끼움홈(31a)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고정 돌기(34)가 형성된다.
고정 돌기(34)는 고정 커버(33)에 돌출되는 제1 탄성 고정편(34a)과, 제1 탄성 고정편(34a)에 이격된 상태로 돌출되는 제2 탄성 고정편(34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탄성 고정편(34a)과 제2 탄성 고정편(34b)은 서로가 마주한 상태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고정 커버(33)에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탄성 고정편(34a)과 제2 탄성 고정편(34b)이 하나의 끼움홈(31a)에 끼워지는 바, 고정 돌기(34)는 탄성력에 의해 끼움홈(31a)이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커버(33)는 서포트바(31)의 표면에서 이격된 상태로 서포트바(31)의 제1 측면과 제2 측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 커버(33)는 지지부(30)의 측면에 고정 돌기(34)에 의해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 커버(33)와 지지부(30)의 이격된 사이 공간에는 측판(40)이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측판(40)은 반투명 또는 투명한 아크릴 재질 또는 유리 재질 등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본 실시예의 복합 선반(100)의 내부를 확인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측판(40)은 복수개가 고정 커버(33)에 의해 서포트바(31)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은 도 4의 지지부에 측판이 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서포트바(31)에 고정 커버(33)를 끼움 고정한 상태에서, 서포트바(31)와 고정 커버(33)의 사이 공간에 측판(40)을 삽입하는 것으로 용이하게 측판(40)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측판(40)은 복수개의 고정 커버(33)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되고 고정 부분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바, 미려하고 내구성이 향상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덮개부(50)는 지지부(30)에 측판(40)이 고정된 상태로 지지부(3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덮개부(50)는 지지부(30)의 상부에 압입 결합 또는 소정의 체결 수단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복합 선반(100)은, 내부 확인이 가능한 측판(40)의 고정이 고정 수단이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여 미려한 설치가 가능한 바, 사용자의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이상을 통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베이스부 11...결합홈
12...베이스 바디 14...베이스 커버
16...리브 18...삽입부
30...지지부 31...서포트바
31a..끼움홈 33...고정 커버
34...고정 돌기 34a..제1 탄성 고정편
34b..제2 탄성 고정편 40...측판

Claims (4)

  1. 결합홈이 가장자리 부분에 복수개로 형성된 베이스부;
    상기 결합홈에 삽입 고정되는 복수개의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사이를 연결하는 측판; 및
    상기 지지부의 상부를 덮는 덮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되는 서포트바 및 상기 서포트바의 외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 커버를 구비하되, 상기 서포트바와 상기 고정 커버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측판이 상기 이격공간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복합 선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복수개의 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내부에 형성되고 가장자리에는 상기 결합홈이 형성되는 베이스 바디; 및
    상기 베이스 바디를 덮는 베이스 커버;
    를 포함하는 복합 선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바의 측면에는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커버에는 상기 끼움홈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 돌기가 돌출되는 복합 선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커버는 상기 서포트바의 표면에서 이격된 상태로 상기 서포트바의 제1 측면과 제2 측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합 선반.






KR2020160004053U 2016-07-14 2016-07-14 복합 선반 KR2004823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053U KR200482317Y1 (ko) 2016-07-14 2016-07-14 복합 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053U KR200482317Y1 (ko) 2016-07-14 2016-07-14 복합 선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2317Y1 true KR200482317Y1 (ko) 2017-01-10

Family

ID=57797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4053U KR200482317Y1 (ko) 2016-07-14 2016-07-14 복합 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317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4906A (ko) * 2007-11-01 2009-05-07 (주) 씨엔팜 수납상자 및 이를 채용한 서랍식 수납구조체
JP4459255B2 (ja) * 2007-06-01 2010-04-28 江慶輝 枠構造
KR20130003722U (ko) * 2011-12-14 2013-06-24 이인숙 조립과 배치가 용이한 가구
KR20150058997A (ko) 2013-11-21 2015-05-29 신광용 조립식 장식장용 모듈 및 이로 구성되는 조립식 모듈 장식장.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59255B2 (ja) * 2007-06-01 2010-04-28 江慶輝 枠構造
KR20090044906A (ko) * 2007-11-01 2009-05-07 (주) 씨엔팜 수납상자 및 이를 채용한 서랍식 수납구조체
KR20130003722U (ko) * 2011-12-14 2013-06-24 이인숙 조립과 배치가 용이한 가구
KR20150058997A (ko) 2013-11-21 2015-05-29 신광용 조립식 장식장용 모듈 및 이로 구성되는 조립식 모듈 장식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3092B2 (en) Magnetic tool holder
US9560923B1 (en) Magnetic tool holder
KR20070019494A (ko) 조립식 선반
US11579707B2 (en) Keyboard assembly
US9962006B2 (en) Bed base capable of fixing mattress
WO2021043134A1 (zh) 冰箱及其瓶座
JP6182860B2 (ja) 配線機能付きテーブル
KR20170035677A (ko) 가구용 선반 고정장치
KR200482317Y1 (ko) 복합 선반
JPH11163544A (ja) エンクロージャ
KR20160126828A (ko) 아일릿부재 및 그 제조방법
EP2695547B1 (en) Assembly for shelving device, comprising a support for displaying articles, a lighting device and a mounting element
KR100773730B1 (ko) 선반 고정장치
KR200486200Y1 (ko) 조립식 수납함
KR101542034B1 (ko) 디자인 가변형 가구
KR20170055803A (ko) 식기 건조대
KR101631490B1 (ko) 악세사리용 거치장치
JP6800643B2 (ja) 棚板用支柱
KR101609045B1 (ko) 정수기케이스용 전면커버
KR101549520B1 (ko) 양면 호환 선반 설치대
KR20150000300A (ko) 가구 조립 셋트
KR20160004426U (ko) 조립식 벽 선반
JP5799241B2 (ja) 廻縁構造材
JP6442637B1 (ja) 台所用キャビネット
KR200243433Y1 (ko) 조립식 칸막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