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0601B1 - 가림판의 설치장치 - Google Patents

가림판의 설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0601B1
KR102000601B1 KR1020170179371A KR20170179371A KR102000601B1 KR 102000601 B1 KR102000601 B1 KR 102000601B1 KR 1020170179371 A KR1020170179371 A KR 1020170179371A KR 20170179371 A KR20170179371 A KR 20170179371A KR 102000601 B1 KR102000601 B1 KR 102000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plate
supporter
coupl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9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7848A (ko
Inventor
노재근
Original Assignee
(주)코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아스 filed Critical (주)코아스
Priority to KR1020170179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0601B1/ko
Publication of KR20190077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7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0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0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12Vanity or modesty panels

Landscapes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림판의 설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서포터를 가림판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부로써, 일부가 가림판의 일측면에 접하는 제 1홀더, 일부가 가림판의 타측면에 접하는 제 2홀더, 및 제 1홀더와 가림판, 또는 제 1홀더와 가림판과 제 2홀더를 분리 가능하게 결속하는 복수 개의 결속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한 쌍의 홀더를 가림판에 결합하고, 홀더끼리를 결합하며, 홀더의 하측에 서포터를 결합함으로써, 가림판을 상판에 견고하게 설치 고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림판의 설치장치{SCREEN MOUNTING DEVICE}
본 발명은 가림판의 설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한 쌍의 홀더를 가림판에 결합하고, 홀더끼리를 결합하며, 홀더의 하측에 서포터를 결합함으로써, 가림판을 상판에 견고하게 설치 고정하기 위한 가림판의 설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사무공간은 한정된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점차 밀집된 형상으로 발전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사무용 가구의 디자인에 있어서도,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결합하여 부재를 절약하고, 공간의 조건에 따라서 유연하게 공간을 배치할 수 있는 방법들이 모색되고 있다.
예로써, 사무용 파티션, 책상, 회의 테이블 등을 하나로 융합하여, 사용목적에 따라 유연하게 가구의 형상이 변할 수 있으며, 공간 및 부재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 사무공간의 책상 배치는 개별 책상을 단순히 공간적 조건에 적합하도록 나열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따라서, 개별 책상을 일렬로 나열하는 방식이 가장 효율적이었으며, 책장이나, 파티션을 추가적으로 설치해야 하는바, 공간의 이용에 있어서도 비효율적인 한계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개별 책상을 복수 개 배치하지 않더라도, 회의용 책상과 같은 대규모 책상의 경우에는 적합한 규모와 형상으로 주문 제작할 수밖에 없었다. 이는 운반상의 제약을 유발하였으며, 다른 공간으로 이동할 경우, 그 공간에 적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한편, 종래의 책상은 사무기기의 전선이나 케이블이 외부로 드러나거나, 정리 없이 단순히 책상 상부의 홀을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드러나지 않도록 아래로 내리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이러한 방식은 미관상 좋지 않았으며, 업무시에도 공간적 시간적으로 많은 비효율을 야기하고 있다.
그래서, 최근에는 테이블의 상판을 구획하기 위한 파티션이 제안된 바 있다.
관련기술로는 국내실용신안등록 제20-0474830호(등록일: 2014.10.10. 고안의 명칭: 대면형 책상 구조체)에 제안된 바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의 테이블 상판을 구획하는 파티션을 지지하는 브라켓이 파티션과 견고하게 결합되지 않아 파티션이 흔들리거나, 브라켓과 파티션의 조립 및 분리가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한 쌍의 홀더를 가림판에 결합하고, 홀더끼리를 결합하며, 홀더의 하측에 서포터를 결합함으로써, 가림판을 상판에 견고하게 설치 고정하고자 하는 가림판의 설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림판의 설치장치는: 상판에 대해 가림판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서포터; 및 상기 서포터를 상기 가림판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는, 일부가 상기 가림판의 일측면에 접하는 제 1홀더; 일부가 상기 가림판의 타측면에 접하는 제 2홀더; 및 제 1홀더와 가림판, 또는 제 1홀더와 가림판과 제 2홀더를 분리 가능하게 결속하는 복수 개의 결속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서포터는 상기 제 1홀더 또는 상기 제 2홀더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홀더는 조립부에 의해 상기 가림판의 하측으로 돌출되는 부위가 대응되는 상기 제 2홀더에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립부는, 상기 제 1홀더에서 돌출 형성되는 조립돌부; 및 상기 제 2홀더에 형성되어 상기 조립돌부를 삽입하여 조립하는 삽입부를 포함한다.
상기 조립돌부는 상기 서포터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홀더는 상기 조립돌부의 하측을 지지하는 결속편을 연장 형성하고, 상기 결속편과 상기 조립돌부는 체결부재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포터는 상측에 플랜지를 형성하고, 상기 제 1홀더와 상기 제 2홀더는 결속된 상태의 하측에 수용부를 형성하여 상기 플랜지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림판의 설치장치는 종래 기술과 달리 한 쌍의 홀더를 가림판에 결합한 후 해당 홀더끼리를 결합하며, 홀더의 하측에 서포터를 결합함으로써, 가림판을 상판에 견고하게 설치 고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림판의 설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림판의 설치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림판의 설치장치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림판의 설치장치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림판의 설치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림판의 설치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림판의 설치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림판의 설치장치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림판의 설치장치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림판(20)의 설치장치(100)는 서포터(110), 결합부(120) 및 조립부(130)를 포함한다.
특히, 가림판(20)은 테이블 등의 상판(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서포터(110)에 의해 상판(10)에 지지된다.
이때, 서포터(110)는 상판(10)에 대해 가림판(2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하나 이상 구비된다. 그리고, 서포터(110)는 상판(10)이나 테이블 본체 등에 고정 설치된다.
또한, 결합부(120)는 서포터(110)를 가림판(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결합부(120)는 제 1홀더(122), 제 2홀더(124) 및 결속부재(126)를 포함한다.
제 1홀더(122)는 일부가 가림판(20)의 일측면에 접하게 구비된다. 즉, 제 1홀더(122)는 가림판(20)의 하측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일부가 가림판(20)의 일측면에 접하고, 나머지가 가림판(20)의 하측으로 돌출된다.
특히, 제 1홀더(122)는 가림판(20)의 하측 테두리가 접하도록 제 1턱부(123)를 형성한다.
아울러, 제 2홀더(124)는 일부가 가림판(20)의 타측면에 접하게 구비된다. 즉, 제 2홀더(124)는 가림판(20)의 하측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일부가 가림판(20)의 타측면에 접하고, 나머지가 가림판(20)의 하측으로 돌출된다. 이때, 제 2홀더(124)는 가림판(20)의 하측 테두리가 접하도록 제 2턱부(125)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가림판(20)은 쌍을 이루는 제 1홀더(122)의 제 1턱부(123)와 제 2홀더(124)의 제 2턱부(125)에 접하게 된다.
결속부재(126)는 제 1홀더(122)와 가림판(20), 또는 제 1홀더(122)와 가림판(20)과 제 2홀더(124)를 분리 가능하게 결속하는 역할을 한다. 편의상, 결속부재(126)는 제 1홀더(122)와 가림판(20)을 결속하는 것으로 도시한다. 이때, 결속부재(126)는 제 1홀더(122)와 가림판(20)을 결속한 상태에서 제 1홀더(122)가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 개로 구비된다. 결속부재(126)는 볼트나 스크류인 것으로 한다.
또한, 가림판(20)의 하측으로 돌출(연장)된 제 1홀더(122)의 하부와 제 2홀더(124)의 하부는 조립부(130)에 의해 상호 조립된다.
조립부(130)는 조립돌부(132) 및 삽입부(134)를 포함한다.
조립돌부(132)는 제 1홀더(122)에서 제 2홀더(124)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물론, 조립돌부(13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삽입부(134)는 제 2홀더(124)에 형성되어 조립돌부(132)를 삽입하여 조립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삽입부(134)는 조립돌부(132)의 양측 가장자리를 슬라이드 삽입할 수 있도록 제 2홀더(124)에 형성된다. 물론, 삽입부(134)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특히, 제 2홀더(124)는 삽입부(134)의 상측면이 제 2턱부(125)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 2홀더(124)는 제 1홀더(122)와 하측끼리 조립시 조립돌부(132)의 하측을 지지하는 결속편(142)을 연장 형성한다.
그래서, 조립돌부(132)가 삽입부(134)에 삽입시, 결속편(142)은 조립돌부(132)의 하측에 접하여 제 1홀더(122)를 지지한다.
아울러, 조립돌부(132)는 하측에 결속돌기(144)를 돌출 형성하고, 결속편(142)은 결속홀(146)을 형성한다. 그래서, 결속편(142)이 조립돌부(132)의 하측으로 이동시, 결속돌기(144)가 결속홀(146)에 수용된다. 그리고, 서포터(110)의 플랜지(112)가 결속편(142)을 조립돌부(132) 방향으로 밀게 된다. 따라서, 결속편(142)과 조립돌부(132)가 결속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다.
결과적으로, 제 1홀더(122)의 상부와 제 2홀더(124)의 상부 및 가림판(20)은 결속부재(126)에 의해 결속되고, 제 1홀더(122)의 하부와 제 2홀더(124)의 하부는 조립돌부(132)와 삽입부(134)에 의해 조립된 후 결속돌기(144)와 결속홀(146)을 통해 결속편(142)과 조립돌부(132)가 체결됨으로써, 제 1홀더(122)와 제 2홀더(124)는 견고하게 결합된다.
물론, 결속편(142)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서포터(110)는 제 1홀더(122)와 제 2홀더(124)의 하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제 1홀더(122)와 제 2홀더(124)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측에 플랜지(112)를 형성한다.
아울러, 서포터(110)의 플랜지(112)는 제 1홀더(122) 또는 제 2홀더(124)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세히, 제 1홀더(122)와 제 2홀더(124)는 플랜지(112)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측으로 개방되는 수용부(150)를 함몰 형성하고, 플랜지(112)는 수용부(150)에 수용되면서 제 1홀더(122)의 조립돌부(132)의 하측면에 접하게 된다.
그리고, 서포터(110)의 플랜지(112)와 조립돌부(132)는 결합부재(114)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결합부재(114)는 제 1홀더(122)의 조립돌부(132)와 제 2홀더(124)의 결속편(142)에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부재(114)를 볼트나 스크류인 것으로 한다.
아울러, 플랜지(112)가 수용부(150)에 수용된 채 제 1홀더(122)와 제 2홀더(124)에 결합됨으로써, 제 1홀더(122)와 제 2홀더(124)는 서포터(110)에 견고하게 결합된 채 안정적으로 가림판(20)을 지지하고 결합할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제 1홀더(122)의 조립돌부(1)가 수용부(150)에 수용된 플랜지(112)에 지지된 채 제 2홀더(124)의 삽입부(2)에 조립되어 결합되고, 제 1홀더(122)와 제 2홀더(124)가 가림판(20)과 결합된다.
이때, 제 1홀더(122)의 제 1턱부(123)와 제 2홀더(124)의 제 2턱부(125)가 가림판(20)의 하측을 접하여 지지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상판 20: 가림판
100: 설치장치 110: 서포터
112: 플랜지 114: 결합부재
120: 결합부 122: 제 1홀더
124: 제 2홀더 126: 결속부재
130: 조립부 132: 조립돌부
134: 삽입부 142: 결속편
144: 결속돌기 146: 결속홀
150: 수용부

Claims (5)

  1. 상판에 대해 가림판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서포터; 및 상기 서포터를 상기 가림판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일부가 상기 가림판의 일측면에 접하는 제 1홀더; 일부가 상기 가림판의 타측면에 접하는 제 2홀더; 및 상기 제 1홀더와 상기 가림판, 또는 상기 제 1홀더와 상기 가림판과 상기 제 2홀더를 분리 가능하게 결속하는 복수 개의 결속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서포터는 상기 제 1홀더 또는 상기 제 2홀더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1홀더는 조립부에 의해 상기 가림판의 하측으로 돌출되는 부위가 대응되는 상기 제 2홀더에 조립되며,
    상기 조립부는, 상기 제 1홀더에서 돌출 형성되는 조립돌부; 및 상기 제 2홀더에 형성되어 상기 조립돌부를 삽입하여 조립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홀더는 상기 조립돌부의 하측을 지지하는 결속편을 연장 형성하며, 상기 결속편과 상기 조립돌부는 체결부재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1홀더는 상기 가림판의 하측이 접하도록 제 1턱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 2홀더는 상기 가림판의 하측이 접하도록 제 2턱부를 형성하고,
    상기 결속부재는 상기 제 1홀더와 상기 가림판, 또는 상기 제 1홀더와 상기 가림판과 상기 제 2홀더를 결속한 상태에서 상기 제 1홀더가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 개로 구비되며,
    상기 조립돌부는 하측에 결속돌기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결속편은 상기 조립돌부의 하측으로 이동시 상기 결속돌기를 수용하기 위해 결속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림판의 설치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돌부는 상기 서포터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림판의 설치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는 상측에 플랜지를 형성하고,
    상기 제 1홀더와 상기 제 2홀더는 결속된 상태의 하측에 수용부를 형성하여 상기 플랜지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림판의 설치장치.
KR1020170179371A 2017-12-26 2017-12-26 가림판의 설치장치 KR1020006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9371A KR102000601B1 (ko) 2017-12-26 2017-12-26 가림판의 설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9371A KR102000601B1 (ko) 2017-12-26 2017-12-26 가림판의 설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7848A KR20190077848A (ko) 2019-07-04
KR102000601B1 true KR102000601B1 (ko) 2019-07-16

Family

ID=67259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9371A KR102000601B1 (ko) 2017-12-26 2017-12-26 가림판의 설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06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2546B1 (ko) 2020-06-30 2020-11-24 (주) 파트라 1인 설치가 가능한 스크린 설치용 고정구와 이에 의해 스크린이 조립설치된 테이블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3520A (ja) * 2001-06-29 2003-01-15 Itoki Crebio Corp 間仕切壁へのアッパーボードの取り付け装置
KR101411357B1 (ko) * 2013-08-19 2014-06-25 주식회사 코아스 칸막이 설치장치 및 그를 구비한 테이블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1283U (ko) * 2007-08-01 2009-02-05 주식회사 세연 파티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3520A (ja) * 2001-06-29 2003-01-15 Itoki Crebio Corp 間仕切壁へのアッパーボードの取り付け装置
KR101411357B1 (ko) * 2013-08-19 2014-06-25 주식회사 코아스 칸막이 설치장치 및 그를 구비한 테이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2546B1 (ko) 2020-06-30 2020-11-24 (주) 파트라 1인 설치가 가능한 스크린 설치용 고정구와 이에 의해 스크린이 조립설치된 테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7848A (ko) 2019-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80434B2 (en) Modular laboratory furniture assembly
CA2910700C (en) Interchangeable base system
CN200990038Y (zh) 电脑机箱
CA2741905C (en) Split top table assemblies
KR102000601B1 (ko) 가림판의 설치장치
JP6182860B2 (ja) 配線機能付きテーブル
KR101411357B1 (ko) 칸막이 설치장치 및 그를 구비한 테이블
KR200425243Y1 (ko) 칸막이 지지장치
JP5320598B2 (ja) デスクトップパネル
KR101631490B1 (ko) 악세사리용 거치장치
KR101792179B1 (ko) 스크린 설치용 클립
KR102118686B1 (ko) 착탈식 책상 칸막이보드 결합용 고정클램프
JP2010104728A (ja) 家具固定構造
JP5320596B2 (ja) 家具
JP5320597B2 (ja) オプション部材の取付構造
KR20150078788A (ko) 조립식 파티션
JP6245497B2 (ja) 厨房装置
JP4244144B2 (ja) 部材取付構造
JP2001061562A (ja) パネル装置
CN212345911U (zh) 一种分隔组件
KR101795018B1 (ko) 조립장치
KR101051318B1 (ko) 테이블의 레그
KR19990033006U (ko) 책상용 간막이 고정구
JP2016087243A (ja) テーブル
KR200482317Y1 (ko) 복합 선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