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5018B1 -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5018B1
KR101795018B1 KR1020170023799A KR20170023799A KR101795018B1 KR 101795018 B1 KR101795018 B1 KR 101795018B1 KR 1020170023799 A KR1020170023799 A KR 1020170023799A KR 20170023799 A KR20170023799 A KR 20170023799A KR 101795018 B1 KR101795018 B1 KR 101795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fix
duct
rotary block
mount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3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재근
Original Assignee
(주)코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아스 filed Critical (주)코아스
Priority to KR1020170023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50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5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5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축 방향을 따라 내부에 채널을 형성하고 채널의 상측 테두리 또는 내측면에서 내부 방향으로 플랜지를 연장 형성한 덕트, 덕트의 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채널에 설치되는 마운팅서포트, 및 마운팅서포트를 채널의 내측 바닥면과 플랜지에 걸쳐 끼움 조립하는 끼움조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덕트에 마운팅서포트를 기존의 볼팅 방식이 아닌, 원주 방향의 회전을 통해 마운팅서포트의 하측에 구비된 픽스블록과 로터리블록을 덕트 내측에 견고하게 끼움 고정함으로써, 마운팅서포트를 덕트에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립장치{HOLDING DEVICE}
본 발명은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덕트에 마운팅서포트를 기존의 볼팅 방식이 아닌, 원주 방향의 회전을 통해 마운팅서포트의 하측에 구비된 픽스블록과 로터리블록을 덕트 내측에 견고하게 끼움 고정함으로써, 마운팅서포트를 덕트에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사무공간은 한정된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점차 밀집된 형상으로 발전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사무용 가구의 디자인에 있어서도,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결합하여 부재를 절약하고, 공간의 조건에 따라서 유연하게 공간을 배치할 수 있는 방법들이 모색되고 있다.
예로써, 사무용 파티션, 책상, 회의 테이블 등을 하나로 융합하여, 사용목적에 따라 유연하게 가구의 형상이 변할 수 있으며, 공간 및 부재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 사무공간의 책상 배치는 개별 책상을 단순히 공간적 조건에 적합하도록 나열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칸막이 설치 구조에 대해서는 국내특허등록공보 제10-0729533호에 제안된 바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의 책상용 칸막이 설치 구조는 지지브라켓을 볼트나 나사를 이용하여 상판에 체결 후, 칸막이 등을 지지브라켓에 고정 설치하기 때문에, 칸막이 등의 설치 및 분해 작업성이 현저히 저하되고, 볼팅 조립으로 인해 책상의 상판에 흠집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덕트에 마운팅서포트를 기존의 볼팅 방식이 아닌, 마운팅서포트의 하측에 구비된 픽스블록을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과정에 연동되어 로터리블록을 회전시킴으로써, 로터리블록이 덕트의 축 방향으로 양측에 형성되는 플랜지에 밀착되도록 함에 따라, 픽스블록과 로터리블록을 덕트 내측에 견고하게 끼움 고정함으로써, 마운팅서포트를 덕트에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조립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장치는: 축 방향을 따라 내부에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채널의 상측 테두리 또는 내측면에서 내부 방향으로 플랜지를 연장 형성한 덕트; 상기 덕트의 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채널에 설치되는 마운팅서포트; 및 상기 마운팅서포트를 상기 채널의 내측 바닥면과 상기 플랜지에 걸쳐 끼움 조립하는 끼움조립부를 포함한다.
상기 끼움조립부는, 상기 마운팅서포트에 고정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마운팅서포트와 함께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는 픽스블록; 상기 픽스블록에 적층된 채 상기 마운팅서포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로터리블록; 및 상기 마운팅서포트에 의해 상기 픽스블록의 원주 방향 회전시, 연동되어 상기 로터리블록을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플랜지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상기 덕트의 상측 이탈을 방지하면서 상기 픽스블록과 상기 로터리블록을 상기 덕트 내부에 위치 고정하는 구속부를 포함한다.
상기 픽스블록과 상기 로터리블록은 평면상 단방향의 길이는 상기 플랜지 사이의 간격보다 짧게 형성되고, 평면상 장방향의 길이는 상기 플랜지 사이의 간격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속부는, 상기 로터리블록의 상기 픽스블록을 향하는 표면에 원주 방향으로 호 궤적을 따라 함몰 형성되는 함몰홈부; 및 상기 픽스블록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함몰홈부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로터리블록을 상기 픽스블록의 원주 방향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 유도하여, 상기 로터리블록의 양측 가장자리가 대응되는 상기 플랜지에 걸리도록 하는 가이드핀을 포함한다.
상기 구속부는, 상기 픽스블록의 상기 로터리블록을 향하는 표면에 원주 방향으로 호 궤적을 따라 점차적으로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 1경사면부; 및 상기 로터리블록에 상기 제 1경사면부와 대칭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픽스블록에 대해 상기 로터리블록이 원주 방향 회전시, 상기 로터리블록과 상기 픽스블록의 간격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로터리블록과 상기 픽스블록을 상기 덕트의 바닥면과 상기 플랜지 사이에 고정하기 위한 제 2경사면부를 포함한다.
상기 구속부는, 상기 로터리블록의 상기 픽스블록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스토핑핀; 및 초기에 상기 함몰홈부의 내부 일측에 상기 가이드핀이 접한 상태에서, 상기 스토핑핀에 걸림으로써 상기 픽스블록의 설정된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픽스블록에 형성되는 스토핑턱부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장치는 종래 기술과 달리 덕트에 마운팅서포트를 기존의 볼팅 방식이 아닌, 마운팅서포트의 하측에 구비된 픽스블록을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과정에 연동되어 로터리블록을 회전시킴으로써, 로터리블록이 덕트의 축 방향으로 양측에 형성되는 플랜지에 밀착되도록 함에 따라, 픽스블록과 로터리블록을 덕트 내측에 견고하게 끼움 고정함으로써, 마운팅서포트를 덕트에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장치가 설치된 테이블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장치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장치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장치의 끼움조립부 중 픽스블록과 로터리블록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장치의 끼움조립부가 초기에 덕트에 삽입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픽스블록과 로터리블록의 적층 상태를 보인 평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끼움조립부의 로터리블록이 픽스블록에 연동되어 회전되는 시점의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픽스블록과 로터리블록의 적층 상태를 보인 평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끼움조립부가 덕트에 완전히 결합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픽스블록과 로터리블록의 적층 상태를 보인 평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장치가 설치된 테이블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장치의 확대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장치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장치의 끼움조립부 중 픽스블록과 로터리블록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장치의 끼움조립부가 초기에 덕트에 삽입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정면도이며, 도 8은 도 6의 픽스블록과 로터리블록의 적층 상태를 보인 평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끼움조립부의 로터리블록이 픽스블록에 연동되어 회전되는 시점의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픽스블록과 로터리블록의 적층 상태를 보인 평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끼움조립부가 덕트에 완전히 결합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며, 도 12는 도 11의 픽스블록과 로터리블록의 적층 상태를 보인 평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장치(100)는 덕트(110), 마운팅서포트(120) 및 끼움조립부(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덕트(110)는 테이블 또는 벽체 등 다양한 위치에 구비되거나 고정 설치될 수 있다.
편의상, 덕트(110)가 테이블의 상판에 결합된 것으로 도시한다.
그리고, 마운팅서포트(120)는 덕트(110)에 끼움 고정 설치되어 칸막이의 하측을 지지하거나 또는 선반을 거치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할 수 있다. 물론, 마운팅서포트(12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특히, 덕트(110)는 축 방향을 따라 내부에 채널(112)을 형성한다. 아울러, 덕트(110)는 채널(112)의 상측 테두리 또는 내측면에서 내부 방향 즉, 마주하는 방향으로 플랜지(114)를 연장 형성한다. 이때, 덕트(110)는 마주하게 연장되는 플랜지(114) 사이로 채널(112)을 개방되게 형성한다.
물론, 덕트(110)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마운팅서포트(120)는 덕트(110)의 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채널(112)에 설치된다. 특히, 덕트(110)는 복수 개의 마운팅서포트(120)를 설치하고, 마운팅서포트(120)가 채널(112)을 따라 이동 가능함에 따라 상호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끼움조립부(200)는 마운팅서포트(120)를 채널(112)의 내측 바닥면과 플랜지(114)에 걸쳐 끼움 조립 가능한 역할을 한다.
여기서, 끼움조립부(200)는 픽스블록(210), 로터리블록(220) 및 구속부(230)를 포함한다.
픽스블록(210)은 마운팅서포트(120)에 고정되도록 결합된다. 그래서, 마운팅서포트(120)가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 픽스블록(210)은 마운팅서포트(120)와 함께 동일 방향으로 회전된다. 특히, 마운팅서포트(120)의 하측과 픽스블록(210)은 슬리브(212)에 의해 결합된다.
이때, 마운팅서포트(120)의 하측과 픽스블록(210)은 슬리브(212)에 의해 설정거리만큼 유격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로터리블록(220)은 픽스블록(210)에 적층된 채 마운팅서포트(1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로터리블록(220)은 픽스블록(210)과 마운팅서포트(120)의 하측 사이에 배치되어, 픽스블록(210)의 상측에 단순 접촉하도록 적층된다. 아울러, 로터리블록(220)은 슬리브(212)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그래서, 로터리블록(220)은 로터리블록(220)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특히, 픽스블록(210)은 평면상 단방향(b)의 길이가 채널(112)의 상부 개방측(113)에서 이웃하게 배치되는 플랜지(114) 사이의 간격보다 짧게 형성되고, 평면상 장방향(a)의 길이는 이웃하게 배치되는 플랜지(114) 사이의 간격보다 길게 형성된다.
그래서, 픽스블록(210)은 단방향(b)이 채널(112)의 축 방향에 수직하거나 기울어지게 배치된 상태에서 채널(112)의 개방측(113)으로 삽입되고, 원주 방향으로 회전된 후 장방향(a)이 채널(112)의 축 방향에 일치되게 배치됨으로써 양측 가장자리가 대응되는 플랜지(114)에 걸리게 된다. 이로 인해, 픽스블록(210)은 채널(112)의 개방측(113)으로 이탈 방지된다.
마찬가지로, 로터리블록(220)은 평면상 단방향(d)의 길이가 채널(112)의 상부 개방측(113)에서 이웃하게 배치되는 플랜지(114) 사이의 간격보다 짧게 형성되고, 평면상 장방향(c)의 길이는 이웃하게 배치되는 플랜지(114) 사이의 간격보다 길게 형성된다.
그래서, 로터리블록(220)은 단방향(d)이 채널(112)의 축 방향에 수직하거나 기울어지게 배치된 상태에서 채널(112)의 개방측(113)으로 삽입되고, 원주 방향으로 회전된 후 장방향(c)이 채널(112)의 축 방향에 일치되게 배치됨으로써 양측 가장자리가 대응되는 플랜지(114)에 걸리게 된다. 이로 인해, 로터리블록(220)은 채널(112)의 개방측(113)으로 이탈 방지된다.
픽스블록(210)의 평면상 장방향(a) 길이와 로터리블록(220)의 평면상 장방향(c) 길이는 동일할 수 있고, 픽스블록(210)의 평면상 단방향(c) 길이와 로터리블록(220)의 평면상 단방향(d) 길이는 동일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픽스블록(210)과 로터리블록(220)은 초기에 완전히 포개진다.
물론, 픽스블록(210)과 로터리블록(220)은 채널(112)의 축 방향에 대해 기울어지는 각도에 따라 채널(112)의 개방측(113)으로 삽입될 수 있거나, 또는 플랜지(114)에 걸려 채널(112)의 개방측(113)으로부터 이탈 방지될 수 있다.
픽스블록(210)과 로터리블록(220)은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한편, 구속부(230)는 마운팅서포트(120)에 의해 픽스블록(210)의 원주 방향 회전시, 이에 연동되어 로터리블록(220)을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속하는 역할을 한다.
이로 인해, 로터리블록(220)이 이웃한 플랜지(114)의 하측에 걸림으로써, 픽스블록(210)과 로터리블록(220)은 덕트(110)의 개방측(113)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됨에 따라 덕트(110)의 채널(112)에 위치 고정된다.
이때, 픽스블록(210)은 채널(112)의 바닥면에 밀착되고, 로터리블록(220)은 플랜지(114) 각각의 하측면에 밀착됨으로써, 마운팅서포트(120)는 덕트(110)의 설정 위치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특히, 구속부(230)는 함몰홈부(231), 가이드핀(232), 제 1경사면부(233) 및 제 2경사면부(234)를 포함한다.
함몰홈부(231)는 로터리블록(220)의 표면에 원주 방향으로 호 궤적을 따라 함몰 형성된다. 상세히, 함몰홈부(231)는 적층된 픽스블록(210)의 상측면을 향하는 로터리블록(220)의 하측면에 함몰 형성된다. 이때, 함몰홈부(231)의 개수는 한정하지 않고, 편의상 2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그리고, 가이드핀(232)은 함몰홈부(231) 각각에 대응되도록 픽스블록(210)에 돌출 형성된다. 그래서, 로터리블록(220)이 픽스블록(210)에 적층시, 가이드핀(232)은 대응되는 함몰홈부(231)에 수용된다.
이에 따라, 마운팅서포트(120)의 일방향 회전으로, 픽스블록(210)이 일방향으로 회전시, 가이드핀(232)은 대응되는 함몰홈부(231)를 따라 이동된다.
특히, 픽스블록(210)과 로터리블록(220)이 완전히 포개지는 초기에, 가이드핀(232)은 대응되는 함몰홈부(231)의 일측 가장자리에 배치되거나, 함몰홈부(231)의 일측 내면에 접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픽스블록(210)이 일방향으로 회전으로, 가이드핀(232)이 대응되는 함몰홈부(231)의 타측 내면에 접하게 되면, 로터리블록(220)은 픽스블록(210)에 연동되어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래서, 로터리블록(220)은 평면상 장방향(c)의 양측 가장자리가 대응되는 플랜지(114)의 하측에 배치된다.
이때, 로터리블록(220)은 장방향(c)의 양측 가장자리에 걸림턱부(224)를 상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한다. 걸림턱부(224)가 대응되는 플랜지(114)의 하부 내측에 배치됨으로써, 로터리블록(220)은 장방향(c)의 양측 가장자리가 플랜지(114)의 외측으로 임의적으로 이탈 방지된다. 특히, 플랜지(114)는 걸림턱부(224)를 하부 내측에 수용하도록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경사면부(233)는 픽스블록(210)의 상측면 또는 테두리에 호 궤적을 따라 점차적으로 높이가 상승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세히, 제 1경사면부(233)는 로터리블록(220)의 하측면을 향하는 픽스블록(210)의 상측면 또는 테두리에 형성된다. 이때, 제 1경사면은 로터리블록(220)을 연동하여 회전 안내하기 위해 픽스블록(210)이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방향을 따라 점차적으로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물론, 제 1경사면부(233)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고, 형성되는 개수에 한정하지 않는다.
아울러, 제 2경사면부(234)는 로터리블록(220)에 제 1경사면부(233)와 대칭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로터리블록(220)이 픽스블록(210)에 적층시, 제 2경사면부(234)는 대응되는 제 1경사면부(233)에 면접되게 배치된다. 이때, 로터리블록(220)과 픽스블록(210)이 완전히 겹쳐지는 초기 상태에서, 제 1경사면부(233)의 최상 높이 부위는 제 2경사면부(234)의 최하 높이 부위에 접하고, 제 1경사면부(233)의 최하 높이 부위는 제 2경사면부(234)의 최상 높이 부위에 접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스블록(210)이 일방향으로 대략 90도 정도 회전시, 로터리블록(220)이 이에 연동되어 일방향으로 대략 90도 정도 회전된다. 이때, 로터리블록(220)은 픽스블록(210)에 면접되게 적층된 상태를 유지한 채 걸림턱부(224)가 대응되는 플랜지(114)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 후,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핀(232)이 대응되는 함몰홈부(231)의 타측 내면에 접하여 로터리블록(220)이 픽스블록(210)에 연동되어 동일 방향으로 더 회전시, 제 2경사면부(234)가 제 1경사면부(233)를 따라 이동됨에 따라, 로터리블록(220)과 픽스블록(210)의 간격이 증가한다.
그래서, 제 1경사면과 제 2경사면이 상호 지지된 채, 픽스블록(210)은 덕트(110)의 바닥면에 밀착됨과 동시에, 로터리블록(220)은 플랜지(114)의 하측면에 밀착된다. 이로 인해, 마운팅서포트(120)는 간단한 회전 구조를 통해 덕트(11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특히. 픽스블록(210)의 평면상 평면상 단방향(c) 길이와 로터리블록(220)의 평면상 단방향(d) 길이가 덕트(110)의 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완전히 포개지도록 적층된 픽스블록(210)과 로터리블록(220)은 덕트(110)의 개방측(113)으로 삽입된 후 채널(112) 내부에서 위치 설정이 용이하게 된다.
아울러, 마운팅서포트(120)가 덕트(110)에 고정된 상태에서 타방향으로 회전시, 로터리블록(220)은 타방향으로 회전되는 픽스블록(210)에 연동되어 동일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걸림턱부(224)가 플랜지(114)로부터 이탈된다. 그래서, 마운팅서포트(120)는 덕트(11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된다.
특히, 대응되는 함몰훔보와 가이드핀(232), 및 대응되는 제 1경사면부(233)와 제 2경사면부(234)는 픽스블록(210)과 로터리블록(220) 각각에 대응되게 형성되면 된다.
또한, 픽스블록(210)은 덕트(110) 내부에서 초기에 일방향으로 회전시 채널(112) 내측면과 간섭을 줄이기 위해 해당 모서리에 제 1곡률부(216)를 형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로터리블록(220)은 덕트(110) 내부에서 초기에 일방향으로 회전시 채널(112) 내측면과 간섭을 줄이기 위해 해당 모서리에 제 2곡률부(226)를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걸림턱부(224)도 해당 위치에 제 2곡률부(226)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픽스블록(210)은 로터리블록(220)에 대해 초기에 일방향으로 회전이 허용되는 반면, 타방향으로 회전이 불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구속부(230)는 스토핑핀(235) 및 스토핑턱부(236)를 포함한다.
스토핑핀(235)은 로터리블록(220)의 픽스블록(210)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때, 스토핑핀(235)은 개수에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스토핑턱부(236)는 스토핑핀(235)에 대응되도록 픽스블록(210)에 형성된다.
이때, 픽스블록(210)과 로터리블록(220)이 완전히 겹쳐진 초기에, 가이드핀(232)은 대응되는 함몰홈부(231)의 일측 내면에 접하게 되고, 스토핑핀(235)이 스토핑턱부(236)에 접하게 위치한다.
그래서, 픽스블록(210)이 초기에 설정된 일방향이 아닌 타방향으로 회전력이 작용시, 스토핑핀(235)이 스토핑턱부(236)에 걸림으로써, 픽스블록(210)은 초기에 타방향으로 회전이 방지된다.
물론, 픽스블록(210)이 초기에 일방향으로 회전시, 스토핑턱부(236)는 스토핑핀(235)에 간섭받지 않고 픽스블록(210)의 일방향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마운팅서포트(120)는 덕트(11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위치로서 파티션 또는 선반을 지지하는 서포트빔(122), 및 픽스블록(210)과 로터리블록(220)을 연결하는 커넥터(124)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리브(212)는 일측이 커넥터(124)와 결합되고, 타측이 픽스블록(210)과 결합된다.
서포트빔(122)은 억지 끼움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커넥터(124)에 결속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픽스블록(210)과 로터리블록(220)이 마모나 변형시, 마운팅서포트(120)는 부분 교체가 가능함에 따라, 유지 보수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물론, 서포트빔(122) 및 커넥터(124)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조립장치 110: 덕트
112: 채널 113: 개방측
114: 플랜지 120: 마운팅서포트
122: 서포트빔 124: 커넥터
200: 끼움조립부 210: 픽스블록
212: 슬리브 220: 로터리블록
224: 걸림턱부 230: 구속부
231: 함몰홈부 232: 가이드핀
233: 제 1경사면부 234: 제 2경사면부
235: 스토핑핀 236: 스토핑턱부

Claims (6)

  1. 축 방향을 따라 내부에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채널의 상측 테두리 또는 내측면에서 내부 방향으로 플랜지를 연장 형성한 덕트; 상기 덕트의 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채널에 설치되는 마운팅서포트; 및 상기 마운팅서포트를 상기 채널의 내측 바닥면과 상기 플랜지에 걸쳐 끼움 조립하는 끼움조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끼움조립부는, 상기 마운팅서포트에 고정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마운팅서포트와 함께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는 픽스블록; 상기 픽스블록에 적층된 채 상기 마운팅서포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로터리블록; 및 상기 마운팅서포트에 의해 상기 픽스블록의 원주 방향 회전시, 연동되어 상기 로터리블록을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플랜지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상기 덕트의 상측 이탈을 방지하면서 상기 픽스블록과 상기 로터리블록을 상기 덕트 내부에 위치 고정하는 구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속부는, 상기 로터리블록의 상기 픽스블록을 향하는 표면에 원주 방향으로 호 궤적을 따라 함몰 형성되는 함몰홈부; 및
    상기 픽스블록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함몰홈부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로터리블록을 상기 픽스블록의 원주 방향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 유도하여, 상기 로터리블록의 양측 가장자리가 대응되는 상기 플랜지에 걸리도록 하는 가이드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블록과 상기 로터리블록은 평면상 단방향의 길이는 상기 플랜지 사이의 간격보다 짧게 형성되고, 평면상 장방향의 길이는 상기 플랜지 사이의 간격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는,
    상기 픽스블록의 상기 로터리블록을 향하는 표면에 원주 방향으로 호 궤적을 따라 점차적으로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 1경사면부; 및
    상기 로터리블록에 상기 제 1경사면부와 대칭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픽스블록에 대해 상기 로터리블록이 원주 방향 회전시, 상기 로터리블록과 상기 픽스블록의 간격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로터리블록과 상기 픽스블록을 상기 덕트의 바닥면과 상기 플랜지 사이에 고정하기 위한 제 2경사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2경사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는,
    상기 로터리블록의 상기 픽스블록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스토핑핀; 및
    초기에 상기 함몰홈부의 내부 일측에 상기 가이드핀이 접한 상태에서, 상기 스토핑핀에 걸림으로써 상기 픽스블록의 설정된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픽스블록에 형성되는 스토핑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장치.
KR1020170023799A 2017-02-22 2017-02-22 조립장치 KR101795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799A KR101795018B1 (ko) 2017-02-22 2017-02-22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799A KR101795018B1 (ko) 2017-02-22 2017-02-22 조립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5018B1 true KR101795018B1 (ko) 2017-11-07

Family

ID=60385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3799A KR101795018B1 (ko) 2017-02-22 2017-02-22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501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0195B1 (ko) 2011-03-03 2011-12-06 박충호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의자 자동절첩장치
KR101532296B1 (ko) * 2014-10-24 2015-06-29 오션테크주식회사 채널 연결용 스프링 너트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공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0195B1 (ko) 2011-03-03 2011-12-06 박충호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의자 자동절첩장치
KR101532296B1 (ko) * 2014-10-24 2015-06-29 오션테크주식회사 채널 연결용 스프링 너트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공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6604B1 (en) Recessed low voltage mounting assembly
US10700501B2 (en) Adjustable mud ring assembly
AU2013312802B2 (en) Welding system with lifting mechanism and enclosure
US20110290625A1 (en) Universal Box System
RU2504620C2 (ru) Шарнирный узел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ее дорожное смотр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US10538913B2 (en) Connection assembly for an architectural structure
TW201314097A (zh) 夾持機構
US10670241B2 (en) Lamp installation component
KR101795018B1 (ko) 조립장치
US6469904B1 (en) Housing for computer components
US8324516B1 (en) Rapid mount electrical cable entry device with flexible slotted insert
US10680395B2 (en) Universal power interface system and methods to use the same
JP6196288B2 (ja) ケーブルキャリア用リンク結合構造
US9797581B2 (en) Lamp
US8769777B2 (en) Pipe clamping device
US9097008B2 (en) Screen base
CN103717812A (zh) 框架结构件
US20150219296A1 (en) One piece led module with rotatable face
KR102000601B1 (ko) 가림판의 설치장치
KR20190000492U (ko) 배관 고정 장치
JP2019044412A (ja) パイプ抱持バンド取付具およびその組み立て方法
US20230065728A1 (en) Wall plate assembly
EP4095427B1 (en) Embedded mounting bracket and camera assembly comprising same
JP4244144B2 (ja) 部材取付構造
JP7530571B2 (ja) 装柱バン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