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2034B1 - 디자인 가변형 가구 - Google Patents

디자인 가변형 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2034B1
KR101542034B1 KR1020150026702A KR20150026702A KR101542034B1 KR 101542034 B1 KR101542034 B1 KR 101542034B1 KR 1020150026702 A KR1020150026702 A KR 1020150026702A KR 20150026702 A KR20150026702 A KR 20150026702A KR 101542034 B1 KR101542034 B1 KR 101542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urniture
design
fixed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6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형
Original Assignee
김기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형 filed Critical 김기형
Priority to KR1020150026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20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2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2034B1/ko
Priority to PCT/KR2016/001680 priority patent/WO201613716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2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made of metal only
    • A47B47/03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made of metal only with panels separate from the fra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4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made mainly of wood or plastics

Abstract

본 발명은 디자인 가변형 가구에 관한 것으로, 틀체인 가구프레임; 상기 가구프레임 속으로 삽입되며, 수납기능을 갖도록 일측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이 폐쇄된 가구본체; 상기 가구프레임 속으로 삽입되었을 때 상기 가구본체의 외표면과 가구프레임의 외표면이 갖는 가구프레임 두께만큼의 단차로 인한 공간속에 억지끼워져 상기 가구본체의 개방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 중 적어도 한 면에 고정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을 포함한 가구본체의 나머지 면 중 적어도 한 면 이상을 장식하는 디자인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가변형 가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구는 가구의 측판 등 디자인이 표현된 부분을 원하는 무늬와 색상으로 쉽게 교체할 수 있어 분위기 쇄신에 기여하고, 디자인 변경시 빼고 끼기만 하면 되므로 비용이 들지 않고, 해체 및 조립도 쉽게 할 수 있으며, 원하는 디자인으로 얼마든지 교체 가능하기 때문에 실내 인테리어에 효과적이다.

Description

디자인 가변형 가구{Furniture that can change the design}
본 발명은 디자인 가변형 이중 가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강도의 외곽틀을 이용하여 쉽게 파손되지 않으면서도, 프레임만 남겨 놓은 채 상판은 물론 측판을 필요에 따라 자유롭고 쉽게 바꾸어 사용할 수 있는 디자인 가변형 이중 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는 다양한 수납기능을 수행하는 가정용품 중 하나이면서 실내 인테리어의 중요한 기능을 담당한다.
이러한 가구는 다수의 서랍이 출몰가능하게 구비되는 서랍장을 비롯하여, TV, 비디오 등을 올려 놓는 탁자나 받침장, 이불이나 옷을 수납하는 장롱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이와 같은 대부분의 가구들은 처음 구입했을때부터 사용이 다할 때 까지 정해진 어느 한가지 모양 및 형상으로 존재하게 되므로 가구 사용자의 취양에 따른 선택의 폭이 매우 제한적이며, 인테리어 측면에서도 바람직하지 못하여 장식장을 포함한 가구들의 디자인을 바꿔 분위기 쇄신을 꾀해보려 해도 가구 자체를 바꾸지 않는 한 페인트를 다시 칠하거나 일부 보수하는 정도 외에는 사용자가 변형할 수 있는 것은 하나도 없다.
이에, 가구도 변화를 꾀할 수 있도록 가변형 가구들이 개시되고 있으며, 일 예로 등록특허 제1398961호(2014.05.19), '디자인 가변이 용이한 친환경소재의 조립식 수납가구'가 있는데, 이는 수납박스를 조립식으로 분해 조립가능하게 하여 전체 외관 디자인을 가변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때문에, 상기 등록특허 제1398961호의 경우에는 특정 가구, 즉 수납장이나 장식장 등에 한정되고, 서랍식이어야만 하므로 변화의 폭이 좁고 변화를 주기도 애매하여 실효성이 많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다른 예로, 등록특허 제0250973호(2000.01.10), '가구용 외장패널 및 그의 가변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등록특허 제0250973호의 경우에는 마치 사진틀에서 사진을 잡아주고 교체할 때 틀의 뒷부분에 막아 두었던 고정대를 제거하고 사진을 교체할 수 있는 고정대 고정구조이기 때문에 매우 조잡하고, 가구에 적용시 미감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적용할 수 있는 대상도 협소하여 이또한 실용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대부분의 가구는 별도의 틀체없이 목재를 합판하거나 혹은 짜 맞춰 제작하고 있기 때문에 이사 등 가구를 옮길 때 파손되기 쉽고, 옮기는 도중 간섭체와의 충돌에 의해 가구 비틀림(틀어짐), 스크래치 손상이 많아 값비산 가구를 쓰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도 많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고강도의 가구프레임을 사용하여 단단하고 쉽게 파손되지 않으면서도, 가구프레임과 가구본체를 서로 분리하고, 교체하기 쉽도록 가구본체를 가구프레임 내부에 끼운 후 별도의 고정부재로 억지끼움식으로 눌러 고정함으로써 언제든지 누구라도 쉽고 편리하게 원하는 무늬나 디자인으로 교체사용할 수 있어 실내 인테리어 기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디자인 가변형 이중 가구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내부에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서랍장 또는 수납장을 포함하는 수납공간, 및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된 물건이 입출입되는 일측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이 폐쇄된 케이스를 포함하는 가구본체; 상기 가구본체의 물건이 입출입되는 일측면과 접하는 개방면, 및 상기 개방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과 접하는 폐쇄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가구본체가 밀어넣어져서 고정되는 틀체인 가구프레임; 상기 가구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폐쇄면의 내측 둘레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판상의 고정판, 및 상기 고정판의 가장자리에 부착되어 상기 가구프레임의 내면과 접하는 고정틀을 포함하되, 상기 가구본체의 외표면과 가구프레임의 외표면이 갖는 가구프레임 두께의 단차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며, 상기 폐쇄면에 억지끼워져서 가구본체와 결합되어져서 상기 가구본체가 가구프레임에서 유동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부;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폐쇄면의 외부에 부착되는 디자인판;을 포함하며, 가구본체의 외부에 고정부 또는 디자인판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부착된 가구프레임을 결합되는 이중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가변형 가구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가구프레임의 노출된 표면에는 그림, 글씨, 문양, 양각, 음각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이 가미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가구프레임은 철재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구본체는 목재로 이루어진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가구프레임은 목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구본체는 상기 가구프레임을 구성하는 목재보다 무른 목재로 이루어진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아울러, 상기 디자인판은 억지끼움 고정되거나 혹은 볼트나 나사체결 혹은 접착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고정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가구프레임은 기둥프레임과,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기둥프레임의 상단에는 상부접속부가 형성되고, 상기 기둥프레임의 하단에는 하부접속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접속부에는 상부요홈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하부접속부에는 하부요홈이 요입 형성되며,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단면에는 상기 상부요홈에 억지끼움되는 상부돌기가 돌출되고,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단면에는 상기 하부요홈에 억지끼움되는 하부돌기가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구프레임은 기둥프레임과,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을 포함하되, 상부프레임의 하단면에는 상부홈(122)을 요입형성하고, 하부프레임(130)의 상단면에는 하부홈(132)을 요입형성한 다음 상기 기둥프레임(110)의 상단과 하단을 각각 상기 상부홈(122)과 하부홈(132)에 억지끼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구프레임은 기둥프레임인 제1프레임과, 수평방향 프레임인 제2,3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3개의 프레임들이 서로 접하는 각 모서리를 앵글로 연결 고정하되, 상기 앵글이 접속되는 각 프레임 표면에는 상기 앵글이 안착될 수 있도록 앵글의 두께만큼 앵글홈이 요입 형성되고, 볼트 혹은 나사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구프레임은 기둥프레임인 제1프레임과, 수평방향 프레임인 제2,3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제1프레임의 상단면 및 하단면에는 돌출된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제2프레임의 양단에는 'ㄷ' 형상의 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슬릿을 상하로 관통하여 프레임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3프레임의 양단에는 상기 슬릿에 삽입되는 끼움편이 돌출되며, 상기 끼움편에는 상기 프레임고정공과 동일함은 물론 상기 끼움돌기가 끼워지는 돌기끼움공이 상하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구는 가구의 측판 등 디자인이 표현된 부분을 원하는 무늬와 색상으로 쉽게 교체할 수 있어 분위기 쇄신에 기여한다.
또한, 디자인 변경시 빼고 끼기만 하면 되므로 비용이 들지 않고, 해체 및 조립도 쉽게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원하는 디자인으로 얼마든지 교체 가능하기 때문에 실내 인테리어에 효과적이다.
무엇보다도, 외곽 틀이 고강도 재질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사 등 가구를 옮길 때 파손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인 가변형 가구의 예시적인 부분 분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인 가변형 가구의 예시적인 조립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인 가변형 가구의 조립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인 가변형 가구를 구성하는 가구프레임을 제조할 때 변형가능한 여러가지 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인 가변형 가구는 가구프레임(100)을 포함한다.
상기 가구프레임(100)은 경질의 재료, 바람직하기로는 철재 혹은 금속재로 된 사각형상의 강관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국한되지 않고 후술되는 가구본체(200) 보다 강도와 경도가 높은 목재여도 무방하다.
때문에, 이사 등 가구를 옮길 때 파손되지 않고, 가구가 망가지지 않아 못쓰게되는 염려를 일소시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가구프레임(100)의 노출면, 즉 가구본체(200)가 삽입되어 설치되었을 때 실내에서 사람들이 볼 수 있도록 배치되는 면에는 다양한 형상의 디자인, 이를 테면 그림, 글씨, 문양 등이 새겨지거나 혹은 전사되거나 인쇄되거나 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꾸며질 수 있다.
가구프레임(100)은 가구본체(200)의 물건이 입출입되는 일측면과 접하는 개방면(101), 및 상기 개방면(201)을 제외한 나머지 면과 접하는 폐쇄면(102)으로 구성된다.
예컨대, 도 1에서는 'T'로 표시된 부분이 노출면이 된다.
그리고, 상기 가구본체(200)는 판상의 목재를 서로 조립하여 내부에 서랍장이나 수납장과 같은 수납공간(S)을 갖도록 조립된 수납기능을 갖는 부재이다.
이를 위해, 상기 가구본체(200)는 수납공간(S)에 수납된 물건이 입출입되는 일방, 즉 전방이 개방되고 나머지는 밀폐된 형태의 케이스를 가짐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가구본체(200)의 수납공간(S) 양측면에는 서랍장의 경우 슬라이드가이드(미도시)가 고정되어 다수의 서랍이 인출입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랍의 인출입은 당연히 개방된 부분을 통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가구본체(200)의 수납공간(S)은 서랍장 외에도 단순히 여러 칸으로 구획되어 옷을 비롯한 양말, 속옷 등을 보관할 수 있는 수납장으로 사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그 이외의 기능을 갖도록 변형될 수 있고, 크기를 크게 하면 장롱이 되기도 한다.
한편, 상기 가구본체(200)의 고정은 도 2의 예시와 같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구본체(200)는 가구프레임(100)에 완전히 삽입될 수 있도록 치수가공되어 조립된 것이므로 가구본체(200)를 가구프레임(100) 내부로 밀어 넣게 되면 쏙 들어가게 된다.
이때, 최초 가구본체(200) 고정을 위해 지지목 등을 바닥에 깔고 높이를 맞춘 후 작업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목은 가구프레임(100)이 바닥 빈 공간 상에 배치될 수 있고, 가구본체(200)를 가구프레임(100)에 끼운 상태에서 가구본체(200)의 위치를 수평하게 잡는다.
그러면, 가구프레임(100)의 전면을 제외한 나머지 5면인 폐쇄면은 도 2의 예시와 같이, 가구본체(200)를 구성하는 판(측판, 상판, 하판 등)에 의해 막힌 상태가 되고, 판면과 가구프레임(100)의 바깥면 사이에는 거의 가구프레임(100)의 두께에 해당하는 단차(D)가 생기게 된다.
따라서, 고정부(300')를 가구프레임(100)의 상부, 즉 가구본체(200)의 상판에 접하도록 눌러 끼우되, 억지끼움되게 고정하면 상판 부분은 견고히 고정된다.
고정부(300')는 상기 가구프레임(100)에 의해 형성되는 폐쇄면(202)의 내측 둘레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판상의 고정판(310), 및 상기 고정판(310)의 가장자리에 부착되어 상기 가구프레임의 내면과 접하는 고정틀(30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가구프레임(100)은 강도와 경도가 높은 재질, 바람직하기로는 철재나 금속재로 되어 있기 때문에 나무판재인 고정부(300')를 조금 크게 만들어 눌러 끼워도 가구프레임(100)은 변형되지 않으며, 대신 고정부(300')는 억지끼움 형식이므로 쉽게 빠지지 않고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상판 고정이 완료되면, 뒤집어 하판을 동일한 방식으로 고정한다.
여기에서, 상기 고정부(300')는 상기 가구본체(200)의 개방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면 된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상면 또는 하면에 고정부(300')가 설치되는 것이 좋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대향하는 두 면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부(300')가 상면, 즉 상판과 하면, 즉 하판에 설치된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 고정부(300')는 상기 단차(D) 보다 작은 두께를 갖도록 하면 속으로 쏙 들어가기 때문에 외부에서 보이지 않아 미감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판과 하판을 고정부(300')로 고정하게 되면 가구본체(200)는 유동없이 견고히 고정되므로 이후 양측면을 마감하는 디자인판(320)을 고정하면 된다.
이때, 상기 디자인판(320)은 상기 고정부(300')처럼 억지끼움 방식으로 고정할 수도 있지만, 주로 외관 디자인을 표출하는 부분이므로 목재인 가구본체(200)의 양 측판 상에 볼트나 나사체결되게 구성하면 더욱 더 쉽고 빠른 교체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디자인판(320)은 다양한 문양과 모양, 형태로 디자인될 수 있으며, 언제든지 교체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필요한 경우, 견고한 고정성을 원할 경우에는 가구본체(200)의 양 측판 상에 접착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상기 디자인판(320)은 상기 고정부(300')의 상부에도 부착할 수 있고, 고정부(300')가 없는 부분에만 부착할 수도 있으며, 고정부(300')를 포함한 모든 면에도 부착할 수 있는데, 이는 선택적인 사항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양 측판에 부착된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아울러, 상기 가구프레임(100)은 단면이 사각형상으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억지끼움되는 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이 라운드 가공될 수 있고, 그 이외의 미려한 디자인을 갖는 형상으로 변형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덧붙여, 상술한 설명에서는 가구본체(200)의 상판과 하판에 고정부(300')를 먼저 고정한 다음 디자인판(320)을 나중에 고정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것은 바람직한 일 예에 따른 예시적인 설명일 뿐 양측 디자인판(320)을 고정부(300')와 동일한 구조로 먼저 고정한 후 상,하판에 고정되는 고정부(300')를 나중에 고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후, 도 3과 같이, 서랍(400)을 달면 서랍장이 되는 것이고, 구획하면 옷장이 되는 것인 바, 이는 사용자의 선택에 맞게 설계 변형가능한 범위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인 가변형 가구는 인테리어 기능을 대폭 증대시킨 것으로서, 사용자가 식상함으로부터 쉽게 벗어날 수 있고, 교체에 따른 비용도 저렴하여 다양한 인테리어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빼고 박기만 하면 쉽게 교체되나, 가구프레임(100)은 워낙 강도가 좋기 때문에 가구프레임(100)이 손상되지는 않기 때문에 안전하게 교체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구성 중 가구프레임(100)를 제작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은 여러가지 형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구프레임(100)은 기둥프레임(110)과, 상기 기둥프레임(110)의 상단에 마련되는 상부접속부(112) 및 하단에 마련되는 하부접속부(114)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접속부(112)에는 상부프레임(120)이 접속되고, 상기 하부접속부(114)에는 하부프레임(130)이 접속되어 하나의 틀체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접속부(112)에는 상부요홈(112a)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하부접속부(114)에는 하부요홈(114a)이 요입형성되며, 상기 상부프레임(120)의 하단면에는 상기 상부요홈(112a)에 삽입고정되는 상부돌기(112b)가 돌출되고, 상기 하부프레임(130)의 상단면에는 상기 하부요홈(114a)에 삽입고정되는 하부돌기(114b)가 돌출된다.
이에 더하여, 고정안정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상기 기둥프레임(110)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플랜지를 더 구비한 후 상부프레임(120)과 하부프레임(130) 각각에 볼트 또는 나사 체결되는 고정방식이 병행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프레임(120)의 하단면에 상부홈(122)을 요입형성하고, 하부프레임(130)의 상단면에는 하부홈(132)을 요입형성한 다음 기둥프레임(110)의 상단과 하단을 각각 상기 상부홈(122)과 하부홈(132)에 끼워 고정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물론, 이 경우에도 플랜지와 볼트 혹은 나사를 이용하여 상부프레임(120)과 기둥프레임(110) 및 기둥프레임(110)과 하부프레임(130)을 더 견고히 체결 고정하는 방식이 병행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도 4의 (a),(b)의 경우 상호간의 조립은 억지끼움식이며, 이에 더하여 상기 상부프레임(120) 및 하부프레임(130)에 각각 수평하게 연결되는 다른 프레임들도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홈과 돌기의 조립구조를 가지면 된다.
또 다른 예로, 도 5의 예시와 같이, 앵글(140)을 이용하여 가구프레임(100)을 구성하는 높이방향 프레임, 즉 기둥프레임인 제1프레임(102)과, 수평방향 프레임인 제2,3프레임(104,106) 이 3개의 프레임들이 서로 접하는 각 모서리를 연결 고정함으로써 틀체를 구성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이때에는, 상기 가구프레임(100)의 앵글(140) 접속면 상에 앵글(140)이 안착될 수 있도록 앵글(140)의 두께만큼 앵글홈(142)이 요입 형성되면 더욱 좋다.
그러면, 앵글(140)이 설치된 후에 앵글(140)이 가구프레임(100)의 표면으로 돌출되지 않고 동일평면을 유지하므로 깔끔한 마무리와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앵글(140)은 볼트 혹은 나사를 통해 조여지도록 앵글(140) 상에는 체결구멍(144)이 다수 형성된다.
또 다른 예로, 도 6의 예시와 같이, 가구프레임(100)이 서로 접하는 각 모서리를 서로 끼워 맞추는 식으로 고정할 수도 있다.
예컨대, 기둥프레임을 구성하는 제1프레임(102)의 상단면 및 하단면에는 돌출된 끼움돌기(DG)가 형성되고, 제2프레임(104)의 양단에는 'ㄷ' 형상의 슬릿(104a)이 형성되며, 상기 슬릿(104a)을 상하로 관통하여 프레임고정공(104b)이 형성되고, 상기 제3프레임(106)의 양단에는 상기 슬릿(104a)에 삽입되는 끼움편(106a)이 돌출되며, 상기 끼움편(106a)에는 상기 프레임고정공(104b)과 동일함은 물론 상기 끼움돌기(DG)가 끼워지는 돌기끼움공(106b)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끼움편(106a)을 상기 슬릿(104a)에 끼워 상기 제1,2프레임(104,106)이 수평상에서 서로 직교되게 배치한 다음 상기 끼움돌기(DG)를 돌기끼움공(106b) 및 프레임고정공(104b)에 동시에 끼워 넣어 상호 끼워 맞춤되게 조립함으로써 틀체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에도, 플랜지 및 볼트나 혹은 나사를 이용한 보조 고정구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호간의 끼움구조는 억지끼움 방식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가구프레임(100)을 다양한 방식으로 제조할 수 있게 되어 비용에 따라 혹은 소비자의 선호도에 따라 용접 등의 방식인 일체형은 물론 분해 조립 가능한 가변형으로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7의 예시와 같이, 가구프레임(100)이 서로 접하는 각 모서리를 서로 끼워 맞추는 형태를 변형할 수도 있다.
예컨대, 기둥프레임을 구성하는 제1프레임(102)의 상단면 및 하단면에는 십자끼움홈(DH)이 형성되고, 제2프레임(104)의 양단에는 'U' 형상의 상부개방홈(104d)이 형성된 상부끼움부(104c)가 돌출되며, 상기 제3프레임(106)의 양단에는 상기 상부개방홈(104d)에 맞끼워져 맞물리는 '∩' 형상의 하부개방홈(106d)이 형성된 하부끼움부(106c)가 돌출 형성되어 상호 맞끼움됨으로써 제2,3프레임(104,106)의 각 단부가 서로 맞물려 고정되고, 그 상태에서 상기 제1프레임(102)의 십자끼움홈(DH)에 안착되는 형태로 끼워짐으로써 도시와 같은 최종 결합구조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변형된 프레임 조립구조를 보면 단순히 끼워 맞추기만 하여도 간단 용이하게 조립고정할 수 있게 된다.
100: 가구프레임 200: 가구본체
300: 고정틀 400: 서랍

Claims (9)

  1. 내부에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서랍장 또는 수납장을 포함하는 수납공간, 및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된 물건이 입출입되는 일측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이 폐쇄된 케이스를 포함하는 가구본체;
    상기 가구본체의 물건이 입출입되는 일측면과 접하는 개방면, 및 상기 개방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과 접하는 폐쇄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가구본체가 밀어넣어져서 고정되는 틀체인 가구프레임;
    상기 가구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폐쇄면의 내측 둘레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판상의 고정판, 및 상기 고정판의 가장자리에 부착되어 상기 가구프레임의 내면과 접하는 고정틀을 포함하되, 상기 가구본체의 외표면과 가구프레임의 외표면이 갖는 가구프레임 두께의 단차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며, 상기 폐쇄면에 억지끼워져서 가구본체와 결합되어져서 상기 가구본체가 가구프레임에서 유동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폐쇄면의 외부에 부착되는 디자인판;을 포함하며,
    가구본체의 외부에 고정부 또는 디자인판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부착된 가구프레임을 결합되는 이중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가변형 가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구프레임의 노출된 표면에는 그림, 글씨, 문양, 양각, 음각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이 가미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가변형 가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구프레임은 철재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구본체는 목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가변형 가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구프레임은 목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구본체는 상기 가구프레임을 구성하는 목재보다 무른 목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가변형 가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자인판은 억지끼움 고정되거나 혹은 볼트나 나사체결 혹은 접착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가변형 가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구프레임은 기둥프레임과,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기둥프레임의 상단에는 상부접속부가 형성되고, 상기 기둥프레임의 하단에는 하부접속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접속부에는 상부요홈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하부접속부에는 하부요홈이 요입 형성되며,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단면에는 상기 상부요홈에 억지끼움되는 상부돌기가 돌출되고,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단면에는 상기 하부요홈에 억지끼움되는 하부돌기가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가변형 가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구프레임은 기둥프레임과,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을 포함하되, 상부프레임의 하단면에는 상부홈(122)을 요입형성하고, 하부프레임(130)의 상단면에는 하부홈(132)을 요입형성한 다음 상기 기둥프레임(110)의 상단과 하단을 각각 상기 상부홈(122)과 하부홈(132)에 억지끼워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가변형 가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구프레임은 기둥프레임인 제1프레임과, 수평방향 프레임인 제2,3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2, 3 프레임들이 서로 접하는 각 모서리를 앵글로 연결 고정하되, 상기 앵글이 접속되는 각 프레임 표면에는 상기 앵글이 안착될 수 있도록 앵글의 두께만큼 앵글홈이 요입 형성되고, 볼트 혹은 나사를 통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가변형 가구.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구프레임은 기둥프레임인 제1프레임과, 수평방향 프레임인 제2,3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제1프레임의 상단면 및 하단면에는 돌출된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제2프레임의 양단에는 'ㄷ' 형상의 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슬릿을 상하로 관통하여 프레임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3프레임의 양단에는 상기 슬릿에 삽입되는 끼움편이 돌출되며, 상기 끼움편에는 상기 프레임고정공과 동일함은 물론 상기 끼움돌기가 끼워지는 돌기끼움공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가변형 가구.
KR1020150026702A 2015-02-25 2015-02-25 디자인 가변형 가구 KR101542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6702A KR101542034B1 (ko) 2015-02-25 2015-02-25 디자인 가변형 가구
PCT/KR2016/001680 WO2016137168A1 (ko) 2015-02-25 2016-02-19 디자인 가변형 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6702A KR101542034B1 (ko) 2015-02-25 2015-02-25 디자인 가변형 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2034B1 true KR101542034B1 (ko) 2015-08-04

Family

ID=53884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6702A KR101542034B1 (ko) 2015-02-25 2015-02-25 디자인 가변형 가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42034B1 (ko)
WO (1) WO201613716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9349B1 (ko) * 2016-06-28 2018-09-17 김기형 모서리가 프레임에 의해 커버되는 가구 및 그 제조방법
KR101959516B1 (ko) 2017-11-30 2019-03-18 주식회사 유일코퍼레이션 다기능성 가변형 가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7319B2 (ja) * 1993-04-15 2000-12-11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磁気記録媒体
JP2013118239A (ja) * 2011-12-02 2013-06-13 Fujitsu Ltd フレームおよびフレーム連結部材
KR200474593Y1 (ko) * 2013-06-07 2014-09-26 김승현 경량 시스템 서랍장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7802B1 (ko) * 2005-08-16 2007-03-02 명창환 조립식 가구의 조립방법
JP3117319U (ja) * 2005-10-03 2006-01-05 可提雅實業有限公司 家具面板の組み合わせ固定構造
KR101359491B1 (ko) * 2006-12-21 2014-02-11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조립식 가구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7319B2 (ja) * 1993-04-15 2000-12-11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磁気記録媒体
JP2013118239A (ja) * 2011-12-02 2013-06-13 Fujitsu Ltd フレームおよびフレーム連結部材
KR200474593Y1 (ko) * 2013-06-07 2014-09-26 김승현 경량 시스템 서랍장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9349B1 (ko) * 2016-06-28 2018-09-17 김기형 모서리가 프레임에 의해 커버되는 가구 및 그 제조방법
KR101959516B1 (ko) 2017-11-30 2019-03-18 주식회사 유일코퍼레이션 다기능성 가변형 가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37168A1 (ko) 2016-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7404B2 (en) Corner fitting
KR101155632B1 (ko) 조립식 수납박스
US20210153653A1 (en) Cabinet
KR101775012B1 (ko) 뒤틀림 방지 기능을 갖는 조립식 가구
KR101542034B1 (ko) 디자인 가변형 가구
JPWO2005095746A1 (ja) パネル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キッチン台
WO2022001692A1 (zh) 可更换门面的冰箱门
KR101899715B1 (ko) 나사못 없는 조립선반
KR100683494B1 (ko) 넉다운 가구
KR20200126187A (ko) 다기능 조립식 가구
KR20200007127A (ko) 조립식 가구의 선반받침조립체
KR20190128807A (ko) 시스템 가구 구조
KR20150088053A (ko) 실내 연출을 위하여 다양한 형태로 조립되는 조립식 수납가구
US20060124038A1 (en) Cabinet for display
KR101792179B1 (ko) 스크린 설치용 클립
KR200431374Y1 (ko) 상판의 양면 사용이 가능한 책상
KR200474158Y1 (ko) 책상기능을 가지는 이동가구
KR20060128674A (ko) 넉다운 가구의 조립구
KR200319069Y1 (ko) 붙박이장용 문짝
KR200222800Y1 (ko) 양면서랍
KR200265806Y1 (ko) 가구용 기둥조립체
KR200281689Y1 (ko) 조립식 장식장
KR200301543Y1 (ko) 조립식 선반
US3236575A (en) Furniture unit with reversible doors
JP2000152832A (ja) 組立ボック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