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912Y1 - 다용도 종이용기 - Google Patents

다용도 종이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912Y1
KR200490912Y1 KR2020180005591U KR20180005591U KR200490912Y1 KR 200490912 Y1 KR200490912 Y1 KR 200490912Y1 KR 2020180005591 U KR2020180005591 U KR 2020180005591U KR 20180005591 U KR20180005591 U KR 20180005591U KR 200490912 Y1 KR200490912 Y1 KR 2004909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ot
partition
pair
paper container
partition wa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55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률
Original Assignee
김용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률 filed Critical 김용률
Priority to KR20201800055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9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9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91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8Partitions
    • B65D5/48002Partitions integral
    • B65D5/48004Squaring, i.e. at least four not aligned compartments
    • B65D5/48012Squaring, i.e. at least four not aligned compartments combined with inserted 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4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with moulded compartments or 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54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 B65D5/5405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for opening 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blank in tubular form
    • B65D5/542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for opening 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blank in tubular form the lines of weakness being provided in the containe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6Hinged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다용도 종이용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종이용기는, 적어도 한 쌍을 구비하며 서로 마주하게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제1 격벽 및 적어도 한 쌍을 구비하며 서로 마주하게 나란하게 배치되며 복수의 상기 제1 격벽과 교차되는 복수의 제2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격벽에는 서로 마주하며 위로 열리고 하부로 갈수록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는 적어도 한 쌍의 제1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격벽에는 서로 마주하며 아래로 열리고 하부로 갈수록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는 적어도 한 쌍의 제2 슬롯이 형성되며, 하부에 배치된 상기 제1 격벽의 상기 제1 슬롯에 상기 제2 격벽의 상기 제2 슬롯이 끼워지고, 상기 제1 격벽과 상기 제2 격벽이 서로 교차되게 결합되어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슬롯의 폭은 상기 제2 격벽의 두께보다 2배 내지 3배이고, 상기 제2 슬롯의 폭은 상기 제1 격벽의 두께보다 2배 내지 3배로 설정되며, 복수의 상기 제1 격벽과 복수의 상기 제2 격벽이 결합된 상태로 상기 제1 슬롯 및 상기 제2 슬롯을 지나는 축으로 회전하여, 복수의 상기 제1 격벽과 복수의 상기 제2 격벽이 서로 중첩되어 평평해 질 수 있다.

Description

다용도 종이용기{Multipurpose paper container}
본 고안은 다용도 종이용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히, 본 고안은, 사용 시에는 개별적으로 제품을 담는 용기와 더불어 칸막이 역할을 할 수 있는 입체적 구조를 가지며, 비사용 시에는 납작하게 접어서 보관할 수 있는 다용도 종이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이를 이용한 용기는 종이 계란판과 같이 펄프몰드 형태로 사용된다. 그런데, 이러한 펄프몰드 형태의 용기는 비용이 높을 뿐만 아니라 재질로 한정된다. 또한,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입체적인 형태를 그대로 보관하여야 하므로 보관 시에 큰 부피를 차지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박스 내에 주로 간지로 이용되는 종이로 만들어진 칸막이는, 사용 시에는 펴서 입체적 구조를 만들고, 비사용 시에서 넉다운 시켜서 평평하게 보관하는 장점이 있으나, 용기로서는 전혀 기능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본 고안은, 보관 시에는 평평하게 하고, 사용 시에는 개별적으로 제품을 담는 용기와 더불어 칸막이 역할을 할 수 있는 입체적 구조를 가지는 다용도 종이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한 쌍을 구비하며, 서로 마주하게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제1 격벽 및 적어도 한 쌍을 구비하며, 서로 마주하게 나란하게 배치되며, 복수의 상기 제1 격벽과 교차되는 복수의 제2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격벽에는, 서로 마주하며 위로 열리고, 하부로 갈수록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는 적어도 한 쌍의 제1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격벽에는, 서로 마주하며 아래로 열리고, 하부로 갈수록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는 적어도 한 쌍의 제2 슬롯이 형성되며, 하부에 배치된 상기 제1 격벽의 상기 제1 슬롯에 상기 제2 격벽의 상기 제2 슬롯이 끼워지고, 상기 제1 격벽과 상기 제2 격벽이 서로 교차되게 결합되어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슬롯의 폭은 상기 제2 격벽의 두께보다 2배 내지 3배이고, 상기 제2 슬롯의 폭은 상기 제1 격벽의 두께보다 2배 내지 3배로 설정되며, 복수의 상기 제1 격벽과 복수의 상기 제2 격벽이 결합된 상태로, 상기 제1 슬롯 및 상기 제2 슬롯을 지나는 축으로 회전하여, 복수의 상기 제1 격벽과 복수의 상기 제2 격벽이 서로 중첩되어 평평해 지는 다용도 종이용기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제품의 지지하여 담는 용기와 더불어 제품을 개별적으로 나누는 칸막이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다.
또한, 보관 시에는 넉다운으로 평평하게 되어 보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다양한 공간을 설정하고, 공간이 설정된 용기 별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종이재질로 용기를 제작할 수 있어서, 제조 비용 및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덮개를 추가하여 이동성 및 물품 보관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종이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종이용기를 나타낸 평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종이용기 제1 격벽 및 제2 격벽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종이용기의 일부분을 확대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종이용기의 넉다운을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종이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종이용기를 나타낸 측면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종이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종이용기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종이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종이용기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종이용기 제1 격벽 및 제2 격벽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종이용기의 일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종이용기의 넉다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종이용기는, 적어도 한 쌍의 제1 격벽(10a, 10b, 10c, 10d, 10e, 10f) 및 적어도 한 쌍의 제2 격벽(20a, 20b, 20c, 20d, 20e, 20f)을 포함하여 서로 교차하는 구조를 가지고, 제1 격벽(10a, 10b, 10c, 10d, 10e, 10f)의 제1 슬롯(12)과 제2 격벽(20a, 20b, 20c, 20d, 20e, 20f)의 제2 슬롯(22)이 서로 끼워지고 제1 슬롯(12) 및 제2 슬롯(22)을 지나는 축으로 회전하여 평평하게 넉다운(knock down)되는 구조를 가진다.
제1 격벽(10a, 10b, 10c, 10d, 10e, 10f)은 한 쌍이 한 세트로 한 쌍 이상이 구비된다. 각 쌍의 제1 격벽(10a-10b, 10c-10d, 10e-10f)은 서로 마주하게 배치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격벽(10a, 10b, 10c, 10d, 10e, 10f)에는 한 쌍이 짝을 이루어 서로 마주하며 위로 열린 구조를 가지는 제1 슬롯(12)이 형성된다. 한 쌍의 제1 슬롯(12)은 하부로 갈수록 슬롯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진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제1 슬롯(12) 사이에는, 상부가 넓고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제1 내벽부(14)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역삼각형의 윗부분과 비슷하게, 위로 넓어지는 제1 내벽부(14)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내벽부(14)는 수용공간(S)의 벽의 일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격벽(10a, 10b, 10c, 10d, 10e, 10f)에 복수의 쌍의 제1 슬롯(12)이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격벽(20a, 20b, 20c, 20d, 20e, 20f)은 한 쌍이 한 세트로 한 쌍 이상이 구비된다. 각 쌍의 제2 격벽(20a-20b, 20c-20d, 20e-20f)은 서로 마주하게 배치된다. 이 때, 제2 격벽(20a, 20b, 20c, 20d, 20e, 20f)은 제1 격벽(10a, 10b, 10c, 10d, 10e, 10f)과 교차되게 결합된다.
도 4을 참조하면, 제2 격벽(20a, 20b, 20c, 20d, 20e, 20f)에는 한 쌍이 짝을 이루어 서로 마주하며 아래로 열린 구조를 가지는 제2 슬롯(22)이 형성된다. 한 쌍의 제2 슬롯(22)은 하부로 갈수록 슬롯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진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제2 슬롯(22) 사이에는, 상부가 넓고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제2 내벽부(24)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역삼각형의 아래 부분과 비슷하게 아래로 뾰족해지는 제2 내벽부(24)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 내벽부(24)는 수용공간(S)의 벽의 일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격벽(20a, 20b, 20c, 20d, 20e, 20f)에 복수의 쌍의 제2 슬롯(22)이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용기를 위한 입체적 구조를 형성하기 위하여, 제1 격벽(10a, 10b, 10c, 10d, 10e, 10f)은 아래에 배치되고, 제1 격벽(10a, 10b, 10c, 10d, 10e, 10f) 위에 제2 격벽(20a, 20b, 20c, 20d, 20e, 20f)이 교차되어 결합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격벽(10a, 10b, 10c, 10d, 10e, 10f)의 제1 슬롯(12)에 제2 격벽(20a, 20b, 20c, 20d, 20e, 20f)의 제2 슬롯(22)이 끼워지고, 제1 격벽(10a, 10b, 10c, 10d, 10e, 10f)과 제2 격벽(20a, 20b, 20c, 20d, 20e, 20f)으로 공간이 분할된다. 이 때, 제1 슬롯(12) 및 제2 슬롯(22)의 경사 구조에 의해, 분할된 공간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복수의 수용공간(S)이 된다. 이에 따라, 각 수용공간(S)에 위쪽에서 제품을 담을 수 있고, 제1 내벽부(14) 및 제2 내벽부(24)에 의해 제품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종이용기는, 제품의 지지하여 담는 용기와 더불어 제품을 개별적으로 나누는 칸막이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종이용기는, 보관 시에는 넉다운으로 평평하게 되어 보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슬롯(12)의 폭은 제2 격벽(20a, 20b, 20c, 20d, 20e, 20f)의 두께보다 2배 이상이고, 제2 슬롯(22)의 폭은 제1 격벽(10a, 10b, 10c, 10d, 10e, 10f) 의 두께보다 2배 이상으로 설정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의 조건에서 복수의 제1 격벽(10a, 10b, 10c, 10d, 10e, 10f)과 복수의 제2 격벽(20a, 20b, 20c, 20d, 20e, 20f)이 결합된 상태에서도, 제1 슬롯(12) 및 제2 슬롯(22)을 지나는 축으로 제1 격벽(10a, 10b, 10c, 10d, 10e, 10f)과 제2 격벽(20a, 20b, 20c, 20d, 20e, 20f)이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제1 격벽(10a, 10b, 10c, 10d, 10e, 10f)과 복수의 제2 격벽(20a, 20b, 20c, 20d, 20e, 20f)이 서로 중첩되어 평평해 지는 넉다운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 슬롯에서 격벽이 지나치게 유격을 가지지 않도록, 제1 슬롯(12)의 폭은 제2 격벽(20a, 20b, 20c, 20d, 20e, 20f) 두께의 3배 이내이고, 제2 슬롯(22)의 폭은 제1 격벽(10a, 10b, 10c, 10d, 10e, 10f) 두께의 3배 이내로 설정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 슬롯(12)의 제1 단부면(13)은 제1 슬롯(12)의 길이방향과 직각으로 형성되고, 제2 슬롯(22)의 제2 단부면(23)은 제2 슬롯(22)의 길이방향과 직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격벽(10a, 10b, 10c, 10d, 10e, 10f)과 제2 격벽(20a, 20b, 20c, 20d, 20e, 20f)이 제1 슬롯(12) 및 제2 슬롯(22)을 지나는 축으로 회전할 때에, 제1 단부면(13)과 제2 단부면(23)은 서로 평행하게 만나는 상태로 미끄러지게 되어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내벽부(14)에서, 한 쌍의 제1 슬롯(12)과 만나는 양쪽 모서리에는 테이퍼(15)가 형성될 수 있다. 테이퍼(15)는 회전할 때에 제1 내벽부(14)의 모서리가 제2 격벽(20a, 20b, 20c, 20d, 20e, 20f)과 충돌하여 회전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한 쌍의 제2 슬롯(22)과 다른 쌍의 제2 슬롯(22) 사이에는, 상부가 넓고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제2 중간벽부(26)가 형성되고, 제2 중간벽부(26)에도 한 쌍의 제2 슬롯(22)과 만나는 양쪽 모서리에 테이퍼(27)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한 쌍의 제1 슬롯(12)과 다른 쌍의 제1 슬롯(12) 사이에는, 상부가 좁고 하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제1 중간벽부(16)가 형성할 수 있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제1 중간벽부(16)는 한 쌍이 모여서 수용공간(S) 밖의 외벽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수용공간(S)은 더욱 견고한 구조로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단단하지 않은 다양한 종이재질로 용기를 제작할 수 있어서, 제조 비용 및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종이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제1 격벽(110) 또는 제2 격벽(120)에 여분의 제1 슬롯(112a) 또는 제2 슬롯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여분의 슬롯을 고려하여 제1 격벽(110) 또는 제2 격벽(120)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잡을 수 있어서 수용공간(S)의 크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종이용기를 나타낸 측면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격벽(210) 또는 제2 격벽에는, 복수의 수용공간(S)을 나누고 분할하는 절취선(218)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중간벽부(216) 중 일부에 절취선(218)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용공간(S)이 필요한 수에 따라 제1 격벽(210) 또는 제2 격벽을 잘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여분의 슬롯과 절취선을 이용하여, 필요에 따라 다양한 수용공간(S)을 설정하고 분리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종이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1 격벽(310a, 310b) 또는 제2 격벽(320a, 320b)에는, 수용공간(S)을 덮는 덮개부(328a, 328b)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제2 격벽(320a, 320b)에 각각 마주하여 연장된 탭을 형성하고, 한 쌍의 탭을 접어서 덮개부(328a, 328b)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용기에 덮개를 추가하여 이동성 및 물품 보관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a, 10b, 10c, 10d, 10e, 10f, 110, 210, 310a, 310b: 제1 격벽
12, 112, 112a, 212: 제1 슬롯
13: 제1 단부면
14, 214: 제1 내벽부
15: 테이퍼
16, 216: 제1 중간벽부
20a, 20b, 20c, 20d, 20e, 20f, 120, 220, 320a, 320b: 제2 격벽
22: 제2 슬롯
23: 제2 단부면
24: 제2 내벽부
26: 제2 중간벽부
27: 테이퍼
218: 절취선
328a, 328b: 덮개부

Claims (6)

  1. 적어도 한 쌍을 구비하며, 서로 마주하게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제1 격벽; 및
    적어도 한 쌍을 구비하며, 서로 마주하게 나란하게 배치되며, 복수의 상기 제1 격벽과 교차되는 복수의 제2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격벽에는, 서로 마주하며 위로 열리고, 하부로 갈수록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는 적어도 한 쌍의 제1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격벽에는, 서로 마주하며 아래로 열리고, 하부로 갈수록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는 적어도 한 쌍의 제2 슬롯이 형성되며,
    하부에 배치된 상기 제1 격벽의 상기 제1 슬롯에 상기 제2 격벽의 상기 제2 슬롯이 끼워지고, 상기 제1 격벽과 상기 제2 격벽이 서로 교차되게 결합되어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슬롯의 폭은 상기 제2 격벽의 두께보다 2배 내지 3배이고, 상기 제2 슬롯의 폭은 상기 제1 격벽의 두께보다 2배 내지 3배로 설정되며,
    복수의 상기 제1 격벽과 복수의 상기 제2 격벽이 결합된 상태로, 상기 제1 슬롯 및 상기 제2 슬롯을 지나는 축으로 회전하여, 복수의 상기 제1 격벽과 복수의 상기 제2 격벽이 서로 중첩되어 평평해 지는 다용도 종이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롯의 제1 단부면은 상기 제1 슬롯의 길이방향과 직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슬롯의 제2 단부면은 상기 제2 슬롯의 길이방향과 직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격벽과 상기 제2 격벽이 상기 제1 슬롯 및 상기 제2 슬롯을 지나는 축으로 회전할 때에, 상기 제1 단부면과 상기 제2 단부면은 서로 평행하게 만나는 상태로 미끄러지는 다용도 종이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제1 슬롯 사이에는, 상부가 넓고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제1 내벽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내벽부에서, 한 쌍의 상기 제1 슬롯과 만나는 양쪽 모서리에는 테이퍼가 형성된 다용도 종이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제2 슬롯과 다른 쌍의 상기 제2 슬롯 사이에는, 상부가 넓고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제2 중간벽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중간벽부에서, 한 쌍의 상기 제2 슬롯과 만나는 양쪽 모서리에는 테이퍼가 형성된 다용도 종이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격벽 또는 상기 제2 격벽에는, 복수의 상기 수용공간을 나누고 분할하는 절취선이 형성된 다용도 종이용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격벽 또는 상기 제2 격벽에는, 상기 수용공간을 덮는 덮개부가 형성된 다용도 종이용기.
KR2020180005591U 2018-12-04 2018-12-04 다용도 종이용기 KR2004909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591U KR200490912Y1 (ko) 2018-12-04 2018-12-04 다용도 종이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591U KR200490912Y1 (ko) 2018-12-04 2018-12-04 다용도 종이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0912Y1 true KR200490912Y1 (ko) 2020-01-21

Family

ID=69227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5591U KR200490912Y1 (ko) 2018-12-04 2018-12-04 다용도 종이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912Y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23423U (ko) * 1987-01-31 1988-08-11
JPH10101057A (ja) * 1996-10-01 1998-04-21 Lion Corp 箱体の中仕切り構造
JPH10316131A (ja) * 1997-05-14 1998-12-02 Sato Kogyo Kk 包装箱用仕切板と仕切体
JP2001058629A (ja) * 1999-08-20 2001-03-06 Teisutei:Kk 仕切り付き組立式紙箱および仕切り体
US20060086779A1 (en) * 2004-10-26 2006-04-27 Meyer John S Angled wall cell divider set
KR101419177B1 (ko) * 2013-06-07 2014-07-14 강석만 조립식 수납상자 체결장치
JP2014532603A (ja) * 2011-11-08 2014-12-08 アマゾン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バッグ搬送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70107044A1 (en) * 2015-10-15 2017-04-20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Inc. Microwave packaging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23423U (ko) * 1987-01-31 1988-08-11
JPH10101057A (ja) * 1996-10-01 1998-04-21 Lion Corp 箱体の中仕切り構造
JPH10316131A (ja) * 1997-05-14 1998-12-02 Sato Kogyo Kk 包装箱用仕切板と仕切体
JP2001058629A (ja) * 1999-08-20 2001-03-06 Teisutei:Kk 仕切り付き組立式紙箱および仕切り体
US20060086779A1 (en) * 2004-10-26 2006-04-27 Meyer John S Angled wall cell divider set
JP2014532603A (ja) * 2011-11-08 2014-12-08 アマゾン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バッグ搬送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419177B1 (ko) * 2013-06-07 2014-07-14 강석만 조립식 수납상자 체결장치
US20170107044A1 (en) * 2015-10-15 2017-04-20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Inc. Microwave packag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838173A (en) Packing for fragile articles
US3038625A (en) Cell partitions for cartons
KR101686195B1 (ko) 포장박스 및 포장박스의 전개도
US2920782A (en) Carton dividers
US3985285A (en) Collapsible box
KR200490912Y1 (ko) 다용도 종이용기
US2233044A (en) Fragile article support
JP6440442B2 (ja) 青果物パック収納用トレー
US3626494A (en) Partition unit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037428A (en) Box
EP3007985B1 (en) Tray or similar container made of sheet material
US2990945A (en) Cartridge packing means
JP3215851U (ja) 苺パック収納用トレー
US3193092A (en) Wrapping and ribbon display and storage kit
KR200444570Y1 (ko) 간지 일체형 포장상자
US1637299A (en) Box
US794627A (en) Partition for boxes.
JP6604285B2 (ja) トレイ
US669829A (en) Collapsible carrier.
JP6871608B2 (ja) 緩衝仕切り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包装箱
KR200475295Y1 (ko) 피자 박스
JP7229674B2 (ja) 中仕切材
JP2015134636A (ja) 苺パック収納用トレー
JP7064382B2 (ja) 包装用箱
US2243223A (en) Collapsible egg cart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