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6617B1 - 결합식 수납박스 - Google Patents

결합식 수납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6617B1
KR102636617B1 KR1020230023716A KR20230023716A KR102636617B1 KR 102636617 B1 KR102636617 B1 KR 102636617B1 KR 1020230023716 A KR1020230023716 A KR 1020230023716A KR 20230023716 A KR20230023716 A KR 20230023716A KR 102636617 B1 KR102636617 B1 KR 102636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plate
support
coupling
support side
storag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3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진
Original Assignee
(주)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원 filed Critical (주)신원
Priority to KR1020230023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66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6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66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8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65D11/1866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with detachable components
    • B65D11/1873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with detachable components all walls are detached from each other to collapse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20Details of walls made of plastics material
    • B65D11/22Reinforcing for strengthening parts of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1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 B65D21/02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and loosely interengaged by integral complementary sha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결합식 수납박스에 대한 발명으로서, 높이방향으로 적층되어 수납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수납박스에 있어서, 수납박스를 별도로 이동시키지 않고 선택되는 수납박스에서의 물건의 수납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기술에 대한 발명이다.
구체적으로 판형상으로 형성되는 기본판(100);, 서로 마주하며 대향하도록 벽면을 형성하며, 상기 기본판(100)의 외부방향으로 회동되어 하부가 상기 기본판(100)에 끼움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는 지지측판(200);, 상기 지지측판(200)의 직각방향으로 서로 마주하여 대향하도록 벽면을 형성하며, 상기 기본판(100)의 내부방향으로 회동되어 하부가 상기 기본판(100)에 끼움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는 동작측판(300);을 포함하는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결합식 수납박스{Combined Storage Box}
본 발명은 결합식 수납박스에 대한 발명으로서, 높이방향으로 적층되어 수납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수납박스에 있어서, 수납박스를 별도로 이동시키지 않고 선택되는 수납박스에서의 물건의 수납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기술에 대한 발명이다.
선행문헌 001 내지 004는 본 발명과 기술적 관련성이 존재하는 발명이며, 선행문헌 001 내지 선행문헌 004는 물건의 수납 및 인출을 수행할 수 있는 수납박스 기술에 관한 것이다.
선행문헌 001 내지 004는 높이방향으로 적층이 가능한 수납박스 기술에 관련된 것이라는 점에서 본 발명과 유사하나, 본 발명에서 적층된 수납박스의 이동 없이 물건이 수납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지 않다라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KR 10-1212322 B1 (등록일자 2012년 12월 07일) KR 10-2011-0007318 A (공개일자 2011년 01월 24일) KR 20-2006-0000182 U (공개일자 2006년 12월 27일) KR 10-1419177 B1 (등록일자 2014년 07월 07일)
본 발명은 결합식 수납박스에 대한 발명으로서, 높이방향으로 적층되어 수납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수납박스에 있어서, 수납박스를 별도로 이동시키지 않고 선택되는 수납박스에서의 물건의 수납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기술에 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결합식 수납박스에 관한 것으로, 판형상으로 형성되는 기본판(100);, 서로 마주하며 대향하도록 벽면을 형성하며, 상기 기본판(100)의 외부방향으로 회동되어 하부가 상기 기본판(100)에 끼움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는 지지측판(200);, 상기 지지측판(200)의 직각방향으로 서로 마주하여 대향하도록 벽면을 형성하며, 상기 기본판(100)의 내부방향으로 회동되어 하부가 상기 기본판(100)에 끼움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는 동작측판(3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결합식 수납박스에 관한 것으로, 상기 기본판(100)은 상기 지지측판(200)의 하부에 형성되는 지지측판결합부(210)가 끼움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는 지지결합부(110)와, 상기 동작측판(300)의 하부에 형성되는 동작측판결합부(310)가 끼움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는 동작결합부(1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결합식 수납박스에 관한 것으로, 상기 지지결합부(110)는 상기 기본판(100)의 내부 및 외부방향으로의 내부벽면 및 외부벽면을 형성하는 공간인 지지결합공간(111)과, 상기 지지결합공간(111)의 내부벽면으로부터 외부벽면으로 돌출되는 지지결합고정돌기(112)와, 상기 지지결합공간(111)의 외부벽면 상부에 상기 지지결합공간(111)의 직경이 증대되도록 단차지게 형성되는 안착부(11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결합식 수납박스에 관한 것으로, 상기 지지측판결합부(210)는 상기 지지측판(200)의 회동을 통해 상기 지지결합고정돌기(112)의 하부면에 지지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측판고정돌기(211)와, 상기 안착부(113)에 안착되어 지지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이탈방지부(21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결합식 수납박스에 관한 것으로, 상기 동작결합부(120)는 상기 기본판(100)의 내부 및 외부방향으로의 내부벽면 및 외부벽면을 형성하는 공간인 동작결합공간(121)과, 상기 동작결합공간(121)의 외부벽면으로부터 내부벽면으로 돌출되는 동작결합고정돌기(12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결합식 수납박스에 관한 것으로, 상기 동작측판결합부(310)는 상기 동작측판(300)의 회동을 통해 상기 동작결합고정돌기(122)에 끼움결합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은 결합식 수납박스에 관한 것으로, 상기 지지측판(200) 및 동작측판(300)은 서로 결합 가능하게 상기 지지측판(200)에 형성되는 지지측판측면결합부(220)와, 상기 동작측판(300)에 형성되는 동작측판측면결합부(3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결합식 수납박스에 관한 것으로, 상기 지지결합고정돌기(112)는 강재 재질로 형성되는 지지결합강재부(115)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측판고정돌기(211)는 강재 재질로 형성되는 지지측판강재부(215)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결합식 수납박스에 관한 것으로, 상기 기본판(100)은 하부면에 지지측판(200), 동작측판(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높이방향 적층되는 위치를 안내하는 적층안내부(10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여 사용 및 보관이 수월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높이방향으로 적층이 가능하여 공간대비 많은 물건의 수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높이방향으로 다수 적층되어 있더라도 선택되는 수납박스를 이동시킬 필요 없이 물건의 수납 및 인출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결합식 수납박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결합식 수납박스의 다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결합식 수납박스의 결합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 결합식 수납박스의 결합 동작을 나타낸 다른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 기본판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지지결합부와 지지측판결합부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지지결합부와 지지측판결합부의 동작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동작결합부와 동작측판결합부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동작결합부와 동작측판결합부의 동작을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 지지측판측면결합부 및 동작측판측면결합부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 지지측판측면결합부 및 동작측판측면결합부의 개념도.
도 12는 본 발명 지지결합강재부 및 지지측판강재부의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 지지결합강재부 및 지지측판강재부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의 인용번호는 지정번호에 한정하지 않으며, 모든 번호를 인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제시된 구성은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으로 확대될 수 있다. 실시예에 제시된 구성의 하위개념은 직접기재 하지 않아도 내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실시예 1-1) 본 발명은 결합식 수납박스에 관한 것으로, 판형상으로 형성되는 기본판(100);, 서로 마주하며 대향하도록 벽면을 형성하며, 상기 기본판(100)의 외부방향으로 회동되어 하부가 상기 기본판(100)에 끼움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는 지지측판(200);, 상기 지지측판(200)의 직각방향으로 서로 마주하여 대향하도록 벽면을 형성하며, 상기 기본판(100)의 내부방향으로 회동되어 하부가 상기 기본판(100)에 끼움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는 동작측판(300);을 포함한다.
(실시예 1-2) 본 발명은 결합식 수납박스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기본판(100)은 상기 지지측판(200)의 하부에 형성되는 지지측판결합부(210)가 끼움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는 지지결합부(110)와, 상기 동작측판(300)의 하부에 형성되는 동작측판결합부(310)가 끼움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는 동작결합부(120)를 포함한다.
(실시예 1-3) 본 발명은 결합식 수납박스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1-2에 있어서, 상기 지지결합부(110)는 상기 기본판(100)의 내부 및 외부방향으로의 내부벽면 및 외부벽면을 형성하는 공간인 지지결합공간(111)과, 상기 지지결합공간(111)의 내부벽면으로부터 외부벽면으로 돌출되는 지지결합고정돌기(112)와, 상기 지지결합공간(111)의 외부벽면 상부에 상기 지지결합공간(111)의 직경이 증대되도록 단차지게 형성되는 안착부(113)를 포함한다.
(실시예 1-4) 본 발명은 결합식 수납박스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1-3에 있어서, 상기 지지측판결합부(210)는 상기 지지측판(200)의 회동을 통해 상기 지지결합고정돌기(112)의 하부면에 지지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측판고정돌기(211)와, 상기 안착부(113)에 안착되어 지지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이탈방지부(212)를 포함한다.
(실시예 1-5) 본 발명은 결합식 수납박스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1-2에 있어서, 상기 동작결합부(120)는 상기 기본판(100)의 내부 및 외부방향으로의 내부벽면 및 외부벽면을 형성하는 공간인 동작결합공간(121)과, 상기 동작결합공간(121)의 외부벽면으로부터 내부벽면으로 돌출되는 동작결합고정돌기(122)를 포함한다.
(실시예 1-6) 본 발명은 결합식 수납박스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1-5에 있어서, 상기 동작측판결합부(310)는 상기 동작측판(300)의 회동을 통해 상기 동작결합고정돌기(122)에 끼움결합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된 형상의 수납박스로서, 물건의 수납을 위한 물건이 위치하는 기본판(100)과, 수납된 물건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벽면을 형성하는 지지측판(200) 및 동작측판(3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술된 기본판(100), 지지측판(200) 및 동작측판(300)의 결합을 통해 수납박스를 형성할 수 있음과 함께, 반대동작을 통해 분리가 가능하여 보관의 용이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구성을 가진다.
아울러 본 발명은 높이방향으로 적층이 가능하여, 수납박스가 위치하는 공간 대비 수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수납되는 물건의 무게가 상당하거나, 대형창고 등에서의 사용을 위해 다단으로 적층될 경우, 수납박스를 별도로 이동시키지 않고도 선택되는 측판의 분리를 통해 물건의 수납 및 인출동작을 수월하게 할 수 있다.
기본판(100)은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수납되는 물건이 위치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기본판(100)은 벽면을 형성하는 지지측판(200) 및 동작측판(300)과의 결합 또는 분리동작의 용이성과, 제조의 용이성 증대를 위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기본판(100)은 수분 등의 이물질 배출을 위한 기본판배출공(101)을 포함할 수 있다. 기본판배출공(101)은 기본판(100)에 높이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관통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를 통해 수납박스 내부에 수납된 물건 외에 수분, 먼지 등의 이물질을 수월하게 배출할 수 있다. 기본판배출공(101)은 기본판(100)의 사출을 통한 제조 시, 수월한 제조를 위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각형 외에 이물질 배출이 하부로 수월하게 배출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 가능하다.
지지측판(200)은 서로 마주하여 대향하도록 형성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지지측판(200)은 기본판(100)의 내부방향에서 외부방향으로 회동되어 하부가 기본판(100)에 끼움결합 가능하게 형성된다. 즉 지지측판(200)은 기본판(100)의 내부방향에서 외부방향으로 회동되어 기본판(100)에 끼움결합되고, 기본판(100)의 외부방향에서 내부방향으로 회동되는 반대동작을 통해 기본판(100)에서 분리할 수 있다.
동작측판(300)은 지지측판(200)의 직각방향으로 벽면으로 형성하는 구성으로, 지지측판(200)과 마찬가지로 서로 마주하여 대향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동작측판(300)은 기본판(100)의 외부방향에서 내부방향으로 회동되어 하부가 기본판(100)에 끼움결합 가능하게 형성된다. 즉 동작측판(300)은 기본판(100)의 외부방향에서 내부방향으로 회동되어 기본판(100)에 끼움결합되고, 기본판(100)의 내부방향에서 외부방향으로 회동되는 반대동작을 통해 기본판(100)에서 분리할 수 있다.
즉 지지측판(200)은 끼움결합 시, 기본판(100)의 외부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내부방향으로는 수납된 물건에 의해 일정 지지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이 다단으로 적층되는 경우에도 지지측판(200)을 통해 무게를 지탱할 수 있다. 아울러 동작측판(300)은 지지측판(200)과 반대로 기본판(100)의 외부방향으로 분리가 가능하므로, 다단으로 적층된 경우에도 지지측판(200)과 함께 무게를 지탱할 수 있음과 함께, 내부에 수납되는 물건과의 간섭 없이 물건의 수납 또는 인출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결합식 수납박스는 견고하게 무게를 지탱할 수 있도록 기본판(100)의 내부방향에서 외부방향으로 결합되는 지지측판(200)과, 지지측판(200)과 함께 일정 무게를 지탱함과 함께, 물건의 수납 또는 인출을 수행할 수 있는 동작측판(300)을 포함하여 벽면을 형성한다. 이에 지지측판(200)은 동작측판(300)보다 큰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무게의 지지동작과 물건의 수납 및 인출동작을 위한 개폐동작을 모두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기본판(100), 지지측판(200) 및 동작측판(300)은 플라스틱수지 재질로 사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수납박스를 이루는 기본판(100), 지지측판(200) 및 동작측판(300)은 플라스틱수지 재질로 사출되어 형성됨으로써, 높이방향으로 다단으로 적층되더라도 이의 수납된 물건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는 강성을 가짐과 함께, 동일한 강성을 가지는 재질에 비해 무게가 감소되어 사용자의 운반 및 사용이 용이한 효과를 가진다.
또한, 지지측판(200)과 동작측판(300)은 손잡이를 포함한다. 손잡이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을 삽입하여 기본판(100)과 지지측판(200) 및 동작측판(300)과의 결합 및 분리동작을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에 지지되는 역할을 통해 결합된 수납박스의 이동을 도울 수 있다. 물론 손잡이는 상술된 형상 외에, 외부로 돌출된 형상 등 사용자의 손잡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된 본 발명에 따른 결합식 수납박스에 대해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기본판(100)은 지지측판(200)의 하부에 형성되는 지지측판결합부(210)가 끼움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는 지지결합부(110) 및 동작측판(300)의 하부에 형성되는 동작측판결합부(310)가 끼움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는 동작결합부(12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기본판(100)의 지지결합부(110) 및 동작결합부(120)는 이에 결합되는 지지측판결합부(210)와 동작측판결합부(310)에 대응하여 각각 한 쌍으로 형성된다.
이때 기본판(100)에 형성되는 지지결합부(110) 및 동작결합부(120)는 지지측판(200)과 동작측판(300)의 길이에 대응하는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지측판(200)과 동작측판(300)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지지결합부(110) 및 동작결합부(120)는 선택되는 길이를 가지도록 하나로 형성되거나, 적어도 둘 이상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지지측판결합부(210) 및 동작측판결합부(310) 또한 지지측판(200) 및 동착측판(300)의 길이에 대응하여 형성되거나, 선택되는 길이를 가지는 지지결합부(110) 및 동작결합부(120)에 대응하여 선택되는 길이를 가지는 하나로 형성되건, 지지측판(200) 및 동작측판(300)에 적어도 둘 이상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지지결합부(110)는 지지결합공간(111), 지지결합고정돌기(112) 및 안착부(113)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지지결합공간(111)은 기본판(100)의 내부 및 외부방향으로의 내부벽면 및 외부벽면을 형성하는 공간으로서, 이에 끼움결합되기 위한 지지측판결합부(210)가 삽입되어 동작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지지결합고정돌기(112)는 지지결합공간(111)의 내부벽면으로부터 외부벽면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지지결합고정돌기(112)는 하부에 일정 공간을 형성하도록 외부벽면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안착부(113)는 지지결합공간(111)의 외부벽면 상부에 지지결합공간(111)의 직경이 증대되도록 단차지게 형성된다.
상술된 지지결합부(110)에 끼움결합되는 지지측판결합부(210)는 지지측판고정돌기(211) 및 이탈방지부(212)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지지측판고정돌기(211)는 지지측판(200)의 회동을 통해 지지결합고정돌기(112)의 하부면에 지지되어 고정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지지측판고정돌기(211)는 지지측판(200)의 하부로부터 지지결합공간(111)으로 연장됨과 함께, 지지결합고정돌기(112)의 하부면에 지지되도록 절곡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지지측판고정돌기(211)는 지지결합공간(111)으로 삽입되고, 결합을 위해 지지측판(200)이 회동하게 되면 지지결합고정돌기(112)의 하부면에 접촉되어 지지된다.
이탈방지부(212)는 안착부(113)에 안착되어 지지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탈방지부(212)는 지지측판(200)의 회동에 의해 안착부(113)에 안착되어, 기본판(100)의 외부방향 및 하부방향으로 지지측판(200)이 지지되도록 한다. 즉 결합을 위해 지지측판(200)이 기본판(100)의 외부방향으로 회동 시, 지지측판고정돌기(211)가 지지결합고정돌기(112)의 하부면과의 접촉을 지지하여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특히 이탈방지부(212)는 지지측판고정돌기(211)가 지지결합공간(111)으로의 삽입 및 회동을 통해 지지결합고정돌기(112)에 수월하게 끼움결합되기 위해 지지결합공간(11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지지측판고정돌기(211)의 결합력을 보완할 수 있다.
도 8과 도 9를 참조하면, 동작결합부(120)는 동작결합공간(121) 및 동작결합고정돌기(122)를 포함한다.
동작결합공간(121)은 기본판(100)의 내부 및 외부방향으로의 내부벽면 및 외부벽면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이에 끼움결합되기 위한 동작측판결합부(310)가 삽입되어 동작하도록 공간을 제공한다.
동작결합고정돌기(122)는 동작결합공간(121)의 외부벽면으로부터 내부벽면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동작결합고정돌기(122)는 하부에 일정 공간을 형성하도록 동작결합공간(121)의 내부벽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에 결합되는 동착측판결합부(310)는 동작측판(300)의 회동을 통해 동작결합고정돌기(122)에 끼움결합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동작측판결합부(310)는 동작측판(300)의 하부로부터 동작결합공간(121)으로 연장됨과 함께, 동작결합고정돌기(122)를 감싸 끼움결합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동작측판결합부(310)는 동작결합공간(121)에 삽입된 후, 동작측판(300)이 기본판(100)의 외부방향에서 내부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동작결합고정돌기(122)에 끼움결합된다.
아울러, 동작측판결합부(310)는 동작결합공간(121)의 내부벽면 및 바닥면이 맞닿는 모서리영역이 일정 절삭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동작측판결합부(310)가 동자결합공간(121)에서 회동 시, 동작결합공간(121)에서 벽면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동작측판(300)의 결합 및 분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 2-1) 본 발명은 결합식 수납박스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지지측판(200) 및 동작측판(300)은 서로 결합 가능하게 상기 지지측판(200)에 형성되는 지지측판측면결합부(220)와, 상기 동작측판(300)에 형성되는 동작측판측면결합부(320)를 포함한다.
(실시예 2-2) 본 발명은 결합식 수납박스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지지측판측면결합부(220)와 동작측판측면결합부(320)는 서로 맞물려 끼움결합 가능한 요철 형상으로 형성된다.
(실시예 2-3) 본 발명은 결합식 수납박스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지지측판측면결합부(220)는 상기 지지측판(200)의 길이방향 양단에 형성되고, 상기 동작측판측면결합부(320)는 상기 동작측판(300)의 길이방향 양단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측판측면결합부(220)와 동작측판측면결합부(320)가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된다.
(실시예 2-4) 본 발명은 결합식 수납박스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2-3에 있어서, 상기 지지측판(200) 및 동작측판(300)의 길이방향 양단은 서로 마주하는 면적이 증대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실시예 2-5) 본 발명은 결합식 수납박스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2-3에 있어서, 상기 지지측판(200) 및 동작측판(300)의 길이방향 양단은 선택되는 각도를 가지도록 절곡되어 마주하도록 형성된다.
(실시예 2-6) 본 발명은 결합식 수납박스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2-3에 있어서, 상기 지지측판(200) 및 동작측판(300)의 길이방향 양단은 선택되는 곡률을 가지도록 완곡되어 마주하도록 형성된다.
(실시예 2-7) 본 발명은 결합식 수납박스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지지측판(200)은 동작측판(300)의 길이방향 양단에 형성되는 동작측판측면결합부(320)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실시예 2-8) 본 발명은 결합식 수납박스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동작측판(300)은 지지측판(200)의 길이방향 양단에 형성되는 지지측판측면결합부(220)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지지측판(200)은 동작측판(300)의 길이방향 양단에 형성되는 동작측판측면결합부(320)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동작측판(300)은 지지측판(200)의 길이방향 양단에 형성되는 지지측판측면결합부(220)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0과 도 11을 참조하면, 지지측판(200) 및 동작측판(300)은 서로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는 지지측판측면결합부(220)와 동작측판측면결합부(320)를 포함한다. 지지측판(200)과 동작측판(300)은 지지측판측면결합부(220)와 동작측판측면결합부(320)를 통해 서로 반대방향으로의 회동을 통해 기본판(100)과의 결합 및 분리가 이루어지는 서로 간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때 지지측판측면결합부(220)와 동작측판측면결합부(320)는 지지측판(200) 및 동작측판(300)의 길이방향 양단에 서로 맞물려 끼움결합 가능한 요철 형상으로 형성된다. 지지측판측면결합부(220)와 동작측판측면결합부(320)는 서로 맞물리는 요철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서로 간의 결합이 수월할 뿐만 아니라, 동작측판(300)을 기본판(100)에서 분리할 시에도, 지지측판(200)과의 수월한 분리 또한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아울러 지지측판(200)과 동작측판(300)은 회동을 통해 기본판(100)과 결합 및 분리되므로, 지지측판측면결합부(220)와 동작측판측면결합부(320)는 높이방향으로 사선을 가지는 형상의 요철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의 (a)를 참조하면, 지지측판(200) 및 동작측판(300)의 길이방향 양단은 서로 마주하는 면적이 증대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지지측판(200)과 동작측판(300)의 길이방향 양단은 서로 마주하는 면적이 증대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에 따라 직경이 커지는 지지측판측면결합부(220)와 동작측판측면결합부(320)를 통해 서로 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한 하나의 형상으로 지지측판(200)과 동작측판(300)의 길이방향 양단은 서로 사선으로 마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의 (b)를 참조하면, 지지측판(200) 및 동작측판(300)의 길이방향 양단은 선택되는 각도를 가지도록 절곡되어 마주하도록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지측판(200) 및 동작측판(300)의 길이방향 양단은 선택되는 곡률을 가지도록 완곡되어 마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술된 형상을 통해 지지측판(200) 및 동작측판(300)은 지지측판측면결합부(220)와 동작측판측면결합부(320) 간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지지측판(200)과 동작측판(300)이 형성하는 벽면의 모서리를 상술된 형상을 통해 절곡면 또는 완곡면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심미적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지지측판(200) 및 동작측판(300)의 길이방향 양단은 선택되는 각도를 가지도록 절곡되거나, 선택되는 곡률을 가지도록 완곡되어 형성됨과 함께, 지지측판측면결합부(220)와 동작측판측면결합부(320)의 결합력 증대를 위해 면적이 증대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의 (c)를 참조하면, 지지측판(200)은 동작측판(300)의 길이방향 양단에 형성되는 동작측판측면결합부(320)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동작측판(300)은 지지측판(200)의 길이방향 양단에 형성되는 지지측판측면결합부(220)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지지측판(200)이 동작측판(300)의 길이방향 양단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동작측판(300)의 길이방향 양단에 형성되는 동작측판측면결합부(320)와 결합되기 위한 지지측판측면결합부(220)는 동작측판측면결합부(320)와 마주하는 지지측판(200)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반대로 동작측판(300)이 지지측판(200)의 길이방향 양단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지지측판(200)의 길이방향 양단에 형성되는 지지측판측면결합부(220)와 결합되기 위한 동작측판측면결합부(320)는 지지측판측면결합부(220)와 마주하는 동작측판(300)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 3-1) 본 발명은 결합식 수납박스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1-4에 있어서, 상기 지지결합고정돌기(112)는 강재 재질로 형성되는 지지결합강재부(115)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측판고정돌기(211)는 강재 재질로 형성되는 지지측판강재부(215)를 포함한다.
(실시예 3-2) 본 발명은 결합식 수납박스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지지결합강재부(115) 및 지지측판강재부(215)는 상기 지지결합고정돌기(112)와 지지측판고정돌기(211)가 맞닿는 위치에 형성된다.
(실시예 3-3) 본 발명은 결합식 수납박스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3-2에 있어서, 상기 지지결합강재부(115)는 상기 기본판(100)의 내부방향으로 선택되는 길이를 가지도록 연장되어 형성된다.
(실시예 3-4) 본 발명은 결합식 수납박스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3-3에 있어서, 상기 지지결합강재부(115)는 내부에 관통된 형상인 지지결합강재부사출공을 포함한다.
(실시예 3-5) 본 발명은 결합식 수납박스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3-2에 있어서, 상기 지지측판강재부(215)는 상기 지지측판고정돌기(211)로부터 상기 지지측판(200)의 높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실시예 3-6) 본 발명은 결합식 수납박스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3-5에 있어서, 지지측판강재부(215)는 높이방향 끝단이 절곡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실시예 3-7) 본 발명은 결합식 수납박스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3-5에 있어서, 상기 지지측판강재부(215)는 내부에 관통된 형상인 지지측판강재부사출공을 포함한다.
도 12와 도 13을 참조하면, 서로 끼움결합되는 지지결합고정돌기(112) 및 지지측판고정돌기(211)는 강재 재질로 형성되는 지지결합강재부(115) 및 지지측판강재부(215)를 포함한다.
즉 플라스틱수지 재질로 사출되어 형성되는 구성에 있어서, 서로 끼움결합되어 지지측판(200)이 벽면을 이루도록 하는 지지결합고정돌기(112)와 지지측판고정돌기(211)는 결합 및 분리의 반복동작에 따른 마찰에 의해 손상되거나 파손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측판(200)에 있어서, 기지결합고정돌기(112)와 지지측판고정돌기(211)가 끼움결합된 상태에서 상당한 하중을 받게 되면 이 또한 손상되거나 파손될 우려가 있다.
이를 위해 지지결합고정돌기(112)와 지지측판고정돌기(211)는 플라스틱수지 재질보다 강도가 높은 강재 재질로 형성되는 지지결합강재부(115)와 지지측판강재부(215)를 포함하여 상술된 우려를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지지결합강재부(115)와 지지측판강재부(215)는 상술된 우려를 방지하기 위해 지지결합고정돌기(112)와 지지측판고정돌기(211)가 맞닿는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하중의 지지동작과, 결합 및 분리의 반복 동작에 따른 마찰에 의해 지지결합고정돌기(112)와 지지측판고정돌기(211)의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지지결합강재부(115)는 기본판(100)의 내부방향으로 선택되는 길이를 가지도록 연장되어 형성된다. 즉 지지결합강재부(115)는 강재 재질로 형성되므로, 플라스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지지결합고정돌기(112)를 포함하는 기본판(100)과의 결합력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특히 지지결합강재부(115)를 지지결합고정돌기(112) 중 지지측판고정돌기(211)와 맞닿는 영역에만 위치시켜 플라스틱수지 재질을 사출하여 기본판(100)을 형성할 경우, 지지되어야 할 하중과, 결합 및 분리동작에 따른 지속적인 마찰에 의해 지지결합강재부(115)가 기본판(100)으로부터 이탈할 우려가 있다. 이를 위해 지지결합강재부(115)는 기본판(100)의 내부방향으로 선택되는 길이를 가지도록 연장되어 형성됨으로써, 지지결합강재부(115)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지지결합강재부(115)는 지지결합고정돌기(112)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술된 효과를 위해 지지측판고정돌기(211)와 맞닿는 면에 형성되나, 기본판(100)의 내부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우, 기본판(100)과의 결합력 증대를 위해 기본판(10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지지결합강재부(115)는 기본판(100)과의 결합력 증대를 위해, 관통된 형상인 지지결합강재부사출공을 포함한다. 즉 지지결합강재부(115)는 강재 재질로 위치한 상태에서 플라스틱수지를 사출하여 기본판(100)을 형성하게 되고, 지지결합강재부사출공을 통해 사출되는 플라스틱수지를 통해 지지결합강재부(115)의 위치를 견고히 할 수 있다.
지지측판강재부(215)는 지지결합강재부(115)와 동일한 효과를 위해 지지측판고정돌기(211)로부터 지지측판(200)의 높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지지측판강재부(215) 또한 지지결합고정돌기(112)와 맞닿는 위치에 형성되되, 지지측판(200)의 높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우, 지지측판(200)과의 결합력 증대를 위해 지지측판(20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측판강재부(215)는 연장된 높이방향 끝단이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지지측판강재부(215)는 지지측판(200) 내에서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지지측판(200)과의 견고한 결합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측판강재부(215)는 상술된 지지결합강재부(115)의 지지결합강재부사출공과 동일한 효과를 위해 관통된 형상인 지지측판강재부사출공을 포함한다. 지지측판강재부(215)는 지지측판강재부사출공을 통해 사출되는 플라스틱수지가 위치되도록 하여 지지측판(200)과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술된 지지결합강재부(115)의 지지결합강재부사출공과 지지측판강재부(215)의 지지측판강재부사출공은 플라스틱수지가 사출되어 유동이 수월하다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수납된 물건의 무게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지지측판(200)은 지지결합고정돌기(112)에 형성되는 지지결합강재부(115)와, 지지측판고정돌기(211)에 형성되는 지지측판강재부(215)를 통해, 기본판(100)과 결합되는 결합부위에서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는 플라스틱수지 재질로만 형성된 결합부위보다 더 높은 강성을 가져 수납박스에 수납되는 물건의 무게 제한을 감소시켜 다양한 무게 및 특징을 가지는 물건의 수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더 많은 다단으로 적층시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물론 동작측판(300)의 동작결합고정돌기(122)와 동작측판결합부(310에도 강재 재질의 보강부를 적용 가능하나, 동작측판(300)의 경우 다단으로 적층된 수납박스에서의 물건을 수납 및 인출하기 위한 결합 및 분리 시, 상부에 적층된 수납박스와의 간섭 없이 수월한 동작을 위해서는 일정한 탄성을 가져야 한다. 그러므로 탄성이 적은 강재 재질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동작측판(300)의 결합 및 분리동작에 따른 공간의 확보와 수월한 동작이 가능한지를 고려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4-1) 본 발명은 결합식 수납박스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기본판(100)은 하부면에 지지측판(200), 동작측판(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높이방향 적층되는 위치를 안내하는 적층안내부(102)를 포함한다.
(실시예 4-2) 본 발명은 결합식 수납박스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적층안내부는 지지측판(200), 동작측판(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내측면과 접하도록 형성된다.
(실시예 4-3) 본 발명은 결합식 수납박스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적층안내부는 하부로 돌출되는 돌기 형상으로 형성된다.
(실시예 4-4) 본 발명은 결합식 수납박스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기본판(100)은 하부면에 지지측판(200)이 삽입되어 높이방향 적층되는 위치를 안내하는 적층안내부를 포함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결합식 수납박스는 높이방향으로 적층되어 공간대비 수납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이때 기본판(100)은 하부면에 지지측판(200), 동작측판(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높이방향 적층되는 위치를 안내하는 적층안내부(102)를 포함한다.
도 5를 참고하면, 적층안내부(102)는 지지측판(200), 동작측판(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내측면과 접하도록 형성된다. 상술된 구성을 통해 지지측판(200) 및 동작측판(300)의 적층위치를 안내함과 함께, 기본판(100)의 외부방향으로 분리되는 동작측판(300)에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적층안내부(102)는 지지측판(200) 및 동작측판(300)의 위치 및 형상을 고려하여 하나의 레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지지측판(200) 및 동작측판(300)의 내측면과 접하도록 형성되어 적층위치를 안내함과 함께, 동작측판(300)의 동작 및 내부에 수납된 물건의 위치에 방해되지 않는다면 서로 이격되는 막대 형상 등 다영한 형상으로 형성 가능함은 물론이다.
아울러 적층안내부는 하부로 돌출되는 돌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적층안내부는 다수 돌출되는 돌기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지지측판(200)과 동작측판(300)의 적층위치를 최소한으로 안내함과 더불어, 동작측판(300)의 결합 및 분리동작에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적층안내부는 지지측판(200)의 상부가 결합되는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측판(200)은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적층안내부에 삽입 가능함으로써, 수납박스를 높이방향으로 적층 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한 적층이 가능하게 한다. 다만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적층안내부는 동작측판(300)의 결합 및 분리동작에 간섭되므로, 지지측판(200)만 삽입되어 안내할 수 있으며, 동작측판(300)과 접하는 영역의 경우 동작측판(300)이 외부방향으로 분리되는 동작에 방해되지 않도록 외부면이 절삭된 형상이거나, 지지측판(200)이 삽입된 높이만큼 삭제된 형상이어야 한다.
100 : 기본판
101 : 기본판배출공 102 : 적층안내부
110 : 지지결합부 111 : 지지결합공간
112 : 지지결합고정돌기 113 : 안착부
115 : 지지결합강재부 120 : 동작결합부
121 : 동작결합공간 122 : 동작결합고정돌기
200 : 지지측판
210 : 지지측판결합부 211 : 지지측판고정돌기
212 : 이탈방지부 215 : 지지측판강재부
220 : 지지측판측면결합부
300 : 동작측판
310 : 동작측판결합부
320 : 동작측판측면결합부

Claims (9)

  1. 판형상으로 형성되는 기본판(100);
    서로 마주하며 대향하도록 벽면을 형성하며, 상기 기본판(100)의 외부방향으로 회동되어 하부가 상기 기본판(100)에 끼움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는 지지측판(200);
    상기 지지측판(200)의 직각방향으로 서로 마주하여 대향하도록 벽면을 형성하며, 상기 기본판(100)의 내부방향으로 회동되어 하부가 상기 기본판(100)에 끼움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는 동작측판(300);을 포함하고,
    상기 기본판(100)은, 상기 지지측판(200)의 하부에 형성되는 지지측판결합부(210)가 끼움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는 지지결합부(110)와, 상기 동작측판(300)의 하부에 형성되는 동작측판결합부(310)가 끼움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는 동작결합부(120)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결합부(110)는, 상기 기본판(100)의 내부 및 외부방향으로의 내부벽면 및 외부벽면을 형성하는 공간인 지지결합공간(111)과, 상기 지지결합공간(111)의 내부벽면으로부터 외부벽면으로 돌출되는 지지결합고정돌기(112)와, 상기 지지결합공간(111)의 외부벽면상부에 상기 지지결합공간(111)의 직경이 증대되도록 단차지게 형성되는 안착부(113)를 포함하는 결합식 수납박스.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측판결합부(210)는
    상기 지지측판(200)의 회동을 통해 상기 지지결합고정돌기(112)의 하부면에 지지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측판고정돌기(211)와, 상기 안착부(113)에 안착되어 지지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이탈방지부(212)를 포함하는 결합식 수납박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결합부(120)는
    상기 기본판(100)의 내부 및 외부방향으로의 내부벽면 및 외부벽면을 형성하는 공간인 동작결합공간(121)과, 상기 동작결합공간(121)의 외부벽면으로부터 내부벽면으로 돌출되는 동작결합고정돌기(122)를 포함하는 결합식 수납박스.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측판결합부(310)는
    상기 동작측판(300)의 회동을 통해 상기 동작결합고정돌기(122)에 끼움결합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결합식 수납박스.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측판(200) 및 동작측판(300)은
    서로 결합 가능하게 상기 지지측판(200)에 형성되는 지지측판측면결합부(220)와, 상기 동작측판(300)에 형성되는 동작측판측면결합부(320)를 포함하는 결합식 수납박스.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결합고정돌기(112)는 강재 재질로 형성되는 지지결합강재부(115)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측판고정돌기(211)는 강재 재질로 형성되는 지지측판강재부(215)를 포함하는 결합식 수납박스.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판(100)은
    하부면에 지지측판(200), 동작측판(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높이방향 적층되는 위치를 안내하는 적층안내부(102)를 포함하는 결합식 수납박스.
KR1020230023716A 2023-02-22 2023-02-22 결합식 수납박스 KR102636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3716A KR102636617B1 (ko) 2023-02-22 2023-02-22 결합식 수납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3716A KR102636617B1 (ko) 2023-02-22 2023-02-22 결합식 수납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6617B1 true KR102636617B1 (ko) 2024-02-14

Family

ID=89896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3716A KR102636617B1 (ko) 2023-02-22 2023-02-22 결합식 수납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661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2714A (ko) * 2002-07-12 2002-07-29 화산정공 주식회사 접철식 운반상자
KR200395104Y1 (ko) * 2005-06-14 2005-09-07 주식회사진양테크 접철식 상자
KR20060000182U (ko) 2006-12-06 2006-12-27 서희원 조립식 수납상자
KR20110007318A (ko) 2009-07-16 2011-01-24 한동열 조립식 수납박스
KR101212322B1 (ko) 2012-04-13 2012-12-13 지한상 다단으로 적층이 가능한 조립식 수납박스
KR101419177B1 (ko) 2013-06-07 2014-07-14 강석만 조립식 수납상자 체결장치
KR102227544B1 (ko) * 2020-10-06 2021-03-12 (주) 씨밀렉스코리아 리빙 박스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2714A (ko) * 2002-07-12 2002-07-29 화산정공 주식회사 접철식 운반상자
KR200395104Y1 (ko) * 2005-06-14 2005-09-07 주식회사진양테크 접철식 상자
KR20060000182U (ko) 2006-12-06 2006-12-27 서희원 조립식 수납상자
KR20110007318A (ko) 2009-07-16 2011-01-24 한동열 조립식 수납박스
KR101212322B1 (ko) 2012-04-13 2012-12-13 지한상 다단으로 적층이 가능한 조립식 수납박스
KR101419177B1 (ko) 2013-06-07 2014-07-14 강석만 조립식 수납상자 체결장치
KR102227544B1 (ko) * 2020-10-06 2021-03-12 (주) 씨밀렉스코리아 리빙 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72897B2 (en) Transport container
US4428487A (en) Dual side wall locking attachment for trays to vertical legs in sectional display rack
US4947992A (en) Storage and/or transportation case
US5823376A (en) Nestable crate for beverage bottles
KR20180111968A (ko) 물품 수납 케이스
US20080116100A1 (en) Bakery tray
EP2655203B1 (en) Hybrid shipping container
US8584858B2 (en) Packing reinforcement member
KR102636617B1 (ko) 결합식 수납박스
CA2070476A1 (en) Storage crate for hanging file folders
KR200441019Y1 (ko) 서랍형 수납장
KR102208458B1 (ko) 포장용기의 덮개 결합구조체
KR102043567B1 (ko) 연결 사용이 가능한 다목적 수납함
JP2000085773A (ja) 運搬用容器
CN210503570U (zh) 一种新型塑料储物箱
JPH07148040A (ja) 組立式引出しボックス
CN211996624U (zh) 一种可堆叠的运输篮
KR102265264B1 (ko) 다목적 박스
CN203767233U (zh) 一种用于堆放货物的塑料托盘
JP4118410B2 (ja) 運搬用容器
CN219635726U (zh) 一种收纳容器
KR200262144Y1 (ko) 식품저장용기의 손잡이 구조
CN220077011U (zh) 一种易堆叠运输的塑料托盘
USD977670S1 (en) Grid box for high-capacity storage
KR102557640B1 (ko) 포장용 박스 지지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