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5264B1 - 다목적 박스 - Google Patents

다목적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5264B1
KR102265264B1 KR1020190170766A KR20190170766A KR102265264B1 KR 102265264 B1 KR102265264 B1 KR 102265264B1 KR 1020190170766 A KR1020190170766 A KR 1020190170766A KR 20190170766 A KR20190170766 A KR 20190170766A KR 102265264 B1 KR102265264 B1 KR 102265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rpose box
box
length
width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0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0258A (ko
Inventor
민병걸
Original Assignee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10000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2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5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5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07Linkable independent elements with the same or similar cross-section
    • A47B87/008Rectangular cabinets or racks in a side-by-side arrange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91Modular arrangements of similar assemblies of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4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made mainly of wood or plastics
    • A47B47/047Modular arrangements of similar assemblies of ele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 개의 측면을 포함하는 다목적 박스에 있어서, 제1 가로길이와, 제1 세로길이와, 제1 폭을 가지고 형성되는 제1 측면; 제1 가로길이 또는 제2 가로길이와, 제1 세로길이와, 제1 폭을 가지고 형성되는 제2 측면; 상기 제1 측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측면에 대향하게 배치되는 제3 측면; 및 상기 제2 측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측면에 대향하게 배치되는 제4 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측면과 제3 측면의 각 모서리에는 상기 제1 폭의 두 배의 길이를 가진 제3 가로길이와, 제2 세로길이를 가진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측면과 제4 측면의 각 모서리에는 상기 제1 폭과 동일한 길이를 가진 제4 가로길이와, 제2 세로길이를 가진 체결돌기가 형성되는 다목적 박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다목적 박스{MULTI-PURPOSE BOX}
본 발명은 구조가 개선된 다목적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박스는 내부공간에 각종 사물을 수납하기 위한 것으로 일측 또는 양측이 개방된 수납체를 의미한다.
이러한 박스는 종이, 목재, 금속 등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견고한 적층 구조를 가진 박스가 다수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5-0003681호(발명의 명칭: 조립식 가구)는 복수 개의 박스가 적층될 수 있는 구조를 게재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박스는 적층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일 방향의 적층만 가능하기 때문에, 공간별 또는 용도별로 적층 구조를 가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단일 박스는 상호 간에 견고하게 적층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지 아니하여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일 박스로서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면서, 개구부가 여러 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다목적 박스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수 개의 다목적 박스를 적층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다목적 박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네 개의 측면을 포함하는 다목적 박스에 있어서, 제1 가로길이와, 제1 세로길이와, 제1 폭을 가지고 형성되는 제1 측면; 제1 가로길이 또는 제2 가로길이와, 제1 세로길이와, 제1 폭을 가지고 형성되는 제2 측면; 상기 제1 측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측면에 대향하게 배치되는 제3 측면; 및 상기 제2 측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측면에 대향하게 배치되는 제4 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측면과 제3 측면의 각 모서리에는 상기 제1 폭의 두 배의 길이를 가진 제3 가로길이와, 제2 세로길이를 가진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측면과 제4 측면의 각 모서리에는 상기 제1 폭과 동일한 길이를 가진 제4 가로길이와, 제2 세로길이를 가진 체결돌기가 형성되는 다목적 박스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측면 내지 제4 측면의 상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대향 측면에는 각각 그립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측면 내지 제4 측면은 각각 요철부가 형성되어 핑거조인트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목적 박스의 일측면을 폐쇄하도록 상기 다목적 박스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제2 세로길이보다 높은 높이에 배치되는 바닥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목적 박스의 개구면(상측면)이 전방을 향하여 적층되었을 때, 최외각에서 상호 이격된 제2 측면 또는 최외각에서 상호 이격된 제4 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강도보강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다목적 박스와 제2 다목적 박스의 이격 배치가 가능하고 제3 다목적 박스가 상기 제1 다목적 박스와 상기 제2 다목적 박스 사이에 적층 가능하되, 상기 제3 다목적 박스의 제2 측면에 형성된 체결돌기가 제1 다목적 박스의 제3 측면에 형성된 체결홈에 삽입 가능하고, 상기 제3 다목적 박스의 제4 측면에 형성된 체결돌기가 상기 제2 다목적 박스의 제3 측면에 형성된 체결홈에 삽입 가능하다.
또한, 제1 다목적 박스 상에 제2 다목적 박스의 배치가 가능하되, 상기 제2 다목적 박스의 제2 측면의 하측변이 상기 제1 다목적 박스의 제1 측면 및 제3 측면의 상측변에 위치한 체결홈에 삽입 가능하고, 상기 제2 다목적 박스의 제4 측면의 하측변이 상기 제1 다목적 박스의 제4 측면의 상측변을 덮도록 배치 가능하다.
또한, 제1 다목적 박스와 제2 다목적 박스의 이격 배치가 가능하고 제3 다목적 박스가 상기 제1 다목적 박스와 상기 제2 다목적 박스 사이에 적층 가능하되, 상기 제3 다목적 박스의 제2 측면의 하측변이 제1 다목적 박스의 제1 측면 및 제3 측면의 상측변에 위치한 체결홈 중 제4 측면에 인접한 체결홈에 삽입 가능하고, 상기 제3 다목적 박스의 제4 측면의 하측변이 제2 다목적 박스의 제1 측면 및 제3 측면의 상측변에 위치한 체결홈 중 제2 측면에 인접한 체결홈에 삽입 가능하다.
본 발명은 체결홈과 체결돌기가 모서리에 형성된 구조를 포함하여 공간과 용도에 따라 여러 방향으로 견고하게 적층할 수 있는 다목적 박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박스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을 하측에서 바라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박스를 제1 측면 또는 제3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박스를 제2 측면 또는 제4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박스의 개구부가 측면으로 배치되도록 적층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박스의 개구부가 상측면으로 배치되도록 적층한 제1 예에 대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박스의 개구부가 상측면으로 배치되도록 적층한 제2 예에 대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박스의 개구부가 상측면으로 배치되도록 적층한 제3 예에 대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당업자가 이해하는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다만, 이하에 기술될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박스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을 하측에서 바라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박스를 제1 측면 또는 제3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박스를 제2 측면 또는 제4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박스의 개구부가 측면으로 배치되도록 적층한 도면이며,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박스의 개구부가 상측면으로 배치되도록 적층한 다양한 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박스(100)는 크게 제1 측면(110), 제2 측면(120), 제3 측면(130) 및 제4 측면(140), 즉 네 개의 측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닥면(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110)은 제1 가로길이(h1)와, 제1 세로길이(v1)와, 제1 폭(w1)을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가로길이는 지면과 수평한 방향의 길이를 의미할 수 있으며, 세로길이는 지면과 수직한 방향의 길이를 의미할 수 있으며, 폭은 상기 가로길이와 세로길이에 수직한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2 측면(120)은 제1 가로길이(h1) 또는 제2 가로길이(h2)와, 제1 세로길이(v1)와, 제1 폭(w1)을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측면(120)이 제1 가로길이(h1)를 갖도록 형성된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박스(100)는 정육면체 형상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측면(120)이 제2 가로길이(h2)를 갖도록 형성된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박스(100)는 직육면체 형상이 될 수 있다.
상기 제3 측면(130)은 상기 제1 측면(110)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측면(110)에 대향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4 측면(140)은 상기 제2 측면(120)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측면(120)에 대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측면(110) 내지 제4 측면(140)은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공지된 체결방법으로 인접하는 변에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1 측면(110) 내지 제4 측면(140)은 각각 요철부가 형성되어 핑거조인트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측면(110) 내지 제4 측면(140)의 상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대향 측면에는 각각 그립홀(16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박스(100)를 용이하게 들어올리거나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목적 박스(100)의 일측면을 폐쇄하도록 상기 다목적 박스(100)의 일측으로부터 후술할 제2 세로길이(v2)보다 높은 높이에 배치되는 바닥면(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측면(110) 내지 제4 측면(140) 및/또는 바닥면(150)은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공지된 체결방법으로 인접하는 변에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1 측면(110) 내지 제4 측면(140)은 각각 요철부가 형성되어 핑거조인트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측면(110) 내지 제4 측면(140) 및/또는 바닥면(150)은 종이, 목재, 금속, 플라스틱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박스(100)는 여러 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측면(110)과 제3 측면(130)의 각 모서리에는 상기 제1 폭(w1)의 두 배의 길이를 가진 제3 가로길이(h3)와, 제2 세로길이(v2)를 가진 체결홈(170)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측면(120)과 제4 측면(140)의 각 모서리에는 상기 제1 폭(w1)과 동일한 길이를 가진 제4 가로길이(h4)와, 제2 세로길이(v2)를 가진 체결돌기(18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홈(170)은 상기 제1 측면(110)과 제3 측면(130)에 요입된 것이므로, 제1 폭(w1)을 갖게 되고, 상기 체결돌기(180) 또한, 상기 제2 측면(120)과 제4 측면(140)에서 연장된 것으로서 제1 폭(w1)을 갖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박스(100)는 개구면(상측면)이 전방을 향하여 적층될 수 있다. 다만, 도 5에서, 각 다목적 박스(100)의 하측 방향 면은 제1 측면(110)이고, 그 제1 측면(110)에서 시계 방향(왼쪽)의 인접 면은 제2 측면(120)이다.
이러한 적층은, 예를 들어, 제1 다목적 박스(100a)와 제2 다목적 박스(100b)를 이격시켜 배치하고, 제3 다목적 박스(100c)를 제1 다목적 박스(100a)와 제2 다목적 박스(100b) 사이에 적층하여 구현될 수 있다.
즉, 제3 다목적 박스(100c)의 제2 측면(120)에 형성된 체결돌기(180)는 제1 다목적 박스(100a)의 제3 측면(130)에 형성된 체결홈(170) 중 제4 측면(140)에 인접한 체결홈(170)에 삽입되고, 제3 다목적 박스(100c)의 제4 측면(140)에 형성된 체결돌기(180)는 제2 다목적 박스(100b)의 제3 측면(130)에 형성된 체결홈(170) 중 제2 측면(120) 인접한 체결홈(170)에 삽입된다.
이 경우, 본 발명은 이격된 다목적 박스(100)사이의 공간도 수납공간을 형성하므로 적은 박스로써 효과적인 수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최외각에서 상호 이격된 제2 측면(120) 또는 최외각에서 상호 이격된 제4 측면(140) 사이에 배치되는 강도보강판(19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납공간이 부가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다목적 박스(100)의 적층시 하중분산을 도모하여 견고한 적층을 도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강도보강판(190)은 제2 측면(120) 또는 제4 측면(140)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강도보강판(190)은 제2 측면(120) 또는 제4 측면(140)의 형상에서 그 요철부의 변이 평평한 변으로 대체된 형상일 수도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다르게, 강도보강판(190)은 그립홀(160)이 생략된 형상일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박스(100)는 개구면(상측면)이 상방을 향하여 적층될 수 있다. 다만, 도 6에서, 확대 도시된 부분의 면(즉, 정면 부분의 면)은 제1 측면(110)이고, 그 제1 측면(110)에서 시계 방향(왼쪽)의 인접 면은 제2 측면(120)이다.
이러한 적층은, 예를 들어, 제1 다목적 박스(100a) 상에 제2 다목적 박스(100b)를 배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즉, 제2 다목적 박스(100b)의 제2 측면(120)의 하측변은 제1 다목적 박스(100a)의 제1 측면(110) 및 제3 측면(130)의 상측변에 위치한 체결홈(170), 즉 제2 측면(120)에 인접한 체결홈(170)에 삽입된다. 또한, 제2 다목적 박스(100b)의 제4 측면(140)의 하측변은 제1 다목적 박스(100a)의 제4 측면(140)의 상측변을 덮도록 위치한다. 그 결과, 제2 다목적 박스(100b)의 제4 측면(140)은 제1 다목적 박스(100a)의 제4 측면(140) 보다 제4 측면(140) 방향으로 소정 돌출되게 배치된다. 동시에, 제2 다목적 박스(100b)는 제1 다목적 박스(100a) 보다 제1 측면(110) 방향으로 소정 돌출되게 배치(이하, 상측의 다목적 박스가 하측의 다목적 박스보다 제1 측면 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것을 “제1 배치”라 지칭함)되거나 제3 측면(130) 방향으로 소정 돌출되게 배치(이하, 상측의 다목적 박스가 하측의 다목적 박스보다 제3 측면 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것을 “제2 배치”라 지칭함)된다. 다만, 도 6에서는 제2 다목적 박스(100b)에 대해 제1 배치로 도시하였다.
또한, 제3 다목적 박스(100c) 상에 제4 다목적 박스(100d)를 배치함으로써 적층이 구현될 수도 있다. 즉, 제4 다목적 박스(100d)의 제4 측면(150)의 하측변은 제3 다목적 박스(100c)의 제1 측면(110) 및 제3 측면(130)의 상측변에 위치한 체결홈(170), 즉 제4 측면(140)에 인접한 체결홈(170)에 삽입된다. 또한, 제4 다목적 박스(100d)의 제2 측면(120)의 하측변은 제3 다목적 박스(100c)의 제2 측면(120)의 상측변을 덮도록 위치한다. 그 결과, 제4 다목적 박스(100d)의 제2 측면(120)은 제3 다목적 박스(100c)의 제2 측면(120) 보다 제2 측면(120) 방향으로 소정 돌출되게 배치된다. 동시에, 제4 다목적 박스(100d)는 제3 다목적 박스(100c) 상에 제1 배치되거나 제2 배치된다. 다만, 도 6에서는 제4 다목적 박스(100b)에 대해 제1 배치로 도시하였다.
한편, 제4 측면(140) 방향으로 돌출된 제2 다목적 박스(100b)의 제4 측면(140)과, 제2 측면(120) 방향으로 돌출된 제4 다목적 박스(100d)의 제2 측면(120)은 서로 접촉하여 서로에게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제2 다목적 박스(100b) 및 제4 다목적 박스(100d)의 하측에 위치한 제1 다목적 박스(100a) 및 제3 다목적 박스(100c)는 서로 접촉하지 않고 소정 이격된다. 즉, 본 발명은 상측에 배치된 2개의 다목적 박스(100)가 하측에 배치된 각 다목적 박스(100)의 체결홈(170)에 체결되되 그 돌출된 방향에서 서로 접촉하여 지지함에 따라, 다목적 박스(100)들의 적층시 하중분산을 도모하여 견고한 적층을 도모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박스(100)는 개구면(상측면)이 상방을 향하여 보다 다양한 방식으로 적층될 수 있다. 다만, 도 7 및 도 8에서, 정면 부분의 면은 제1 측면(110)이고, 그 제1 측면(110)에서 시계 방향(왼쪽)의 인접 면은 제2 측면(120)이다.
이러한 적층은, 예를 들어, 제1 다목적 박스(100a)와 제2 다목적 박스(100b)를 이격시켜 배치하고, 제3 다목적 박스(100c)를 제1 다목적 박스(100a)와 제2 다목적 박스(100b) 사이에 적층하여 구현될 수 있다.
즉, 제3 다목적 박스(100c)의 제2 측면(120)의 하측변은 제1 다목적 박스(100a)의 제1 측면(110) 및 제3 측면(130)의 상측변에 위치한 체결홈(170), 즉 제4 측면(140)에 인접한 체결홈(170)에 삽입된다. 또한, 제3 다목적 박스(100c)의 제4 측면(140)의 하측변은 제2 다목적 박스(100b)의 제1 측면(110) 및 제3 측면(130)의 상측변에 위치한 체결홈(170), 즉 제2 측면(120)에 인접한 체결홈(170)에 삽입된다. 이때, 제3 다목적 박스(100c)의 제1 측면(110)은 제1 다목적 박스(100a) 및/또는 제2 다목적 박스(100b)의 제1 측면(110)과 동일한 가상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물론,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다르게, 제3 다목적 박스(100c)의 제1 측면(110)은 제1 다목적 박스(100a) 및/또는 제2 다목적 박스(100b) 보다 제1 측면(110) 방향으로 소정 돌출되게 제1 배치되거나 제3 측면(130) 방향으로 소정 돌출되게 제2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각 다목적 박스(100a, 100b, 100c)가 적층 배치되는 경우, 본 발명은 이격된 다목적 박스(100)사이의 공간도 수납공간을 형성하므로 적은 박스로써 효과적인 수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7 및 도 8에서, 최외각에서 상호 이격된 제2 측면(120) 또는 최외각에서 상호 이격된 제4 측면(140) 사이에 배치되는 강도보강판(19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수납공간이 부가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다목적 박스(100)의 적층시 하중분산을 도모하여 견고한 적층을 도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강도보강판(190)은 제2 측면(120) 또는 제4 측면(140)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도보강판(190)은 제2 측면(120) 또는 제4 측면(140)의 형상에서 그 요철부의 변이 평평한 변으로 대체된 형상일 수도 있다. 또한, 강도보강판(190)은 그립홀(160)이 생략된 형상일 수도 있다.
요컨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박스(100)는 공간 활용 측면 또는 용도 측면을 고려하여 개구면이 전방 또는 상방을 향하도록 선택적으로 적층할 수 있으면서, 적층시 하중분산을 효과적으로 도모하여 견고한 적층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상기 설명에 의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 및 그와 균등한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100: 다목적 박스 110: 제1 측면
120: 제2 측면 130: 제3 측면
140: 제4 측면 150: 바닥면
160: 그립홀 170: 체결홈
180: 체결돌기 190: 강도보강판
h1: 제1 가로길이 h2: 제2 가로길이
h3: 제3 가로길이 h4: 제4 가로길이
v1: 제1 세로길이 v2: 제2 세로길이
w1: 제1 폭

Claims (8)

  1. 네 개의 측면을 포함하는 다목적 박스에 있어서,
    제1 가로길이와, 제1 세로길이와, 제1 폭을 가지고 형성되는 제1 측면;
    제1 가로길이 또는 제2 가로길이와, 제1 세로길이와, 제1 폭을 가지고 형성되는 제2 측면;
    상기 제1 측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측면에 대향하게 배치되는 제3 측면; 및
    상기 제2 측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측면에 대향하게 배치되는 제4 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측면과 제3 측면의 각 모서리에는 상기 제1 폭의 두 배의 길이를 가진 제3 가로길이와, 제2 세로길이를 가진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측면과 제4 측면의 각 모서리에는 상기 제1 폭과 동일한 길이를 가진 제4 가로길이와, 제2 세로길이를 가진 체결돌기가 형성되는 다목적 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 내지 제4 측면의 상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대향 측면에는 각각 그립홀이 형성되는 다목적 박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 내지 제4 측면은 각각 요철부가 형성되어 핑거조인트 결합되는 다목적 박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목적 박스의 일측면을 폐쇄하도록 상기 다목적 박스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제2 세로길이보다 높은 높이에 배치되는 바닥면을 더 포함하는 다목적 박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목적 박스의 개구면(상측면)이 전방을 향하여 적층되었을 때, 최외각에서 상호 이격된 제2 측면 또는 최외각에서 상호 이격된 제4 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강도보강판을 더 포함하는 다목적 박스.
  6. 제1항에 있어서,
    제1 다목적 박스와 제2 다목적 박스의 이격 배치가 가능하고 제3 다목적 박스가 상기 제1 다목적 박스와 상기 제2 다목적 박스 사이에 적층 가능하되,
    상기 제3 다목적 박스의 제2 측면에 형성된 체결돌기가 제1 다목적 박스의 제3 측면에 형성된 체결홈에 삽입 가능하고, 상기 제3 다목적 박스의 제4 측면에 형성된 체결돌기가 상기 제2 다목적 박스의 제3 측면에 형성된 체결홈에 삽입 가능한 다목적 박스.
  7. 제1항에 있어서,
    제1 다목적 박스 상에 제2 다목적 박스의 배치가 가능하되,
    상기 제2 다목적 박스의 제2 측면의 하측변이 상기 제1 다목적 박스의 제1 측면 및 제3 측면의 상측변에 위치한 체결홈에 삽입 가능하고, 상기 제2 다목적 박스의 제4 측면의 하측변이 상기 제1 다목적 박스의 제4 측면의 상측변을 덮도록 배치 가능한 다목적 박스.
  8. 제1항에 있어서,
    제1 다목적 박스와 제2 다목적 박스의 이격 배치가 가능하고 제3 다목적 박스가 상기 제1 다목적 박스와 상기 제2 다목적 박스 사이에 적층 가능하되,
    상기 제3 다목적 박스의 제2 측면의 하측변이 제1 다목적 박스의 제1 측면 및 제3 측면의 상측변에 위치한 체결홈에 삽입 가능하고, 상기 제3 다목적 박스의 제4 측면의 하측변이 제2 다목적 박스의 제1 측면 및 제3 측면의 상측변에 위치한 체결홈에 삽입 가능한 다목적 박스.
KR1020190170766A 2019-06-24 2019-12-19 다목적 박스 KR1022652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175 2019-06-24
KR20190075175 2019-06-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258A KR20210000258A (ko) 2021-01-04
KR102265264B1 true KR102265264B1 (ko) 2021-06-16

Family

ID=74127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0766A KR102265264B1 (ko) 2019-06-24 2019-12-19 다목적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526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2206Y1 (ko) 2005-12-06 2006-03-23 전승훈 조립식 게임용 상자
WO2014185246A1 (ja) 2013-05-14 2014-11-20 肥田電器株式会社 組立家具
KR200488948Y1 (ko) 2018-05-23 2019-04-08 백문현 지그재그 적층이 가능한 공간박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252B1 (ko) * 2007-12-07 2010-03-08 김지운 신호등용 케이블 맨홀 박스
KR20150003681U (ko) * 2014-03-31 2015-10-08 조강원 조립식 가구
KR20160000210U (ko) * 2014-07-10 2016-01-20 조강원 조립식 가구 및 교육완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2206Y1 (ko) 2005-12-06 2006-03-23 전승훈 조립식 게임용 상자
WO2014185246A1 (ja) 2013-05-14 2014-11-20 肥田電器株式会社 組立家具
JP2014221140A (ja) 2013-05-14 2014-11-27 肥田電器株式会社 組立家具
KR200488948Y1 (ko) 2018-05-23 2019-04-08 백문현 지그재그 적층이 가능한 공간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258A (ko) 2021-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72812B2 (en) Octagonal container and pallet therefor
EP2570356B1 (en) Stackable container
SE500577C2 (sv) Plastlock med tillhörande plastlåda
JP2008526626A (ja) 果物および野菜の農産物を収納するための蓋付き単一材料パッケージ
US20130068762A1 (en) Assembled Box
KR102265264B1 (ko) 다목적 박스
US4211358A (en) Lug box having cored-out plastic end walls
US3473690A (en) Fruit packing box
JP2014221140A (ja) 組立家具
KR100823656B1 (ko) 다단으로 적층 가능한 수납상자
JP2000085773A (ja) 運搬用容器
US20030234200A1 (en) Stackable container
KR102060325B1 (ko) 길이가 긴 수산물용 상자
US3421649A (en) Bottle carrying case
JP7048959B2 (ja) 収納ケース
KR200487020Y1 (ko) 건조용 상자
KR102328150B1 (ko) 확장가능한 수납장
KR101177654B1 (ko) 절삭인서트 및 그 절삭인서트가 설치되는 절삭공구
JP3211700U (ja) 卵トレイ
US20040129655A1 (en) Stackable container, paper holder or the like
KR100917385B1 (ko) 적재 상자 적재구조
US20230015782A1 (en) Folding box
JPH0245146Y2 (ko)
JPS5911077Y2 (ja) 容器
CN211002315U (zh) 一种高硬度轻量化防水纸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