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020Y1 - 건조용 상자 - Google Patents

건조용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020Y1
KR200487020Y1 KR2020170002397U KR20170002397U KR200487020Y1 KR 200487020 Y1 KR200487020 Y1 KR 200487020Y1 KR 2020170002397 U KR2020170002397 U KR 2020170002397U KR 20170002397 U KR20170002397 U KR 20170002397U KR 200487020 Y1 KR200487020 Y1 KR 2004870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plate
drying box
vertical height
side plates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23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수
Original Assignee
(주)한중기계
김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중기계, 김민수 filed Critical (주)한중기계
Priority to KR20201700023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0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0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02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3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B4/031Apparatus for dr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복수 개의 홀(13)이 형성되는 직사각형 모양의 바닥판(12)과, 복수 개의 홀(15)이 형성되어 바닥판(12)의 좌우 각 모서리를 따라 일정 수직 높이를 가지며 돌출되는 제1측판(14)과, 복수 개의 홀(17)이 형성되어 바닥판(12)의 상하 각 모서리를 따라 일정 수직 높이를 가지며 돌출되는 제2측판(16)과, 일정 폭을 가지며 제1, 2측판(14, 16)의 상단 모서리 부위를 따라 형성되는 마감테두리(18)가 마련되는 건조용 박스로서, 하측에는 개구된 제1삽입홈(23)이 형성되어 바닥판(12)의 상면 일측 부위에서 제1, 2측판(14, 16)보다 낮은 수직 높이로 돌출되는 제1안치단(22);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하측에는 개구된 제2삽입홈(27)이 형성되어 제1안치단(22)과 일정 거리 떨어져 바닥판(12)의 상면 타측 부위에서 제1, 2측판(14, 16)보다 낮은 수직 높이로 돌출되는 제2안치단(2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조용 박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건조용 상자{Drying box}
본 고안은 농산물이나 수산물을 건조시키는 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대적으로 작은 중량을 가지면서도 상자에 담긴 건조 대상물이 서로 짓눌리지 않은 상태로 적층이 가능한 건조용 상자에 관한 것이다.
고추와 같은 농산물이나 멸치와 같은 수산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 도 6과 같은 합성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만들어지는 건조용 상자이며, 건조 대상물이 담기는 바닥판에는 함유되어 있는 물을 배출시키거나 또는 외부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된다.
이러한 건조용 상자는 그 구조가 간단하며 적층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상자에 건조 대상물이 담긴 상태에서 적층을 하게 되면 상자에 담긴 건조 대상물이 서로 짓눌리게 된다. 때문에, 건조 작업시에는 상하로 번갈아가며 지그 재그로 적층해야 해야 하는데, 이럴 경우 적층된 건조용 상자들이 종종 미끄러져 건조용 상자에 담겨진 건조 대상물들이 쏟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제시된 것이 도 7과 같은 건조용 상자이다. 이 상자는 건조 대상물의 수용 공간을 바닥판과 바닥판 네모서리를 따라 일정 수직 높이로 돌출되는 측판으로 형성하고, 측판의 상단 테두리 좌우 양측 각각에 절곡된 금속 봉을 힌지 결합함에 그 특징이 있다. 즉, 도면과 같이 건조 작업시에 금속 봉을 좌우 상단 테두리에 거치한 상태로 그 상면에 다른 건조용 상자를 적층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이 방식은 상자를 사출 성형으로 제작한 다음 상자의 상단 테두리 좌우 양측에 별도의 절곡된 금속 봉을 부가하여야 함은 물론 금속 봉의 안정적인 거치를 위해서는 상단 테두리를 일정 두께 이상으로 구성할 필요가 있는데, 이럴 경우 개당 제작비가 증대될 뿐만 아니라 상자 자체의 중량이 상당히 증대되는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334444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실1999-033048호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가벼우면서도 적층이 용이한 건조용 상자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홀(13)이 형성되는 직사각형 모양의 바닥판(12)과, 복수 개의 홀(15)이 형성되어 바닥판(12)의 좌우 각 모서리를 따라 일정 수직 높이를 가지며 돌출되는 제1측판(14)과, 복수 개의 홀(17)이 형성되어 바닥판(12)의 상하 각 모서리를 따라 일정 수직 높이를 가지며 돌출되는 제2측판(16)과, 일정 폭을 가지며 제1, 2측판(14, 16)의 상단 모서리 부위를 따라 형성되는 마감테두리(18)가 마련되는 건조용 박스로서, 하측에는 개구된 제1삽입홈(23)이 형성되어 바닥판(12)의 상면 일측 부위에서 제1, 2측판(14, 16)보다 낮은 수직 높이로 돌출되는 제1안치단(22);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하측에는 개구된 제2삽입홈(27)이 형성되어 제1안치단(22)과 일정 거리 떨어져 바닥판(12)의 상면 타측 부위에서 제1, 2측판(14, 16)보다 낮은 수직 높이로 돌출되는 제2안치단(26);을 포함하며, 상기 제1안치단(22)은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제1안치단(22) 사이의 거리 L1과 제2안치단(26) 사이의 거리 L3 및 제1안치단(22)과 인접하는 제1측판(14) 사이의 거리 L2와 제2안치단(26)과 인접하는 제1측판(14) 사이의 거리 L4 중의 어느 하나는 서로 상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고안은 별도의 금속 봉을 부가하지 않고, 대상물이 수용되는 공간 좌우 각각에 일정 수직 높이로 돌출되는 안치단을 형성하되 안치단 각각의 개수를 달리하거나 또는 안치단의 형성 위치를 상대적으로 달리하여, 건조용 상자 적층시 상하로 적층되는 건조용 상자들 사이에 일정 크기의 이격 공간이 마련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개별 건조용 상자 자체의 중량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장시간 안정적인 건조 작업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례로서 건조용 상자의 개략적인 사시 구성도.
도 2a는 도 1에 있어 A-A′라인의 개략적인 단면 구성도.
도 2b는 도 1에 있어 B-B′라인의 개략적인 단면 구성도.
도 3은 도 1에 개시된 건조용 상자의 평상시 적층 구성도.
도 4는 도 1에 개시된 건조용 상자의 건조 작업시 적층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예로서 건조용 상자의 개략적인 평면 구성도.
도 6은 종래 건조용 상자의 일 구성도.
도 7은 종래 건조용 상자의 다른 구성도.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술함에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거나, 또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항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례로서 건조용 상자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 구성도이다. 도면에 개시된 것과 같이 본 고안은, 바닥판(12), 제1, 2측판(14, 16), 마감테두리(18)가 마련되되, 바닥판(12)에는 제1, 2안치단(22, 26)이 형성됨에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들 각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바닥판(12)은 일정 두께를 가지는 직사각형 모양의 판상체로 이루어지며, 복수 개의 홀(13)이 형성된다. 홀(13)의 형상은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고안은 특정 형상으로 제한하지 않는다.
제1측판(14)은 바닥판(14)의 좌우 각 모서리를 따라 일정 수직 높이를 가지며 돌출되며, 제2측판(16)은 바닥판(14)의 상하 각 모서리를 따라 일정 수직 높이를 가지며 돌출된다. 제1, 2측판(14, 16) 각각에도 복수 개의 홀(14, 17)이 형성되며, 이들 홀의 형상 역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때, 제1, 2측판(14, 16)은 도면에 개시된 것과 같이 바깥 방향으로 일정 각도 경사진 구조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2측판이 바닥판에 대하여 바깥 방향으로 일정 각도 경사져 돌출되며 상자의 적층에 유리하기 때문이며 이는 관련 분야에 널리 알려져 있는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마감테두리(18)는 제1, 2측판(14, 16)의 상단 모서리 부위를 따라 형성된다. 마감테두리(18)는 도면과 같이 일정 폭을 가지는 평탄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면, 본 고안은 제1, 2안치단이 마련된다는 점에서 종래와 같이 마감테두리가 일정 두께 이상으로 형성될 필요는 전혀 없는데 이는 후술한다.
제1안치단(22)은 바닥판(12)의 상면 일측 부위에서 일정 수직 높이로 돌출된다. 제1안치단(22)은 제1, 2측판(14, 16) 보다 낮은 수직 높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럴 경우, 도 4와 같이 건조 대상물이 담긴 상태에서 상자들이 매우 안정적으로 적층되어 건조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안치단(22)은 도 2a와 같이 하측부위는 개구되며, 개구부에는 제1삽입홈(23)이 형성된다. 제1삽입홈(23)은 도 3과 같이 건조용 상자의 보관시 하측에 위치하는 건조용 상자의 제1안치단(22)이 삽입되어 밀착되는 공간이며, 제1안치단의 제1삽입홈은 도면과 같이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안치단의 상단 부위는 완만한 곡률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안치단(26)은 제1안치단(22)과 일정 거리 떨어져 바닥판(14)의 상면 타측 부위에서 일정 수직 높이로 돌출된다. 매우 안정적인 건조 작업을 위해 제2안치단(26) 역시 제1안치단(22)과 동일하게 제1, 2측판(14, 16) 보다 낮은 수직 높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안치단(26) 역시 도 2b와 같이 하측 부위는 개구되며, 개구부에는 제2삽입홈(27)이 형성된다. 제2삽입홈(27)은 건조용 상자의 보관시 하측에 위치하는 건조용 상자의 제2안치단(26)이 삽입되어 밀착되는 공간이며, 제1안치단과 동일하게 제2안치단 각각의 제2삽입홈 역시 도면과 같이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안치단 각각의 상단 부위는 완만한 곡률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안치단(26)은 제1안치단(22)과 달리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이 제2안치단(26)을 제1안치단(22)과 대칭 구조로 형성하지 않은 이유는 도 4와 같이 건조 작업시 건조 대상물이 담긴 상태로 상하에 위치하는 건조용 상자가 밀착 적층되어 건조 대상물이 짓눌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상, 하부에 위치하는 건조용 상자의 방향을 180°로 바꾸어 지그 재그로 적층하게 되면, 하부에 위치하는 건조용 상자의 점선으로 표시된 제1안치단(22)의 상단 부위가 상부에 위치하는 건조용 상자의 제2안치단(26) 사이 하면에 접하고, 하부에 위치하는 건조용 상자의 점선으로 표시된 제2안치단(26) 각각의 상단 부위가 상부에 위치하는 건조용 상자의 제1안치단(22) 좌우 하면에 접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부 건조용 상자의 하면과 하부 건조용 상자 사이에는 제1, 2안치단의 수직 높이 만큼의 공간이 확보되어, 하부 건조용 상자에 담겨 있는 건조 대상물은 상부 건조용 상자의 하면에 짓눌리지 않은 상태로 건조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제1, 2안치단(22, 26) 각각은 제1, 2측판(14, 16) 보다 낮은 수직 높이를 가지기 때문에, 건조용 상자의 방향을 180°로 바꾸어 지그 재그로 적층하게 되면, 상부에 위치하는 건조용 상자의 제1, 2측판 각 하측 부위는 하부에 위치하는 건조용 상자의 마감테두리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장시간 건조 작업이 이루어지더라도 바람 등과 같은 외력에 의해 와해되지 않고 안정적인 적층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제1안치단(22)을 구성함에 있어, 전술한 예와 달리 도 5에 개시된 것과 같이 제1안치단(22) 역시 제2안치단(26)과 유사하게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때, 제1안치단(22) 사이의 거리 L1과 제2안치단(26) 사이의 거리 L3, 그리고 제1안치단(22)과 인접하는 제1측판(14) 사이의 거리 L2와 제2안치단(26)과 인접하는 제1측판(14) 사이의 거리 L4 중의 어느 하나는 서로 상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L1 ≠ L3 또는 L2 ≠ L4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본 고안이 제1, 2안치단(22, 26) 각각을 좌우 한 쌍으로 구성하되, 이들 제1, 2안치단(22, 26) 각각의 사이 거리 및 제1측판(14)과의 사이 거리를 달리 설정하는 이유는, 보관시에는 밀착 적층이 가능하여 공간 점유율을 최소화하고, 건조 작업시에 상, 하에 위치하는 건조용 상자를 180°로 바꾸어 지그 재그로 적층하면 각 건조용 상자에 담긴 건조 대상물이 짓눌리지 않기 때문이다.
도면에는 명시되지 않았지만, 도 1에 있어 바닥판(12)의 하면에 있어 제1안치단(22) 좌우 각각 및 제2안치단(26) 사이 중앙에는 별도의 제1, 2안치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제1안치단(22) 좌우 각각의 하면에 제1안치홈이 형성되고, 제2안치단(26) 사이 중앙 하면에 제2안치홈이 형성되면, 도 4와 같이 상자가 지그 재그로 적층될 때 하부에 위치하는 상자의 제1, 2안치단 각각의 상단 부위가 상부에 위치하는 상자의 하면에 형성되는 제1, 2안치홈에 삽입되어 적층된 상태를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제1, 2안치홈의 깊이는 상자의 크기 및 바닥판의 두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어느 정도의 깊이를 가지는 제1, 2안치홈이 필요한 경우에는 제1, 2안치홈의 상측 부위는 제1, 2안치단과 유사하게 바닥판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수직 높이 돌출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제1안치단이 도 5와 같이 변경되는 경우, 제1안치홈이 그에 따라 변경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안치단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갯수로 이루어지는 안치단 구성으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별도의 기술적 특징이 부가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2 : 바닥판 14, 16 : 제1, 2측판
18 : 마감테두리 22, 26 : 제1, 2안치단
23, 27 : 제1, 2삽입홈

Claims (2)

  1. 복수 개의 홀(13)이 형성되는 직사각형 모양의 바닥판(12)과, 복수 개의 홀(15)이 형성되어 바닥판(12)의 좌우 각 모서리를 따라 일정 수직 높이를 가지며 돌출되는 제1측판(14)과, 복수 개의 홀(17)이 형성되어 바닥판(12)의 상하 각 모서리를 따라 일정 수직 높이를 가지며 돌출되는 제2측판(16)과, 일정 폭을 가지며 제1, 2측판(14, 16)의 상단 모서리 부위를 따라 형성되는 마감테두리(18)가 마련되는 건조용 박스로서,
    하측에는 개구된 제1삽입홈(23)이 형성되어 바닥판(12)의 상면 일측 부위에서 제1, 2측판(14, 16)보다 낮은 수직 높이로 돌출되는 제1안치단(22);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하측에는 개구된 제2삽입홈(27)이 형성되어 제1안치단(22)과 일정 거리 떨어져 바닥판(12)의 상면 타측 부위에서 제1, 2측판(14, 16)보다 낮은 수직 높이로 돌출되는 제2안치단(26);을 포함하며,
    상기 제1안치단(22)은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제1안치단(22) 사이의 거리 L1과 제2안치단(26) 사이의 거리 L3 및 제1안치단(22)과 인접하는 제1측판(14) 사이의 거리 L2와 제2안치단(26)과 인접하는 제1측판(14) 사이의 거리 L4 중의 어느 하나는 서로 상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용 박스.
  2. 삭제
KR2020170002397U 2017-05-16 2017-05-16 건조용 상자 KR2004870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397U KR200487020Y1 (ko) 2017-05-16 2017-05-16 건조용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397U KR200487020Y1 (ko) 2017-05-16 2017-05-16 건조용 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7020Y1 true KR200487020Y1 (ko) 2018-07-26

Family

ID=63047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2397U KR200487020Y1 (ko) 2017-05-16 2017-05-16 건조용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02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1231B1 (ko) * 2023-04-07 2023-12-07 김재근 다단의 조립이 가능한 곤충 산란망을 포함하는 사육상자와 그 곤충의 사육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3048A (ko) 1997-10-22 1999-05-15 김영환 미디시디 플레이어의 테스트 방법
KR100334444B1 (ko) 2000-05-03 2002-05-03 김관중 주차관리 시스템
KR20060028724A (ko) * 2006-03-02 2006-03-31 남주희 적층식 채반
KR100981055B1 (ko) * 2010-01-28 2010-09-08 염동섭 농수산물용 건조상자
KR20150046651A (ko) * 2013-10-22 2015-04-30 강성탁 건조용 채반
KR20160111070A (ko) * 2015-03-16 2016-09-26 성동화 건조채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3048A (ko) 1997-10-22 1999-05-15 김영환 미디시디 플레이어의 테스트 방법
KR100334444B1 (ko) 2000-05-03 2002-05-03 김관중 주차관리 시스템
KR20060028724A (ko) * 2006-03-02 2006-03-31 남주희 적층식 채반
KR100981055B1 (ko) * 2010-01-28 2010-09-08 염동섭 농수산물용 건조상자
KR20150046651A (ko) * 2013-10-22 2015-04-30 강성탁 건조용 채반
KR20160111070A (ko) * 2015-03-16 2016-09-26 성동화 건조채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1231B1 (ko) * 2023-04-07 2023-12-07 김재근 다단의 조립이 가능한 곤충 산란망을 포함하는 사육상자와 그 곤충의 사육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46137A (en) Receptacle
US4170313A (en) Box and blank for forming the box
US10486860B2 (en) Container with dividers
ES2892083T3 (es) Contenedor para graneles apilable
US10308409B2 (en) Customizable caddy
USD851911S1 (en) Cover of a comic book case
CA2537563A1 (en) Article accommodating case
GB1231834A (ko)
KR101369617B1 (ko) 3차원 프린터용 출력베드
KR200487020Y1 (ko) 건조용 상자
USD880946S1 (en) Set of stacking plates
US3319799A (en) Tray for mushroom picking boxes
USD901644S1 (en) Corner support for a skimmer box lid frame
US9408447B1 (en) Game controller travel case
KR100823656B1 (ko) 다단으로 적층 가능한 수납상자
JP5909072B2 (ja) トレー及びその収納棚
CN216070944U (zh) 一种吸塑盘
KR200460656Y1 (ko) 벽돌 완구
JP6548878B2 (ja) 収納箱、多段収納箱及び多段連結収納箱
KR100917385B1 (ko) 적재 상자 적재구조
KR102328150B1 (ko) 확장가능한 수납장
KR101805735B1 (ko) 서랍장
JP4852446B2 (ja) 仕切体
JP2020092756A (ja) 収納棚
KR102410601B1 (ko) 팔레트의 적층을 위한 보조자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