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1055B1 - 농수산물용 건조상자 - Google Patents

농수산물용 건조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1055B1
KR100981055B1 KR1020100007749A KR20100007749A KR100981055B1 KR 100981055 B1 KR100981055 B1 KR 100981055B1 KR 1020100007749 A KR1020100007749 A KR 1020100007749A KR 20100007749 A KR20100007749 A KR 20100007749A KR 100981055 B1 KR100981055 B1 KR 100981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ricultural
box
marine products
drying
box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7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동섭
Original Assignee
염동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염동섭 filed Critical 염동섭
Priority to KR1020100007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10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1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10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4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of skeleton or apertured construction, e.g. baskets or carriers made up of interconnected spaced bands, rods, or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 B65D85/34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having a meshed or apertured closure to allow contents to breath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Freezing, Cooling And Drying Of F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수산물 건조장치의 실내룸에서 다수 층으로 간편하게 적층되고 각종 농수산물을 건조하거나 냉장 보관할 때 사용될 수 있도록 개량된 농수산물용 건조상자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농수산물 건조장치의 실내룸에서 다수 층으로 적층하여 각종 농수산물을 건조하거나 냉장 보관시 사용하는 건조상자에 있어서, 상자본체(10)는 통상적인 직사각형의 합성수지로서 사방 주연부(14)에 테두리부(12)와 바닥면(18)에 걸쳐 길쭉한 형태의 장방형 통공(16)을 다수개 형성하고, 상기 상자본체(10)의 바닥면(18) 전체에 걸쳐서 원형 통공(19)을 다수개 형성하며; 상기 상자본체(10)에서 뒤바닥부(20)의 저면에는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보강부(22, 24)가 각기 형성되어져 있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농수산물용 건조상자{DRY CASE}
본 발명은 농수산물 건조장치의 실내룸에서 다수 층으로 손쉽게 적층되고 각종 농수산물을 건조하거나 냉장 보관할 때 사용될 수 있도록 개량된 합성수지의 농수산물용 건조상자에 관한 것이다.
보통 식품을 보존하는 건조장치나 냉장설비 및 조리기구는 개별적인 기능만을 수행하도록 구비되어 있어 각각의 설비를 별도로 구입 비치하여야 한다. 특히 식품의 건조는 전문 업자에 의하여 대규모로 건조되어, 일반 수요자에게 공급되는 시스템으로 되어 있어 일반 가정은 물론 음식업소에서 조차 별도의 건조설비는 갖추고 있지 않았다. 이러한 시중의 건조식품은 자연 건조장이나 열풍건조장치에서 건조 생산되는 것이어서 위생적인 면에서 신뢰성이 고려되고 있으며, 대부분 완전한 건조상태이므로 조리후에 식품이 갖고 있는 자연적인 미각을 살릴 수 없는 면도 있었다.
일반 가정이나 음식점에서 고추와 같은 일부 농수산품을 자연건조시키는 경우가 있으나, 이때에는 건조시 오랜 시간이 소요되고 있었다. 특히 도시지역에서와 같은 생활 공간에서는 건조할 장소도 마땅치 않을 뿐 아니라, 대기 오염으로 위생적인 건조를 할 수 없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농수산물 건조장치에 냉장기능을 첨부하여 사계절 동안 농수산물을 건조 또는 냉장할 수 있는 겸용장치로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발명하게 되었다.
상기 농수산물 건조장치에서는 실내룸의 본체에다 좌우측의 손잡이에 의해 열고 닫는 도어가 각각 설치되고 있고, 이 좌우측의 도어를 열면 외부와 밀폐되어진 하나의 챔버공간을 이루고 있는 좌우측의 실내룸이 각기 형성되고 있다. 이 실내룸내에는 해당 농수산물을 보관하는 채반이나 선반인 다수의 건조상자가 적층되어져 있다.
그런데, 종래의 건조상자는 예컨데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으로 제작되고 바닥으로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고 있는 바, 이러한 건조상자에 농수산물을 적재할 경우 이동시 무거울 뿐만아니라 사용후 청소하는 데에도 번거로움이 뒤따르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금속대신에 합성수지로 제작하여 가벼울 뿐만 아니라 실내룸에서의 냉기나 열기가 원활하게 유통되게 형성시킨 농수산물용 건조상자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종 농수산물을 건조하거나 냉장 보관할 때 간편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개량된 합성수지의 농수산물용 건조상자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농수산물 건조장치의 실내룸에서 다수 층으로 적층하여 각종 농수산물을 건조하거나 냉장 보관시 사용하는 건조상자에 있어서, 상자본체(10)는 통상적인 직사각형의 합성수지로서 사방 주연부(14)에 테두리부(12)와 바닥면(18)에 걸쳐 길쭉한 형태의 장방형 통공(16)을 다수개 형성하고, 상기 상자본체(10)의 바닥면(18) 전체에 걸쳐서 원형 통공(19)을 다수개 형성하며; 상기 상자본체(10)에서 뒤바닥부(20)의 저면에는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보강부(22, 24)가 각기 형성되어져 있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실내룸에서 각종 농수산물을 건조하거나 냉장 보관할 때 사용자가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합성수지의 상자본체내에 놓여진 농수산물을 냉기나 열기가 원활하게 유통되게 형성되어 농수산물 건조장치의 효능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농수산물용 건조상자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 는 본 발명의 농수산물용 건조상자를 도시해 놓은 바닥면의 상태도,
도 3 은 도 1 에 도시된 건조상자를 일부 절개한 상세 도면,
도 4 는 도 2 에 도시된 건조상자를 일부 절개한 상세 도면,
도 5 및 도 6 은 본 발명의 농수산물용 건조상자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농수산물용 건조상자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농수산물용 건조상자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 은 도 1 에 도시된 건조상자를 일부 절개한 상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농수산물 건조장치의 실내룸에서 다수 층으로 상자본체(10)가 적층되고 각종 농수산물을 건조하거나 냉장 보관할 때 사용될 수 있는 합성수지의 농수산물용 건조상자인 것이다.
상기 상자본체(10)는 통상적인 직사각형의 합성수지로서 사방 주연부(14)에 테두리부(12)와 바닥면(18)에 걸쳐 길쭉한 형태의 장방형 통공(16)을 다수개 형성하고 있다. 즉, 예컨데 상자본체(10)의 짧은 주연부(14)에는 장방형 통공(16)의 무리가 2 군데에 형성되고, 긴 주연부(14)에는 장방형 통공(16)의 무리가 3 군데에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상자본체(10)의 주연부(14)에 형성된 다수의 장방형 통공(16)에 의해 채반 또는 선반의 기능으로써 농수산물을 적재할 때에 균형을 잡아주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자본체(10)의 바닥면(18) 전체에 걸쳐서 원형 통공(19)을 다수개 형성하여, 농수산 건조장치의 실내룸(도시되지 않음)에서 바닥면(18)에 농수산물을 쌓아놓을 때에 상기 다수의 원형 통공(19)에 의해 밑부분에서 위로 냉기나 열기가 원활하게 유통되게 형성시킨 것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농수산물용 건조상자를 도시해 놓은 바닥면의 상태도 이고, 도 4 는 도 2 에 도시된 건조상자를 일부 절개한 상세 도면이다. 도 1 에 도시된 상자본체(10)를 뒤집으면 가로세로의 보강부(22, 24)가 형성된 뒤바닥부(20)가 나타나게 된다.
상기 상자본체(10)의 뒤바닥부(20)는 외주연부분에서 내주연부분으로 약간의 경사를 갖고 절곡되게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바닥면의 외주연부보다 내측부분이 약간 높게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뒤바닥부(20)의 저면에는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보강부(22, 24)가 각기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자본체(10)의 뒤바닥부(20) 전체에 걸쳐서 원형 통공(19, 19')이 다수개 형성되어져 있다.
상기 원형 통공(19, 19')의 작용설명을 도 5 내지 도 7 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및 도 6 은 본 발명의 농수산물용 건조상자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 단면도로서, 도 5 는 상자본체(10)에서 다수의 원형 통공(19)을 상세히 도시한 것이고, 도 6 은 상자본체(10)에서 보강부재(22, 24)의 다수 원형 통공(19')을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농수산물용 건조상자에서 도 7 은 본 발명의 농수산물용 건조상자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다수의 원형 통공(19, 19')을 절개 확대한 도면인 것이다.
본 발명의 상자본체(10)에서 뒤바닥부(20)의 저면에는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보강부(22, 24)가 각기 형성되어져 있다.
상기 상자본체(10) 전체 바닥면에 형성된 원형 통공(19)은 상광하협형으로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하고, 뒤바닥부(20)의 보강부(22, 24)에 형성되는 원형 통공(19')은 바닥면 부분에서 상광하협형으로 형성되고 있으며 보강부분에서 다시 통공이 넓어지는 형태로 상광중협하광형태로 형성되어(도 6 참조), 다수개의 원형 통공(19, 19')을 통과하는 열기 또는 냉기의 흐름을 고르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도 7 참조).
그러므로, 본 발명은 실내룸에서 각종 농수산물을 건조하거나 냉장 보관할 때 사용자가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합성수지의 상자본체내에 놓여진 농수산물을 냉기나 열기가 원활하게 유통되게 형성되어 농수산물 건조장치의 효능을 증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농수산물용 건조상자에 의거하여 설명했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이 기술 분야의 통상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 : 상자본체
12 : 테두리부
14 : 주연부
16 : 장방향 통공
18 : 바닥면
19, 19' : 원형 통공
20 : 뒤바닥부
22, 24 : 보강부

Claims (2)

  1. 삭제
  2. 농수산물 건조장치의 실내룸에 다수층으로 적층하여 사용하는 건조상자로서,
    상자본체(10)는 통상적인 직사각형의 합성수지로서 사방 주연부(14)에 테두리부(12)와 바닥면(18)에 걸쳐 길쭉한 형태의 장방형 통공(16)을 다수개 형성하고, 바닥면(18) 전체에 걸쳐서 원형 통공(19)을 다수개 형성하며;
    상자본체(10)의 뒤바닥부(20) 저면에는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보강부(22, 24)가 각기 형성되어져 있는 농수산물용 건조상자에 있어서,
    상기 상자본체(10)의 전체 바닥면(18)에 형성된 원형 통공(19)은 상광하협형으로 형성하고, 뒤바닥부(20)의 보강부(22, 24)에 형성되는 원형 통공(19')은 바닥면 부분에서 상광하협형으로 형성되고 보강부분에서 다시 통공이 넓어지는 형태로 상광중협하광형태로 형성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용 건조상자.
KR1020100007749A 2010-01-28 2010-01-28 농수산물용 건조상자 KR1009810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749A KR100981055B1 (ko) 2010-01-28 2010-01-28 농수산물용 건조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749A KR100981055B1 (ko) 2010-01-28 2010-01-28 농수산물용 건조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1055B1 true KR100981055B1 (ko) 2010-09-08

Family

ID=43009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7749A KR100981055B1 (ko) 2010-01-28 2010-01-28 농수산물용 건조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105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020Y1 (ko) * 2017-05-16 2018-07-26 (주)한중기계 건조용 상자
KR20210126876A (ko) * 2020-04-13 2021-10-21 최병수 적층력 향상과 산란율이 탁월한 굼벵이용 교배 및 산란상자
KR20210126880A (ko) * 2020-04-13 2021-10-21 최병수 재배력 향상과 적층력이 탁월한 굼벵이용 사육상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64137U (ko) 1979-05-14 1980-11-26
JPH08119361A (ja) * 1994-10-21 1996-05-14 Takeo Yoneda トレー
JPH1099029A (ja) 1996-09-26 1998-04-21 Kinan Dan Board Kk 加工食品の天日干し器及びその補助枠
JPH11290047A (ja) 1998-04-10 1999-10-26 Dainippon Ink & Chem Inc 天日乾燥方法、天日乾燥用装置及び天日乾燥用トレ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64137U (ko) 1979-05-14 1980-11-26
JPH08119361A (ja) * 1994-10-21 1996-05-14 Takeo Yoneda トレー
JPH1099029A (ja) 1996-09-26 1998-04-21 Kinan Dan Board Kk 加工食品の天日干し器及びその補助枠
JPH11290047A (ja) 1998-04-10 1999-10-26 Dainippon Ink & Chem Inc 天日乾燥方法、天日乾燥用装置及び天日乾燥用トレ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020Y1 (ko) * 2017-05-16 2018-07-26 (주)한중기계 건조용 상자
KR20210126876A (ko) * 2020-04-13 2021-10-21 최병수 적층력 향상과 산란율이 탁월한 굼벵이용 교배 및 산란상자
KR20210126880A (ko) * 2020-04-13 2021-10-21 최병수 재배력 향상과 적층력이 탁월한 굼벵이용 사육상자
KR102429143B1 (ko) 2020-04-13 2022-08-03 최병수 적층력 향상과 산란율이 탁월한 굼벵이용 교배 및 산란상자
KR102429369B1 (ko) 2020-04-13 2022-08-03 최병수 재배력 향상과 적층력이 탁월한 굼벵이용 사육상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76371B2 (en) Portable food cooling container
KR100981055B1 (ko) 농수산물용 건조상자
US6799433B1 (en) Portable food cooling container
US20160068325A1 (en) Dish Rack with Cutting Board Integrated into Shipping Container for Kitchenware
KR200474962Y1 (ko) 식재료를 보관하는 냉장고용 다용도 정리함
CN203873297U (zh) 一种蔬菜存放柜
KR200302828Y1 (ko) 가열기와 냉장고를 구비한 테이블
KR20130052081A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해충 방제 유닛
KR20190002919U (ko) 멀티 바스켓
JP4316408B2 (ja) 省スペース型冷蔵庫
JP2017105540A (ja) 食品保存用容器
KR101479447B1 (ko) 냉장 식탁
JP4312933B2 (ja) 電子レンジ調理用家具、電子レンジ調理装置及びキッチン構造
JP6645761B2 (ja) 物品陳列什器
KR101574714B1 (ko) 냉장고용 용기 보관함 세트
KR101195252B1 (ko) 냉장고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용기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냉장고
TWM481820U (zh) 食材保鮮收納裝置
KR200176947Y1 (ko) 김치저장고용 김치통
JP2003084675A (ja) 家庭食品用電化製品内に収納する食品例の説明用立体サンプル
TW201532914A (zh) 食材保鮮收納裝置
Shih FFF Fresh Food Favor: A Sustainable Way to Storage Food Longer
KR101425553B1 (ko) 식품저장고
KR20120070636A (ko) 굴비 급속냉동용 채반
KR100446059B1 (ko) 냉장 기능을 갖는 식탁
JP7014574B2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