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4714B1 - 냉장고용 용기 보관함 세트 - Google Patents
냉장고용 용기 보관함 세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74714B1 KR101574714B1 KR1020140035507A KR20140035507A KR101574714B1 KR 101574714 B1 KR101574714 B1 KR 101574714B1 KR 1020140035507 A KR1020140035507 A KR 1020140035507A KR 20140035507 A KR20140035507 A KR 20140035507A KR 101574714 B1 KR101574714 B1 KR 10157471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housing
- refrigerator
- cool air
- foo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02—Lab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냉장고용 용기 보관함 세트에 관한 것으로, 동일한 높이 또는 서로 다른 높이로 이루어지며 전면과 상면이 개방되게 형성된 함체, 상기 함체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며 전면에 일정 높이를 갖는 손잡이가 형성된 받침판, 상기 함체의 상면 둘레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지며 냉기가 유입되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뚜껑을 마련하여 다수의 함체를 수직으로 연속되게 적층할 수 있어 냉장고의 내부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고, 각각 다른 높이를 갖는 함체에 적합한 높이의 용기를 수납하여 함체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음은 물론 다수의 함체가 적층되어 용기 또는 음식물의 종류별로 구분하여 보관할 수 있으며, 함체와 함체 사이 및 측면에 냉기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냉장고의 냉장 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냉장고용 용기 보관함 세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장고의 수납 공간에 다수의 반찬통 또는 용기 등을 정리하여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용 용기 보관함 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장실과 냉동실로 분리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냉장실에는 다수의 선반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냉동실은 통상적으로 선반이 없거나 한 두 개 정도의 선반이 구비되어 있을 뿐이다.
이에 따라 냉동실에 보관되는 각종 식품류 즉, 다진 마늘이 들어있는 비닐팩이나 기타 포장 식품들은 정리되지 않은 상태로 마구잡이 식으로 냉동실에 수용 보관됨으로써 나중에 원하는 해당 식품류들을 냉동실에서 찾아 꺼내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전력손실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식품의 장기간 신선도 유지가 어렵고, 냉동실 내부공간 활용의 효율성이 저하됨으로써 사용의 번거로움 및 불편함을 초래하게 된다.
음식물을 보관하는 보관용기의 용기본체는 식품 보관용으로 허가된 재질의 합성수지, 내열유리, 내열 도자기 등으로 성형된 것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 중 합성수지로 성형된 제품은 대량생산이 용이하고 가격이 저렴하다는 장점 이외에도 다루기가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보관용기의 용기본체와 덮개에는 밀폐용기에 저장된 음식물을 안전하게 보관 및 저장하고 음식물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잠금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덮개와 용기본체 중 일측에는 외측으로 돌출한 복수의 걸림돌기가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덮개와 용기본체 중 타측에는 회동 가능한 잠금날개가 형성되어 있고, 잠금날개에는 걸림돌기가 삽입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용기는 용기본체의 개구에 덮개를 덮은 상태에서 각 잠금날개를 회동시켜 가압하면 잠금날개의 결합공에 걸림돌기가 탄성적으로 삽입되면서 용기본체와 덮개가 상호 결합된다.
한편 최근 가정에서 식사하는 횟수가 줄고, 가족수가 감소함에 따라 가정에서는 음식물을 마련하거나 요리할 때 한 가지 음식물을 많이 요리하기 보다는 여러 가지 음식물을 조금씩 요리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저장하는 음식물의 종류가 많아지며, 이런 경우 보관용기 자체의 크기 보다는 여러 개의 보관용기가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보관용기를 여러 개 사용할 경우 냉장고 안의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하나의 덮개만을 사용하면서 여러 개의 용기본체를 적층시킬 수 있는 다단식 용기의 제작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다단식 용기의 경우 단일의 덮개와 다단으로 적층가능한 복수의 용기본체를 마련하여 다단으로 음식물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거나 각 용기본체마다 별도의 보조덮개를 두어 용기본체를 적층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다단식 용기의 경우 냉장고 등에 용기를 수납시킨 상태에서 상부 또는 하부에 적층된 용기본체에 수용된 음식물만을 인출하기 위해서는 먼저 용기를 냉장고로부터 인출하고, 상부 또는 하부의 용기본체를 개방하여 음식물을 인출하게 된다.
이에 따라 다단식 용기에 저장된 음식물 중 일부만이 필요한 경우에도 용기 전체를 인출해야 하므로, 냉장고로부터 인출할 필요가 없는 용기본체에 수용된 음식물도 냉장상태로부터 벗어나게 되어 음식물의 보존기간을 단축시키게 된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서랍식 냉동실 정리 보관함'이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서랍식 냉동실 정리 보관함'이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서랍식 냉동실 정리보관함은 전후방 개방부를 가지면서 바닥면에 받침턱이 형성된 함체가 구비되고, 함체 내부에는 상면 중간부에 한 쌍의 레일이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받침대가 다단식으로 일체 형성되며, 상기 받침대의 레일 상에는 선단 상단부에 손잡이가 형성되고, 이의 하부측 전면부에는 표지 삽입구가 형성되며, 후방측에는 상방으로 트여지고 밀폐링을 갖는 뚜껑이 씌워지는 수납부가 형성된 밀폐용기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함체의 각 면 및 받침대에는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 1에 따른 서랍식 냉동실 정리 보관함은 다수의 밀폐용기가 하나의 함체에 수납되므로 냉장고의 수납 공간을 차지하게 되어 냉장고의 수납 공간을 효율적으로 확보할 수 없고, 각각 높이 및 크기가 다른 반찬통 또는 용기 등의 수납 시 밀폐용기의 공간을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의 용기 보관함을 수직으로 적층할 수 있는 냉장고용 용기 보관함 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로 다른 높이로 이루어진 용기 보관함을 필요한 개수만큼 적층하여 용기 보관함의 수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냉장고용 용기 보관함 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용기 보관함 세트는 동일한 높이 또는 서로 다른 높이로 이루어지며 전면과 상면이 개방되게 형성된 함체, 상기 함체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며 전면에 일정 높이를 갖는 손잡이가 형성된 받침판, 상기 함체의 상면 둘레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지며 냉기가 유입되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함체는 음식물이 수납되는 용기, 상기 용기의 상면에 서로 이격된 위치에 일정 길이만큼 돌출 형성되는 끼움돌기, 상기 끼움돌기에 탈착되며 상기 용기에 수납된 음식물의 명칭을 나타내는 라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함체는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되도록 하나 또는 다수로 고정되는 격판, 상기 함체는 측면에 냉기가 유입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냉기구멍, 상기 받침판의 이동이 안정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함체의 내부 양 측면에서 내측을 향해 일정 간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안내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함체에는 수직으로 적층되는 함체 사이로 냉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함체의 저면에 일정 높이를 갖는 간격 유지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함체에는 바닥면으로부터 냉기가 유입되도록 바닥면에 다수의 냉기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판에는 상기 함체의 냉기구멍과 동일하게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용기 보관함 세트에 의하면, 다수의 함체를 수직으로 연속되게 적층할 수 있어 냉장고의 내부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고, 각각 다른 높이를 갖는 함체에 적합한 높이의 용기를 수납하여 함체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음은 물론 다수의 함체가 적층되어 용기 또는 음식물을 종류별로 구분하여 보관할 수 있으며, 함체와 함체 사이 및 측면에 냉기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냉장고의 냉장 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용 용기 보관함 세트의 분해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용 용기 보관함 세트가 다수 적층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용 용기 보관함 세트에 사용되는 용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용 용기 보관함 세트의 분해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용 용기 보관함 세트가 다수 적층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용 용기 보관함 세트에 사용되는 용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용 용기 보관함 세트의 분해 입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용 용기 보관함 세트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용 용기 보관함 세트의 분해 입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용 용기 보관함세트가 다수 적층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용 용기 보관함 세트는 동일한 높이 또는 서로 다른 높이로 이루어지며 전면과 상면이 개방되게 형성된 함체(10), 상기 함체(10)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며 전면에 일정 높이를 갖는 손잡이(21)가 형성된 받침판(22), 상기 함체(10)의 상면 둘레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지며 냉기가 유입되는 다수의 구멍(31)이 형성된 뚜껑(3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함체(10)는 냉장고의 냉장실, 냉동실 또는 김치 냉장고 등에 넣어두고자 하는 음식물을 담은 반찬통 또는 용기(이하 '반찬통'을 포함한다)를 가지런하게 정리하여 수납하기 위한 것이다.
함체(10)는 냉장고, 김치 냉장고 등에 수납되는 크기로 형성되는데, 양 측면과 저면 및 배면을 밀폐시키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정면은 받침판(20)이 출입되도록 개방되게 형성된다.
즉, 함체(10)는 각 측판과 하판 및 배면판이 일정 크기를 갖는 판재로 이루어지고, 판재는 합성수지, 아크릴 등의 비교적 가벼우면서도 열 전도가 잘 이루어지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 판재에는 냉장고(이하 김치 냉장고를 포함한다)의 내부로 유입된 냉기가 함체(1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냉기구멍(11)이 형성된다.
이러한 냉기구멍(11)은 양 측면과 배면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직경을 갖는 원호 형상으로 다수 개 형성되며, 저면(바닥면)에도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냉기구멍(11)이 형성된다.
이들 냉기구멍(11)은 일정 직경을 갖는 원형, 사각형, 육각형 등의 다각형뿐만 아니라 물결 모양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냉기구멍(11)의 형상이나 모양을 서로 다양하게 조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아울러 하판에는 내부에 삽입된 받침판(20)을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일정 원호를 갖는 홈부(12)가 형성될 수 있다. 홈부(12)는 함체(10)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받침판(20)을 꺼내고자 할 때 받침판(20)을 잡을 수 있는 크기이면 족하다.
또 함체(10)의 내부 양 측면에는 각각 함체(10)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안내돌기(13)가 형성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돌기(13)는 일정 길이를 갖는 형태로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형성되며,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다수로 형성된다.
또한 함체(10)의 바닥면에는 안내돌기(13)보다 큰 크기로 이루어져 냉기가 유입되도록 구멍(13a)이 형성된다.
아울러 함체(10)에는 함체(10)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격판(14)이 형성되며, 격판(14)은 받침판(20)의 상면에 놓여지는 용기를 구획하여 수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격판(14)은 내부 공간을 구획하여 줌으로써, 함체(10) 내부의 한 공간에는 비교적 작은 크기를 갖는 용기 또는 반찬통을 수납할 수 있으며, 다른 공간에는 비교적 큰 크기를 갖는 용기 또는 반찬통을 구분하여 수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함체(10)의 저면에는 일정 높이를 갖는 간격 유지돌기(15)가 다수 개 마련된다. 이러한 간격 유지돌기(15)는 수직으로 적층되는 함체(10)와 함체(10) 간의 높이를 일정 높이로 유지하여 줌으로써 함체(10)가 적층된 상태에서도 냉기구멍(11)을 통해 냉기가 유입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 유지돌기(15)는 함체(10)의 저면 각 모서리에 마련될 수 있으며, 함체(10)의 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서와 같이, 함체(10)는 다수 개가 수직으로 적층될 수 있으며, 이때 함체(10)의 높이(크기)를 달리하여 형성할 수 있다.
받침판(20)은 함체(10) 내부에 수납되는 것으로, 받침판(20)은 그 상면에 다수의 반찬통 또는 용기 등을 평평하게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평평하게 형성된다. 아울러 받침판(20)의 전면에는 필요에 따라 받침판(20)을 밀어 넣거나 잡아당길 수 있도록 손잡이(21)가 형성된다. 이러한 손잡이(21)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크기이면 충분하다.
또한 받침판(20)에는 함체(10)의 냉기구멍(11)과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져 냉기가 유입되도록 구멍(22)이 형성되며, 도 4에서와 같이, 받침판(20)의 저면에는 받침판(20)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 리브(23)가 형성되고, 받침판(20)의 양측 저면에도 리브(24)가 형성된다.
아울러 뚜껑(30)은 함체(20)의 상면을 덮는 것으로, 뚜껑(30)에는 냉기가 유입되도록 다수의 구멍(31)이 형성되며, 뚜껑(30)의 저면에는 함체(10)에 끼워지는 끼움홈(32)이 형성된다.
도 4은 본 발명의 냉장고용 용기 보관함 세트에 사용되는 용기(40)를 도시한 것으로, 도 3(a)는 용기(40)의 평면도이며, 도 3(b)는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40)는 음식물이 수납되도록 상면이 개방된 본체(41)와 본체(41)의 상면을 덮는 덮개(42)로 이루어지며, 덮개(42)의 상면에는 원호상으로 일정 길이만큼 돌출되는 끼움돌기(43)가 형성된다.
이러한 끼움돌기(43)는 일정 거리만큼 서로 이격되게 돌출 형성되며, 이들 끼움돌기(43) 사이에는 용기(40)에 수납되어 있는 음식물을 나타내는 라벨(44)이 장착되다.
아울러 라벨(44)은 일정 높이(두께)를 갖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배추 김치, 무 김치 등을 구비하게 됨은 물론 보관된 음식물의 종류를 나타내는 김치, 찌개, 야채 등이 구비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용 용기 보관함 세트의 분해 입체도이며, 전술한 실시 예와 다른 차이점을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용 용기 보관함 세트는 함체(10)의 공간을 격판(14)으로 구획하지 않고서 전체로써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받침판(20) 또한 함체(10)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다.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용 용기 보관함 세트의 결합관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함체(10)는 냉장고의 내부 공간에 수납되는 크기로 형성하며, 이때 함체(10)의 높이는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할 수 있다.
냉장고에 수납하고자 반찬통 또는 용기는 그 내용물을 담고자 하는 용량에 따라 다양한 크기(높이)를 가지므로, 함체(10)는 반찬통 또는 용기의 크기(높이)에 따라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용기의 높이에 따라 함체(10)의 높이는 가장 작은 높이인 5㎝, 중간 높이인 10㎝, 가장 높은 높이인 15㎝ 등으로 달리 형성할 수 있으며, 함체(10)의 높이는 다양한 높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는 함체(10)의 높이를 달리함에 따라 용기의 높이로 구분하여 수납하게 되어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기의 높이로 구분하여 각각 수납할 수 있게 되어 냉장고의 공간을 최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함체(10)의 각 측판 및 배면판에는 일정 직경을 갖는 원호 또는 원형, 사각형, 다각형뿐만 아니라 물결 모양 등의 다양한 형태로 다수의 냉기구멍(11)을 형성하며, 이들 냉기구멍(11)을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 형성한다.
또 함체(10)의 하판에는 용기가 올려져 있는 받침판(20)을 잡을 수 있도록 홈부(12)를 형성하며, 함체(10)의 내부 측면에는 각각 길이 방향으로 안내돌기(13)를 형성한다. 안내돌기(13)는 받침판(20)의 이동을 안내함은 물론 받침판(20)을 전면으로 일부 꺼낸 상태에서 받침판(20)이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즉, 받침판(20)의 내측 끝단이 안내돌기(13)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여 받침판(20)의 처짐 또는 낙하 등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함체(10)의 저면에는 일정 높이를 갖는 간격 유지돌기(15)를 고정하며, 간격 유지구(15)는 수직으로 적층되는 함체(10) 사이에 냉기가 유입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도 1에서와 같이, 함체(10)에는 함체(10)의 공간을 구획하는 격판(14)을 형성하며, 도 4에서와 같이, 격판(14)을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격판(14)은 내부 공간을 구획하여 줌으로써 음식물의 종류 또는 용기에 따라 구분하여 수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받침판(20)은 함체(10)의 바닥면과 안내돌기(13)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며, 받침판(20)의 정면에는 사용자가 받침판(20)을 잡을 수 있는 손잡이(21)를 형성한다.
또한 뚜껑(30)은 함체(10)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하며, 냉기가 유입되도록 함체(10)의 냉기구멍(11)과 동일하게 구멍(31)을 형성하며, 뚜껑(30)의 저면에는 함체(10)에 끼워져 분리 또는 결합되도록 끼움홈(32)을 형성한다.
아울러 용기(40)는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본체(41)와 본체(41)의 상면을 덮을 수 있는 덮개(42)를 구비하며, 덮개(42)의 상면에는 라벨(44)을 탈착할 수 있는 끼움돌기(43)를 형성한다.
이러한 끼움돌기(43)는 일정 거리만큼 떨어져 형성되며, 이들 끼움돌기(43) 사이에는 음식물을 나타내는 라벨(44)을 탈착 가능하게 장착한다.
다음 도 1 내지 도 4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용 용기 보관함 세트의 작동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냉장고용 용기 보관함 세트는 냉장고 등에 보관하고자 하는 반찬통 또는 용기 등을 함체(10) 내부에 용기의 크기 별로 구분하여 수납하거나 용기에 담긴 내용물에 따라 구분하여 수납시킨 상태에서 다수의 함체(10)를 수직으로 적층하여 냉장고의 내부 공간 및 함체(10)의 내부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사용자는 냉장고의 내부 공간에 다수의 함체(10)를 수직으로 적층하게 되는데, 이때 함체(10)는 다양한 높이(크기)로 다수 개가 마련되며, 함체(10)에는 받침판(20) 및 뚜껑(30)이 함께 장착되어 있다.
이에 사용자는 수납하고자 하는 용기의 크기 또는 용기에 수납된 내용물의 종류별로 구분하여 수납할 수 있게 되는데, 함체(10)의 안내돌기(13)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받침판(20)을 끌어당겨 함체(10)의 정면으로 인출하게 된다.
한편 용기(40)에는 내용물을 나타내는 명칭이 기재되어 있는 라벨(44)이 장착되어 있다.
예시적으로 김치의 종류를 나타내는 배추 김치, 무 김치 등과 같은 라벨(44)을 구비하고, 보관된 음식물의 종류를 나타내는 김치, 찌개, 야채 등과 같은 라벨(44)이 장착된다.
인출된 받침판(20)에는 수납하고자 하는 용기를 올려놓게 되며, 다수의 용기를 가지런하게 정리하여 수납하게 된다.
이때 함체(10)는 다수 개로 적층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격판(14)에 의해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용기의 크기 또는 음식물의 종류별로 구분 또는 정리하여 각각의 함체(10)에 용기를 수납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용기 또는 음식물이 보관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용기 또는 음식물을 꺼내기 위하여 함체(10)에 결합되어 있는 받침판(20)을 끌어 당기게 된다.
또한 함체(10)에는 격판(14)에 의해 꺼내고자 하는 용기 또는 음식물의 종류별로 구획 수납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꺼내고자 하는 용기 또는 음식물이 수납되어 있는 함체(10)를 확인한 다음 해당된 함체(10)의 받침판(20)을 꺼내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해당 함체(10)에 수납된 용기를 신속하게 꺼낼 수 있게 되어 냉장고의 문을 여닫는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되고, 냉장고의 냉장·냉동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
아울러 함체(10)의 측판 및 뚜껑(30)에는 각각 다수의 냉기구멍(11, 22, 3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냉장고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냉기는 냉기구멍(11)을 통해 용기 등에 전달된다.
또한 함체(10)는 정면이 개방되어 있으므로, 함체(10)로 유입되는 냉기는 냉기구멍(11, 22, 31)을 통해 유입될 뿐만 아니라 개방된 정면을 통해 유입된다.
이에 용기(40)는 적정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용기 내부에 있는 음식물 등 보다 신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함체 11: 냉기구멍
12: 홈부 13: 안내돌기
14: 격판 15: 간격 유지돌기
20: 받침판 21: 손잡이
22: 구멍 23: 보강 리브
24: 리브 30: 뚜껑
31: 구멍 32: 끼움홈
12: 홈부 13: 안내돌기
14: 격판 15: 간격 유지돌기
20: 받침판 21: 손잡이
22: 구멍 23: 보강 리브
24: 리브 30: 뚜껑
31: 구멍 32: 끼움홈
Claims (5)
- 동일한 높이 또는 서로 다른 높이로 이루어지며 전면과 상면이 개방되게 형성된 함체,
상기 함체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며 전면에 일정 높이를 갖는 손잡이가 형성된 받침판,
상기 함체의 상면 둘레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지며 냉기가 유입되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용기 보관함 세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는 음식물이 수납되는 용기,
상기 용기의 상면에 서로 이격된 위치에 일정 길이만큼 돌출 형성되는 끼움돌기,
상기 끼움돌기에 탈착되며 상기 용기에 수납된 음식물의 명칭을 나타내는 라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용기 보관함 세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는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되도록 하나 또는 다수로 고정되는 격판,
상기 함체의 양 측면에 각각 냉기가 유입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냉기구멍,
상기 받침판의 이동이 안정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함체의 내부 양 측면에서 내측을 향해 일정 간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안내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용기 보관함 세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에는 수직으로 적층되는 함체 사이로 냉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함체의 저면에 일정 높이를 갖는 간격 유지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용기 보관함 세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에는 바닥면으로부터 냉기가 유입되도록 바닥면에 다수의 냉기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판에는 상기 함체의 냉기구멍과 동일하게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용기 보관함 세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35507A KR101574714B1 (ko) | 2014-03-26 | 2014-03-26 | 냉장고용 용기 보관함 세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35507A KR101574714B1 (ko) | 2014-03-26 | 2014-03-26 | 냉장고용 용기 보관함 세트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11752A KR20150111752A (ko) | 2015-10-06 |
KR101574714B1 true KR101574714B1 (ko) | 2015-12-11 |
Family
ID=54345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35507A KR101574714B1 (ko) | 2014-03-26 | 2014-03-26 | 냉장고용 용기 보관함 세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7471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140400B (zh) * | 2022-07-19 | 2024-09-27 | 福建岳海水产食品有限公司 | 保持大黄鱼体色的周转箱及方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47457Y1 (ko) | 2001-06-26 | 2001-10-17 | 김영희 | 선반식 냉동실 정리보관함 |
KR200256480Y1 (ko) | 2001-09-06 | 2001-12-13 | 김진희 | 용기 보관케이스의 용기 안내용 회전판 구조 |
-
2014
- 2014-03-26 KR KR1020140035507A patent/KR10157471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47457Y1 (ko) | 2001-06-26 | 2001-10-17 | 김영희 | 선반식 냉동실 정리보관함 |
KR200256480Y1 (ko) | 2001-09-06 | 2001-12-13 | 김진희 | 용기 보관케이스의 용기 안내용 회전판 구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11752A (ko) | 2015-10-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632144B2 (en) | Food storage drawer and container | |
US2728623A (en) | Inner door bins for upright freezer | |
KR101574714B1 (ko) | 냉장고용 용기 보관함 세트 | |
KR200474962Y1 (ko) | 식재료를 보관하는 냉장고용 다용도 정리함 | |
KR101065722B1 (ko) | 냉장고용 반찬통 정리함 | |
JP5276383B2 (ja) | 冷蔵庫及び冷蔵庫用小物ケース | |
JPH10197141A (ja) | 冷蔵庫 | |
KR200185829Y1 (ko) | 냉장고의 야채 보관용 박스 | |
US20170081080A1 (en) | Food storage container and organizing container system | |
EP2927148B1 (en) | Multifunctional shelf of a refrigerator cavity, and refrigerator provided with such shelf | |
KR200467329Y1 (ko) | 서랍식 반찬냉장고 | |
KR20090008193U (ko) | 저장용기 및 저장용기가 마련된 냉장고 | |
KR101281602B1 (ko) | 다수의 소용기를 수납하는 통합 용기 | |
KR100679649B1 (ko) | 냉장고의 반찬수납장치 | |
KR200247458Y1 (ko) | 서랍식 냉동실 정리보관함 | |
KR200176947Y1 (ko) | 김치저장고용 김치통 | |
JP6072633B2 (ja) | 冷蔵庫 | |
KR101195252B1 (ko) | 냉장고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용기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냉장고 | |
KR101564638B1 (ko) | 적층된 사이로 냉기가 순환되는 다단 적층형 밀폐용기 | |
KR200343345Y1 (ko) | 다단으로 적층된 서랍식 용기 | |
US11927388B2 (en) | Reversible drawer assembly | |
KR200494627Y1 (ko) | 냉동식품 보관함 칸막이 | |
KR100493682B1 (ko) | 냉장실의 반찬 선반 구조 | |
KR101479447B1 (ko) | 냉장 식탁 | |
JP2021071255A (ja) | 冷蔵庫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22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