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3567B1 - 연결 사용이 가능한 다목적 수납함 - Google Patents
연결 사용이 가능한 다목적 수납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43567B1 KR102043567B1 KR1020180127932A KR20180127932A KR102043567B1 KR 102043567 B1 KR102043567 B1 KR 102043567B1 KR 1020180127932 A KR1020180127932 A KR 1020180127932A KR 20180127932 A KR20180127932 A KR 20180127932A KR 102043567 B1 KR102043567 B1 KR 10204356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orage box
- holder body
- main body
- storage
- paralle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2—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stackable ; stackable and linkable
- A47B87/0276—Stackable modular units, each consisting of a closed periphery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05—Linkable dependent elements with the same or similar cross-section, e.g. cabinets linked together, with a common separation wall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Landscapes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내용물을 수납할 수 있는 다목적 수납함을 연결하는 구조에 관한 것으로,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수납함 본체가 병렬 연결된 상태에서 체결요소에 의하여 연결 고정되고, 상기 수납함 본체는 상,하 수직으로 보강리브가 형성되고, 그 보강리브에 체결요소의 끼움대가 상,하 방향으로 끼워지며, 상기 수납공간의 내벽에 형성된 보강리브의 내입부에 체결요소의 끼움대가 끼워져 조립됨으로써 수납공간의 내벽이 돌출되는 부분이 없이 매끄럽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또한 상기 수납함 본체는 양측벽과 후면벽의 상단 둘레를 따라서 플랜지가 형성되고, 수납함 본체를 병렬 연결시 맞닿은 플랜지에 의하여 발생하는 이격된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요소의 중앙에는 그 플랜지에 의하여 발생하는 이격된 공간부에 삽입되는 센터축이 형성되어 체결요소에 의하여 수납함 본체가 병렬로 연결된 상태에서 유동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연결부속에 의한 연결시 수납함의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견고한 연결상태의 유지가 가능토록 하고, 연결에 의한 다단 적층시 무너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내용물을 수납할 수 있는 다목적 수납함을 연결하는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좌,우로 여러 개의 수납함을 연결하여 사용가능하면서도 다단으로 적층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다목적 수납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납함은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여러 가지 소품을 보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하고, 공장이나 산업현장 등에서는 부품이나 공구 등을 담아 보관하기 위한 용도로 다양하게 수납함이 사용된다.
이와 같이 다양한 내용물의 수납을 위한 수납공간이 구비되는 수납함은 종래에는 하나의 수납함에 여러 가지 품목을 담아 사용하였지만 수납, 보관하고자 하는 물품이 많은 경우 수납함을 좌,우로 연결하거나 다단으로 적층하여 사용한다.
수납함을 좌,우 연결하기 위한 구조는 대한민국 특허 제1610505호(2016.04.01.), 대한민국 실용신안 제474595호(2014.09.22.)에서와 같이 수납함을 구성하는 측벽에 전후 길이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가 맞물려 끼워질 수 있는 요입구조에 의한 전후 끼움 방식에 의한 연결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단점은 반드시 수납함을 전후 방향으로 끼워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고, 또한 전,후 끼움 방식으로 조립한 이후에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경우에 따라서는 돌출부와 요입부에 대향되는 각각의 상향경사면을 형성하여 맞물림에 의한 분리를 방지하는데, 이러한 맞물림구조를 갖도록 사출성형할 경우에 이러한 경사면에 의하여 단순한 형개금형(일반금형)으로는 성형에 어려움이 존재하여 별도의 슬라이드금형을 사용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떨어져 비 경제적이라는 문제가 있다.
또한 돌출부와 요입구조의 끼임방식에 의한 맞물림은 수납함의 측벽의 평활도가 떨어질 경우에는 끼임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어서 사출성형시 수축률이 적은 재질을 사용해야 함으로 다양한 재질을 선택할 수 있는 폭이 좁아지게 되어 이 또한 비 경제적이고 다양한 용도로의 사용에도 제한적인 문제점이 존재하게 되는 것이고 특히 상부가 개구되어진 수납함에는 실질적으로 적용이 불가능한 것이다.
또한 전후로 끼워 조립하기 위하여는 전면과 후면에 보강수단을 구비할 수 없어 다단의 적층시 하중에 지지력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존재하고 또한 수납함에 손잡이를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 별도의 손잡이를 조립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끼움 조립방식은 끼움된 상태에서 전후로 기울어졌을 경우에 자중에 의하여 슬라이드되면서 임의로 분리되는 문제가 있어 사용상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재질(연질 또는 경질)을 사용하여 사출성형토록 하여 다양한 용도로의 사용이 가능하면서 상부가 개구되어진 수납함(10)을 구성하는 측벽에 보강리브를 구비토록 하면서 그 상단에 플랜지(11)를 구비하여 보강리브에 더하여 측벽의 보강을 도모하면서 상부가 개구되어진 수납함을 제공하게 되는데 이러한 구조는 플랜지(11)의 특징위치에 관통홀(12)을 단수 또는 복수로 천공한 후 상기 관통홀이 구비된 또 다른 수납함의 플랜지를 밀착토록 한 후 각각의 관통홀에 별도로 제작된 연결부속(20)으로 끼임 연결토록 함으로서 수납함의 좌우 연결이 가능토록 하여 종래와 같이 끼임되어지는 구조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한 것이 제안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것의 단점은 연결부속에 의한 연결이 플랜지에 형성되는 관통홀에 연결되는데 이럴 경우에 플랜지의 살두께가 얇아서 연결력이 빈약하여 잡아당기면 쉽게 관통홀이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함은 물론 수납함의 측벽이 연결되는 것이 아니고 측벽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벌어진 플랜지만이 밀착된 상태에서 연결됨으로 연결상태가 견고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존재하게 되는 것이고 별도의 연결부속을 사용할 경우에도 밀착력이 떨어져 실질적인 연결력을 기대할 수 없다는 단점이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연결부속에 의한 연결시 수납함의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견고한 연결상태의 유지가 가능토록 하고, 연결에 의한 다단 적층시 무너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수납함 본체가 병렬 연결된 상태에서 체결요소에 의하여 연결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수납함 본체는 상,하 수직으로 보강리브를 형성하고, 그 보강리브에 체결요소의 끼움대가 상,하 방향으로 끼워지도록 하면서도 상기 수납공간의 내벽에 형성된 보강리브의 내입부에 체결요소의 끼움대가 끼워져 조립되도록 함으로써 수납공간의 내벽이 돌출되는 부분이 없이 매끄럽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수납함 본체는 양측벽과 후면벽의 상단 둘레를 따라서 플랜지가 형성되도록 하고, 수납함 본체를 병렬 연결시 맞닿은 플랜지에 의하여 발생하는 이격된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체결요소는 중앙에 형성된 센터축이 그 공간부에 끼워져 체결요소에 의하여 수납함 본체가 병렬로 연결된 상태에서 유동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함은 물론, 상기 체결요소는 끼움대의 두께가 보강리브의 내입부의 내입된 깊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도록 하고, 끼움대의 상,하 길이는 내입부의 상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수납함 본체에 체결요소를 끼워 조립한 상태에서 수납공간의 내벽에 틈새가 없이 수납함 본체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기 플랜지는 양측벽에 내입단턱이 형성되고 바닥면의 하단에 받침부가 형성되어 받침부가 플랜지의 내입단턱에 맞물려 수납함 본체를 다단으로 적층 가능하도록 하고, 수납함 본체가 다단으로 적층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연결 사용이 가능한 다목적 수납함에 의하면, 수납함 본체를 병렬로 배열한 상태에서 별도의 체결요소를 이용하여 끼워서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체결요소를 이용하여 조립하는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수납공간의 내벽이 돌출되는 부분이 없이 표면이 매끄럽게 이루어져 미관을 수려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부품이나 공구 등을 보관할 때 걸리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수납함 본체를 다단으로 적층한 상태에서도 유동을 방지하여 적층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수납함 본체를 다단으로 적층할 때 부드럽게 끼워 조립하거나 분리할 수 있으므로 고품질의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수납함의 연결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수납함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4의 수납함의 이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수납함의 연결구조도
도 5는 도 4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도 4의 조립상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체결요소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납함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체결요소의 또 다른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수납함의 저면사시도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수납함의 사용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수납함의 또 다른 연결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조립상태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수납함의 또 다른 연결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조립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수납함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4의 수납함의 이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수납함의 연결구조도
도 5는 도 4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도 4의 조립상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체결요소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납함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체결요소의 또 다른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수납함의 저면사시도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수납함의 사용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수납함의 또 다른 연결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조립상태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수납함의 또 다른 연결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조립상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연결 사용이 가능한 다목적 수납함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납공간(110)이 형성되는 수납함 본체(100)와, 상기 수납함 본체(100)를 연결 고정하기 위한 체결요소(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납함 본체(100)는 수납공간(110)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바닥면(112)의 상측으로 벽체(120)가 구성될 수 있으며, 이 벽체(120)는 수납함 본체의 전면에 형성되는 전면벽(122)과, 양측벽(124), 후면벽(12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면벽(122)에는 수납함 본체를 적층한 상태에서도 내용물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전면벽 중의 일부가 절개되어진 절개면(122a)이 구성될 수 있으며, 절개면이 형성된 전면부의 하단에는 수납함 본체에 보관된 내용물의 종류를 표기할 수 있는 표시부(122b)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벽체(120)의 양측벽(124)과 후면벽(126)의 상단에는 테두리 외측으로 돌출되게 플랜지(140)가 구성될 수 있으며, 이 플랜지는 양측벽(124) 또는 후면벽(126)의 외측면이 수납공간측으로 내입된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이 플랜지(140)는 수납함 본체(100)를 성형 한 후 냉각하는 과정에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양측벽(124)의 상단에 형성되는 양측플랜지(144)와 후면벽(126)의 상단에 형성되는 후면플랜지(146)로 구분되어질 수 있으며, 플랜지(140)에 의하여 수납함 본체(100)를 다단으로 적층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측플랜지(144)에는 하부측으로 내입되게 내입단턱(145)이 형성되고, 수납함 본체의 바닥면(112) 하단에는 그 내입단턱(145)에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로 돌출되게 받침부(115)가 구비될 수 있다.
이 받침부(115)는 내입단턱(145)에 안착된 상태에서 전,후방으로 전면벽(122)과 후면벽(126)에 의하여 걸림되어 이탈되지 않게 되며, 적층된 상태를 긴밀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받침부(115)에는 후면플랜지(146)가 걸림될 수 있도록 걸림부(116)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걸림부(116)에 의하여 수납함 본체(100)를 다단으로 적층할 때 하측에 위치한 수납함 본체의 후면플랜지(146) 상단에 상측에 위치한 수납함 본체의 걸림부(116)가 끼워져 하측의 수납함 본체보다 상측의 수납함 본체가 후방으로 밀려난 상태로 조립할 수 있게 되며, 수납함 본체를 적층 보관할 때 하측에 위치한 수납한 본체의 수납공간의 개구된 면적을 증가시켜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폭을 넓게 하고 물품을 보관하거나 인출할 때 더욱 쉽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양측벽(124)에는 수직하중에 대한 보강을 위하여 수직방향으로 양측벽의 외측으로 보강리브(16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보강리브(160)는 양측벽의 외측에 돌출되는 돌출부(162)와 양측벽의 내벽에 내입되어진 내입부(164)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 보강리브(160)에 체결요소(200)를 끼워서 수납함 본체(100)를 측방향으로 연결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함 본체의 양측벽(124)에 구비되는 보강리브(160)는 양측벽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보강리브가 형성되어 보강리브가 복수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보강리브에 체결요소를 끼워 수납함 본체의 전방과 후방에서 체결요소를 끼워 병렬연결함으로써 연결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체결요소(200)는 가로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상부바(220)의 양단에 하측 방향으로 끼움대(260)가 형성되어 끼움대가 보강리브(160)에 끼워 조립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 수납함 본체(100)를 병렬로 연결한 상태에서 끼움대(260)를 끼워 수납함 본체(100) 간의 벌어짐을 방지하고 조립된 상태로 일체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 체결요소(200)는 끼움대(260)의 두께(D)가 보강리브(160)의 내입부(164)의 내입된 깊이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형성하고, 이와 동시에 끼움대(260)의 상하 길이(H)를 보강리브(160)의 내입부(164)의 상,하 높이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형성하면 수납함 본체(100)를 병렬로 연결하여 체결요소(200)를 끼워 고정한 상태에서 양측벽의 내벽이 매끈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요소(200)의 상부대(220)는 플랜지(140)의 두께 및 그 단면 형상과 대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수납함 본체(100)를 별도의 구성되는 체결요소(200)를 이용하여 병렬로 연결한 상태에서도 양측벽의 내벽이 돌출되는 부분이 없이 표면이 매끄럽게 이루어져 미관을 수려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부품이나 공구 등을 보관할 때 걸리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또한, 상기 체결요소(200)는 상부대(220)의 하부측으로 양측 끼움대(260)의 중앙에 삽입유도를 위한 센터축(240)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센터축(240)은 수납함 본체(100)를 병렬로 연결한 상태에서 플랜지(140)가 서로 맞닿게 배치될 경우 서로 인접한 수납함 본체의 돌출부(162) 사이의 이격된 폭의 공간부(166)에 끼워 조립될 수 있다.
이 센터축(240)은 수납함 본체(100)를 병렬로 연결한 상태에서 플랜지(140)가 서로 맞닿게 배치될 경우 서로 인접한 수납함 본체의 돌출부(162) 사이의 이격된 폭의 공간부(166)에 끼워 조립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센터축(240)은 수납함 본체(100)가 병렬로 밀착된 상태에서 돌출부(162)가 서로 대향되게 이격된 폭에 대응되는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센터축(240)의 양측으로 끼움대(260)가 삽입되어 수납함 본체(100)가 체결요소(200)에 의하여 결합된 상태에서 유동되지 않고 견고하게 끼워 조립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센터축(24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하부로 점차 좁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센터축(240)의 최상단 두께가 수납함 본체(100)가 병렬로 밀착된 상태에서 돌출부(162)가 서로 맞닿아 이격된 폭에 대응되는 두께로 형성되도록 하면 체결요소(200)를 끼워 수납함 본체(100)를 조립할 때 결합유도를 함과 동시에 체결요소(200)가 완전히 끼워진 상태에서는 센터축(240)의 최상단에 보강리브(160)의 돌출부(162) 표면에 완전히 밀착되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센터축(240)의 상,하 길이는 끼움대(260)보다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어 끼움대(260)가 먼저 보강리브(160)에 끼워진 상태에서 이후에 센터축(240)이 보강리브의 사이에 끼워 고정되도록 하여 체결요소(200)를 이용한 수납함 본체(100)의 연결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요소(200)의 양측에 형성되는 끼움대(260)는 센터축(240) 방향으로 경사지게 성형 제작될 수 있는 것으로, 끼움대(260)가 경사지게 형성됨에 의하여 자체 탄성력에 의하여 벌어짐되어 탄성 고정되므로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끼움대(260)의 외면에는 파지부(26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파지부(262)는 복수의 돌출리브가 형성되거나 또는 요철부가 형성되어 수납함 본체(100)가 연결되어진 상태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파지부(262)의 논슬립구조에 의하여 체결요소(200)를 쉽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요소(200)는 고무 등의 탄성재로 제작하여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면서도 유동되지 않게 조립될 수 있으며, 수납함 본체를 다단으로 적층한 상태에서도 받침부의 선단이 체결요소(200)에 밀착되어 적층 상태에서도 유동을 방지하고 부드럽게 끼워 조립될 수 있다.
즉, 상기 플랜지(160)의 내입단턱이 형성되는 부분의 전,후방 길이를 받침부(115)의 전,후방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미세하게 짧게 형성하면 받침부가 내입단턱에 적층될 때 빡빡하게 끼워지면서도 체결요소(200)가 탄성재로 이루어짐으로 인하여 부드럽게 끼워져 적층될 수 있으며, 수납함 본체가 다단으로 적층된 상태에서도 유동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양측벽(124)에는 수직하중에 대한 보강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양측벽(124)의 소정의 위치에 수직방향으로 보조 보강리브(180)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 보강리브(180)는 양측벽의 외측에 돌출되는 돌출부(182)와 양측벽의 내벽에 내입되어진 내입부(184)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 보조 보강리브(180)에 체결요소(200)를 끼워서 수납함 본체(100)를 측방향으로 연결 고정할 수 있으며, 이렇게 보조 보강리브(180)를 더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체결요소(200)를 선택적으로 끼워 병렬로 연결할 수 있다.
100: 수납함 본체
110: 수납공간 112: 바닥면 115: 받침부
120: 벽체 122: 전면벽 124: 양측벽
126: 후면벽
140: 플랜지 144: 양측플랜지 145: 내입단턱
146: 후면플랜지
160: 보강리브 162: 돌출부 164: 내입부
166: 공간부
180: 보조 보강리브 182: 돌출부 184: 내입부
200: 체결요소
220: 상부대 240: 센터축 260: 끼움대
110: 수납공간 112: 바닥면 115: 받침부
120: 벽체 122: 전면벽 124: 양측벽
126: 후면벽
140: 플랜지 144: 양측플랜지 145: 내입단턱
146: 후면플랜지
160: 보강리브 162: 돌출부 164: 내입부
166: 공간부
180: 보조 보강리브 182: 돌출부 184: 내입부
200: 체결요소
220: 상부대 240: 센터축 260: 끼움대
Claims (7)
- 수납공간(110)이 형성되는 수납함 본체(100)가 상,하 방향으로 끼워지는 체결요소(200)에 의하여 병렬로 연결되는 수납함에 있어서,
상기 수납함 본체(100)는 상측이 개구되게 전면벽(122)과 양측벽(124)과 후면벽(126)으로 이루어지되, 양측벽(124)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62)와 양측벽의 내벽에 내입되어진 내입부(164)를 갖는 보강리브(160)가 형성되고,
수납함 본체(100)의 양측벽과 후면벽의 상단 둘레를 따라서는 플랜지(140)가 형성되어 수납함 본체(100)가 병렬로 밀착된 상태에서 맞닿은 플랜지(140)에 의하여 플랜지 하단에서 서로 마주보는 돌출부(162)가 이격되게 공간부(166)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요소(200)는 가로방향의 상부대(220)의 양측에 하부측으로 끼움대(260)가 형성되어 수납함 본체(100)의 보강리브 내측의 내입부(164)에 삽입되고, 양측 끼움대의 사이에는 수납함 본체의 플랜지가 맞닿은 부분에서 돌출부가 서로 대향되게 위치되어 이격된 공간부(166)에 삽입되게 센터축(240)이 형성되어 수납함 본체가 병렬로 연결된 상태에서 센터축(240)과 끼움대(260)에 의하여 유동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고,
상기 수납함 본체(100)의 플랜지(140)는 양측벽에 내입단턱(145)이 형성되고 바닥면의 하단에는 받침부(115)가 형성되어 받침부가 내입단턱(145)에 맞물려 수납함 본체를 다단으로 적층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체결요소(200)는 끼움대(260)의 두께가 보강리브(160)의 내입부(164)의 내입된 깊이와 동일하게 형성되고, 끼움대(260)의 상,하 길이는 내입부(164)의 상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수납공간의 내벽에 틈새가 없이 수납함 본체가 연결되되, 수납함 본체의 양측벽(124)에 구비되는 보강리브(160)는 양측벽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보강리브가 형성되고, 이 보강리브에 체결요소를 끼워 병렬연결 상태를 보강토록 되며,
수납함 본체의 양측벽(124)에는 수직하중에 대한 보강을 위하여 양측벽의 소정의 위치에 수직방향으로 보조 보강리브(180)가 더 구비되고, 이 보강리브에 체결요소(200)를 끼워 병렬연결 상태를 보강토록 되며,
상기 체결요소(200)는 수납함 본체를 다단으로 적층한 상태에서 유동되지 않고 긴밀하게 끼워 조립되도록 탄성재로 이루어지고,
수납함 본체의 전면벽(122)에는 수납함 본체를 적층한 상태에서도 내용물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전면벽 중 일부가 절개되어진 절개면(122a)이 형성되어 수납함의 병렬연결이 긴밀히 이루어지고 병렬 연결한 상태에서도 적층이 가능하며, 적층상태에서도 물품의 인출이 가능케 되고,
상기 받침부(115)에는 후면플랜지(146)가 걸림될 수 있도록 걸림부(116)가 형성되고, 이 걸림부(116)에 의하여 수납함 본체(100)를 다단으로 적층할 때 하측에 위치한 수납함 본체의 후면플랜지(146) 상단에 상측에 위치한 수납함 본체의 걸림부(116)가 끼워져 하측의 수납함 본체보다 상측의 수납함 본체가 후방으로 밀려난 상태로 조립할 수 있게 되며, 수납함 본체를 적층 보관할 때 하측에 위치한 수납한 본체의 수납공간의 개구된 면적을 증가시켜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폭을 증가시키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사용이 가능한 다목적 수납함.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80124070 | 2018-10-17 | ||
KR1020180124070 | 2018-10-17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43567B1 true KR102043567B1 (ko) | 2019-12-02 |
Family
ID=68847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27932A KR102043567B1 (ko) | 2018-10-17 | 2018-10-25 | 연결 사용이 가능한 다목적 수납함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4356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56053B1 (ko) | 2020-08-19 | 2022-02-07 | 주식회사 에코이 | 다단 적층이 가능한 조립식수납장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918781A (en) * | 1973-03-29 | 1975-11-11 | Sicopal | Juxtaposable and superposable furniture pieces |
JP2011207517A (ja) * | 2010-03-30 | 2011-10-20 | Sanko Co Ltd | 連結具装着可能運搬用容器 |
US9526333B1 (en) * | 2016-03-07 | 2016-12-27 | Kevin W. Nielson | Modular storage system |
-
2018
- 2018-10-25 KR KR1020180127932A patent/KR10204356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918781A (en) * | 1973-03-29 | 1975-11-11 | Sicopal | Juxtaposable and superposable furniture pieces |
JP2011207517A (ja) * | 2010-03-30 | 2011-10-20 | Sanko Co Ltd | 連結具装着可能運搬用容器 |
US9526333B1 (en) * | 2016-03-07 | 2016-12-27 | Kevin W. Nielson | Modular storage system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56053B1 (ko) | 2020-08-19 | 2022-02-07 | 주식회사 에코이 | 다단 적층이 가능한 조립식수납장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193340B1 (en) | Snap-together file storage system | |
US20100237755A1 (en) | Storage and organization system and connectivity of the components therein | |
US9474374B2 (en) | Modular shelving | |
US9538846B2 (en) | Shelving system and shelf for same | |
US9398806B2 (en) | Snap together safety storage cabinet | |
KR102043567B1 (ko) | 연결 사용이 가능한 다목적 수납함 | |
US4501456A (en) | Storage rack with multiple drawer compartments and mold for making same | |
US20240067394A1 (en) | Foldable container | |
JP4916135B2 (ja) | 仕切板及び収納家具 | |
KR100818353B1 (ko) | 조립식 합성수지 팔레트 | |
KR101622772B1 (ko) | 조립식 수납함 | |
JP3209673U (ja) | 棚に出し入れが容易な物品収納トレー | |
KR101823395B1 (ko) | 수납 상자 조립체 | |
KR200252494Y1 (ko) | 다용도 조립식 서랍장 | |
KR101966735B1 (ko) | 공간분할형 비품 수납대 | |
JPH07148040A (ja) | 組立式引出しボックス | |
KR101859816B1 (ko) | 접어져 조립되어 서랍이 출입되는 서랍함체 | |
KR200334987Y1 (ko) | 서랍식 보관함 | |
KR200288118Y1 (ko) | 조립방식의 적층구조 수납함 | |
KR20170000301U (ko) | 가구용 조립식 서랍 | |
KR102462319B1 (ko) | 다층 선반 조립구조 | |
KR102562068B1 (ko) | 조립되는 수납대의 연결구조 | |
KR102636617B1 (ko) | 결합식 수납박스 | |
US20060169701A1 (en) | Storage container | |
JP3099678U (ja) | 複数段にトレーが取り付けられた衣装ケース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