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3395B1 - 수납 상자 조립체 - Google Patents

수납 상자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3395B1
KR101823395B1 KR1020160042956A KR20160042956A KR101823395B1 KR 101823395 B1 KR101823395 B1 KR 101823395B1 KR 1020160042956 A KR1020160042956 A KR 1020160042956A KR 20160042956 A KR20160042956 A KR 20160042956A KR 101823395 B1 KR101823395 B1 KR 101823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box
storage
boxes
box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2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5366A (ko
Inventor
김우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샤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샤바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샤바스
Priority to KR1020160042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3395B1/ko
Publication of KR20170115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53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3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3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1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 B65D21/0204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and joined together by interconnecting formations forming part of the container, e.g. dove-tail, snap connections, hook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33Nestabl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34Nestable or stackable container parts forming a receptacle when one part is inverted upon the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 B65D2313/02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of hook-and-loop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Disclosure)은, 복수의 수납 상자가 서로 횡 방향으로 체결되어 일체로 이동되거나, 서로 분리된 상태로 포개져 보관되거나 사용되는 수납 상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제1 높이를 가지며, 상면이 개방된 육면체로 구비되는 제1 수납 상자; 상기 제1 수납 상자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상면이 개방된 육면체로 구비된 제2 수납 상자;로서, 상기 제1 수납 상자의 내부에 포개진 상태에서 상기 제2 수납 상자의 외면이 상기 제1 수납 상자의 내면에 접촉된 상태로 포개질 수 있는 크기로 구비되는 제2 수납 상자; 및 상기 제1 수납 상자 및 상기 제2 수납 상자에 각각 서로 동일한 위치에 구비되되, 상기 제1 수납 상자 및 상기 제2 수납 상자의 상단 외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되 상면을 구성하는 네 개의 변 중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변에 구비되는 체결 후크;와, 상기 체결 후크가 구비되 않은 나머지 두 개의 변에 구비되는 체결 공이 형성된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수납 상자와 상기 제2 수납 상자가 포개진 상태에서, 상기 제1,2 수납 상자에 각각 구비되는 상기 체결 후크와 상기 체결 공의 위치는 상하방향으로 일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상자 조립체를 제1 발명으로 제공한다.

Description

수납 상자 조립체{Storage box assembly}
본 발명(Disclosure)은, 복수의 수납 상자로 구성되는 수납 상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수납 상자가 서로 횡 방향으로 체결되어 일체로 이동되거나, 서로 분리된 상태로 포개져 보관되거나 사용되는 수납 상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일반적으로 냉장고의 내부에는 다양한 형태의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수납공간에는 선반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며, 사용자들은 선반에 음식물이 담긴 수납 상자(예: 그릇)을 올려 저장한다.
이 경우, 수납 상자들이 서로 분리된 상태이어서, 냉장고의 내측에 저장된 수납 상자를 꺼내기 위해서는 앞에 있는 수납 상자들을 모두 빼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최근에는, 선반에 드로워를 설치하여, 드로워를 인출하는 방법으로 냉장고의 내측에 저장된 수납 상자를 용이하게 꺼낼 수 있게 되었으나, 이는 드로워 제작 비용의 증가를 초래하고 있고, 모든 선반을 드로워로 제작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드로워는 내부에 별도 구획공간이 없기 때문에 수납 상자가 서로 섞이는 문제도 있다.
따라서, 드로워를 이용하지 않고 선반 내에 수납 상자들을 효과적으로 수납할 수 있는 수납 상자 조립체의 개발이 요구된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8-018120호는, 드로워의 내부 바닥면에 레일을 형성하고, 수납 상자를 상기 레일에 체결하는 방식으로 수납 상자가 섞이거나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냉장고용 수납장치를 개시한 바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98623호는, 드로워의 내부에 복수의 수납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박스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어 내부에 음식물을 저장하며, 복수개로 마련되는 분할 상자; 및 상기 분할 상자에 의해 내부 공간이 복수개로 분할되도록 상기 분할 상자를 수납하며, 상기 분할 상자와 함께 상기 저장실에 저장되는 수납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분할 상자 바닥면에는 하부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마련되고, 상기 수납용기의 바닥면에는 상기 돌출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오목부가 복수개 마련되며, 상기 돌출부가 상기 오목부에 고정되어 상기 분할 상자가 상기 수납용기에 수납되는 저장유닛을 개시한 바 있다(도 1 참조).
그러나 이들은, 복수의 수납 상자(또는 분할 상자)를 고정하기 위해, 드로워 내부의 레일 구조를 이용하거나, 분할 상자를 수용하는 수납용기를 구비하여야 한다. 이는 제조원가의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1. 특허문헌 0001)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8-018120호 2. 특허문헌 0002)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98623호
본 발명은, 복수의 수납 상자가 서로 횡 방향으로 체결되어 일체로 이동되거나, 서로 분리된 상태로 포개져 보관되거나 사용되는 수납 상자 조립체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동일한 높이를 가지되, 서로 포개진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수납 상자의 외면이 다른 하나의 내면에 접촉된 상태로 포개질 수 있도록 크기를 달리하는 복수의 수납 상자가 횡 방향으로 체결된 상태에서 수평을 이루는 수납 상자 조립체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발명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상기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은, 제1 높이를 가지며, 상면이 개방된 육면체로 구비되는 제1 수납 상자; 상기 제1 수납 상자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상면이 개방된 육면체로 구비된 제2 수납 상자;로서, 상기 제1 수납 상자의 내부에 포개진 상태에서 상기 제2 수납 상자의 외면이 상기 제1 수납 상자의 내면에 접촉된 상태로 포개질 수 있는 크기로 구비되는 제2 수납 상자; 및 상기 제1 수납 상자 및 상기 제2 수납 상자에 각각 서로 동일한 위치에 구비되되, 상기 제1 수납 상자 및 상기 제2 수납 상자의 상단 외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되 상면을 구성하는 네 개의 변 중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변에 구비되는 체결 후크;와, 상기 체결 후크가 구비되 않은 나머지 두 개의 변에 구비되는 체결 공이 형성된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수납 상자와 상기 제2 수납 상자가 포개진 상태에서, 상기 제1,2 수납 상자에 각각 구비되는 상기 체결 후크와 상기 체결 공의 위치는 상하방향으로 일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상자 조립체를 제1 발명으로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1 발명의 수납 상자 조립체로서, 상기 리브는, 상기 제1,2 수납 상자의 상단 외주 전체에 형성되며, 상기 체결 후크는 상기 리브에 형성되는 수납 상자 조립체를 제2 발명으로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2 수납 상자가 상기 제1 수납 상자에 포개지는 깊이가 설정된 깊이로 제한되도록, 상기 제2 수납 상자의 상단 외면에 형성되는 걸림 돌기;를 더 포함하는 수납 상자 조립체를 제3 발명으로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1 발명의 수납 상자 조립체로서, 상기 제1 수납 상자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상면이 개방된 육면체로 구비된 제3 수납 상자;로서, 상기 제2 수납 상자의 내부에 포개진 상태에서 상기 제3 수납 상자의 외면이 상기 제2 수납 상자의 내면에 접촉된 상태로 포개질 수 있는 크기로 구비되되, 상기 체결 후크 및 상기 체결 공이 형성된 리브를 가지는 제3 수납 상자; 및 상기 제1 수납 상자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상면이 개방된 육면체로 구비된 제4 수납 상자;로서, 상기 제3 수납 상자의 내부에 포개진 상태에서 상기 제4 수납 상자의 외면이 상기 제3 수납 상자의 내면에 접촉된 상태로 포개질 수 있는 크기로 구비되되, 상기 체결 후크 및 상기 체결 공이 형성된 리브를 가지는 제4 수납 상자;를 더 포함하는 수납 상자 조립체를 제4 발명으로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4 발명의 수납 상자 조립체로서, 상기 제4 수납 상자에 형성되는 상기 체결 공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제1,2,3 수납 상자에 형성되는 상기 체결 공의 위치가 상기 제1,2,3 수납 상자에 형성되는 상기 리브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체결 공은 상기 제1,2,3 수납 상자의 내면 상단에 형성되는 결합 홈으로 구비되는 수납 상자 조립체를 제5 발명으로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4 발명의 수납 상자 조립체로서, 상기 제1 수납 상자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상면이 개방된 육면체로 구비되는 두 개의 분할 상자;로서, 상기 두 개의 분할 상자가 횡 방향으로 결합 되어 상기 제1,2,3,4 수납 상자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체결 후크 및 상기 체결 공의 위치 및 상기 리브의 크기를 포함하는 외관이 동일하게 구비되는 두 개의 분할 상자;를 더 포함하는 수납 상자 조립체를 제6 발명으로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4 발명의 수납 상자 조립체로서, 상기 리브는, 상기 제1,2,3,4 수납 상자의 상단 외주 전체에 형성되며, 상기 체결 후크는 상기 리브에 형성되고, 상기 제1,2,3,4 수납 상자가 아래로부터 순차로 적층 된 상태에서, 상기 제1,2,3,4 수납 상자로부터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리브의 끝단이 상하방향으로 일치하도록 구비되는 수납 상자 조립체를 제7 발명으로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수납 상자가 서로 다른 크기로 구비되어 어느 일방의 외면(바닥면을 포함)이 다른 일방의 내면에 접촉된 상태로 포개질 수 있으면서도, 이들을 횡 방향(수평방향)으로 수평이 유지된 상태로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수납 상자를 횡 방향으로 체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냉장고의 선반 등에 드로워 없이도 복수의 수납 상자를 일체로 수납 인출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관련 기술을 도시한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 상자 조립체의 제1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
도 4는 도 2에서 A-A 단면을 보인 도면.
도 5는 도 2에서 B-B 단면을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 상자 조립체의 제2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 상자 조립체의 제3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
이하, 본 개시에 따른 수납 상자 조립체를 구현한 다양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다만, 본 개시의 사상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개시의 사상을 이해하는 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와 동일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양한 실시 형태를 치환 또는 변경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됨을 밝힌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것이므로, 본 개시의 기술적 내용을 파악함에 있어서,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고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 상자 조립체의 제1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 도 4는 도 2에서 A-A 단면을 보인 도면, 도 5는 도 2에서 B-B 단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수납 상자 조립체(100)는, 체결 후크(111,121)와 체결 공(112,122)이 형성된 리브(113,123)가 각각 구비되는 제1,2 수납 상자(110,120)를 포함한다.
더하여, 체결 후크(131,141)와 체결 공(132,142)이 형성된 리브(133,143)가 각각 구비되는 제3,4 수납 상자(130,140)가 더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제1,2,3,4 수납 상자(110,120,130,140)를 서로 포개어 보관하거나, 제1,2,3,4 수납 상자(110,120,130,140)를 횡 방향으로 체결하여 물품을 수납하는 수납 용기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1,2,3,4 수납 상자(110,120,130,140)가 순차로 포개지면서 서로 바닥면이 접촉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크기로 구비되어 보관시 필요한 공간을 줄이면서도, 횡 방향으로 결합 시 수평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1,2,3,4 수납 상자(110,120,130,140)는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상면이 개방된 육면체로 구비된다.
또한, 제2 수납 상자(120)는, 제1 수납 상자(110)의 내부에 포개진 상태에서 제2 수납 상자(120)의 외면(바닥면을 포함)이 제1 수납 상자(110)의 내면에 접촉된 상태로 포개질 수 있는 크기로 구비된다.
같은 기준으로, 제3 수납 상자(130)는, 제2 수납 상자(120)의 내부에 포개진 상태에서 제3 수납 상자(130)의 외면(바닥면 포함)이 제3 수납 상자(130)의 내면에 접촉된 상태로 포개질 수 있는 크기로 구비되며, 제4 수납 상자(140)는, 제3 수납 상자(130)의 내부에 포개진 상태에서 제4 수납 상자(140)의 외면(바닥면 포함)이 제3 수납 상자(130)의 내면에 접촉된 상태로 포개질 수 있는 크기로 구비된다.
한편, 제1,2,3,4 수납 상자(110,120,130,140)는, 횡 방향의 결합을 위해 체결 후크(111,121,131,141)와, 체결 공(112,122,132,142)이 형성된 리브(113,123,133,143)를 가진다.
여기서, 체결 후크(111,121,131,141)와, 체결 공(112,122,132,142)이 형성된 리브(113,123,133,143)는, 제1,2,3,4 수납 상자(110,120,130,140)에 각각 동일한 위치에 구비된다.
또한, 체결 후크(111,121,131,141)와, 체결 공(112,122,132,142)이 형성된 리브(113,123,133,143)는, 제1,2,3,4 수납 상자(110,120,130,140)의 상단 외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되, 상면을 구성하는 네 개의 변 중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변에 체결 후크(111,121,131,141)가 구비되고, 체결 후크(111,121,131,141)가 구비되 않은 나머지 서로 인접한 두 개의 변에 체결 공(112,122,132,142)이 형성된 리브(113,123,133,143)가 구비된다.
더하여, 제1,2,3,4 수납 상자(110,120,130,140)에 구비되는 체결 후크(111,121,131,141)와, 체결 공(112,122,132,142)은, 제1,2,3,4 수납 상자(110,120,130,140)가 포개진 상태에서, 상하방향(수직방향)으로 일치하도록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체결 후크(111,121,131,141)의 수평 방향 끝단이 상하방향으로 정렬되며, 체결 공(112,122,132,142)도 상하방향으로 일치되도록 배치된다.
이 경우, 체결 후크(111,121,131,141)와 체결 공(112,122,132,142)의 위치는, 제1 수납 상자(110)로부터 제4 수납 상자로 갈수록 상단 외면으로부터 점차 먼 위치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제1,2,3,4 수납 상자(110,120,130,140)를 횡 방향으로 체결할 때, 그 크기의 차이로 인해 수평이 맞지 않는 문제가 해결되며, 도 3과 같이 제1,2,3,4 수납 상자(110,120,130,140)가 격자형으로 결합 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 리브(113,123,133,143)는, 체결 공(112,122,132,142)을 형성하기 위한 베이스이므로, 체결 공(112,122,132,142)이 형성되는 위치에만 형성되어도 무방하나, 손잡이 기능 또는 제1,2,3,4 수납 상자(110,120,130,140)의 결합 시 체결 후크(111,121,131,141)와 체결 공(112,122,132,142)의 위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리브(113,123,133,143)는, 제1,2,3,4 수납 상자(110,120,130,140)의 상단 외주 전체에 형성되고, 체결 후크(111,121,131,141)는 리브(113,123,133,143)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2,3,4 수납 상자(110,120,130,140)가 아래로부터 순차로 적층 된 상태에서, 제1,2,3,4 수납 상자(110,120,130,140)로부터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113,123,133,143)의 끝단이 상하방향으로 일치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체결 후크(111,121,131,141)의 크기가 일정하므로, 체결 후크(111,121,131,141)의 수평 방향 끝단이 상하방향으로 정렬되기 위해 당연히 도출되는 구속조건이라 할 것이다.
한편, 제1,2,3,4 수납 상자(110,120,130,140)가 완전히 포개진 상태에서는 리브(113,123,133,143)가 서로 맞대어져 있게 되는데, 이는 제1,2,3,4 수납 상자(110,120,130,140)를 분리하는데 어려움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2,3,4 수납 상자(120,130,140)가 각각 제1,2,3 수납 상자(110,120,130)에 포개지는 깊이가 설정된 깊이로 제한되도록, 제2,3,4 수납 상자(120,130,140)의 상단 외면에 형성되는 걸림 돌기(114,124,134,144)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서로 포개진 상태에서 제1,2,3,4 수납 상자(110,120,130,140) 사이에 유격(틈)이 발생 되므로 포개거나 분리하는 동작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2,3,4 수납 상자(110,120,130,140)가 아래로부터 순차로 적층 된 상태에서, 제4 수납 상자(140)에 형성되는 체결 공(112,122,132,142)의 위치를 기준으로, 제1,2,3 수납 상자(110,120,130)에 형성되는 체결 공(112,122,132,142)의 위치를 결정할 때, 체결 공(112,122,132,142)의 위치가 제1,2,3 수납 상자(110,120,130)에 형성된 리브(113,123,133,143)를 벗어나는 경우, 체결 공(112,122,132,142)을 형성하는 것이 불가능해진다. 이 경우 체결 공(112,122,132,142)을 대신하여 체결 후크(111,121,131,141)는 제1,2,3 수납 상자(110,120,130)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벽면 상단에 체결되어야 하는데, 체결 후크(111,121,131,141)의 결합을 위해 제1,2,3 수납 상자(110,120,130)의 상단 내면에 결합 홈(132a)을 형성하여 두께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 상자 조립체(100)의 제2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수납 상자 조립체(100)는, 제1,2,3,4 수납 상자(110,120,130,140) 중 어느 하나를 대체할 수 있는 분할 상자(210,220,230)의 결합체가 구비되는 점에 특징을 가진다.
여기서, 분할 상자(210,220,230)의 결합체는, 두 개의 분할 상자(210,220,230)가 횡 방향으로 결합 된 것으로 구비된다. 이와 달리 앞서 설명한 실시형태를 기초로 하여 분할 상자(210,220,230)의 수를 네 개로 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에 의하면, 수납공간의 수를 늘리고, 서로 다른 크기의 수납공간을 가지는 수납용기를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두 개의 분할 상자(210,220,230)는 제1 수납 상자(110)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상면이 개방된 육면체로 구비된다.
또한, 두 개의 분할 상자(210,220,230)는, 앞서 설명한 실시형태의 제1,2,3,4 수납 상자(110,120,130,140) 중 연속되는 두 개의 수납 상자와 같이 서로 포개질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두 개의 분할 상자(210,220,230)는, 횡 방향으로 결합 된 상태에서, 제1,2,3,4 수납 상자 중 어느 하나와 체결 후크(111,121,131,141) 및 체결 공(112,122,132,142)의 위치 및 리브(113,123,133,143)의 크기를 포함하는 외관이 동일하게 구비됨으로서, 해당 수납 상자를 대체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 상자 조립체(100)의 제3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수납 상자 조립체(100)는, 횡 방향으로 결합 되는 두 개의 수납 상자(310,320)로 구비되며, 결합 된 상태에서 일 측에 구비되는 체결 후크를 이용하여 벽 등에 걸 수 있게 된다. 이때 체결 후크의 결합을 위해 벽 등에 매쉬형태의 결합 판(W)이 구비될 수 있다.

Claims (7)

  1. 제1 높이를 가지며, 상면이 개방된 육면체로 구비되는 제1 수납 상자;
    상기 제1 수납 상자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상면이 개방된 육면체로 구비된 제2 수납 상자;로서, 상기 제1 수납 상자의 내부에 포개진 상태에서 상기 제2 수납 상자의 외면이 상기 제1 수납 상자의 내면에 접촉된 상태로 포개질 수 있는 크기로 구비되는 제2 수납 상자;
    상기 제1 수납 상자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상면이 개방된 육면체로 구비된 제3 수납 상자;로서, 상기 제2 수납 상자의 내부에 포개진 상태에서 상기 제3 수납 상자의 외면이 상기 제2 수납 상자의 내면에 접촉된 상태로 포개질 수 있는 크기로 구비되는 제3 수납 상자;
    상기 제1 수납 상자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상면이 개방된 육면체로 구비된 제4 수납 상자;로서, 상기 제3 수납 상자의 내부에 포개진 상태에서 상기 제4 수납 상자의 외면이 상기 제3 수납 상자의 내면에 접촉된 상태로 포개질 수 있는 크기로 구비되는 제4 수납 상자; 및
    상기 제1,2,3,4 수납 상자에 각각 서로 동일한 위치에 구비되되, 상기 제1,2,3,4 수납 상자의 상단 외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되 상면을 구성하는 네 개의 변 중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변에 구비되는 체결 후크;와, 상기 체결 후크가 구비되지 않은 나머지 두 개의 변에 구비되는 체결 공이 형성된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1,2,3,4 수납 상자가 아래로부터 순차로 적층 된 상태에서, 상기 제1,2,3,4 수납 상자에 각각 구비되는 상기 체결 후크와 상기 체결 공의 위치는 상하방향으로 일치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제4 수납 상자에 형성되는 상기 체결 공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제1,2,3 수납 상자에 형성되는 상기 체결 공의 위치가 상기 제1,2,3 수납 상자에 형성되는 상기 리브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체결 공은 상기 제1,2,3 수납 상자의 내면 상단에 형성되는 결합 홈으로 구비되고,
    상기 리브는, 상기 제1,2,3,4 수납 상자의 상단 외주 전체에 형성되며,
    상기 체결 후크는 상기 리브에 형성되고,
    상기 제1,2,3,4 수납 상자가 아래로부터 순차로 적층 된 상태에서, 상기 제1,2,3,4 수납 상자로부터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리브의 끝단이 상하방향으로 일치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상자 조립체.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수납 상자가 상기 제1 수납 상자에 포개지는 깊이가 설정된 깊이로 제한되도록, 상기 제2 수납 상자의 상단 외면에 형성되는 걸림 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상자 조립체.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수납 상자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상면이 개방된 육면체로 구비되는 두 개의 분할 상자;로서, 상기 두 개의 분할 상자가 횡 방향으로 결합 되어 상기 제1,2,3,4 수납 상자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체결 후크 및 상기 체결 공의 위치 및 상기 리브의 크기를 포함하는 외관이 동일하게 구비되는 두 개의 분할 상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상자 조립체.
  7. 삭제
KR1020160042956A 2016-04-07 2016-04-07 수납 상자 조립체 KR101823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956A KR101823395B1 (ko) 2016-04-07 2016-04-07 수납 상자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956A KR101823395B1 (ko) 2016-04-07 2016-04-07 수납 상자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5366A KR20170115366A (ko) 2017-10-17
KR101823395B1 true KR101823395B1 (ko) 2018-01-30

Family

ID=60297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2956A KR101823395B1 (ko) 2016-04-07 2016-04-07 수납 상자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33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6798B1 (ko) * 2017-11-20 2018-04-09 주식회사 에스피지코리아 멀티조립상자 키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83412B2 (ja) * 2003-09-18 2009-12-16 義久 古田 物品収納ケース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83412B2 (ja) * 2003-09-18 2009-12-16 義久 古田 物品収納ケー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5366A (ko) 2017-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07499A (ko) 냉장고용 함입 선반 및 서랍 버팀대
KR101823395B1 (ko) 수납 상자 조립체
JP2010048435A (ja) 冷蔵庫
KR20170118118A (ko) 적층가능한 컨테이너 시스템
KR200473255Y1 (ko) 조립식 수납장
KR20070065750A (ko) 분할판을 갖는 저장용기
KR102043567B1 (ko) 연결 사용이 가능한 다목적 수납함
KR100432733B1 (ko) 냉장고의 도어바스켓
CN105157334B (zh) 储物盒及具有该储物盒的冰箱
JP7048959B2 (ja) 収納ケース
KR200252494Y1 (ko) 다용도 조립식 서랍장
KR101236657B1 (ko) 수납공간용 구획부재 및 그 구획부재를 이용한 조립식 구획용구
KR101859816B1 (ko) 접어져 조립되어 서랍이 출입되는 서랍함체
KR20050071184A (ko) 냉장고
KR102645668B1 (ko) 서랍의 수납부 구획구조
JP2007055651A (ja) 折り畳みコンテナー
JP2001112557A (ja) 引き出し箱構造
CN220229688U (zh) 储物柜
KR200267947Y1 (ko) 김치냉장고의 서랍방 조립구조
JPWO2020105178A1 (ja) 冷蔵庫
CN220871238U (zh) 一种抽屉组件及制冷装置
JP2004049475A (ja) 仕切部材及びこれを装着した引き出し構造
JP3099678U (ja) 複数段にトレーが取り付けられた衣装ケース
JP4649000B2 (ja) 配膳車
KR102203358B1 (ko) 폭을 조절할 수 있는 서랍 분리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