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7947Y1 - 김치냉장고의 서랍방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김치냉장고의 서랍방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7947Y1
KR200267947Y1 KR2020010038989U KR20010038989U KR200267947Y1 KR 200267947 Y1 KR200267947 Y1 KR 200267947Y1 KR 2020010038989 U KR2020010038989 U KR 2020010038989U KR 20010038989 U KR20010038989 U KR 20010038989U KR 200267947 Y1 KR200267947 Y1 KR 2002679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drawer room
front panel
kimchi refrigerator
assembly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89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익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389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79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79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7947Y1/ko

Links

Landscapes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김치냉장고의 서랍방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부 서랍방의 하단변에 락커가 형성되고, 하부 서랍방의 상단변에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서랍방과 하부 서랍방 사이의 공간에 연결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전면 패널부와, 상기 락커에 락킹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전면 패널부 상단면에 절곡 형성되는 락킹부와, 상기 플랜지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전면 패널부 하단면 내측에 형성되는 U 밴딩부와, 상기 전면 패널부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외부케이스에 나사체결되는 나사체결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 하 서랍방 간의 조립이 용이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김치냉장고의 서랍방 조립구조{A DRAWER ROOM ASSEMBLY STRUCTURE OF KIMCHI REFRIGERATOR}
본 고안은 김치냉장고의 서랍방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서랍식 김치냉장고에서 상부 서랍방과 하부 서랍방으로 구분되는 서랍방을 서로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김치냉장고의 서랍방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김치만을 별도로 냉장 보관할 수 있는 김치전용 냉장고인 김치 냉장고가 많이 개발되고 있다.
일반적인 김치냉장고는 냉장고 본체 내부로 다수개의 김치통 수장실이 측벽을 기준으로 좌우측에 분리 구성되며 상기 각각의 김치통 수장실 내부에 상부로부터 김치냉장고 전용 김치통이 수용되어 다양한 종류의 김치를 분리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상기와 같은 김치냉장고는 다양한 냉매를 이용하여 기본적인 압축, 응축, 팽창과 증발의 과정을 거쳐 냉장실내의 냉기를 계속적인 발생 및 순환 시키므로서 저장된 김치의 신선도를 유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김치 냉장고의 쓰임새가 확대되어 대용량으로 커지는 추세에서 상부로부터 수납되는 방식은, 김치통 수장실의 깊이가 깊어져 김치통을 넣고 빼기가 매우 불편하였다. 그러므로 일부 서랍식을 채용한 김치냉장고가 있으나, 이 또한 대용량의 김치냉장고에서는 미흡한 점이 있어 여러 칸이 적층되는 서랍식의 김치냉장고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서랍식 김치냉장고에는 적층되어 상하부에 위치하는 서랍방을 서로 용이하게 조립시키며, 서랍의 여닫이에 간섭을 하지 않는 연결부재가 필요로 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결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서랍식 김치냉장고에서 상, 하 서랍방 간의 조립이 용이한 김치냉장고의 서랍방 조립구조를 제공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외부케이스에 수평방향으로 서랍을 수납할 수 있도록 상부 및 하부 서랍방을 구비하는 김치냉장고의 서랍방 조립구조에 있어서, 상부 서랍방의 하단변에 락커가 형성되고, 하부 서랍방의 상단변에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서랍방과 하부 서랍방 사이의 공간에 연결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전면 패널부와, 상기 락커에 락킹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전면 패널부 상단면에 절곡 형성되는 락킹부와, 상기 플랜지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전면 패널부 하단면 내측에 형성되는 U 밴딩부와, 상기 전면 패널부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외부케이스에 나사체결되는 나사체결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 서랍방 조립구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 기술되는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김치냉장고의 서랍방 조립구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김치냉장고의 서랍방 조립구조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2 : 외부케이스
20 : 상부 서랍방 22, 32 : 결합면
24 : 락커 26 : 걸림턱
30 : 하부 서랍방 34 : 플랜지부
40 : 서랍 50 : 연결부재
52 : 전면패널 54 : 락킹부
54a : 후크 56 : U밴딩부
58 : 나사체결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김치냉장고의 서랍방 조립구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김치냉장고의 서랍방 조립구조의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도 1의 김치냉장고의 서랍방 조립구조는, 본체(10) 외관을 형성하는 외부케이스(12)와, 외부케이스(12)와 발포재 충전 간격을 두고 외부케이스(12)내에 수평방향으로 서랍을 수납할 수 있도록 상부 서랍방(20)과 하부 서랍방(30)이 설치된다.
상기 상부 서랍칸(20)과 하부 서랍칸(30)에는 각각 전면으로 슬라이딩 개폐되는 서랍(40)이 내장되며, 그 서랍(40)에 김치 등의 저장물을 수용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케이스(12)의 전방 상단부에는 조작패널(42)이 수용결합되며, 그 하부에는 기계부품실(44)이 설치된다.
여기에서 상부 서랍방(20)의 후측으로는 서랍(40)이 내장되는 공간이 마련되며, 전면 테두리에는 외부케이스(12)에 조립되는 결합면(22)이 설치되고, 그 중 하단변에는 후크 조립되는 락커(24)가 형성된다.
상기 락커(24)의 일면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걸림턱(26)이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 서랍방(30)도 상기 상부 서랍방(20)과 같은 형상으로 설치되나, 하부 서랍방(30)의 결합면(32) 상단변에 여러번 절곡된 플랜지부(34)가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라 상부 서랍방(20)과 하부 서랍방(30) 사이의 공간에 연결부재(50)가 설치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부재(50)는 상, 하부 서랍방(20)(30)과 같은 길이를 가지는 전면 패널부(52)가 설치되고, 상기 락커(24)가 락킹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전면 패널부(52) 상단면에 절곡 형성되어 후크(54a)를 가지는 락킹부(54)가설치된다. 그리고 전면 패널부(52) 하단부 내측에 상기 플랜지부(34)가 끼워질 수 있도록 U 밴딩부(56)가 설치되고, 전면 패널부(52) 양측에 형성되어 외부케이스(12)에 나사체결되는 나사체결부(58)로 형성되는 구성을 가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김치냉장고의 서랍방 조립구조의 상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체(10)의 외부케이스(12)에 상, 하부 서랍방(20)(30)을 조립시키기 위하여 먼저, 상부 서랍방(20)의 결합면(22) 하단변에 형성된 락커(24)에 연결부재(50)의 락킹부(54)를 밀어넣어 결합시킨다.
이 때, 락킹부(54)의 일단에 형성되어 밀고 들어간 후크(54a)는 락커(24)의 걸림턱(26)에 걸려 이탈이 방지된다.
상부 서랍방(20)과 연결부재(50)가 결합된 상태에서 연결부재(50)의 하부로 하부 서랍방(30)의 플랜지부(34)를 U 밴딩부(56)의 홈부에 하방에서부터 끼워 넣어 조립한다.
그리고 결합된 상부 서랍방(20)과 연결부재(50), 하부 서랍방(30)을 발포재가 내재된 외부케이스(12)에 넣게 되며, 전면 패널부(52) 양측에 형성된 나사체결부(58)를 통하여 외부케이스(12)에 나사체결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부 서랍방(20)과 하부 서랍방(30)의 조립을 연결부재(50)로 하여 보다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이상, 상기 내용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당업자는 본 고안의 요지를 변경시킴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김치냉장고의 서랍방 조립구조는, 상, 하 서랍방 간의 조립이 용이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외부케이스에 수평방향으로 서랍을 수납할 수 있도록 상부 및 하부 서랍방을 구비하는 김치냉장고의 서랍방 조립구조에 있어서,
    상부 서랍방(20)의 하단변에 락커(24)가 형성되고,
    하부 서랍방(30)의 상단변에 플랜지부(34)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서랍방(20)과 하부 서랍방(30) 사이의 공간에 연결부재(50)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재(50)는 전면 패널부(52)와, 상기 락커(24)에 락킹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전면 패널부(52) 상단면에 절곡 형성되는 락킹부(54)와, 상기 플랜지부(34)가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전면 패널부(52) 하단면 내측에 형성되는 U 밴딩부(56)와, 상기 전면 패널부(52)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외부케이스(12)에 나사체결되는 나사체결부(58)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 서랍방 조립구조.
KR2020010038989U 2001-12-17 2001-12-17 김치냉장고의 서랍방 조립구조 KR2002679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8989U KR200267947Y1 (ko) 2001-12-17 2001-12-17 김치냉장고의 서랍방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8989U KR200267947Y1 (ko) 2001-12-17 2001-12-17 김치냉장고의 서랍방 조립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7947Y1 true KR200267947Y1 (ko) 2002-03-13

Family

ID=73072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8989U KR200267947Y1 (ko) 2001-12-17 2001-12-17 김치냉장고의 서랍방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794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1346B1 (ko) 선반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US20080203875A1 (en) Refrigerator
US20160305706A1 (en) Refrigerator
US8562088B2 (en) Refrigerator
EP3106791A1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assembling ice machine thereof
KR101351033B1 (ko) 냉장고
KR100435126B1 (ko) 냉장고의 인출용기
US20230221062A1 (en) Refrigerator
US20170292778A1 (en) Refrigerator and drawer assembly thereof
KR200267947Y1 (ko) 김치냉장고의 서랍방 조립구조
KR100513681B1 (ko) 냉장고
KR100965358B1 (ko) 냉장고
KR101823395B1 (ko) 수납 상자 조립체
KR101902247B1 (ko) 분리바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 도어구조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200141807Y1 (ko) 냉장고의 냉장실 선반
JP4043159B2 (ja) 電気冷蔵庫
US20230251009A1 (en) Refrigerator
JP6803530B2 (ja) 冷蔵庫
CN220229688U (zh) 储物柜
KR20050037910A (ko) 냉장고용 선반
KR100271583B1 (ko) 냉장고의슬라이딩포켓을지니는도어포켓
KR200281032Y1 (ko) 냉장고의도어바스켓가변구조
KR100207092B1 (ko) 냉장고의 선반
KR20220068119A (ko) 냉장고
KR960009953Y1 (ko) 냉장고의 선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