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5750A - 분할판을 갖는 저장용기 - Google Patents

분할판을 갖는 저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5750A
KR20070065750A KR1020050126511A KR20050126511A KR20070065750A KR 20070065750 A KR20070065750 A KR 20070065750A KR 1020050126511 A KR1020050126511 A KR 1020050126511A KR 20050126511 A KR20050126511 A KR 20050126511A KR 20070065750 A KR20070065750 A KR 200700657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plate
storage container
storage
spac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6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6876B1 (ko
Inventor
김병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50126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6876B1/ko
Publication of KR20070065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5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6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6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저장용기를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분할하여 야채 및 과일 등의 식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분할판을 갖는 저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냉장고에 보관하는 저장물이 수납되도록 공간을 형성한 저장용기; 상기 저장용기의 수납 공간이 횡방향으로 구획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분할판; 및 상기 제 1 분할판과 직교하여 설치되고, 상기 저장용기의 내부 공간을 종방향으로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분할판을 포함한다. 따라서 저장용기의 수납공간을 효율적으로 구획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보관물을 용이하게 보관하거나 취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냉장고, 저장용기, 분할판

Description

분할판을 갖는 저장용기{Container having partition member}
도 1 은 종래의 저장용기와 분할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종래의 다른 저장용기와 분할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분할판을 갖는 저장용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할판을 갖는 저장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300: 저장용기 110, 320: 제 1 분할판
120: 가이드 200, 400: 제 2 분할판
210, 410: 삽입부 220, 420: 가이드
230: 제 3 분할판 310: 고정홈
본 발명은 냉장고의 식품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저장용기를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분할하여 야채 및 과일 등의 식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분할판을 갖는 저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동실과 냉장실 그리고 냉장실 내에 야채실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한 냉동실은 식품을 동결시키거나 영하의 온도에서 식품을 저장하는데 이용되는 반면, 냉장실은 저온에서 식품을 보관하여 그 저장식품이 변질되거나 부패되지 않도록 하고 보관중인 저장식품이 신선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한 야채실은 일반적으로 냉장고의 냉장실 하부에 설치되어 각종 야채 및 과일 등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저장용기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저장용기가 위치하는 상부에는 냉장실과 저장용기를 상호 분리하여 구획되도록 하는 선반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한 선반에 냉장실에 수납하는 식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저장용기는 일반적으로 상부가 개방된 사각형상의 상자 형상을 하고 있어 냉장고의 저장용기 내부에 야채 및 과일 등이 혼합되어 저장되는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야채 또는 과일을 저장용기로부터 꺼내려고 할 경우 수납된 저장물을 모두 살펴봐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장용기(10)의 내측면 양쪽에 횡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하여 고정홈(12)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홈(12)에 삽입되도록 하여 저장용기(10)의 내부를 분할하는 분할판(14)을 형성함으로써, 저장용기(10)의 내부 공간이 분할되도록 한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장용기(20)의 내부 공간이 분할되도록 분할판(22)을 형성하고, 상기한 분할판(22)이 저장용기(20)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분할판(22)의 상부 양측에 가이드(24)를 설치하여 저장용기(20)의 상부 프레임을 따라 분할판(22)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저장용기와 분할판은 저장용기의 횡방향으로만 분할하는 것이 가능하여 저장용기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저장용기와 이미 설치된 분할판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고, 저장용기의 공간을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구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저장용기의 수납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저장용기에 수납되는 저장물의 종류에 따라 수납공간이 구획될 수 있도록 하는 분할판을 갖는 저장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냉장고에 보관하는 저장물이 수납되도록 공간을 형성한 저장용기; 상기 저장용기의 수납 공간이 횡방향으로 구획되 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분할판; 및 상기 제 1 분할판과 직교하여 설치되고, 상기 저장용기의 내부 공간을 종방향으로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분할판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냉장고에 보관하는 저장물이 수납되도록 공간을 형성 저장용기; 상기 저장용기의 상기 수납공간 횡방향 양측 장변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한 다수의 고정홈;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어 상기 저장용기의 수납 공간이 횡방향으로 구획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분할판; 및 상기 제 1 분할판과 직교하여 설치되고, 상기 저장용기의 내부 공간을 종방향으로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분할판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저장용기의 수납공간을 횡방향으로 구획하는 상기 제 1 분할판의 상측 양단부에는 상기 제 1 분할판이 상기 저장용기의 횡방향 상부 테두리를 따라 상기 저장용기의 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고, 상기 저장용기의 횡방향 상부 테두리와 결합하여 상기 제 1 분할판이 상기 저장용기에 고정되도록 "ㄱ" 형상 또는"⊂" 형상 중의 어느 하나를 형성한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장용기의 수납공간을 종방향으로 구획하는 상기 제 2 분할판은 상기 직교하는 제 1 분할판이 삽입되도록 상기 제 2 분할판의 저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삽입부를 형성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 2 분할판의 종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다수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 2 분할판의 상측 양단부에는 상기 제 2 분할판이 상기 저장용기의 종방향 상부 테두리를 따라 상기 저장용기의 종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 고, 상기 저장용기의 종방향 상부 테두리와 결합하여 상기 제 2 분할판이 상기 저장용기에 고정되도록 "ㄱ" 형상 또는"⊂" 형상 중의 어느 하나를 형상한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장용기는 상기 저장용기의 상기 수납공간 종방향 양측 장변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종방향 고정홈을 더 형성하여 상기 제 2 분할판이 삽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할판을 갖는 저장용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할판을 갖는 저장용기는 냉장고에 보관하는 저장물이 수납되도록 사각 형상의 공간을 형성한 저장용기(100)와, 저장용기(100)의 수납 공간이 횡방향으로 구획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분할판(110)과, 제 1 분할판(110)과 직교하여 설치되고, 저장용기(100)의 내부 공간을 종방향으로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분할판(200)을 포함한다.
또한, 저장용기(100)의 수납공간을 횡방향으로 구획하는 제 1 분할판(110)의 상측 양단부에는 제 1 분할판(110)이 저장용기(100)의 횡방향 상부 테두리와 결합하여 제 1 분할판(110)이 저장용기(100)의 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120)를 형성한다.
가이드(120)는 "ㄱ"형상 또는"⊂" 형상의 걸림 부재로서 저장용기(100)의 상부 테두리와 연결되어 제 1 분할판(110)이 저장용기(1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일정한 탄성력으로 지지한다. 상기 탄성력은 제 1 분할판(110)이 저장용기(100)로부터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탄성력만 부여되면 충분하다.
또한, 저장용기(100)의 수납공간을 종방향으로 구획하는 제 2 분할판(200)은 제 1 분할판(110)과 직교하여 제 1 분할판(110)의 상부로부터 삽입되고, 제 1 분할판(110)이 삽입되도록 제 2 분할판(200)의 저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일정 길이의 수용홈을 형성한 삽입부(210)를 구비하고, 바람직한 구성으로 삽입부(210)는 제 2 분할판(200)의 종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다수 형성한다.
또한, 제 2 분할판(200)의 상측 양단부에는 제 2 분할판(200)이 저장용기(100)의 종방향 상부 테두리와 결합하여 상기 저장용기의 종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220)를 형성한다.
가이드(220)는 "ㄱ" 형상 또는"⊂" 형상의 걸림 부재로서 저장용기(100)의 상부 테두리와 연결되어 제 2 분할판(200)이 저장용기(1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일정한 탄성력으로 지지한다. 상기 탄성력은 제 2 분할판(200)이 저장용기(100)로부터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탄성력만 부여되면 충분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 1 실시에에 따른 분할판을 갖는 저장용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수납할 보관물의 수량 및 종류를 분류하고, 분류된 보관물의 수량 및 종류에 따라 제 1 분할판(110)의 위치를 저장용기(100)의 횡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설정한다. 이때 가이드(120)가 갖는 탄성력은 저장용기(100)의 횡방향 상부 테두리를 따라 사용자가 가하는 힘과 비교하면 충분히 작아 사용자가 제 1 분할판(110)을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다. 그리고 제 1 분할판(110)의 이동이 종료되면 가이드(120)의 탄성력은 제 1 분할판(110)이 설정된 저장용기(100)의 위치로부터 유동하는 방지하도록 한다.
이후, 제 2 분할판(200)을 제 1 분할판(110)의 상부로부터 삽입하여 제 2 분할판(200)의 삽입부(210)에 제 1 분할판(110)이 삽입되도록 하고, 가이드(220)는 저장용기(100)의 상부 테두리와 결합하여 탄성력을 통해 제 2 분할판(200)이 저장용기(100)로부터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수납공간을 효과적으로 구획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저장용기(100)에 설치된 제 1 및 제 2 분할판(110 및 200)을 제거하는 경우 제 2 분할판(200)의 가이드(220)를 저장용기(100)의 종방향 상부 테두리로부터 분리하여 제 2 분할판(200)이 저장용기(100)로부터 이탈되도록 하고, 다음으로 제 1 분할판(110)의 가이드(120)를 저장용기(100)의 횡방향 상부 테두리로부터 분리하여 제 1 분할판(110)이 저장용기(100)로부터 이탈되도록 한다.
(제 2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할판을 갖는 저장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할판을 갖는 저장용기는 냉장고에 보관하는 저장물이 수납되도록 공간을 형성 저장용기(300)와, 저장용기(300)의 상기 수납공간 횡방향 양측 장변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한 다수의 고정홈(310)과, 고정홈(310)에 삽입되어 저장용기(300)의 수납 공간이 횡방향으로 구획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분할판(320)과, 제 1 분할판(320)과 직교하여 설치되고, 저장용기(300)의 내부 공간을 종방향으로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분할판(400)을 포함한다.
고정홈(310)은 제 1 분할판(320)이 저장용기(300)의 수납공간을 일정한 간격으로 구획할 수 있도록 하고, 설치된 제 1 분할판(320)이 저장용기(3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저장용기(300)의 상기 수납공간 종방향 양측 장변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종방향 고정홈을 더 형성하여 제 2 분할판(400)이 삽입되도록 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저장용기(300)의 수납공간을 종방향으로 구획하는 제 2 분할판(400)은 제 1 분할판(320)과 직교하여 제 1 분할판(320)의 상부로부터 삽입되고, 제 1 분할판(320)이 삽입되도록 제 2 분할판(400)의 저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일정 길이의 수용홈을 형성한 삽입부(410)를 구비하며, 바람직한 구성으로 삽입부(410)는 제 2 분할판(400)의 종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다수 형성한다.
또한, 제 2 분할판(400)의 상측 양단부에는 제 2 분할판(400)이 저장용기(300)의 종방향 상부 테두리와 결합하여 상기 저장용기(300)의 종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420)를 형성한다.
가이드(420)는 "ㄱ" 형상 또는"⊂" 형상의 걸림 부재로서 저장용기(300)의 상부 테두리와 연결되어 제 2 분할판(400)이 저장용기(3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일정한 탄성력으로 지지한다. 상기 탄성력은 제 2 분할판(400)이 저장용기(300)로부터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탄성력만 부여되면 충분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 2 실시에에 따른 분할판을 갖는 저장용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수납할 보관물의 수량 및 종류를 분류하고, 분류된 보관물의 수량 및 종류에 따라 제 1 분할판(320)의 위치를 설정하여 저장용기(300)의 횡방향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고정홈(310) 중 어느 하나의 고정홈(310)을 선택하여 제 1 분할판(320)을 삽입하여 수납공간을 구획한다.
그리고 제 1 분할판(320)에 의한 수납공간의 구획이 종료되면 제 2 분할판(400)을 제 1 분할판(320)의 상부로부터 삽입하여 제 2 분할판(400)의 삽입부(410)에 제 1 분할판(320)이 삽입되도록 하고, 가이드(420)는 저장용기(300)의 상부 테두리와 결합하여 탄성력을 통해 제 2 분할판(400)이 저장용기(300)로부터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수납공간을 효과적으로 구획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저장용기(300)에 설치된 제 1 및 제 2 분할판(320 및 400)을 제거하는 경우 제 2 분할판(400)의 가이드(420)를 저장용기(300)의 종방향 상부 테두리로부터 분리하여 제 2 분할판(400)이 저장용기(300)로부터 이탈되도록 하고, 다음으로 제 1 분할판(320)을 저장용기(100)의 고정홈(310)으로부터 분리하여 제 1 분할판(320)이 저장용기(300)로부터 이탈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저장용기의 수납공간을 효율적으로 구획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보관물을 용이하게 보관하거나 취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저장용기의 수납공간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하나의 수납공간으로 사용하거나 다수의 수납공간으로 나누어 사용할 수 있어 수납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보관물을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냉장고 도어 개방시간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 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냉장고에 보관하는 저장물이 수납되도록 공간을 형성한 저장용기;
    상기 저장용기의 수납 공간이 횡방향으로 구획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분할판; 및
    상기 제 1 분할판과 직교하여 설치되고, 상기 저장용기의 내부 공간을 종방향으로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분할판을 포함하는 분할판을 갖는 저장용기.
  2. 냉장고에 보관하는 저장물이 수납되도록 공간을 형성 저장용기;
    상기 저장용기의 상기 수납공간 횡방향 양측 장변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한 다수의 고정홈;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어 상기 저장용기의 수납 공간이 횡방향으로 구획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분할판; 및
    상기 제 1 분할판과 직교하여 설치되고, 상기 저장용기의 내부 공간을 종방향으로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분할판을 포함하는 분할판을 갖는 저장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분할판의 상측 양단부에는 상기 제 1 분할판이 상기 저장용기의 횡방향 상부 테두리를 따라 상기 저장용기의 횡방향으로 이동되도 록 안내하고, 상기 저장용기의 횡방향 상부 테두리와 결합하여 상기 제 1 분할판이 상기 저장용기에 고정되도록 "ㄱ" 형상 또는"⊂" 형상 중의 어느 하나로 형성한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판을 갖는 저장용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분할판은 상기 직교하는 제 1 분할판이 삽입되도록 상기 제 2 분할판의 저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삽입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판을 갖는 저장용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 2 분할판의 종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다수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판을 갖는 저장용기.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분할판의 상측 양단부에는 상기 제 2 분할판이 상기 저장용기의 종방향 상부 테두리를 따라 상기 저장용기의 종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고, 상기 저장용기의 종방향 상부 테두리와 결합하여 상기 제 2 분할판이 상기 저장용기에 고정되도록 "ㄱ" 형상 또는"⊂" 형상 중의 어느 하나로 형성한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판을 갖는 저장용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는 상기 저장용기의 상기 수납공간 종방향 양측 장변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종방향 고정홈을 더 형성하여 상기 제 2 분할판이 삽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판을 갖는 저장용기.
KR1020050126511A 2005-12-20 2005-12-20 분할판을 갖는 저장용기 KR100756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6511A KR100756876B1 (ko) 2005-12-20 2005-12-20 분할판을 갖는 저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6511A KR100756876B1 (ko) 2005-12-20 2005-12-20 분할판을 갖는 저장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5750A true KR20070065750A (ko) 2007-06-25
KR100756876B1 KR100756876B1 (ko) 2007-09-07

Family

ID=38364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6511A KR100756876B1 (ko) 2005-12-20 2005-12-20 분할판을 갖는 저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687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9251022A1 (en) * 2009-10-13 2011-04-28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Box for Storing Drill Core Samples
KR101473400B1 (ko) * 2013-06-25 2014-12-24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아이스크림 운반용 보냉박스
US20150040604A1 (en) * 2013-08-12 2015-02-12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CN106688380A (zh) * 2016-11-14 2017-05-24 广西大学 一种甘蔗种集种箱
KR20230103276A (ko) 2021-12-31 2023-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139Y1 (ko) * 2010-01-21 2010-06-21 (주)유나 안전성이 우수한 시약병 정리용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6092Y2 (ja) * 1992-06-19 2000-09-11 三甲株式会社 運搬用容器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9251022A1 (en) * 2009-10-13 2011-04-28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Box for Storing Drill Core Samples
KR101473400B1 (ko) * 2013-06-25 2014-12-24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아이스크림 운반용 보냉박스
US20150040604A1 (en) * 2013-08-12 2015-02-12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10119747B2 (en) * 2013-08-12 2018-11-06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including a door having a storage chamber
CN106688380A (zh) * 2016-11-14 2017-05-24 广西大学 一种甘蔗种集种箱
KR20230103276A (ko) 2021-12-31 2023-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6876B1 (ko) 2007-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82148B1 (en) Refrigerator
US9182168B2 (en) Compartmentalized storage container
US20100192621A1 (en) Accepting device for refrigerator
KR100756876B1 (ko) 분할판을 갖는 저장용기
EP2594877A2 (en) Refrigerator
KR20100137377A (ko) 냉장고
KR101351033B1 (ko) 냉장고
EP3315886B1 (en) Storage contain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20090005503U (ko) 달걀트레이를 갖는 냉장고
RU2329442C2 (ru) Холодильник
KR20050037910A (ko) 냉장고용 선반
KR101145224B1 (ko) 냉장고
KR20070062350A (ko) 냉장고용 선반
KR100514912B1 (ko) 냉장고
KR100884954B1 (ko) 가동식 선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20030040848A (ko) 냉장고의 선반
KR20070097826A (ko) 냉장고용 도어바스켓
JP2001336875A (ja) 冷蔵庫
KR19980032834U (ko) 냉장고의 냉장실 서랍식 인출장치
KR870002798Y1 (ko) 냉장실과 야채실의 내용적을 가변할 수 있는 냉장고
KR0133009Y1 (ko) 냉장고용 선반의 높이조절장치
KR19990038482U (ko) 냉장고
US20130088135A1 (en) Refrigerator
KR20230133717A (ko) 수납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140021192A (ko) 저장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