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6798B1 - 멀티조립상자 키트 - Google Patents

멀티조립상자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6798B1
KR101846798B1 KR1020170155197A KR20170155197A KR101846798B1 KR 101846798 B1 KR101846798 B1 KR 101846798B1 KR 1020170155197 A KR1020170155197 A KR 1020170155197A KR 20170155197 A KR20170155197 A KR 20170155197A KR 101846798 B1 KR101846798 B1 KR 101846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box
box kit
kit
breakag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5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열
김준
고명철
최태환
이문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피지코리아
(주)에스넷
(주)엠에스엔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피지코리아, (주)에스넷, (주)엠에스엔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피지코리아
Priority to KR1020170155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67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6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6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06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 G09B23/1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electricity or magnetism
    • G09B23/183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electricity or magnetism for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Algebra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멀티조립상자 키트에 있어서, 상기 멀티조립상자 키트를 측면 방향으로 확장이 가능한 제1 내지 제5 측면 확장 수(Male) 커넥터(51 내지 55) 및 제1 내지 제5 측면 확장 암(Female) 커넥터(56 내지 60); 상기 멀티조립상자 키트를 상하(上下) 방향으로 확장이 가능한 제1 내지 제4 상하(上下)확장 연결부(11 내지 14); 상기 멀티조립상자 키트 측면 방향 또는 상하(上下) 방향으로 적층하여 형성하는 확장된 멀티조립상자 키트(400); 상기 확장된 멀티조립상자 키트(400)의 내부를 측면 방향으로 확장시킬 수 있는 제1 내지 제8 측면 파손부분(61 내지 68) 및 제1 내지 제4 측면 파손영역(151 내지 154); 상기 확장된 멀티조립상자 키트(400)의 내부를 상하(上下) 방향으로 확장시킬 수 있는 제1 내지 제10 상하(上下) 파손구멍(81-1 내지 81-10) 및 제1 내지 제10 상하(上下) 파손부분(91-1 내지 91-10); 상기 멀티조립상자 키트 또는 상기 확장된 멀티조립상자 키트(400)에 (+)전원 및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1-1 전원부(71), 제1-2 전원부(72), 제2-1 전원부(73) 및 제2-2 전원부(74); 1개의 멀티조립상자 키트는 소형(大型) 전자기판(201)을 배치시킬 수 있으며, 4개의 개별 멀티조립상자 키트를 가로 방향 2개 및 세로 방향 2개로 결합시킨 확장형 멀티조립상자 키트(400)는 대형(大型) 전자기판(202)을 실장 할 수 있으며; 상기 가로 방향 2개 및 세로 방향 2개로 결합시킨 확장형 멀티조립상자 키트(400)는 교육용 실험다이(155)에 배치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조립상자 키트를 제안한다.

Description

멀티조립상자 키트{Multi Assembly Box Kit}
본 발명은 교육용 전자기판를 실장 할 수 있으며, 측면 방향 또는 상하(上下) 방향으로 자유롭게 확장시킬 수 있으며, 보관 및 관리가 용이한 멀티조립상자 키트(300)에 관한 것이다. 또한 4개의 개별 멀티조립상자 키트(300)를 가로 방향 2개 및 세로 방향 2개로 결합시킨 확장형 멀티조립상자 키트(400)는 대형(大型) 전자기판을 실장 할 수 있으며, 교육용 실험다이(155)의 실험판(Table)(156)에 상기 대형(大型) 전자기판이 실장된 상기 확장형 멀티조립상자 키트(400)를 배치시킬 수 있는 멀티조립상자 키트에 관한 것이다.
교육용 전자회로를 실장 할 수 있는 조립상자와 관련된 선행문헌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58363호. 공고일 2012. 06. 22.(이하 [특허문헌1]이라함)에서는 교육용 실습 기자재의 전기배선용 접속회로 또는 제어회로 등을 장착하기 위한 컨트롤 박스(Box)를 제안하였다.
상기 [특허문헌1]은 상기 조립상자를 측면 방향으로 확장시키기 위하여 상측에서 바라보았을 때, H자 형상의 연결 커넥터를 이용하여 확장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허문헌1]에서는 상기 조립상자를 측면 방향으로 확장이 가능하지만, H자 형상의 연결 커넥터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며, 상하(上下)방향으로는 확장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중 프레임 조립싱 컨트롤 박스(Box)와 관련된 선행문헌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21223호, 공고일 2013. 10. 24.(이하 [특허문헌2]이라함)에서는 원-터치 다중 프레임 조립식 컨트롤 박스(Box)를 제안하였다. 상기 [특허문헌2]는 상기 조립 상자를 측면 방향으로 확장시키기 위하여 상측에서 바라보았을 때, ㄷ자 형상의 연결 커넥터를 이용하여 확장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허문헌2]에서는 상기 조립상자를 측면 방향으로 확장이 가능하지만, ㄷ자 형상의 연결 커넥터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며, 상하(上下)방향으로는 확장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58363호. 공고일 2012. 06. 22. [특허문헌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21223호, 공고일 2013. 10. 24.
본 발명에서는 교육용 전자기판를 실장 할 수 있으며, 측면 방향만이 아니라 상하(上下) 방향으로 자유롭게 확장시킬 수 있는 멀티조립상자 키트(300)를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 멀티 조립상자 키트(300)는 상자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한 제1 내지 제4 보관 구멍(31,34,41,44)을 통하여 상기 멀티조립상자 키트(300)를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다. 더불어 제1 내지 제8 측면 파손부분(61 내지 68) 및 제1 내지 제4 측면 파손영역(151 내지 154)을 통하여 자유롭게 확장형 멀티조립상자 키트(400)의 내부를 측면 방향으로 확장시킬 수 있으며, 제1 내지 제10 상하(上下) 파손구멍(81-1 내지 81-10) 및 제1 내지 제10 상하(上下) 파손부분(91-1 내지 91-10)을 통하여 자유롭게 확장형 멀티조립상자 키트(400)의 내부를 상하(上下) 방향으로 확장시킬 수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4개의 개별 멀티조립상자 키트(300)를 가로 방향 2개 및 세로 방향 2개로 결합시킨 확장형 멀티조립상자 키트(400)는 대형(大型) 전자기판을 실장 할 수 있으며, 교육용 실험다이(155)의 실험판(Table)(156)에 상기 대형(大型) 전자기판이 실장된 상기 확장형 멀티조립상자 키트(400)를 배치시킴을 통하여 더욱 우수한 교육용 전자기판 실장을 위한 멀티조립상자 키트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교육용 전자기판를 실장 할 수 있으며, 측면 방향만이 아니라 상하(上下) 방향으로 자유롭게 확장시킬 수 있는 멀티조립상자 키트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교육용 조립상자 키트(상기 [특허문헌1] 또는 상기 [특허문헌2] 참조)는 측면 방향만 확장이 가능하며, H자 형상 또는 ㄷ자 형상의 연결 커넥터가 추가적으로 있어야만 측면 방향의 확장이 가능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측면 방향의 확장에 추가적인 연결 커넥터를 없애기 위하여 멀티조립상자 키트(300)의 측면에 제1 내지 제5 측면 확장 수(Male) 커넥터(51 내지 55) 및 제1 내지 제5 측면 확장 암(Female) 커넥터(56 내지 60)를 이용하여 측면 방향의 자유로운 확장이 가능하다. 또한, 상하(上下) 방향의 자유로운 확장을 위하여 제1 내지 제4 상하(上下)확장 연결부(11 내지 14)를 통하여 상기 멀티조립상자 키트(300)의 상하(上下) 방향의 확장을 자유롭게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멀티 조립상자 키트(300)는 상자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한 제1 내지 제4 보관 구멍(31,34,41,44)을 통하여 상기 멀티조립상자 키트(300)를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다. 더불어 제1 내지 제8 측면 파손부분(61 내지 68) 및 제1 내지 제4 측면 파손영역(151 내지 154)을 통하여 자유롭게 확장형 멀티조립상자 키트(400)의 내부를 측면 방향으로 확장시킬 수 있으며, 제1 내지 제10 상하(上下) 파손구멍(81-1 내지 81-10) 및 제1 내지 제10 상하(上下) 파손부분(91-1 내지 91-10)을 통하여 자유롭게 확장형 멀티조립상자 키트(400)의 내부를 상하(上下) 방향으로 확장시킬 수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멀티조립상자 키트(300)의 전자기판 실장영역(100)에는 제1-1 전원부(71), 제1-2 전원부(72), 제2-1 전원부(73) 및 제2-2 전원부(74)를 통하여 (+)전원 및 (-)전원을 상기 멀티조립상자 키트(300)의 소형(小型) 전자기판(201)에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또한 4개의 개별 멀티조립상자 키트(300)를 가로 방향 2개 및 세로 방향 2개로 결합시킨 확장형 멀티조립상자 키트(400)는 대형(大型) 전자기판을 실장 할 수 있으며, 교육용 실험다이(155)의 실험판(Table)(156)에 상기 대형(大型) 전자기판이 실장된 상기 확장형 멀티조립상자 키트(400)를 배치시킴을 통하여 더욱 우수한 교육용 전자기판 실장을 위한 멀티조립상자 키트를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멀티조립상자 키트는 다음의 효과가 있다.
첫째, H자 형상 또는 ㄷ자 형상의 연결 커넥터가 추가적으로 필요하지 않으며, 측면 방향으로 자유로운 확장이 가능하다.
둘째, 멀티조립상자 키트(300)의 제1 내지 제4 상하(上下)확장 연결부(11 내지 14)를 통하여 상하(上下) 방향으로 자유로운 확장이 가능하다.
셋째, 멀티 조립상자 키트(300)는 상자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한 제1 내지 제4 보관 구멍(31,34,41,44)을 통하여 상기 멀티조립상자 키트(300)를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다.
넷째, 제1 내지 제8 측면 파손부분(61 내지 68) 및 제1 내지 제4 측면 파손영역(151 내지 154)을 통하여 확장된 멀티조립상자 키트(400)의 내부를 측면 방향으로 자유롭게 확장시킬 수 있다.
다섯째, 제1 내지 제10 상하(上下) 파손구멍(81-1 내지 81-10) 및 제1 내지 제10 상하(上下) 파손부분(91-1 내지 91-10)을 통하여 확장된 멀티조립상자 키트(400)의 내부를 상하(上下) 방향으로 자유롭게 확장시킬 수 있다.
여섯째, 멀티조립상자 키트(300)의 전자기판 실장영역(100)에는 제1-1 전원부(71), 제1-2 전원부(72), 제2-1 전원부(73) 및 제2-2 전원부(74)를 통하여 (+)전원 및 (-)전원을 상기 멀티조립상자 키트(300)의 소형(小型) 전자기판(201)에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다.
일곱째, 4개의 개별 멀티조립상자 키트(300)를 가로 방향 2개 및 세로 방향 2개로 결합시킨 확장형 멀티조립상자 키트(400)는 대형(大型) 전자기판(202)을 실장 할 수 있으며, 교육용 실험다이(155)의 실험판(Table)(156)에 상기 대형(大型) 전자기판(202)이 실장된 상기 확장형 멀티조립상자 키트(400)를 배치시킴을 통하여 우수한 교육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멀티조립상자 키트의 사시도
도 2는 멀티조립상자 키트의 정면도 및 배면도
도 3은 멀티조립상자 키트의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
도 4는 멀티조립상자 키트의 평면도
도 5는 멀티조립상자 키트의 저면도
도 6은 확장형 멀티조립상자 키트(제1 실시예: 가로 2개 및 세로 2개)의 평면도
도 7은 확장형 멀티조립상자 키트(제2 실시예: 가로 3개 및 세로 2개)의 평면도
도 8은 확장형 멀티조립상자 키트(제3 실시예: 가로 3개 및 세로 3개)의 평면도
도 9는 확장형 멀티조립상자 키트(제4 실시예: 가로 2개 및 세로 2개)의 평면도
도 10은 확장형 멀티조립상자 키트(제5 실시예: 가로 2개 및 세로 2개)의 평면도
도 11은 확장형 멀티조립상자 키트(제6 실시예: 가로 2개 및 세로 2개)의 평면도
도 12는 확장형 멀티조립상자 키트(제7 실시예: 가로 2개 및 세로 2개)의 평면도
도 13은 확장형 멀티조립상자 키트(제8 실시예: 가로 2개 및 세로 2개)의 평면도
도 14는 확장형 멀티조립상자 키트(제9 실시예: 가로 2개 및 세로 2개)의 평면도
도 15는 확장형 멀티조립상자 키트(제10 실시예: 가로 2개 및 세로 2개)의 평면도
도 16은 날개를 결합시킨 확장형 멀티조립상자 키트(제11 실시예: 가로 2개 및 세로 2개)의 평면도
도 17은 날개의 형상도
도 18은 소형(大型) 전자기판이 실장된 멀티조립상자 키트 및 대형(大型) 전자기판이 실장된 확장형 멀티조립상자 키트
도 19는 확장형 멀티조립상자 키트를 교육용 설험다이에 수평형 배치(제1 실시예)
도 20은 확장형 멀티조립상자 키트를 교육용 설험다이에 수직형 배치(제2 실시예)
도 21은 측면 방향 및 상하(上下) 방향으로 확장시키는 확장형 멀티조립상자 키트
도 22는 보관 다이에 멀티조립상자 키트를 수평 방향으로 보관(제1 실시예)
도 23은 보관 다이에 멀티조립상자 키트를 수직 방향으로 보관(제2 실시예)
도 24는 멀티조립상자 키트에 전원부를 통하여 (+)전원 및 (-)전원을 공급
도 25는 확장형 멀티조립상자 키트를 교육용 실험판(Table)에 배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멀티조립상자 키트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상기 멀티조립상자 키트는 전기 및 전자분야 교육을 위한 키트로서 소형(小型) 전자기판(200)을 배치시킬 수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기존의 교육용 조립상자 키트(상기 [특허문헌1] 또는 상기 [특허문헌2] 참조)는 측면 방향만 확장이 가능하며, H자 형상 또는 ㄷ자 형상의 연결 커넥터가 추가적으로 있어야만 측면 방향의 확장이 가능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멀티조립상자 키트(300)의 측면에 제1 내지 제5 측면 확장 수(Male) 커넥터(51 내지 55) 및 제1 내지 제5 측면 확장 암(Female) 커넥터(56 내지 60)를 이용하여 측면 방향의 자유로운 확장이 가능하다. 또한, 상하(上下) 방향의 자유로운 확장을 위하여 제1 내지 제4 상하(上下)확장 연결부(11 내지 14)를 통하여 상기 멀티조립상자 키트(300)의 상하(上下) 방향의 확장을 자유롭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추가적인 H자 형상 또는 ㄷ자 형상의 연결 커넥터가 없이 제1 내지 제5 측면 확장 수(Male) 커넥터(51 내지 55)와 제1 내지 제5 측면 확장 암(Female) 커넥터(56 내지 60)의 연결을 통하여 자유로운 측면 확장이 가능하며, 제1 내지 제4 상하(上下)확장 연결부(11 내지 14)를 통하여 자유로운 상하(上下) 확장이 가능하다.
무엇보다 기존 상기 [특허문헌1] 및 [특허문헌2]에서는 측면 확장 이후에 내부의 영역을 용이하게 확장된 공간(空間)으로 만드는 것이 상당히 어려웠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제1 내지 제8 측면 파손부분(61 내지 68) 및 제1 내지 제4 측면 파손영역(151 내지 154)을 통하여 확장된 멀티조립상자 키트(400)의 내부를 측면 방향으로 자유롭게 확장시킬 수 있다. 동시에 제1 내지 제10 상하(上下) 파손구멍(81-1 내지 81-10) 및 제1 내지 제10 상하(上下) 파손부분(91-1 내지 91-10)을 통하여 확장된 멀티조립상자 키트(400)의 내부를 상하(上下) 방향으로 자유롭게 확장시킬 수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내부 확장을 하는데 원하는 측면부분, 하부 부분을 간단한 힘으로 파손시킴을 통하여 매우 자유롭게 확장형 멀티조립상자 키트(400)의 내부 측면 및 상하(上下)를 확장시킬 수 있는 상승된 효과가 있다.
더불어 소형(小型) 전자기판(201)은 제1 내지 제8 전자기판 연결부(21 내지 28)을 통하여 매우 용이하게 상기 멀티조립상자 키트(300)와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멀티조립상자 키트(300)의 전자기판 실장영역(100)에는 제1-1 전원부(71), 제1-2 전원부(72), 제2-1 전원부(73) 및 제2-2 전원부(74)를 통하여 (+)전원 및 (-)전원을 상기 멀티조립상자 키트(300)의 소형(小型) 전자기판(201)에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도 2는 멀티조립상자 키트의 정면도 및 배면도를 나타낸다. 도2(a)는 상기 멀티조립상자 키트(300)의 정면도이며, 도2(b)는 상기 멀티조립상자 키트(300)의 배면도이다.
상기 멀티조립상자 키트(300)의 정면에는 3개의 제1 내지 제3 측면 확장 암(Female) 커넥터(56 내지 58)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멀티조립상자 키트(300)의 배면에는 3개의 제1 내지 제3 측면 확장 수(Male) 커넥터(51 내지 53)가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멀티조립상자 키트(300)는 수(Male) 커넥터와 암(Female) 커넥터의 간단한 결합을 통하여 측면 확장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멀티조립상자 키트(300)의 정면에는 2개의 제5 내지 제6 측면 파손부분(65 내지 66) 사이에 제3 측면 파손영역(153)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멀티조립상자 키트(300)의 배면에는 2개의 제5 내지 제6 측면 파손부분(65 내지 66) 사이에 제3 측면 파손영역(153)이 배치되어 있다. 간단한 힘을 통하여 상기 제1,3 측면 파손영역(151,153)의 파손을 통하여 상기 확장형 멀티조립상자 키트(400)의 내부를 측면 방향으로 자유롭게 확장시킬 수 있다.
도 3은 멀티조립상자 키트의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를 나타낸다. 도3(a)는 상기 멀티조립상자 키트(300)의 좌측면도이며, 도3(b)는 상기 멀티조립상자 키트(300)의 우측면도이다.
상기 멀티조립상자 키트(300)의 좌측면에는 2개의 제4 내지 제5 측면 확장 수(Male) 커넥터(54 내지 55)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멀티조립상자 키트(300)의 우측면에는 2개의 제4 내지 제5 측면 확장 암(Female) 커넥터(59 내지 60)가 배치되어 이다. 본 발명에서는 멀티조립상자 키트(300)는 수(Male) 커넥터와 암(Female) 커넥터의 간단한 결합을 통하여 측면 확장이 가능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멀티조립상자 키트(300)의 좌측면에는 2개의 제7 내지 제8 측면 파손부분(67 내지 68) 사이에 제4 측면 파손영역(154)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멀티조립상자 키트(300)의 우측면에는 2개의 제3 내지 제4 측면 파손부분(63 내지 64) 사이에 제2 측면 파손영역(152)이 배치되어 있다. 간단한 힘을 통하여 상기 제2,4 측면 파손영역(152,154)의 파손을 통하여 상기 확장형 멀티조립상자 키트(400)의 내부를 측면 방향으로 자유롭게 확장시킬 수 있다.
도 4와 도 5는 멀티조립상자 키트의 평면도 및 저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상기 멀티조립상자 키트의 평면도이며, 도 5는 상기 멀티조립상자 키트의 저면도를 나타낸다.
제1 내지 제10 상하(上下) 파손구멍(81-1 내지 81-10) 및 제1 내지 제10 상하(上下) 파손부분(91-1 내지 91-10)을 통하여 확장된 멀티조립상자 키트(400)의 내부를 상하(上下) 방향으로 자유롭게 확장시킬 수 있으며, 상기 멀티 조립상자 키트(300)는 상자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한 제1 내지 제4 보관 구멍(31,34,41,44)을 통하여 상기 멀티조립상자 키트(300)를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6 내지 도 8은 확장형 멀티조립상자 키트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6은 제1 실시예로서 가로 2개 및 세로 2개의 결합이며, 도 7은 제2 실시예로서 가로 3개 및 세로 2개의 결합이며, 도 8은 제3 실시예로서 가로 3개 및 세로 3개의 결합된 평면도를 나타낸다. 무엇보다 본 발명에서는 멀티조립상자 키트(300)는 수(Male) 커넥터와 암(Female) 커넥터의 간단한 결합을 통하여 측면 확장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9 내지 도 15는 확장형 멀티조립상자 키트의 제1 내지 제10 실시예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9는 확장형 멀티조립상자 키트(400)에서 제1 멀티조립상자(301)에서 제1 내지 제10 상하(上下) 파손구멍(81-1 내지 81-10) 및 제1 내지 제10 상하(上下) 파손부분(91-1 내지 91-10)의 파손을 통하여 제1 멀티조립상자(301)의 전자기판 실장영역(100)을 제거한 것이다.
도 10 및 도 11은 확장형 멀티조립상자 키트(400)에서 제1,2 멀티조립상자(301,302)에서 제1 내지 제10 상하(上下) 파손구멍(81-1 내지 81-10) 및 제1 내지 제10 상하(上下) 파손부분(91-1 내지 91-10)의 파손을 통하여 제1,2 멀티조립상자(301,302)의 전자기판 실장영역(100)을 제거한 것이다. 도 10에서 최종적으로 제1 내부 파손영역(제2 측면 파손영역 및 제4-1 측면 파손영역)(191)을 파손시킴을 통하여 도 11과 같이 제1,2 멀티조립상자(301,302)의 전자기판 실장영역(100)과 제1 내부 파손영역(191)을 제거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확장형 멀티조립상자 키트(400)에서 제1,4 멀티조립상자(301,304)에서 제1 내지 제10 상하(上下) 파손구멍(81-1 내지 81-10) 및 제1 내지 제10 상하(上下) 파손부분(91-1 내지 91-10)의 파손을 통하여 제1,4 멀티조립상자(301,304)의 전자기판 실장영역(100)을 제거한 것이다. 도 12에서 최종적으로 제2 내부 파손영역(제3 측면 파손영역 및 제1-2 측면 파손영역)(192)을 파손시킴을 통하여 도 13과 같이 제1,4 멀티조립상자(301,304)의 전자기판 실장영역(100)과 제2 내부 파손영역(192)을 제거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는 확장형 멀티조립상자 키트(400)에서 제1,2,4,5 멀티조립상자(301,302,304,305)에서 제1 내지 제10 상하(上下) 파손구멍(81-1 내지 81-10) 및 제1 내지 제10 상하(上下) 파손부분(91-1 내지 91-10)의 파손을 통하여 제1,2,4,5 멀티조립상자(301,302,304,305)의 전자기판 실장영역(100)을 제거한 것이다. 도 14에서 최종적으로 제1 내지 제4 내부 파손영역(191 내지 194)을 파손시킴을 통하여 도 15과 같이 제1,2,4,5 멀티조립상자(301,302,304,305)의 전자기판 실장영역(100)과 제1 내지 제4 내부 파손영역(191 내지 194)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상하(上下) 방향으로 자유로운 확장이 가능하다.
도 16은 날개를 결합시킨 확장형 멀티조립상자 키트(제11 실시예: 가로 2개 및 세로 2개)의 평면도 및 도 17은 날개의 형상도를 나타낸다.
4개의 개별 멀티조립상자 키트(300)를 가로 방향 2개 및 세로 방향 2개로 결합시킨 확장형 멀티조립상자 키트(400)는 대형(大型) 전자기판(202)을 실장 할 수 있으며, 교육용 실험다이(155)의 실험판(Table)(156)에 상기 대형(大型) 전자기판(202)이 실장된 상기 확장형 멀티조립상자 키트(400)에 제1 내지 제4 날개 수(Male) 커넥터(171 내지 174) 및 제1 내지 제4 날개 암(Female) 커넥터(181 내지 184)를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날개 수(Male) 커넥터(171 내지 174)는 제1 내지 제2 수(Male) 커넥터(175 내지 176)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내지 제4 날개 암(Female) 커넥터(181 내지 184)는 제1 내지 제2 암(Female) 커넥터(185 내지 186)가 배치되어 있다.
도 18(a)는 소형(大型) 전자기판이 실장된 멀티조립상자 키트이며, 도 18(b)는 대형(大型) 전자기판이 실장된 확장형 멀티조립상자 키트를 나타낸다. 무엇보다 1개의 멀티조립상자 키트(300)는 소형(大型) 전자기판(201)을 배치시킬 수 있으며, 4개의 개별 멀티조립상자 키트(300)를 가로 방향 2개 및 세로 방향 2개로 결합시킨 확장형 멀티조립상자 키트(400)는 대형(大型) 전자기판(202)을 실장 할 수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19는 확장형 멀티조립상자 키트를 교육용 설험다이에 수평형 배치(제1 실시예)를 나타내며, 도 20은 확장형 멀티조립상자 키트를 교육용 설험다이에 수직형 배치(제2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9의 제1 실시예에서는 가로 확장형 멀티조립상자 키트(401)는 제3,4 날개 수(Male) 커넥터(173.174) 및 제3,4 날개 암(Female) 커넥터(183,184)를 연결시키며, 교육용 실험다이(155)에 실험판(Table)(156)에 배치할 수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20의 제2 실시예에서는 세로 확장형 멀티조립상자 키트(401)는 제1,2 날개 수(Male) 커넥터(171.172) 및 제1,2 날개 암(Female) 커넥터(181,182)를 연결시키며, 교육용 실험다이(155)에 실험판(Table)(156)에 배치할 수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21은 측면 방향 및 상하(上下) 방향으로 확장시키는 확장형 멀티조립상자 키트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복수의 멀티조립상자 키트(300)는 측면 방향 및 상하(上下) 방향으로 확장시킬 수 있다. 무엇보다 상하(上下) 방향은 제1 내지 제4 상하(上下)확장 연결부(11 내지 14)에 인서트(Insert)가 박혀있으며, 6각 렌치(Wrench)(123)를 사용하여 볼트(Bolt)(122)와 인서트를 결합시킴을 통하여 상하(上下)확장할 수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22 및 도 23은 보관 다이에 멀티조립상자 키트를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보관(제1,2 실시예)을 나타낸다. 복수의 멀티조립상자 키트(300)를 용이하게 보관하기 위하여 보관 다이(125)와 연결된 보관 걸쇠(128)에 멀티 조립상자 키트(300)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한 제1 내지 제4 보관 구멍(31,34,41,44)을 관통시킴을 통하여 상기 복수의 멀티조립상자 키트(300)를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다.
무엇보다 도 22의 제1 실시예에서는 제3 보관 구멍(41) 및 제4 보관 구멍(44)의 측면에 제3-2 보관 구멍(43) 및 제4-1 보관 구멍(45)에 관통시킴을 통하여 상기 복수의 멀티조립상자 키트(300)를 수평 방향으로 보관할 수 있다.
도 23의 제2 실시예에서는 제2 보관 구멍(34) 및 제4 보관 구멍(44)의 측면에 제2-2 보관 구멍(36) 및 제4-2 보관 구멍(46)에 관통시킴을 통하여 상기 복수의 멀티조립상자 키트(300)를 수직 방향으로 보관할 수 있다.
도 24는 멀티조립상자 키트에 전원부를 통하여 (+)전원 및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멀티조립상자 키트(300)에는 제1-1 전원부(71), 제1-2 전원부(72), 제2-1 전원부(73) 및 제2-2 전원부(74)가 배치되어 있으며, 전원공급 전자기판(500)에서 결합이 가능한 제1 전원 핀(Pin)(126) 및 제2 전원 핀(Pin)을 통하여 상기 멀티조립상자 키트(300)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25는 확장형 멀티조립상자 키트를 교육용 실험판에 배치하는 것을 나타낸다.
4개의 개별 멀티조립상자 키트(300)를 가로 방향 2개 및 세로 방향 2개로 결합시킨 상기 확장형 멀티조립상자 키트(400)는 가로 확장형 멀티조립상자 키트(401) 또는 세로 확장형 멀티조립상자 키트(402)로 구분할 수 있으며, 상기 확장형 멀티조립상자 키트(400)는 교육용 실험다이(155)의 실험판(Table)(156) 표면에 배치된 확장형 멀티조립상자 키트 배치틀(205)의 확장형 멀티조립상자 키트 배치홈(206)에 상기 확장형 멀티조립상자 키트(400)에 제1 내지 제4 날개 수(Male) 커넥터(171 내지 174) 및 제1 내지 제4 날개 암(Female) 커넥터(181 내지 184) 중에서 특정(特定) 커넥터(171 내지 174, 181 내지 184)를 결합시킴을 통하여 확장형 멀티조립상자 키트(400)를 교육용 실험다이(155)의 실험판(Table)(156) 표면에 배치할 수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멀티조립상자 키트에 있어서, 상기 멀티조립상자 키트를 측면 방향으로 확장이 가능한 제1 내지 제5 측면 확장 수(Male) 커넥터(51 내지 55) 및 제1 내지 제5 측면 확장 암(Female) 커넥터(56 내지 60); 상기 멀티조립상자 키트를 상하(上下) 방향으로 확장이 가능한 제1 내지 제4 상하(上下)확장 연결부(11 내지 14); 상기 멀티조립상자 키트 측면 방향 또는 상하(上下) 방향으로 적층하여 형성하는 확장된 멀티조립상자 키트(400); 상기 확장된 멀티조립상자 키트(400)의 내부를 측면 방향으로 확장시킬 수 있는 제1 내지 제8 측면 파손부분(61 내지 68) 및 제1 내지 제4 측면 파손영역(151 내지 154); 상기 확장된 멀티조립상자 키트(400)의 내부를 상하(上下) 방향으로 확장시킬 수 있는 제1 내지 제10 상하(上下) 파손구멍(81-1 내지 81-10) 및 제1 내지 제10 상하(上下) 파손부분(91-1 내지 91-10); 상기 멀티조립상자 키트 또는 상기 확장된 멀티조립상자 키트(400)에 (+)전원 및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1-1 전원부(71), 제1-2 전원부(72), 제2-1 전원부(73) 및 제2-2 전원부(74); 1개의 멀티조립상자 키트는 소형(大型) 전자기판(201)을 배치시킬 수 있으며, 4개의 개별 멀티조립상자 키트를 가로 방향 2개 및 세로 방향 2개로 결합시킨 확장형 멀티조립상자 키트(400)는 대형(大型) 전자기판(202)을 실장 할 수 있으며; 상기 가로 방향 2개 및 세로 방향 2개로 결합시킨 확장형 멀티조립상자 키트(400)는 교육용 실험다이(155)에 배치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조립상자 키트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다양한 변형에 의하여 멀티조립상자 키트에 적용시킬 수 있으며, 기술적으로 용이하게 변형시키는 기술의 범주도 본 특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인정해야 할 것이다.
11 : 제1 상하(上下)확장 연결부
12 : 제2 상하(上下)확장 연결부
13 : 제3 상하(上下)확장 연결부
14 : 제4 상하(上下)확장 연결부
21 : 제1 전자기판 연결부
22 : 제2 전자기판 연결부
23 : 제3 전자기판 연결부
24 : 제4 전자기판 연결부
25 : 제5 전자기판 연결부
26 : 제6 전자기판 연결부
27 : 제7 전자기판 연결부
28 : 제8 전자기판 연결부
31 : 제1 보관 구멍
32 : 제1-1 보관 구멍
33 : 제1-2 보관 구멍
34 : 제2 보관 구멍
35 : 제2-1 보관 구멍
36 : 제2-2 보관 구멍
41 : 제3 보관 구멍
42 : 제3-1 보관 구멍
43 : 제3-2 보관 구멍
44 : 제4 보관 구멍
45 : 제4-1 보관 구멍
46 : 제4-2 보관 구멍
51 : 제1 측면 확장 수(Male) 커넥터
52 : 제2 측면 확장 수(Male) 커넥터
53 : 제3 측면 확장 수(Male) 커넥터
54 : 제4 측면 확장 수(Male) 커넥터
55 : 제5 측면 확장 수(Male) 커넥터
56 : 제1 측면 확장 암(Female) 커넥터
57 : 제2 측면 확장 암(Female) 커넥터
58 : 제3 측면 확장 암(Female) 커넥터
59 : 제4 측면 확장 암(Female) 커넥터
60 : 제5 측면 확장 암(Female) 커넥터
61 : 제1 측면 파손부분
61-1 : 제1-1 측면 파손부분
61-2 : 제1-2 측면 파손부분
61-3 : 제1-3 측면 파손부분
62 : 제2 측면 파손부분
62-1 : 제2-1 측면 파손부분
62-2 : 제2-2 측면 파손부분
62-3 : 제2-3 좌우(左右) 파손부분
63 : 제3 측면 파손부분
63-1 : 제3-1 측면 파손부분
63-2 : 제3-2 측면 파손부분
63-3 : 제3-3 측면 파손부분
64 : 제4 측면 파손부분
64-1 : 제4-1 측면 파손부분
64-2 : 제4-2 측면 파손부분
64-3 : 제4-3 측면 파손부분
65 : 제5 측면 파손부분
65-1 : 제5-1 측면 파손부분
65-2 : 제5-2 측면 파손부분
65-3 : 제5-3 측면 파손부분
66 : 제6 측면 파손부분
66-1 : 제6-1 측면 파손부분
66-2 : 제6-2 측면 파손부분
66-3 : 제6-3 측면 파손부분
67 : 제7 측면 파손부분
67-1 : 제7-1 측면 파손부분
67-2 : 제7-2 측면 파손부분
67-3 : 제7-3 측면 파손부분
68 : 제8 측면 파손부분
68-1 : 제8-1 측면 파손부분
68-2 : 제8-2 측면파손부분
68-3 : 제8-3 측면 파손부분
71 : 제1-1 전원부
72 : 제1-2 전원부
73 : 제2-1 전원부
74 : 제2-2 전원부
81 : 상하(上下) 파손구멍
81-1 : 제1 상하(上下) 파손구멍
81-2 : 제2 상하(上下) 파손구멍
81-3 : 제3 상하(上下) 파손구멍
81-4 : 제4 상하(上下) 파손구멍
81-5 : 제5 상하(上下) 파손구멍
81-6 : 제6 상하(上下) 파손구멍
81-7 : 제7 상하(上下) 파손구멍
81-8 : 제8 상하(上下) 파손구멍
81-9 : 제9 상하(上下) 파손구멍
81-10 : 제10 상하(上下) 파손구멍
91 : 상하(上下) 파손부분
91-1 : 제1 상하(上下) 파손부분
91-2 : 제2 상하(上下) 파손부분
91-3 : 제3 상하(上下) 파손부분
91-4 : 제4 상하(上下) 파손부분
91-5 : 제5 상하(上下) 파손부분
91-6 : 제6 상하(上下) 파손부분
91-7 : 제7 상하(上下) 파손부분
91-8 : 제8 상하(上下) 파손부분
91-9 : 제9 상하(上下) 파손부분
91-10 : 제10 상하(上下) 파손부분
100 : 전자기판 실장영역
101 : 제1 가로 결합영역
102 : 제2 가로 결합영역
103 : 제3 가로 결합영역
104 : 제4 가로 결합영역
105 : 제5 가로 결합영역
106 : 제6 가로 결합영역
107 : 제7 가로 결합영역
108 : 제8 가로 결합영역
109 : 제9 가로 결합영역
111 : 제11 가로 결합영역
112 : 제12 가로 결합영역
113 : 제13 가로 결합영역
114 : 제14 가로 결합영역
115 : 제15 가로 결합영역
116 : 제16 가로 결합영역
117 : 제17 가로 결합영역
118 : 제18 가로 결합영역
119 : 제19 가로 결합영역
121 : 인서트(Insert)
122 : 볼트(Bolt)
123 : 6각 렌치(Wrench)
125 : 보관 다이
126 : 제1 전원 핀(Pin)
127 : 제2 전원 핀(Pin)
128 : 보관 걸쇠
131 : 제1 세로 결합영역
132 : 제2 세로 결합영역
133 : 제3 세로 결합영역
134 : 제4 세로 결합영역
135 : 제5 세로 결합영역
136 : 제6 세로 결합영역
141 : 제11 세로 결합영역
142 : 제12 세로 결합영역
143 : 제13 세로 결합영역
144 : 제14 세로 결합영역
145 : 제15 세로 결합영역
146 : 제16 세로 결합영역
151 : 제1 측면 파손영역
151-1 : 제1-1 측면 파손영역
151-2 : 제1-2 측면 파손영역
151-3 : 제1-3 측면 파손영역
152 : 제2 측면 파손영역
152-1 : 제2-1 측면 파손영역
152-2 : 제2-2 측면 파손영역
152-3 : 제2-3 측면 파손영역
153 : 제3 측면 파손영역
153-1 : 제3-1 측면 파손영역
153-2 : 제3-2 측면 파손영역
153-3 : 제3-3 측면 파손영역
154 : 제4 측면 파손영역
154-1 : 제4-1 측면 파손영역
154-2 : 제4-2 측면 파손영역
154-3 : 제4-3 측면 파손영역
155 : 실험다이
156 : 실험판(Table)
157 : 실험다이 받침대
158 : 실험다이 기둥
171 : 제1 날개 수(Male) 커넥터
172 : 제2 날개 수(Male) 커넥터
173 : 제3 날개 수(Male) 커넥터
174 : 제4 날개 수(Male) 커넥터
175 : 제1 수(Male) 커넥터
176 : 제2 수(Male) 커넥터
181 : 제1 날개 암(Female) 커넥터
182 : 제2 날개 암(Female) 커넥터
183 : 제3 날개 암(Female) 커넥터
184 : 제4 날개 암(Female) 커넥터
185 : 제1 암(Female) 커넥터
186 : 제2 암(Female) 커넥터
191 : 제1 내부 파손영역(제2 측면 파손영역 및 제4-1 측면 파손영역)
192 : 제2 내부 파손영역(제3 측면 파손영역 및 제1-2 측면 파손영역)
193 : 제3 내부 파손영역(제2-2 측면 파손영역 및 제4-3 측면 파손영역)
194 : 제4 내부 파손영역(제3-1 측면 파손영역 및 제1-4 측면 파손영역)
201 : 소형(小型) 전자기판
202 : 대형(大型) 전자기판
205 : 확장형 멀티조립상자 키트 배치틀
206 : 확장형 멀티조립상자 키트 배치홈
300 : 멀티조립상자 키트
301 : 제1 멀티조립상자
302 : 제2 멀티조립상자
303 : 제3 멀티조립상자
304 : 제4 멀티조립상자
305 : 제5 멀티조립상자
306 : 제6 멀티조립상자
307 : 제7 멀티조립상자
308 : 제8 멀티조립상자
309 : 제9 멀티조립상자
400 : 확장형 멀티조립상자 키트
401 : 가로 확장형 멀티조립상자 키트
402 : 세로 확장형 멀티조립상자 키트
500 : 전원공급 전자기판

Claims (12)

  1. 멀티조립상자 키트에 있어서,
    상기 멀티조립상자 키트를 측면 방향으로 확장이 가능한 제1 내지 제5 측면 확장 수(Male) 커넥터(51 내지 55) 및 제1 내지 제5 측면 확장 암(Female) 커넥터(56 내지 60);
    상기 멀티조립상자 키트를 상하(上下) 방향으로 확장이 가능한 제1 내지 제4 상하(上下)확장 연결부(11 내지 14);
    상기 멀티조립상자 키트 측면 방향 또는 상하(上下) 방향으로 적층하여 형성하는 확장된 멀티조립상자 키트(400);
    상기 확장된 멀티조립상자 키트(400)의 내부를 측면 방향으로 확장시킬 수 있는 제1 내지 제8 측면 파손부분(61 내지 68) 및 제1 내지 제4 측면 파손영역(151 내지 154);
    상기 확장된 멀티조립상자 키트(400)의 내부를 상하(上下) 방향으로 확장시킬 수 있는 제1 내지 제10 상하(上下) 파손구멍(81-1 내지 81-10) 및 제1 내지 제10 상하(上下) 파손부분(91-1 내지 91-10);
    상기 멀티조립상자 키트 또는 상기 확장된 멀티조립상자 키트(400)에 (+)전원 및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1-1 전원부(71), 제1-2 전원부(72), 제2-1 전원부(73) 및 제2-2 전원부(74);
    1개의 멀티조립상자 키트는 소형(大型) 전자기판(201)을 배치시킬 수 있으며, 4개의 개별 멀티조립상자 키트를 가로 방향 2개 및 세로 방향 2개로 결합시킨 확장형 멀티조립상자 키트(400)는 대형(大型) 전자기판(202)을 실장 할 수 있으며;
    상기 가로 방향 2개 및 세로 방향 2개로 결합시킨 확장형 멀티조립상자 키트(400)는 교육용 실험다이(155)에 배치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조립상자 키트
  2. 멀티조립상자 키트에 있어서,
    상기 멀티조립상자 키트를 측면 방향으로 확장이 가능한 제1 내지 제5 측면 확장 수(Male) 커넥터(51 내지 55) 및 제1 내지 제5 측면 확장 암(Female) 커넥터(56 내지 60);
    상기 멀티조립상자 키트를 상하(上下) 방향으로 확장이 가능한 제1 내지 제4 상하(上下)확장 연결부(11 내지 14);
    상기 멀티조립상자 키트 측면 방향 또는 상하(上下) 방향으로 적층하여 형성하는 확장된 멀티조립상자 키트(400);
    상기 확장된 멀티조립상자 키트(400)의 내부를 측면 방향으로 확장시킬 수 있는 제1 내지 제8 측면 파손부분(61 내지 68) 및 제1 내지 제4 측면 파손영역(151 내지 154);
    상기 확장된 멀티조립상자 키트(400)의 내부를 상하(上下) 방향으로 확장시킬 수 있는 제1 내지 제10 상하(上下) 파손구멍(81-1 내지 81-10) 및 제1 내지 제10 상하(上下) 파손부분(91-1 내지 91-10);
    상기 멀티조립상자 키트 또는 상기 확장된 멀티조립상자 키트(400)에 (+)전원 및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1-1 전원부(71), 제1-2 전원부(72), 제2-1 전원부(73) 및 제2-2 전원부(74);
    1개의 멀티조립상자 키트는 소형(大型) 전자기판(201)을 배치시킬 수 있으며, 4개의 개별 멀티조립상자 키트를 가로 방향 2개 및 세로 방향 2개로 결합시킨 확장형 멀티조립상자 키트(400)는 대형(大型) 전자기판(202)을 실장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조립상자 키트
  3. 청구항 제1항 또는 청구항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방향 2개 및 세로 방향 2개로 결합시킨 확장형 멀티조립상자 키트(400)는 제1 내지 제4 날개 수(Male) 커넥터(171 내지 174) 및 제1 내지 제4 날개 암(Female) 커넥터(181 내지 184)를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조립상자 키트
  4. 청구항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방향 2개 및 세로 방향 2개로 결합시킨 확장형 멀티조립상자 키트(400)를 가로 방향으로 교육용 실험다이(155)에 배치하기 위하여 가로 확장형 멀티조립상자 키트(401)는 제3,4 날개 수(Male) 커넥터(173.174) 및 제3,4 날개 암(Female) 커넥터(183,184)를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조립상자 키트
  5. 청구항 제1항 또는 청구항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8 측면 파손부분(61 내지 68), 상기 제1 내지 제4 측면 파손영역(151 내지 154), 상기 제1 내지 제10 상하(上下) 파손구멍(81-1 내지 81-10) 및 제1 내지 제10 상하(上下) 파손부분(91-1 내지 91-10)은 사람이 손에 힘에 의해서 파손시킴을 통하여 상기 확장된 멀티조립상자 키트(400)의 내부를 측면 방향 또는 상하(上下) 방향으로 확장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조립상자 키트
  6. 청구항 제1항 또는 청구항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조립상자 키트를 상하(上下) 방향으로 확장이 가능한 제1 내지 제4 상하(上下)확장 연결부(11 내지 14)는 인서트(Insert)(121)가 박혀 있으며, 상기 인서트(Insert)(121)와 볼트(Bolt)(122)의 결합을 통하여 상하(上下) 방향으로 확장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조립상자 키트
  7. 멀티조립상자 키트에 있어서,
    상기 멀티조립상자 키트를 측면 방향으로 확장이 가능한 제1 내지 제5 측면 확장 수(Male) 커넥터(51 내지 55) 및 제1 내지 제5 측면 확장 암(Female) 커넥터(56 내지 60);
    상기 멀티조립상자 키트를 상하(上下) 방향으로 확장이 가능한 제1 내지 제4 상하(上下)확장 연결부(11 내지 14);
    상기 멀티조립상자 키트 측면 방향 또는 상하(上下) 방향으로 적층하여 형성하는 확장된 멀티조립상자 키트(400);
    상기 확장된 멀티조립상자 키트(400)의 내부를 측면 방향으로 확장시킬 수 있는 제1 내지 제8 측면 파손부분(61 내지 68) 및 제1 내지 제4 측면 파손영역(151 내지 154);
    상기 확장된 멀티조립상자 키트(400)의 내부를 상하(上下) 방향으로 확장시킬 수 있는 제1 내지 제10 상하(上下) 파손구멍(81-1 내지 81-10) 및 제1 내지 제10 상하(上下) 파손부분(91-1 내지 91-10);
    상기 멀티조립상자 키트 또는 상기 확장된 멀티조립상자 키트(400)에 (+)전원 및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1-1 전원부(71), 제1-2 전원부(72), 제2-1 전원부(73) 및 제2-2 전원부(74);
    1개의 멀티조립상자 키트는 소형(大型) 전자기판(201)을 배치시킬 수 있으며, 4개의 개별 멀티조립상자 키트를 가로 방향 2개 및 세로 방향 2개로 결합시킨 확장형 멀티조립상자 키트(400)는 대형(大型) 전자기판(202)을 실장 할 수 있으며;
    상기 멀티조립상자 키트를 상하(上下) 방향으로 확장이 가능한 제1 내지 제4 상하(上下)확장 연결부(11 내지 14)는 인서트(Insert)(121) 및 볼트(Bolt)(122)를 통해서 결합시킬 수 있으며;
    상기 멀티조립상자 키트는 상자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한 제1 내지 제4 보관 구멍(31,34,41,44)은 보관 다이(125)와 연결된 보관 걸쇠(128)를 통과시킴을 통하여 상기 멀티조립상자 키트를 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조립상자 키트
  8. 멀티조립상자 키트에 있어서,
    상기 멀티조립상자 키트를 측면 방향으로 확장이 가능한 제1 내지 제5 측면 확장 수(Male) 커넥터(51 내지 55) 및 제1 내지 제5 측면 확장 암(Female) 커넥터(56 내지 60);
    상기 멀티조립상자 키트를 상하(上下) 방향으로 확장이 가능한 제1 내지 제4 상하(上下)확장 연결부(11 내지 14);
    상기 멀티조립상자 키트 측면 방향 또는 상하(上下) 방향으로 적층하여 형성하는 확장된 멀티조립상자 키트(400);
    상기 확장된 멀티조립상자 키트(400)의 내부를 측면 방향으로 확장시킬 수 있는 제1 내지 제8 측면 파손부분(61 내지 68) 및 제1 내지 제4 측면 파손영역(151 내지 154);
    상기 확장된 멀티조립상자 키트(400)의 내부를 상하(上下) 방향으로 확장시킬 수 있는 제1 내지 제10 상하(上下) 파손구멍(81-1 내지 81-10) 및 제1 내지 제10 상하(上下) 파손부분(91-1 내지 91-10);
    상기 멀티조립상자 키트 또는 상기 확장된 멀티조립상자 키트(400)에 (+)전원 및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1-1 전원부(71), 제1-2 전원부(72), 제2-1 전원부(73) 및 제2-2 전원부(7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조립상자 키트
  9. 멀티조립상자 키트에 있어서,
    상기 멀티조립상자 키트를 측면 방향으로 확장이 가능한 제1 내지 제5 측면 확장 수(Male) 커넥터(51 내지 55) 및 제1 내지 제5 측면 확장 암(Female) 커넥터(56 내지 60);
    상기 멀티조립상자 키트를 상하(上下) 방향으로 확장이 가능한 제1 내지 제4 상하(上下)확장 연결부(11 내지 14);
    상기 멀티조립상자 키트 측면 방향 또는 상하(上下) 방향으로 적층하여 형성하는 확장된 멀티조립상자 키트(400);
    상기 확장된 멀티조립상자 키트(400)의 내부를 측면 방향으로 확장시킬 수 있는 제1 내지 제8 측면 파손부분(61 내지 68) 및 제1 내지 제4 측면 파손영역(151 내지 154);
    상기 확장된 멀티조립상자 키트(400)의 내부를 상하(上下) 방향으로 확장시킬 수 있는 제1 내지 제10 상하(上下) 파손구멍(81-1 내지 81-10) 및 제1 내지 제10 상하(上下) 파손부분(91-1 내지 91-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조립상자 키트
  10. 청구항 제7항 내지 청구항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8 측면 파손부분(61 내지 68), 상기 제1 내지 제4 측면 파손영역(151 내지 154), 상기 제1 내지 제10 상하(上下) 파손구멍(81-1 내지 81-10) 및 제1 내지 제10 상하(上下) 파손부분(91-1 내지 91-10)은 사람이 손에 힘에 의해서 파손시킴을 통하여 상기 확장된 멀티조립상자 키트(400)의 내부를 측면 방향 또는 상하(上下) 방향으로 확장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조립상자 키트
  11. 청구항 제7항 내지 청구항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조립상자 키트를 상하(上下) 방향으로 확장이 가능한 제1 내지 제4 상하(上下)확장 연결부(11 내지 14)는 인서트(Insert)(121)가 박혀있으며, 6각 렌치(Wrench)(123)를 사용하여 인서트(Insert)(121)와 볼트(Bolt)(122)의 결합을 통해서 상하(上下) 방향으로 확장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조립상자 키트
  12. 청구항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조립상자 키트는 하부(下部)에 배치된 전원공급 전자기판(500)에서 결합이 가능한 제1 전원 핀(Pin)(126) 및 제2 전원 핀(Pin)이 상기 제1-1 전원부(71), 제1-2 전원부(72), 제2-1 전원부(73) 및 제2-2 전원부(74)를 통하여 상기 상기 멀티 조립상자 키트에 (+)전원 및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조립상자 키트

KR1020170155197A 2017-11-20 2017-11-20 멀티조립상자 키트 KR101846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197A KR101846798B1 (ko) 2017-11-20 2017-11-20 멀티조립상자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197A KR101846798B1 (ko) 2017-11-20 2017-11-20 멀티조립상자 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6798B1 true KR101846798B1 (ko) 2018-04-09

Family

ID=61978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5197A KR101846798B1 (ko) 2017-11-20 2017-11-20 멀티조립상자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6798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35722A (ja) * 2007-03-22 2008-10-02 Hivertec Inc プリント基板重ねフレーム構造体
KR20110032549A (ko) * 2009-09-23 2011-03-30 (주)지오피케이 조립상자 키트
JP4698866B2 (ja) * 2001-03-26 2011-06-08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電子機器のモジュール構造
JP2012140180A (ja) * 2010-12-30 2012-07-26 Chunghwa Picture Tubes Ltd 輸送ボックス
KR101321223B1 (ko) * 2013-06-27 2013-10-24 오재준 원-터치 다중 프레임 조립식 컨트롤박스
KR101348559B1 (ko) * 2006-05-29 2014-01-07 가부시키가이샤 제이에스피 유리 기판 반송용 박스 및 유리 기판 반송용 포장체
KR20170115366A (ko) * 2016-04-07 2017-10-17 주식회사 샤바스 수납 상자 조립체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98866B2 (ja) * 2001-03-26 2011-06-08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電子機器のモジュール構造
KR101348559B1 (ko) * 2006-05-29 2014-01-07 가부시키가이샤 제이에스피 유리 기판 반송용 박스 및 유리 기판 반송용 포장체
JP2008235722A (ja) * 2007-03-22 2008-10-02 Hivertec Inc プリント基板重ねフレーム構造体
KR20110032549A (ko) * 2009-09-23 2011-03-30 (주)지오피케이 조립상자 키트
JP2012140180A (ja) * 2010-12-30 2012-07-26 Chunghwa Picture Tubes Ltd 輸送ボックス
KR101321223B1 (ko) * 2013-06-27 2013-10-24 오재준 원-터치 다중 프레임 조립식 컨트롤박스
KR20170115366A (ko) * 2016-04-07 2017-10-17 주식회사 샤바스 수납 상자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8879B1 (ko) 평판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평판형 디스플레이 장치용프레임
CN202275567U (zh) 一种带磁铁安装结构的led模组及led显示箱体
CN103239040B (zh) 中空挤塑板及其加工方法
EP2992523B1 (en) Modular light emitting displays and arrays of same
KR101846798B1 (ko) 멀티조립상자 키트
CN101257192B (zh) 低压配电柜主母线夹
CN102628568B (zh) 光源组件及背光模组
CN202452090U (zh) 用于三维框架的型材及其三通连接件
CN103335283A (zh) 组合式背板和其装配方法以及使用其的背光模组
CN111816088A (zh) 一种全面屏液晶屏显示模组及其安装方法
CN102711408A (zh) 一种多功能机架
CN103732031A (zh) 一种机柜框架和机柜
CN112758355A (zh) 一种卫星结构板及其安装方法
CN207320578U (zh) 一种新型母线框
CN201708357U (zh) 连接器
JP5272490B2 (ja) 間仕切り壁
CN201536734U (zh) 展盒及具有展盒的展台
CN2583754Y (zh) 模块组合式大屏幕模拟显示装置
CN211126570U (zh) 一种模块化拼接的小型配电柜
CN205005159U (zh) 中框拼接结构
KR102648590B1 (ko) 컴퓨터 케이스 조립키트
CN203676682U (zh) 一种新型展会布展用型材
CN210249017U (zh) 一种拼装式柜体
CN203961063U (zh) 组合式框架的接驳组件
CN213248087U (zh) 一种可拼接的门锁展示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