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8559B1 - 유리 기판 반송용 박스 및 유리 기판 반송용 포장체 - Google Patents

유리 기판 반송용 박스 및 유리 기판 반송용 포장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8559B1
KR101348559B1 KR1020070051454A KR20070051454A KR101348559B1 KR 101348559 B1 KR101348559 B1 KR 101348559B1 KR 1020070051454 A KR1020070051454 A KR 1020070051454A KR 20070051454 A KR20070051454 A KR 20070051454A KR 101348559 B1 KR101348559 B1 KR 101348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substrate
box
main body
box main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1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4655A (ko
Inventor
히데키 나이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제이에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제이에스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제이에스피
Publication of KR20070114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4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8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8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4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13Containers presenting a continuous stacking profile along the upper or lower edge of at least two opposite 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22Containers made of shock-absorb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 H01L21/6735Closed c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 H01L21/6735Closed carriers
    • H01L21/67369Close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ock absorbing elements, e.g. retainers or cush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Packages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과제) 유리 기판의 보호성이 우수하고, 또한 유리 기판을 효율적으로 수납할 수 있는 유리 기판 반송용 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수단) 복수매의 유리 기판 (α)을 판 두께 방향으로 적층시킨 상태에서 수용하는 상면이 개구된 박스 본체 (2) 와, 그 박스 본체의 상면 개구를 폐색하는 덮개 (50) 로 이루어지는 유리 기판 반송용 박스 (1) 로서, 상기 박스 본체는, 박스 본체부 (10) 와, 그 박스 본체부 내에형성된 유리 기판 맞닿음부 (30) 와, 필요에 따라 박스 본체부 (10) 내에 형성된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부 (40) 로 이루어지고, 상기 박스 본체부와 덮개는 겉보기 밀도 (A) 가 20∼300kg/㎥ 인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로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박스 본체부는, 단변의 치수와 장변의 치수의 비가 1 대 1.3∼1 대 2 의 직사각형 형상의 바닥판부 (11) 와, 그 바닥판부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기립하는 측벽부 (12) 로 이루어지고, 상기 측벽부의 적어도 한 쌍의 대향하는 내면에는 각각 유리 기판 맞닿음부가 형성되어, 그 유리 기판 맞닿음부와 상기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부는 겉보기 밀도 (B) 가 10∼90kg/㎥ 인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로 형성되고. 또한 적어도 그 박스 본체 (2) 의 네 모서리 근방에 있어서 상기 유리 기판 맞닿음부 및/또는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부는 수납되는 유리 기판의 코너부를 구성하는 이면 중 적어도 일방의 면에는 접하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는 유리 기판 반송용 박스이다.

Description

유리 기판 반송용 박스 및 유리 기판 반송용 포장체{BOX FOR TRANSFERRING GLASS SUBSTRATES AND PACKAGE FOR TRANSFERRING GLASS SUBSTRATES }
도 1 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유리 기판 반송용 박스의 본체부를 경사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유리 기판 반송용 박스의 본체부를 경사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유리 기판 반송용 박스의 본체부의 평면도이다.
도 4 는 박스 본체부에 대한 유리 기판 맞닿음 부재 및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 부재의 배치예를 나타낸 박스 본체의 평면도이다.
도 5 는 박스 본체부에 대한 유리 기판 맞닿음 부재 및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 부재의 다른 배치예를 나타낸 박스 본체의 평면도이다.
도 6 은 박스 본체부에 대한 유리 기판 맞닿음 부재 및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 부재의 또 다른 배치예를 나타낸 박스 본체의 평면도이다.
도 7 은 박스 본체부에 대한 유리 기판 맞닿음 부재 및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 부재의 또 다른 배치예를 나타낸 박스 본체의 평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유리 기판 반송용 박스의 덮개를 경사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유리 기판 반송용 박스의 덮개를 경사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유리 기판 반송용 포장체의 포장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유리 기판 반송용 포장체의 포장 형태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유리 기판 반송용 포장체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유리 기판 반송용 박스
2 박스 본체
10 박스 본체부
11 바닥판부
12 측벽부
12a 장변측의 측벽부
12b 단변측의 측벽부
13 도브테일 (dovetail groove) 홈
14, 14a∼14c 오목홈
15a∼15c 오목부
16 절결 단부
17 오목부
18 오목부
19 볼록부
20 홈
21a∼21c 오목부
22 절결
23 절결 단부
30, 30a∼30g 유리 기판 맞닿음 부재
40, 40a∼40d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 부재
41 절결부
50 덮개
51 천판부
52 환상 볼록부
53 볼록부
54 홈
55 절결
56 절결 오목부
57 환상 볼록부
58a∼58c 오목부
59 오목부
60 수지 시트
70 결속 밴드
특허 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132986호
특허 문헌 2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301354호
특허 문헌 3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106892호
본 발명은, 유리 기판 반송용 박스 및 유리 기판 반송용 포장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수지 발포체로 형성된 반송용 박스 내에, 유리 기판을 판 두께 방향으로 적층시킨 상태에서 수용하는 타입의 유리 기판 반송용 박스 및 유리 기판 반송용 포장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유리 메이커, 컬러 필터 메이커, 디바이스 메이커 등의 상호간에 있어서의 유리 기판 (완성 패널도 포함한다) 의 반송을 위해서, 수지 발포체로 형성된 유리 기판 반송용 박스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유리 기판 반송용 박스로는, 특허 문헌 1 또는 2 에 기재된 바와 같은, 상면이 개구된 박스 본체와, 그 박스 본체의 상면 개구를 폐색하는 덮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박스 본체의 적어도 대향하는 측벽 내면에 복수조의 세로 홈을 형성하고, 그 세로 홈 사이에 유리 기판을 각각 박스의 바닥면에 대해서 수직으로 지 지하게 하여, 복수매의 유리 기판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판 두께 방향으로 평행하게 나열한 상태에서 수용하는 타입인 것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1 에 기재된 기술은, 상기 세로 홈을 박스 본체의 측벽 내면에 직접 형성한 것이지만, 특허 문헌 2 에 기재된 기술은, 박스 본체에 대해서 착탈이 자유로운 L 자 형상의 완충체를 형성하고, 그 L 자 형상의 완충체의 내면에 상기 세로 홈을 형성하고, 수용되는 유리 기판의 크기에 맞추어 완충체를 변경함으로써, 반송용 박스의 범용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또, 특허 문헌 3 에는, 상면에 개구를 갖는 박스 본체 및 덮개를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로 형성하고, 상기 박스 본체 내에 유리 기판과 스페이서를 판 두께 방향으로 교대로 적층하여 수납하는 타입의 유리 기판 반송용 박스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 대형 액정 텔레비젼의 수요가 높아지면서, 액정 텔레비젼의 유리 기판으로서 한 변 (장변) 이 100cm 를 초과하는 대형 유리 기판도 채용되어 있어, 소형 유리 기판에서 대형 유리 기판까지 기판 사이즈가 다양화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특허 문헌 1 또는 2 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박스 본체가 대향하는 측벽 내면에 형성된 세로 홈에 의해 유리 기판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타입의 반송용 박스에 있어서는, 유리 기판의 대형화 및 이것에 기인하는 중량 증가에 수반하여, 그 유리 기판 자체가 자중에 의해 부당한 휨 변형 등을 초래할 우려가 있음과 함께, 유리 기판의 하단에 닿아 있는 바닥판부에 집중된 압축 하중이 작용하여, 쿠션 기능 또는 충격 완화 기능을 발휘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대형의 유리 기판을 반송할 때에는, 반송시의 충격 등에 의해 유리 기판이 손상될 우려가 높아져, 유리 기판의 보호성에 있어서 개선의 여지를 남기는 것이었다.
또, 특허 문헌 2 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반송용 박스 내에 내장되는, L 자 형상의 완충체를, 각각 수납하는 유리 기판에 적절한 두께, 홈 폭 및 홈 피치를 갖는 완충체에 다시 짜넣음으로써, 상이한 사이즈의 유리 기판을 반송할 수 있는 것으로 한 것에 있어서는, 범용성이 풍부한 것이지만, 대형의 유리 기판을 반송할 때에는, 상기한 과제가 발생함과 함께, 소형의 유리 기판을 반송할 때에는, 완충체의 두께를 두껍게 하기 때문에, 유리 기판의 수용 효율이 저하되어 버리고, 그 결과, 유리 기판의 반송 코스트가 증대된다는 과제가 있었다.
한편, 특허 문헌 3 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박스 본체 내에 유리 기판과 스페이서를 판 두께 방향으로 교대로 적층하여 수납하는 타입의 반송용 박스에 있어서는, 유리 기판의 판면은 스페이서에 의해 보호됨과 함께, 스페이서가 유리 기판을 면에서 균등하게 받기 때문에, 예를 들어 대형 유리 기판을 반송하는 경우라도, 유리 기판이 자중에 의해 휨 변형을 초래할 우려가 없어, 유리 기판의 판면에 대한 보호성은 우수해지지만, 특허 문헌 3 에 기재된 기술에 있어서는, 유리 기판의 단부에 대한 보호에 대해서는 어떠한 고려도 되어 있지 않고, 반송 중 등에 잘못하여 그 반송용 박스를 낙하시켜 버렸을 경우 등에는, 그 충격은 유리 기판의 단부, 특히 코너부에 집중되어, 유리 기판이 파손될 우려가 있었다. 또, 특허 문헌 3 에 기재된 기술에 있어서는, 상이한 사이즈의 유리 기판을 반송하기 위해서는, 그 사이즈마다 반송용 박스를 준비해야 한다는 과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배경 기술이 갖는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유리 기판의 보호성이 우수하고, 또한 유리 기판을 효율적으로 수납할 수 있는 유리 기판 반송용 박스 및 유리 기판 반송용 포장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 의 본 발명은, 복수매의 유리 기판을 판 두께 방향으로 적층시킨 상태에서 수용하는 상면이 개구된 박스 본체와, 그 박스 본체의 상면 개구를 폐색하는 덮개로 이루어지는 유리 기판 반송용 박스로서, 상기 박스 본체는, 박스 본체부와, 그 박스 본체부 내에 형성된 유리 기판 맞닿음부와, 필요에 따라 박스 본체부 내에 형성된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박스 본체부와 덮개는 겉보기 밀도 (A) 가 20∼300kg/㎥ 인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로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박스 본체부는, 단변의 치수와 장변의 치수의 비가 1 대 1.3∼1 대 2 의 직사각형 형상의 바닥판부와, 그 바닥판부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기립하는 측벽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측벽부의 적어도 한 쌍의 대향하는 내면에는 각각 유리 기판 맞닿음부가 형성되고, 그 유리 기판 맞닿음부와 상기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부는 겉보기 밀도 (B) 가 10∼90kg/㎥ 인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로 형성되고, 또한 적어도 그 박스 본체의 네 모서리 근방에 있어서 상기 유리 기판 맞닿음부 및/또는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부는 수납하는 유리 기판의 코 너부를 구성하는 2 면 중 적어도 일방의 면에는 접하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기판 반송용 박스로 하였다.
또, 청구항 2 의 본 발명은, 상기 청구항 1 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박스 본체부 및 덮개를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가,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기재 수지로 하는 형 내 발포 성형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기판 반송용 박스로 하였다.
또한, 청구항 3 의 본 발명은, 상기 청구항 1 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리 기판 맞닿음부 및/또는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부가, 상기 박스 본체부에 대해서 착탈 가능한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기판 반송용 박스로 하였다.
또한, 청구항 4 의 본 발명은, 상기 청구항 1 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박스 본체부의 측벽부의 높이가, 그 박스 본체부의 바닥판부의 단변 치수의 1/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기판 반송용 박스로 하였다.
또한, 청구항 5 의 본 발명은, 상기 청구항 1 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리 기판 맞닿음부와 상기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부를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가,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기재 수지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에 기재된 유리 기판 반송용 박스로 하였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6 의 본 발명은, 상기 청구항 1 의 발명에 관련되는 유리 기판 반송용 박스에 복수매의 유리 기판을 판 두께 방향으로 적층시킨 상태에서 수용하여 이루어지는 유리 기판 반송용 포장체로서, 상기 적층시킨 유리 기판의 상호간에, 겉보기 밀도가 90∼300kg/㎥, 두께가 0.3∼5㎜, 표면 저항률이 5.0×1013Ω 미만, 휨 탄성률이 80∼800MPa 인 수지 시트를 개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기판 반송용 포장체로 하였다.
또, 청구항 7 의 본 발명은, 상기 청구항 6 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지 시트가,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기판 반송용 포장체로 하였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에 관련되는 유리 기판 반송용 박스는, 복수매의 유리 기판을 판 두께 방향으로 적층시킨 상태에서 수용하는 상면이 개구된 박스 본체와, 그 박스 본체의 상면 개구를 폐색하는 덮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박스 본체는, 직사각형 형상의 바닥판부와, 그 바닥판부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기립하는 측벽부로 이루어지는 박스 본체부와, 상기 측벽부의 적어도 한 쌍의 대향하는 내면에 각각 형성된 유리 기판 맞닿음부와, 추가로 필요에 따라 박스 본체부 내를 구분하도록 형성된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부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에 관련되는 유리 기판 반송용 박스에 수용되는 유리 기판으로는, 공지된 다양한 유리 기판이 포함되고, 예를 들어, 소판 (素板) 유리 기판, 액정 표시용 유리 기판, 플라즈마 표시체용 유리 기판, 서멀 헤드용 유리 기판, 컬러 필터등의 각종 유리 기판, 또는 이들 유리 기판을 이용하여 제조한 TFT (박막 트랜지스터) 형성 완료 유리 기판이나 액정 셀로 불리는 완성 패널 등의 유리 기판이 포함된다. 이들이 수용되는 유리 기판의 양 판면에는, 손으로 박리 가능한 보호 필름이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의 박스 본체, 덮개는, 모두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의 기재 수지로는, 강도와 유연성의 밸런스가 우수하고, 또한 유리 기판과의 사이에 스침이 발생한 경우에 분진이 발생하기 어려운 등의 관점에서, 폴리올레핀계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 반복 사용의 필요성이 없는 유리 기판 반송용 박스의 경우에는, 유리 기판 맞닿음부 및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부가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로 형성되어 있으면, 상기 박스 본체 및 덮개는, 폴리스틸렌계 수지 등의 다른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어도 충분히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말하는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란, 다음의 (a)∼(e)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이다.
(a) 에틸렌 및, 프로필렌, 부텐 등의 α-올레핀 (이하, 이들을 합쳐서 간단히 올레핀이라고 한다.) 의 단독 중합체.
(b) 2 종 이상의 올레핀에서 선택되는 공중합체.
(c) 올레핀 성분과 다른 모노머 성분으로 이루어지 공중합체로서, 또한 올레핀 단위 성분 비율이 30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50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0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0중량%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90중량% 이상의 공중합체.
(d) 상기 (a), (b) 및 (c) 의 군에서 선택된 2 종 이상의 혼합물.
(e) 상기 (a), (b), (c) 및 (d) 의 군에서 선택된 1 종 또는 2 종 이상과, 상기 (a), (b), (c) 또는 (d) 와는 상이한 다른 합성 수지 성분 또는/및 다른 합성 엘라스토머 성분의 혼합 수지 조성물로서, 그 조성물 중의 올레핀 성분 단위 비율이 30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50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0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0중량%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90중량% 이상의 혼합 수지 조성물.
특히, 박스 본체부 및 덮개의 기재 수지로는,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 중에서도, 폴리프로필렌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는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여, 예를 들어 폴리스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에 비해 동일한 기계적 강도를 보다 경량으로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말하는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란, 다음의 (f)∼(i) 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이다.
(f) 프로필렌의 단독 중합체.
(g) 프로필렌 성분과 다른 모노머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로서, 또한 프로필렌 단위 성분 비율이 30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50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0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0중량%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90중량% 이상의 공중합체.
(h) 상기 (f) 및 (g) 의 군에서 선택된 2 종 이상의 혼합물.
(i) 상기 (f), (g) 및 (h) 의 군에서 선택된 1 종 또는 2 종 이상과, 상기 (f), (g) 또는 (h) 와는 상이한 다른 합성 수지 성분 또는/및 다른 합성 엘라스토 머 성분의 혼합 수지 조성물로서, 그 조성물 중의 프로필렌 성분 단위 비율이 30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50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0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0중량%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90중량% 이상의 혼합 수지 조성물.
또, 상기 박스 본체부 및 덮개의 겉보기 밀도는, 20∼300kg/㎥ 이며, 바람직하게는 30∼300kg/㎥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5∼300kg/㎥ 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45∼120kg/㎥ 이다. 박스 본체부 및 덮개의 겉보기 밀도가 너무 작은 경우에는 강도가 부족하기 쉽고, 그것을 보완하기 위해서 판 두께를 두껍게 할 필요가 생기며, 그 결과, 필요 이상으로 박스가 커져 버릴 우려가 있다. 또, 겉보기 밀도가 너무 작으면, 박스 자체가 변형되기 쉬워져, 내부에 수납된 유리 기판을 손상시켜 버릴 우려도 있다. 한편, 겉보기 밀도가 너무 큰 경우에는, 유연성이 없어져 유리 기판을 충분히 보호할 수 없거나, 경량성을 저해한다. 또한, 박스 본체부와 덮개의 겉보기 밀도는, 반드시 동일한 겉보기 밀도로 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의 박스 본체부 및 덮개의 겉보기 밀도는, 박스 본체부, 덮개 전체의 중량을 각각의 전체의 체적으로 나눔으로써 구할 수 있다. 또한, 유리 기판 맞닿음부,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부를 떼어낼 수 있는 경우에는, 이들을 떼어낸 후, 박스 본체부 전체를 시험편으로 하여 구한 값이다. 한편, 유리 기판 맞닿음부,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부가 박스 본체부에 접착, 점착 또는 융착에 의해 접합되어 있고, 유리 기판 맞닿음부,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부를 떼어낼 수 없는 경우에는, 박스 본체를 박스 본체부와 유리 기판 맞닿음부,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부로 분할하고, 얻어진 박스 본체부 전체를 시험편으로 하여 구한 값을 박스 본체부의 겉보 기 밀도로 한다.
본 고안의 유리 기판 맞닿음부 및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부는, 모두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로 형성되어 있다.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의 기재 수지로는, 강도와 유연성의 밸런스가 우수하고, 또한 유리 기판과의 사이에 스침이 발생했을 경우에 분진이 발생하기 어려운 등의 관점에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유리 기판 맞닿음부 및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부의 기재 수지로는,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 중에서도, 폴리에틸렌계 수지는 특히 유리 기판의 보호성이 우수하고, 유리 기판과의 맞닿음부의 기재 수지로서 적합하므로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말하는 상기 폴리에틸렌계 수지란, 다음의 (j)∼(m)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이다.
(j) 에틸렌의 단독 중합체.
(k) 에틸렌 성분과 다른 모노머 성분으로 이루어지 공중합체로서 또한 에테렌 단위 성분 비율이 30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50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0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0중량%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90중량% 이상의 공중합체.
(l) 상기 (j) 및 (k) 의 군에서 선택된 2 종 이상의 혼합물.
(m) 상기 (j), (k) 및 (l) 의 군에서 선택된 1 종 또는 2 종 이상과, 상기 (j), (k) 또는 (l) 과는 상이한 다른 합성 수지 성분 또는/및 다른 합성 엘라스토머 성분과의 혼합 수지 조성물로서, 그 조성물 중의 에틸렌 성분 단위 비율이 30중 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50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0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0중량%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90중량% 이상의 혼합 수지 조성물.
또, 상기 유리 기판 맞닿음부 및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부의 겉보기 밀도 (B) 는, 10∼90kg/㎥ 이며, 바람직하게는 10∼45kg/㎥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kg/㎥ 이상 45kg/㎥ 미만이다. 유리 기판 맞닿음부 및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부의 겉보기 밀도가 너무 큰 경우에는, 쿠션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반송시나 취급시에 있어서의 진동이나 충격 등에 의해 유리 기판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한편, 겉보기 밀도가 너무 작은 경우에는, 쿠션성은 충분하지만 하중을 받았을 때의 변형이 너무 커져, 반송시에 유리 기판이 안정되지 않고, 유리 기판에 상처 또는 파손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유리 기판 맞닿음부 및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부의 겉보기 밀도 (B) 는, 유리 기판 반송용 박스의 경량성과 유리 기판의 보호성의 관점에서, 박스 본체부와 덮개의 겉보기 밀도 (A) 이하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겉보기 밀도 (A) 미만이 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유리 기판 맞닿음부와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부의 겉보기 밀도는, 꼭 동일한 겉보기 밀도로 할 필요는 없다.
상기 유리 기판 맞닿음부 및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부의 겉보기 밀도는, 시험편으로서 유리 기판 맞닿음부,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부를 이용하는 것 이외에는, 전술한 박스 본체부의 경우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구한다. 또한, 유리 기판 맞닿음부,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부를 떼어낼 수 있는 경우에는, 박스 본체부로부터 떼어낸 유리 기판 맞닿음부,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부의 각각 전체를 시험편 으로 하여 구한 값이다. 한편, 유리 기판 맞닿음부,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부가 박스 본체부에 접착, 점착 또는 융착에 의해 접합되어 있고, 유리 기판 맞닿음부,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부를 떼어낼 수 없는 경우에는, 박스 본체를 박스 본체부와 유리 기판 맞닿음부,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부로 분리하고, 얻어진 유리 기판 맞닿음부,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부의 각각 전체를 시험편으로 하여 구한 값을 유리 기판 맞닿음부 및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부의 겉보기 밀도로 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로 형성하는 본 발명의 박스 본체부는, 직사각형 형상의 바닥판부와, 그 바닥판부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기립하는 측벽부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바닥판부는, 그 단변의 치수와 장변의 치수의 비가 1 대 1.3∼1 대 2 이며, 바람직하게는 1 대 1.5∼1 대 2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대 1.6∼1 대 1.8 이다. 수납되는 유리 기판의 단변의 치수와 장변의 치수의 비는 대체로 3 대 4 또는 9 대 16 이므로, 그 유리 기판을 판 두께 방향으로 적층시킨 상태에서 수용하는 박스 본체부의 바닥판부의 단변 치수와 장변 치수의 비는, 유리 기판과 대략 동일한 비인 상기 범위로 하는 것이 수용 효율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고, 또, 그 박스 본체부에 다양한 형상 치수의 유리 기판 맞닿음부 및/또는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부를 배치하고, 도 4∼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 종류, 예를 들어, 26 인치, 32 인치, 46 인치, 52 인치의 와이드 화면용의 유리 기판을 수용 가능하게 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수용 효율의 관점에서 바닥판부의 단변 치수와 장변 치수의 비는 상기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박스 본체부의 측벽부의 높이는,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바닥 판부의 단변 치수의 1/3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 이하이다. 측벽부의 높이가 상기 범위의 것인 경우에는, 박스 본체는 깊이가 얕은 상자체가 되고, 유리 기판의 수용 및 취출이 용이해져,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측벽부의 높이의 하한은, 수용 효율의 관점에서 바닥판부의 단변 치수의 1/20 정도이다.
본 발명의 박스 본체부의 상기 측벽부의 적어도 한 쌍의 대향하는 내면에는 각각 유리 기판 맞닿음부가 형성되고, 추가로 필요에 따라 박스 본체부 내를 구분하는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유리 기판 맞닿음부 및/또는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부는, 적어도 박스 본체의 네 모서리 근방 (도 4 중에 선형의 점선으로 나타낸 부분) 에 있어서 수납하는 유리 기판의 코너부를 구성하는 2 면 중 적어도 일방의 면에는 접하지 않게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반송 중 등에 잘못하여 그 반송용 박스를 낙하시켜 버렸을 경우에도, 그 충격은 유리 기판의 코너부에 집중되지 않고 분산되기 때문에, 유리 기판이 깨지기 어려워, 유리 기판의 보호성이 우수한 것이 된다.
상기 유리 기판 맞닿음부 및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부의 박스 본체부에 대한 형성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열가소성 수지 발포 입자를 형 내에 충전하여, 박스 본체부와 함께, 유리 기판 맞닿음부,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부를 성형하는 방법이 있다. 열가소성 수지 발포 입자를 형 내에 충전하여 성형할 때, 유리 기판 맞닿음부,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부가 되는 부위에 박스 본체부와는 상이한 기재 수지 및/또는 상이한 겉보기 밀도의 발포 입자를 충전하여 유리 기판 맞닿음부,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부위의 형성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박스 본체부와 유리 기판 맞닿음부,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부를 개별적으로 성형하고, 접착제나 열 융착에 의해 접합하는 방법, 나아가 따로 따로 형성한 박스 본체부와 유리 기판 맞닿음 부재, 유리 기판 맞닿음부 구분 부재에 각각 걸어맞춤 수단을 설치하여, 그 걸어맞춤 수단에 의해 양자를 착탈 자유롭게 장착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방법 중에서도, 걸어맞춤 수단을 이용하여 박스 본체부와 유리 기판 맞닿음 부재,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 부재를 착탈 자유롭게 고정시키는 방법이 특히 바람직하다. 유리 기판 맞닿음부,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부가 착탈 자유로운 부재이면, 그 부재로 이루어지는 유리 기판 맞닿음부,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부가 파손되었을 경우나 더러워졌을 경우에 교체할 수 있음과 함께, 수용되는 유리 기판의 사이즈에 따라 유리 기판 맞닿음 부재,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 부재의 형상, 사이즈 및 걸림 장소를 변경함으로써, 다양한 사이즈의 유리 기판을 수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유리 기판 맞닿음부,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부가, 박스 본체부와 착탈 가능한 별체인 것을, 본 명세서에서는 각각 유리 기판 맞닿음 부재,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 부재라고 하고, 이들 부재는 열가소성 수지 발포 입자의 형 내 성형품이어도 된다.
유리 기판 맞닿음 부재를 박스 본체부에 걸어맞추는 수단으로서, 박스 본체부의 측벽부에 형성된 홈에 유리 기판 맞닿음 부재를 걸어맞춤으로써 착탈 가능한 상태에서 거는 것이 바람직하고, 유리 기판 맞닿음 부재에 볼록부를 형성하여 그 볼록부와 상기 홈을 착탈 가능한 상태에서 거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유리 기판 맞닿음 부재를 용이하게 착탈 가능하게 하면서도, 취급 중이나 반송 중에 발생할 우려가 있는 유리 기판 맞닿음 부재의 어긋남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벽부에 형성된 홈이 도브테일 홈이고, 유리 기판 맞닿음 부재에 형성된 볼록부가 도브테일형이며, 양자가 도브테일 결합에 의해 결합되는 것으로 했을 경우에는, 유리 기판 맞닿음 부재의 측벽부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특히 바람직하다.
또, 복수 종류의 유리 기판을 수용하기 위해서, 유리 기판 맞닿음부 이외에, 박스 본체부 내에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부를 형성할 수 있다.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부를 형성함으로써, 수용되는 유리 기판에 대응한 사이즈로 박스 본체부 내를 분할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유리 기판의 수용 효율이 높아지고, 또한 맞닿음 부재의 사용량을 줄일 수도 있다.
상기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부의 형성 방법으로는,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 부재를 박스 본체부의 바닥판부 표면 및/또는 덮개의 이면에 형성된 오목부에 삽입 함으로써 거는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오목부로의 걸음 구조로 함으로써,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 부재를 용이하게 착탈 가능하게 하면서도, 수용되는 유리 기판의 사이즈에 적절한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 부재의 배치로 바꾸어 사용함으로써, 1 종류의 박스로 상이한 사이즈의 유리 기판을 수용할 수 있고, 또한 취급 중이나 반송 중에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 부재에 큰 하중이 가해진 경우에도,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 부재의 변형을 최소한으로 그치게 할 수 있으므로, 효과적으로 유리 기판을 보호할 수 있다. 이 오목부로의 걸음 구조에 추가하여, 박스 본체부의 측벽부에 형성된 홈에 의해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 부재의 단부를 거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이 경우에는, 더욱 유리 기판의 보호성이 우수한 것이 된다.
상기와 같이 박스 본체부, 그 박스 본체부 내에 설치된 유리 기판 맞닿음부, 추가로 필요에 따라 박스 본체부 내에 형성된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부로 이루어지는 박스 본체의 상면 개구는, 덮개에 의해 폐색된다. 박스 본체와 덮개의 걸어맞춤은, 발포체끼리의 마찰력이 크기 때문에, 단순한 끼워넣기로 충분하다. 단, 그 걸어맞춤을 강고하게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양자가 걸어맞추는 지점을 파형으로 형성하는 등, 걸어맞춤부의 맞닿음 면적을 크게 하면 된다. 또, 박스 내의 가스 치환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박스 본체 또는 덮개의 적당한 지점에 가스 도입구를 형성한다.
상기 박스 본체부, 덮개를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비드 형상으로 발포시켜 이루어지는 발포 입자를 금형 내에 충전하여, 소정 온도로 가열하고, 이어서 냉각시키는 성형 방법, 이른바 형 내 발포 성형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이 형 내 발포 성형 방법은, 사출 발포 성형 방법에 비해 높은 형태 강도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금형으로는 알루미늄 형과 같은 저비용의 금형을 이용할 수 있어, 저렴하게 박스 본체부, 덮개 등을 성형할 수 있다.
또, 상기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의 기재 수지에는, 대전 방지제, 기포 조절제, 난연제, 난연 보조제, 무기 충전제 등의 각종 첨가제를 필요에 따라 필요량을 첨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관련되는 유리 기판 반송용 박스에, TFT (박막 트랜지스터) 형성 완료된 유리 기판이나 액정 셀의 완성 패널을 수용할 때는, 박스의 적어도 기판과 접하는 지점 또는 접할 가능성이 있는 지점 (바람직하게는 박스 전체) 은, 도전성 물질이나 대전 방지성 물질을 함유시킨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발포시키는 등의 방법에 의해, 체적 저항률이 1×103∼1×1013Ω·㎝ 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필요한 도전성이나 대전 방지성을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련되는 유리 기판 반송용 포장체는, 상기한 본 발명에 관련되는 유리 기판 반송용 박스에 복수매의 유리 기판을 판 두께 방향으로 적층시킨 상태에서 수용하여 이루어지는 유리 기판 반송용 포장체로서, 상기 적층시킨 유리 기판의 상호간에, 특정 물성의 수지 시트를 개재시킨 것이다.
상기 수지 시트의 기재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이며, 그 폴리올레핀계 수지란, 상기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동일한 것을 말한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그 표면 경도와 휨 탄성률의 밸런스가 우수하고, 또 유리 기판과의 마찰로 발생하는 분진 등도 발생하기 어렵기 때문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유리 기판을 보호하는 수지 시트의 기재 수지로서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 시트의 겉보기 밀도는, 90∼300kg/㎥ 이며, 바람직하게는 150∼300kg/㎥ 이다. 수지 시트의 겉보기 밀도가 너무 큰 경우에는, 발포체가 본래 가지고 있는 완충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고, 유리 기판 표면에 대한 보호에 지장이 생길 우려가 있다. 한편, 너무 작은 경우에는, 유리 기판을 수용하는 작업에 필요한 그 수지 시트의 탄성 강도가 부족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저하되어 버린다. 또, 작업에 필요한 탄성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 그 수지 시트의 두께를 두껍게 하면, 유리 기판의 수용 효율이 저하되어 버린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지 시트의 겉보기 밀도는, 수지 시트로부터 측정편을 잘라내고, 그 측정편의 중량을 그 측정편의 외형 치수로부터 구해지는 체적으로 나눔으로써 구할 수 있다.
또, 상기 수지 시트의 두께는, 0.3∼5㎜ 이며, 바람직하게는 0.5∼3㎜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5∼2㎜ 이다. 수지 시트의 두께가 너무 얇은 경우에는, 발포체가 본래 가지고 있는 완충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고, 유리 기판에 대한 보호에 지장이 생길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탄성 강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유리 기판 곤포 작업의 작업성이 저하되어 버린다. 한편, 수지 시트의 두께가 너무 두꺼운 경우에는, 유리 기판의 수용 효율이 저하되어 버린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수지 시트의 두께는, 수지 시트의 단변 방향의 전체 폭에 걸쳐 등간격으로 10 지점의 두께를 측정하여, 구해진 각 측정치의 산술 평균을 말한다.
상기 수지 시트의 표면 저항률은, 5.0×1013Ω 미만이고, 바람직하게는 1.0×108Ω 이상 5.0×1013Ω 미만이다. 표면 저항률이 상기 범위 내이면, 충분한 대전 방지 성능을 발휘할 수 있고, 수지 시트에 유리 기판 표면을 손상시키는 요인이 되는 오물이나 진애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TFT (박막 트랜 지스터) 가 형성 완료된 유리 기판이나 액정 셀의 완성 패널, 또는 이들 표면에 보호 필름이 적층된 유리 기판은, 반송용 포장체와의 마찰 등에 의해 발생하는 정전기에 의해 손상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특히 표면 저항률이 낮은 수지 시트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표면 저항률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대체로 1.0×105Ω 정도이다.
상기와 같은 낮은 표면 저항률을 갖는 수지 시트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도전성 물질이나 대전 방지성 물질을 함유시켜 상기 표면 저항률이 되도록 조정한 열가소성 수지를 발포시켜 수지 시트를 얻는 방법, 수지 시트의 표면에 상기 표면 저항률을 가지는 필름을 적층하는 방법, 도전성 물질이나 대전 방지성 물질을 함유시켜 상기 표면 저항률이 되도록 조정한 열가소성 수지를 공압출에 의해 수지 시트의 표면에 적층하는 방법 등이 있다. 표면에 상기 표면 저항률을 가지는 수지층을 적층하는 경우에는, 상기 표면 저항률을 달성할 수 있으면, 적층되는 수지 시트에는 반드시 도전성 물질이나 대전 방지성 물질을 함유하지 않아도 되고, 또, 대전 방지층이 반드시 수지 시트의 표면에 있을 필요는 없고, 도전성 물질이나 대전 방지성 물질을 함유하지 않는 수지층이 표면에 존재해도 된다. 또한, 수지 시트가 적층물인 경우, 상기 수지 시트의 겉보기 밀도 및 두께는, 적층물 전체의 겉보기 밀도 및 두께를 나타낸다.
상기 대전 방지성 물질로는,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가 바람직하고, 그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는, 표면 저항률이 1×1011Ω 이하인 수지로 이루어진다. 구체적 으로는, 금속 이온으로서 칼륨, 루비듐 및 세슘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알칼리 금속을 함유하는 아이오노머 수지,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나 폴리에테르를 주성분으로 하는 친수성 수지가 바람직하다. 또, 수지 시트의 기재 수지로서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에는 발포체를 구성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와의 상용성을 향상시켜, 우수한 대전 방지 효과를 가져옴과 함께, 대전 방지제를 첨가함으로써 물성 저하를 억제시키는 효과를 얻기 때문에,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동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블록 공중합시킨 것을 이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는,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실산 공중합체의 일부 또는 전부가 칼륨, 루비듐 및 세슘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알칼리금속으로 중화되어 있는 아이오노머나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278985호에 기재되어 있는 조성물을 들 수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278985호에 기재된 조성물은, 폴리올레핀 (a) 의 블록과, 체적 고유 저항값이 1×105∼1×1011Ω·㎝ 의 친수성 수지 (b) 의 블록이, 반복하여 교대로 결합된 구조를 갖는 수평균 분자량 (Mn) 이 2000∼60000 인 블록 폴리머 (A) 이다. 상기 (a) 의 블록과 (b) 의 블록은, 에스테르 결합, 아미드 결합, 에테르 결합, 우레탄 결합, 이미드 결합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결합을 통하여 반복하여 교대로 결합된 구조를 갖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표면 저항률의 측정은, 기본적으로 JIS K 6911 (1995) 에 준거하여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수지 시트로부터 3 편으로 잘라낸 시험편 (세로 100㎜×가로 100㎜×두께 : 시험편 두께) 을 샘플로 하고, 시험편을 23℃, 습도 50% 의 분위기 하에 24 시간 방치한 후, 인가 전압 500V 에서 인가하고 나서 1 분 후의 표면 저항값을 측정하고, 얻어진 측정치의 평균치로부터 표면 저항률을 구한다. 측정 장치는 타케다 이화학 연구소 공업 주식회사 제조 「TR8601」를 이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수지 시트의 휨 탄성률은, 80∼800MPa이며, 바람직하게는 80∼500MPa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500MPa 이다. 수지 시트의 휨 탄성률이 너무 낮은 경우에는, 작업에 필요한 탄성 강도를 얻기 위해서는 그 수지 시트의 두께를 두껍게 할 필요가 있어, 유리 기판의 수용 효율이 저하되어 버린다. 한편, 휨 탄성률이 너무 높은 경우에는, 발포체가 본래 가지고 있는 완충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고, 유리 기판에 대한 보호에 지장이 생길 우려가 있다.
상기 휨 탄성률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기재 수지로서 밀도 890∼970kg/㎥ 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30∼100 중량% 함유하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폴리올레핀계 수지 중에서도, 완충성과 강성의 밸런스 면에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휨 탄성률의 측정은, JIS K 7221-2 (1999) 에 기초하여, 수지 시트의 압출 방향 (MD) 과 폭 방향 (TD) 에 대해 측정한다. 시험편으로서 길이 150㎜×폭 25㎜×두께 : 수지 시트의 두께인 것을 수지 시트로부터 잘라내어 사용하고, 지지점 선단의 R=5(㎜), 압자 선단의 R=5(㎜), 지지점간 거리 100㎜, 휨 속도 10㎜ /분의 조건에서 측정한다. 또한, 수지 시트의 압출 방향과 폭 방향에 대해 각각 10 개의 시험편을 측정하고, 각각의 평균치를 구하여, 그 평균치 중 작은 값을 본 발명의 휨 탄성률로 한다. 단, 수지 시트의 표면과 이면에서 휨 탄성률이 상이한 경우에는, 상기 방법에 의해 구해지는 큰 것의 값을 본 발명의 휨 탄성률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유리 기판 반송용 포장체는, 상면이 개구된 박스 본체 내에, 상기한 물성의 수지 시트를 유리 기판의 상호간에 개재시킨 상태에서 복수 매의 유리 기판을 판 두께 방향으로 적층시켜 수용하고, 박스 본체의 상면 개구를 덮개에 의해 폐색한 후, 필요에 따라 면 파스너가 부착된 결속 밴드, PP 밴드 등의 결속 부재에 의해 박스 본체와 덮개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먼 곳으로 수송 (예를 들어 수출) 할 때에는, 유리 기판을 수용한 본 발명에 관련되는 반송용 박스 전체를, 폴리올레핀 필름이나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필름 등의 방습성을 갖는 포장재로 포장하거나, 전체를 테이프로 감는 것 등을 할 수 있다. 또한 유리 기반을 곤포할 때에, 박스 내부에 실리카 겔 등의 흡습제를 넣어 둘 수도 있다.
이하, 상기한 본 발명에 관련되는 유리 기판 반송용 박스 및 유리 기판 반송용 포장체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도 3 은, 본 발명의 유리 기판 반송용 박스의 본체부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 은 경사 상방에서 본 박스 본체부의 사시도, 도 2 는 경사 하방에서 본 박스 본체부의 사시도, 도 3 은 박스 본체부의 평면도이다. 또, 도 4∼도 7 은, 상기 박스 본체부에 대한 유리 기판 맞닿음 부재 및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 부재의 여러 배치예를 나타낸 박스 본체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8 및 도 9 는, 상기 박스 본체의 개구를 폐색하는 덮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8 은 경사 상방에서 본 덮개의 사시도, 도 9 는 경사 하방에서 본 덮개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유리 기판 반송용 박스 (1) 는, 박스 본체부 (10) 와, 그 박스 본체부 (10) 내에 형성된 유리 기판 맞닿음 부재 (30) 와, 필요에 따라 박스 본체부 (10) 내에 형성된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 부재 (40) 로 이루어지는 박스 본체 (2) 와 덮개 (50) 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박스 본체부 (10) 및 덮개 (50) 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발포 입자를 금형 내에 충전하여,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고, 이어서 냉각시키는 성형 방법, 이른바 형 내 발포 형성 방법에 의해 제조되어 있고, 이 발포체의 겉보기 밀도는, 박스 본체부 (10) 및 덮개 (50) 모두 67kg/㎥ 이다. 또 유리 기판 맞닿음 부재 (30) 및 유리 맞닿음 구분 부재 (40) 는, 폴리에틸렌계 수지 발포 입자를 형 내 발포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겉보기 밀도가 31kg/㎥ 인 발포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박스 본체부 (10) 는, 도 1∼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의 바닥판부 (11) 와, 그 바닥판부 (11) 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수직으로 기립하는 측벽부 (12) 로 구성되어 있다. 바닥판부 (11) 의 단변의 치수 (L1) 는 773㎜ 이며, 장변의 치수 (L2) 는 1377㎜ 이다. 또, 상기 바닥판부 (11) 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기립하는 측벽부 (12) 의 높이 (H1) 는 52㎜ 이다. 따라서, 바닥판부 (11) 의 단변의 치수 (L1) 와 장변의 치수 (L2) 의 비는 1 대 1.78 이며, 측벽부 (12) 의 높이 (H1) 는, 바닥판부 (11) 의 단변 치수 (L1) 의 1/14.9 이다. 또, 바닥판부 (11) 의 판 두께는 52㎜ 이며, 측벽부 (12) 의 판 두께는 55㎜ 이므로, 그 박스 본체부 (10) 의 외형 치수는, 폭 883㎜, 길이 1487㎜, 높이 104㎜ 이다. 유리 기판은, 상기 바닥판부 (11) 와 측벽부 (12) 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에, 판 두께 방향으로 적층시킨 상태에서 수용된다.
상기 박스 본체부 (10) 의 측벽부 (12) 의 내면측에는, 유리 기판 맞닿음 부재 (30) 를 계지하기 위한 걸어맞춤 수단인 도브테일 홈 (13) 과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 부재 (40) 를 걸기 위한 걸어맞춤 수단인 오목홈 (14) 이 형성되어 있다.
도브테일 홈 (13) 은, 입구의 폭 치수가 50㎜, 저부의 폭 치수가 60㎜, 홈 깊이가 15㎜ 이며, 측벽부 (12) 의 상단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52㎜ 의 깊이까지 형성되어 있다. 도브테일 홈 (13) 의 형성 위치는,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변측의 측벽부 (12a) 의 길이 치수를 2 분하는 중심 (A 점) 으로부터 측벽을 따라 좌우 양 방향에 각각 130㎜ (B 점), 355.5㎜ (D 점), 485.5㎜ (E 점) 거리를 둔 6 지점의 위치에 도브테일 홈 (13) 의 중심이 각각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마주보는 장변측의 측벽부 (12a) 에도 각각 대향하는 위치에 도브테일 홈 (13) 이 형성되어 있다. 또, 단변측의 측벽부 (12b) 에도, 그 측벽부 (12b) 의 길이 치수를 2 분하는 중심 (a 점) 으로부터 측벽을 따라 좌우 양 방향에 각각 100㎜ (b 점), 300㎜ (c 점) 거리를 둔 4 지점의 위치에 도브테일 홈 (13) 의 중심이 각각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마주보는 단변측의 측벽부 (12b) 에도 각각 대향하는 위치인 도브테일 홈 (13) 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오목홈 (14) 은, 홈 폭이 158㎜, 홈 깊이가 15㎜ 인 오목홈 (14a) 과, 홈 폭이 45㎜, 홈 깊이가 15㎜ 인 오목홈 (14b) 과, 홈 폭이 30㎜, 홈 깊이가 15㎜ 인 오목홈 (14c) 의 3 종류가, 각각 측벽부 (12) 의 상단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62㎜ 의 깊이까지 형성되어 있다. 각 오목홈 (14a, 14b, 14c) 의 형성 위치는,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목홈 (14a) 은, 장변측의 측벽부 (12a) 의 길이 치수를 2 분하는 중심 (A 점) 에 그 중심이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마주보는 장변측의 측벽부 (12a) 에도 대향하는 위치에 오목홈 (14a) 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대향하는 오목홈 (14a) 끼리를 연결하도록, 바닥판부 (11) 의 표면에 폭이 158㎜, 깊이가 10㎜ 인 오목부 (15a)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오목홈 (14b) 은, 장변측의 측벽부 (12a) 의 길이 치수를 2 분하는 중심 (A 점) 으로부터 측벽을 따라 좌우 양 방향으로 각각 233.5㎜ (C 점), 553㎜ (F 점), 621㎜ (G 점) 거리를 둔 6 지점의 위치에 그 오목홈 (14b) 의 중심이 각각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마주보는 장변측의 측벽부 (12a) 에도 각각 대향하는 위치에 오목홈 (14b) 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의 대향하는 오목홈 (14b) 끼리를 연결하도록, 바닥판부 (11) 의 표면에 폭이 45㎜, 깊이가 10㎜ 의 오목부 (15b)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오목홈 (14c) 은, 단변측의 측벽부 (12b) 의 길이 치수를 2 분하는 중심 (A 점) 에 그 오목홈 (14c) 의 중심이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마주보는 단변측의 측벽부 (12b) 에도 대향하는 위치에 오목홈 (14c) 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대향하는 오목홈 (14c) 끼리를 연결하도록, 바닥판부 (11) 의 표면에 폭이 30㎜, 깊이가 10㎜ 인 오목부 (15c) 가 형성되어 있다.
박스 본체부 (10) 의 측벽부 (12) 의 외주면에는,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 (50) 를 끼워넣기 위한 절결 단부 (16) 가 형성되고, 그 절결 단부 (16) 의 적소 (適所) 에는, 덮개 (50) 에 형성된 볼록부 (53) 가 끼워넣어지는 오목부 (17), 및 덮개 (50) 를 떼어낼 때에 손가락 등을 삽입하는 오목부 (18)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측벽부 (12) 의 상단에는, 덮개 (50) 에 형성된 오목부 (59) 에 끼워넣는 5㎜ 정도의 볼록부 (19) 가 단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장변측의 측벽부 (12a) 의 외면측에는, 결속 밴드를 거는 홈 (20) 이 적절하게 간격을 두고 5 개 형성되어 있다.
또, 박스 본체부 (10) 의 바닥판부 (11) 의 이면에는,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바닥판부 (11) 의 표면에 형성된 오목부 (15a, 15b, 15c) 의 각각과 대응하는 위치에, 약간 (8㎜ 정도) 대응하는 오목부보다 큰 폭으로, 깊이가 10㎜ 인 오목부 (21a, 21b, 21c) 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 바닥판부 (11) 의 이면에는, 리프터의 포크를 삽입하는 절결 (22) 이 4 지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바닥판부 (11) 의 이면 둘레 가장자리부에는, 덮개 (50) 의 상면 둘레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환상 볼록부 (57) 가 걸어맞춰지는 절결 단부 (23) 가 형성되어 있다. 환상 볼록부 (57) 가 걸어맞춤 단부 (23) 를 걸어맞춤으로써, 박스 (1) 를 겹쳐 쌓을 때에, 어긋나지 않게 겹쳐 쌓을 수 있다.
상기한 박스 본체부 (10) 에는, 수납하는 유리 기판의 사이즈에 따라 여러 가지의 형상 치수의 유리 기판 맞닿음 부재 (30),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 부재 (40) 가, 박스 본체부 (10) 의 측벽부 (12) 의 내면측에 설치된 상기 도브테일 홈 (13), 오목홈 (14) 를 통하여 각각 내장된다.
도 4 는, 유리 기판의 사이즈가, 단변 치수가 680㎜, 장변 치수가 1193㎜ 인 대형의 유리 기판 α 를 수용하는 경우의, 상기 박스 본체부 (10) 에 대한 유리 기판 맞닿음 부재 (30) 및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 부재 (40) 의 배치예이다.
유리 기판의 장변측에 맞닿는 유리 기판 맞닿음 부재 (30a) 및 단변측에 맞닿는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 부재 (40a) 가, 각각 박스 본체부 (10) 에 계지 되고, 각각의 맞닿음 부재 및 맞닿음 구분 부재가 대향하는 내면간의 거리가, 유리 기판 α 의 단변 및 장변의 치수보다 각각 4mm 커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유리 기판의 장변측에 맞닿는 유리 기판 맞닿음 부재 (30a) 는, 박스 본체부 (10) 의 장변측의 측벽부 (12a) 의 중심 (A 점) 으로부터 130mm (B 점) 및 485.5mm (E 점) 거리를 둔 위치에 형성된 2 개의 도브테일 홈 (13) 에 각각 걸린, 장변측의 측벽부 (12a) 를 따라 배치된 4 개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이들 맞닿음 부재 (30a) 는, 유리 기판의 코너부에는 접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한편, 유리 기판의 단변측에 맞닿는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 부재 (40a) 는, 장변측의 측벽부 (12a) 의 중심 (A 점) 으로부터 621mm (G 점) 거리를 둔 위치에 형성된 대향하는 오목홈 (14b) 간에 걸리고, 또한 그 오목홈 (14b) 끼리를 연결하도록 바닥판부 (11) 의 표면에 형성된 오목부 (15b) 에 삽입되어, 장변측의 측벽부 (12a) 간을 브리지 (bridge) 하도록 배치된 2 개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이 맞닿음 구분 부재 (40a) 는, 유리 기판의 코너부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5 는, 유리 기판의 사이즈가, 단변 치수가 603mm, 장변 치수가 1057mm 인 대형 유리 기판 β 를 수용하는 경우의, 상기 박스 본체부 (10) 에 대한 유리 기판 맞닿음 부재 (30) 및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 부재 (40) 의 배치예이다.
유리 기판의 장변측에 맞닿는 유리 기판 맞닿음 부재 (30b) 및 단변측에 맞닿는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 부재 (40b) 가, 각각 박스 본체부 (10) 에 걸리고, 각각의 맞닿음 부재 및 맞닿음 구분 부재가 대향하는 내면간의 거리가, 유리 기판 β 의 단변 및 장변의 치수보다 각각 4mm 커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유리 기판의 장변측에 맞닿는 유리 기판 맞닿음 부재 (30b) 는, 박스 본체부 (10) 의 장변측의 측벽부 (12a) 의 중심 (A 점) 으로부터 130mm (B 점) 및 355.5mm (D 점) 거리를 둔 위치에 형성된 2 개의 도브테일 홈 (13) 에 각각 걸린, 장변측의 측벽부 (12a) 를 따라 배치된 4 개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이들 맞닿음 부재 (30b) 는, 유리 기판의 코너부에는 접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한편, 유리 기판의 단변측에 맞닿는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 부재 (40b) 는, 장변측의 측벽부 (12a) 의 중심 (A 점) 으로부터 553mm (F 점) 거리를 둔 위치에 형성된 대향하는 오목홈 (14b) 간에 걸리고, 또한 그 오목홈 (14b) 끼리를 연결하도록 바닥판부 (11) 의 표면에 형성된 오목부 (15b) 에 삽입되어, 장변측의 측벽부 (12a) 간을 브리지하도록 배치된 2 개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이 맞닿음 구분 부재 (40b) 는, 유리 기판 β 의 코너부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6 은, 유리 기판의 사이즈가, 단변 치수가 418mm, 장변 치수가 720mm 인 중형의 유리 기판 γ 를 수용하는 경우의, 상기 박스 본체부 (10) 에 대한 유리 기판 맞닿음 부재 (30) 및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 부재 (40) 의 배치예이다.
장변측의 측벽부 (12a) 간을 브리지하도록 걸린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 부재 (40c) 그리고 장변측의 측벽부 (12a) 및 단변측의 측벽부 (12b) 를 따라 각각 걸린 유리 기판 맞닿음 부재 (30c, 30d 및 30e) 가, 수용부를 3 등분으로 분할하도록 배치되고, 또한 이들 수용부에 있어서 각각의 맞닿음 부재 및 맞닿음 구분 부재가 대향하는 내면간의 거리가, 유리 기판 γ 의 단변의 치수보다 4mm 커지도록 배치되고, 장변의 치수보다 8mm 커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 부재 (40c) 는, 장변측의 측벽부 (12a) 의 중심 (A 점) 으로부터 좌우 양 방향으로 233.5mm (C 점) 거리를 둔 위치에 형성된 대향하는 오목홈 (14b) 간에 각각 걸리고, 또한 그 오목홈 (14b) 끼리를 연결하도록 바닥판부 (11) 의 표면에 형성된 오목부 (15b) 에 삽입되어, 장변측의 측벽부 (12a) 간을 브리지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맞닿음 구분 부재 (40c) 는, 유기 기판 γ 의 코너부에 위치하는 부분에 절결부 (41) 가 형성되어 있고, 유리 기판 γ 의 코너부에는 접하고 있지 않다. 또, 유리 기판 맞닿음 부재 (30c) 는, 박스 본체부 (10) 의 장변측의 측벽부 (12a) 의 중심 (A 점) 으로부터 좌우 양 방향으로 130mm (B 점) 거리를 둔 위치에 형성된 2 개의 도브테일 홈 (13) 에 각각 걸리고, 장변측의 측벽부 (12a) 를 따라 배치된 2 개의 부재로 이루어지며, 또, 유리 기판 맞닿음 부재 (30d) 는, 박스 본체부 (10) 의 장변측의 측벽부 (12a) 의 중심 (A 점) 으로부터 355.5mm (D 점) 및 485.5mm (E 점) 거리를 둔 위치에 형성된 2 개의 도브테일 홈 (13) 에 각각 걸린, 장변측의 측벽부 (12a) 를 따라 배치된 4 개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이들 맞닿음 부재 (30c, 30d) 는, 유리 기판 γ 의 코너부에는 접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 다. 또, 유리 기판 맞닿음 부재 (30e) 는, 박스 본체부 (10) 의 단변측의 측벽부 (12b) 의 중심 (A 점) 으로부터 100mm (b 점) 및 300mm (c 점) 거리를 둔 위치에 형성된 2 개의 도브테일 홈 (13) 에 각각 걸린, 단변측의 측벽부 (12b) 를 따라 배치된 4 개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이들 맞닿음 부재 (30e) 는, 유리 기판 γ 의 코너부에는 접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7 은, 유리 기판의 사이즈가, 단변 치수가 345mm, 장변 치수가 595mm 인 중형의 유리 기판 δ 를 수용하는 경우의, 상기 박스 본체부 (10) 에 대한 유리 기판 맞닿음 부재 (30) 및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 부재 (40) 의 배치예이다.
대립되는 장변측의 측벽부 (12a) 간 및 대립되는 단변측의 측벽부 (12b) 간을 십자 형상으로 브리지하도록 걸린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 부재 (40d) 그리고 장변측의 측벽부 (12a) 및 단변측의 측벽부 (12b) 를 따라 걸린 유리 기판 맞닿음 부재 (30f, 30g) 가, 수용부를 4 등분으로 분할하도록 배치되고, 또한 이들 수용부에 있어서 각각의 맞닿음 부재 및 맞닿음 구분 부재의 대향하는 내면간의 거리가, 유리 기판 δ 의 단변 및 장변의 치수보다 각각 4mm 커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십자 형상의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 부재 (40d) 는, 박스 본체부 (10) 의 장변측의 측벽부 (12a) 의 중심 (A 점) 에 형성된 대향하는 오목홈 (14a) 간에 걸리고, 또한 그 오목홈 (14a) 끼리를 연결하도록 바닥판부 (11) 의 표면에 형성된 오목부 (15a) 에 삽입되어, 장변측의 측벽부 (12a) 간을 브리지하도록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박스 본체부 (10) 의 단변측의 측벽부 (12b) 의 중심 (a 점) 에 형성된 대향하는 오목홈 (14c) 간에 걸리고, 또한 그 오목홈 (14c) 끼리를 연결하도록 바닥판부 (11) 의 표면에 형성된 오목부 (15c) 에 삽입되어, 단변측의 측벽부 (12b) 간을 브리지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맞닿음 구분 부재 (40d) 는, 유리 기판 δ 의 코너부에 위치하는 부분에 절결부 (41) 가 형성되어 있고, 유리 기판 δ 의 코너부에는 접하고 있지 않다. 또, 유리 기판 맞닿음 부재 (30f) 는, 박스 본체부 (10) 의 장변측의 측벽부 (12a) 의 중심 (A 점) 으로부터 355.5mm (D 점) 및 485.5mm (E 점) 거리를 둔 위치에 형성된 2 개의 도브테일 홈 (13) 에 각각 걸린, 장변측의 측벽부 (12a) 를 따라 배치된 4 개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또, 유리 기판 맞닿음 부재 (30g) 는, 박스 본체부 (10) 의 단변측의 측벽부 (12b) 의 중심 (a 점) 으로부터 100mm (b 점) 및 300mm (c 점) 거리를 둔 위치에 형성된 2 개의 도브테일 홈 (13) 에 각각 걸린, 단변측의 측벽부 (12b) 를 따라 배치된 4 개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이들 맞닿음 부재 (30f, 30g) 는, 유리 기판 δ 의 코너부에는 접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박스 본체부 (10) 에 배치되는 상기 유리 기판 맞닿음 부재 (30) 는, 그 배치 상태에 있어서 박스 본체 (10) 의 측벽부 (12) 의 상단과 동일해지는 높이에 설계되어 있다. 한편, 박스 본체 (10) 가 마주보는 측벽부 (12) 간을 브리지하도록 배치되는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 부재 (40) 는, 그 배치 상태에 있어서 박스 본체부 (10) 의 측벽부 (12) 의 상단으로부터 10mm 돌출하는 높이에 설계되어 있다.
상기한 유리 기판 맞닿음 부재 (30) 및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 부재 (40) 를 배치한 박스 본체 (2) 는, 유리 기판의 수납 전에 있어서는, 그 박스 본체 (2) 만을 적층한 상태에서 유리 기판의 자동 곤포 장치 등의 근방에 놓이게 되지만, 박스 본체부 (10) 의 바닥판부 (11) 의 이면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오목부 (21a, 21b, 21c) 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오목부에 하방의 박스 본체부 (10) 의 측벽부 (12) 의 상단으로부터 돌출하는 상기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 부재 (40a, 40b) 등의 상부가 끼워 넣어지기 때문에, 안정된 상태에서 그 박스 본체 (2) 만을 적층할 수 있다.
한편, 덮개 (50) 는, 도 8 및 도 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의 천판부 (51) 와, 그 천판부 (51) 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환상 볼록부 (52) 로 구성되고, 그 환상 볼록부 (52) 가, 상기 박스 본체부 (10) 의 측벽부 (12) 의 외주면에 형성된 절결 단부 (16) 에 끼워맞춰진다. 또, 상기 환상 볼록부 (52) 의 하단에는, 4 개의 볼록부 (53) 가 형성되어 있고, 그 볼록부 (53) 는, 박스 본체부 (10) 의 상기 절결 단부 (16) 에 형성된 오목부 (17) 에 끼워넣어진다. 볼록부 (53) 를 오목부 (17) 에 끼워 넣음으로써, 취급 중이나 반송 중에 진동 등에 의해 본체부 (10) 와 덮개 (50) 가 어긋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덮개 (50) 의 천판부 (51) 의 표면에는, 도 8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장변측의 양측면으로부터 상면에 걸쳐, 결속 밴드를 거는 홈 (54) 이 적절한 간격을 두고 5 개 형성되어 있다. 또, 천판부 (51) 의 상면에는, 리프터의 포크를 삽입하는 절결 (55) 이 4 개소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환상 볼록부 (52) 의 하단에 형성된 4 개의 볼록부 (53) 와 대응하는 위치의 천판부 (51) 의 상면에는, 덮개 (50) 만을 적층했을 경우의 상방의 덮개의 상기 볼록부 (53) 가 끼워넣어지는 절결 오목부 (56)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천판부 (51) 의 상면 둘레 가장자리부에는, 박스 본체부 (10) 의 바닥판부 (11) 의 이면 둘레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절결 단부 (23) 에 걸어맞추는 환상 볼록부 (57) 가 형성되어 있다.
또, 덮개 (50) 의 천판부 (51) 의 이면에는, 도 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박스 본체부 (10) 의 바닥판부 (11) 의 표면에 형성된 오목부 (15a, 15b, 15c) 의 각각과 대응하는 위치에, 약간 (4mm 정도) 대응하는 오목부보다 큰 폭으로, 깊이가 10mm 인 오목부 (58a, 58b, 58c) 가 각각 형성되고, 그 오목부에 박스 본체부 (10) 에 배치된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 부재 (40) 의 돌출된 상부가 끼워넣어져, 그 덮개 (50) 에 의해서도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 부재 (40) 를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 (58) 에 의해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 부재 (40) 를 지지함으로써, 취급 중이나 반송 중의 진동 등에 의해, 본체부 (10) 로부터의 맞닿음 구분 부재 (40) 의 어긋남, 맞닿음 구분 부재 (40) 의 변형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 천판부 (51) 의 이면 둘레 가장자리부에는, 상기 박스 본체부 (10) 의 측벽부 (12) 의 상단에 단속적인 형성된 볼록부 (19) 가 끼워넣어지는 오목부 (59) 가 단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 (19) 를 오목부 (59) 에 끼워넣음으로써, 취급 중이나 반송 중의 진동 등에 의해 본체부 (10) 와 덮개 (50) 가 어긋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유리 기판 반송용 포장체는, 상기한 박스 본체부 (10) 와, 유리 기판 맞닿음 부재 (30) 와, 필요에 따라 형성되는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 부재 (40) 로 이루어지는 박스 본체 (2) 와, 덮개 (50) 로 이루어지는 유리 기판 반송용 박스 (1) 에, 복수매의 유리 기판을 판 두께 방향으로 적층시킨 상태에서 수용하여 이루어지는 유리 기판 반송용 포장체로서, 상기 적층시킨 유리 기판의 상호간에, 특정 물성의 수지 시트 (60) 를 개재시킨 것이다.
도 10 은, 도 4 에 나타낸 대형의 유리 기판 α 를 수용하는 경우의, 박스 본체부 (10) 에 유리 기판 맞닿음 부재 (30) 및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 부재 (40) 의 배치를 실시한 박스 본체 (2) 를 이용한 포장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수납되는 유리 기판은, 단변 치수가 680mm, 장변 치수가 1193mm 이며, 두께가 1.4mm 인 액정 셀의 완성 패널이다. 또, 수지 시트 (60) 는, 겉보기 밀도가 225kg/㎥, 두께가 1mm, 표면 저항률이 2.1×1012Ω , 휨 탄성률이 240MPa 인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발포 시트이며, 그 단변의 치수 및 장변의 치수는, 상기 유리 기판 α 의 단변의 치수 및 장변의 치수와 동일하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유리 기판 반송용 포장체는, 도 10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박스 본체부 (10) 에 유리 기판 맞닿음 부재 (30) 및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 부재 (40) 가 배치된 박스 본체 (2) 내에, 유리 기판 α 와 발포 시트 (60) 를, 각각 바닥판부 (11) 와 평행한 상태에서, 판 두께 방향으로 교대로 겹쳐 쌓음으로써 수용되어, 덮개 (50) 에 의해 박스 본체 (2) 의 개구가 폐색된다.
도 11 은, 도 7 에 나타낸 중형의 유리 기판 δ 를 수용하는 경우의, 박스 본체부 (10) 에 유리 기판 맞닿음 부재 (30) 및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 부재 (40) 의 배치를 실시한 박스 본체 (2) 를 이용한 포장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수납되는 유리 기판 δ 를, 단변 치수가 345mm, 장변 치수가 595mm 이며, 두께가 1.4mm 링 액정 셀의 완성 패널이다. 또, 발포 시트 (60) 는, 겉보기 밀도가 225kg/㎥, 두께가 1mm, 표면 저항률이 2.1×1012Ω, 휨 탄성률이 240MPa 인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발포 시트이며, 그 단변의 치수 및 장변의 치수는, 상기 유리 기판 δ 의 단변의 치수 및 장변의 치수와 동일하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유리 기판 반송용 포장체는, 도 1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박스 본체부 (10) 에 유리 기판 맞닿음 부재 (30) 및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 부재 (40) 가 배치되고, 수용부가 4 등분으로 분할된 박스 본체 (2) 의 각각의 수납 부내에, 유리 기판 δ 와 발포 시트 (60) 를, 각각 바닥판부 (11) 와 평행한 상태에서, 판 두께 방향으로 교대로 겹쳐 쌓음으로써 수용되어, 덮개 (50) 에 의해 박스 본체 (2) 의 개구가 폐색된다.
도 12 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유리 기판 반송용 포장체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고, 박스 본체 (2) 와 덮개 (50) 가, 결속 밴드 (70) 에 의해 강고하게 결속되어, 반송 도중 등에 있어서 덮개 (50) 가 박스 본체 (2) 로부터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 도시는 생략했지만, 먼 곳으로 수송 (예를 들어 수출) 할 때에는, 반송용 박스 (1) 전체를, 폴리올레핀 필름이나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필름 등의 방습성을 갖는 포장재로 포장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에 관련되는 유리 기판 반송용 박스 및 유리 기판 반송용 포장체의 실시예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앞서 서술된 어떠한 실시예에도 전혀 한정 되지 않고,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있어서, 여러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은 당연하다.
상기 청구항 1 에 기재된 유리 기판 반송용 박스에 의하면, 박스 본체부 및 덮개가 겉보기 밀도 (이하에 있어서, 겉보기 밀도 (A) 라고도 한다.) 가 20∼300kg/㎥인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경량이면서도, 그 자체가 파손되기 어려워, 유리 기판의 보호성이 우수한 것이 된다. 또, 박스 본체부의 바닥판부는 직사각형 형상이며, 그 직사각형 형상 바닥판부의 단변의 치수와 장변의 치수의 비가 1 대 1.3∼1 대 2 이므로, 동일한 비율인 직사각형 형상 유리 기판을 판 두께 방향으로 적층시킨 상태에서 수용할 때, 그 수용 효율이 높아진다. 또한, 박스 본체부에는 유리 기판 맞닿음부, 추가로 필요에 따라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유리 기판 맞닿음부 및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부는 겉보기 밀도 (이하에 있어서, 겉보기 밀도 (B) 라고도 한다.) 가 10∼90kg/㎥ 인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특히 완충성이 우수함과 함께, 그 유리 기판 맞닿음부 및/또는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부는 적어도 그 박스 본체의 네 모서리 근방에 있어서 수용되는 적층된 유리 기판의 코너부를 구성하는 측부의 2 면 중 적어도 일방의 면에는 접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반송 중 등에 잘못하여 그 반송용 박스를 낙하시켜 버렸을 경우에도, 그 충격력은 유리 기판의 코너부에 집중되지 않고 분산되기 때문에, 유리 기판이 깨지기 어려워, 유리 기판의 보호성이 우수한 것이 된다.
또, 상기 청구항 2 에 기재된 유리 기판 반송용 박스에 의하면, 박스 본체부 및 덮개가,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기재 수지로 하는 발포 입자의 형내 발포 성형체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강도와 유연성의 밸런스가 우수하고, 또한 유리 기판과의 마찰이 발생했을 때에 분진이 발생하기 어려워지고, 또한 사출 성형품 등에 비교하여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청구항 3 에 기재된 유리 기판 반송용 박스에 의하면, 유리 기판 맞닿음부 및/또는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부가, 박스 본체부에 대해서 착탈 가능한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지므로, 그 유리 기판 맞닿음 부재 및/또는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 부재를 다시 짜넣음으로써, 하나의 반송용 박스를 사용하여 다양한 사이즈의 유리 기판을 반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유리 기판 맞닿음 부재 또는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 부재가 더러워지고, 파손이 발생한 경우라도, 그 부재만을 교환할 수 있으므로, 저렴한 교체 비용으로도 해결된다.
또한, 상기 청구항 4 에 기재된 유리 기판 반송용 박스에 의하면, 박스 본체부의 측벽부의 높이가 바닥판부의 단변 치수의 1/3 이하, 즉, 박스 본체부가 길이, 폭에 대해서 높이가 낮은 편평한 상자체이므로, 박스 본체 내로의 유리 기판의 수용 및 취출이 용이해진다.
또, 상기 청구항 5 에 기재된 유리 기판 반송용 박스에 의하면, 유리 기판 맞닿음부와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부를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가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기재 수지로 하여 구성되어 있으므로, 강도와 유연성의 밸런스가 우수하고, 또한 유리 기판과의 마찰이 생겼을 때에 분진이 발생하기 어려운 유리 기판 맞닿음부 및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부를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청구항 6 에 기재된 유리 기판 반송용 포장체에 의하면, 청구항 1에 기재된 유리 기판 반송용 박스에, 겉보기 밀도가 90∼300kg/㎥, 두께가 0.3∼5mm, 표면 저항률이 5.0×1013 Ω 미만, 휨 탄성률이 80∼800MPa 인 수지 시트를 유리 기판의 상호간에 개재시킨 상태에서 유리 기판을 판 두께 방향으로 적층시켜 수용하므로, 수용 효율이 높고, 또한 반송할 때에 유리 기판을 충분히 보호할 수 있음과 함께, 수지 시트는 충분한 탄성 강도 (예를 들어, 자동 곤포할 때에, 로봇 아암, 버큠 수단 등으로 수지 시트를 들어올릴 때의 변형에 저항하는 강도) 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로봇 등에 의한 자동 곤포 라인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청구항 7 에 기재된 유리 기판 반송용 포장체에 의하면, 수지 시트가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 시트이므로, 표면 경도와 탄성 강도의 밸런스, 경량성이 우수하고, 또 유리 기판과의 마찰이 발생했을 때에 분진이 발생하기 어려우며, 특히 유리 기판을 보호하는 데 적합한 것이 된다.

Claims (7)

  1. 복수매의 유리 기판을 판 두께 방향으로 적층시킨 상태에서 수용하는 상면이 개구된 박스 본체와, 그 박스 본체의 상면 개구를 폐색하는 덮개로 이루어지는 유리 기판 반송용 박스로서, 상기 박스 본체는, 박스 본체부와, 그 박스 본체부 내에 형성된 유리 기판 맞닿음부와, 박스 본체부 내에 형성된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박스 본체부와 덮개는 겉보기 밀도 (A) 가 20∼300kg/㎥ 인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로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박스 본체부는, 단변의 치수와 장변의 치수의 비가 1 대 1.3∼1 대 2 의 직사각형 형상의 바닥판부와, 그 바닥판부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기립하는 측벽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측벽부의 적어도 한 쌍의 대향하는 내면에는 각각 상기 유리 기판 맞닿음부가 형성되고, 또한 적어도 한 쌍의 대향하는 측벽부 간을 브리지하여 박스 본체부 내를 구분하도록 상기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부가 형성되고, 그 유리 기판 맞닿음부와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부는 겉보기 밀도 (B) 가 10∼90kg/㎥ (단, 겉보기 밀도 (B) 는 겉보기 밀도 (A) 이하) 인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로 형성되고, 또한 적어도 그 박스 본체의 네 모서리 근방에 있어서 상기 유리 기판 맞닿음부 및/또는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부는, 수납되는 유리 기판의 코너부를 구성하는 이면 (二面) 중 적어도 일방의 면에는 접하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유리 기판 맞닿음부 및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부가, 상기 박스 본체부에 대해서 착탈 가능한 별도의 부재인 유리 기판 맞닿음 부재 및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 부재로 이루어지고, 수용하는 유리 기판의 사이즈에 따라, 상기 유리 기판 맞닿음 부재는, 박스 본체부의 측벽부에 형성된 복수의 홈 중 어느 것에 착탈 가능한 상태에서 걸리고, 상기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 부재는, 박스 본체부의 바닥판부 표면 및/또는 덮개의 이면 (裏面) 에 형성된 복수의 오목부 중 어느 것에 삽입됨으로써 착탈 가능한 상태에서 걸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기판 반송용 박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 본체부 및 덮개를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가,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기재 수지로 하는 발포 입자의 형 내 발포 성형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기판 반송용 박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기판 맞닿음부 및/또는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부가, 상기 박스 본체부에 대해서 착탈 가능한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기판 반송용 박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 본체부의 측벽부의 높이가, 그 박스 본체부의 바닥판부의 단변 치수의 1/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기판 반송용 박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기판 맞닿음부와 상기 유리 기판 맞닿음 구분부를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가,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기재 수지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기판 반송용 박스.
  6. 제 1 항에 기재된 유리 기판 반송용 박스에 복수매의 유리 기판을 판 두께 방향으로 적층시킨 상태에서 수용하여 이루어지는 유리 기판 반송용 포장체로서, 상기 적층시킨 유리 기판의 상호간에, 겉보기 밀도가 90∼300kg/㎥, 두께가 0.3∼ 5mm, 표면 저항률이 5.0×1013Ω 미만, 휨 탄성률이 80∼800MPa 인 수지 시트를 개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기판 반송용 포장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시트가,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기판 반송용 포장체.
KR1020070051454A 2006-05-29 2007-05-28 유리 기판 반송용 박스 및 유리 기판 반송용 포장체 KR1013485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48790A JP4933840B2 (ja) 2006-05-29 2006-05-29 ガラス基板搬送用ボックス及びガラス基板搬送用包装体
JPJP-P-2006-00148790 2006-05-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4655A KR20070114655A (ko) 2007-12-04
KR101348559B1 true KR101348559B1 (ko) 2014-01-07

Family

ID=38848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1454A KR101348559B1 (ko) 2006-05-29 2007-05-28 유리 기판 반송용 박스 및 유리 기판 반송용 포장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933840B2 (ko)
KR (1) KR101348559B1 (ko)
CN (1) CN201089594Y (ko)
TW (1) TWM31924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6798B1 (ko) * 2017-11-20 2018-04-09 주식회사 에스피지코리아 멀티조립상자 키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843Y1 (ko) 2007-08-08 2010-08-13 이니디 엔터프라이즈 코., 엘티디. 완충기능을 강화한 액정패널 포장 케이스
JP5127844B2 (ja) * 2008-01-29 2013-01-23 京セラ株式会社 太陽電池素子の梱包体、および太陽電池素子の梱包方法
JP5081658B2 (ja) * 2008-02-15 2012-11-28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板状体の搬送容器
JP5259243B2 (ja) * 2008-04-30 2013-08-07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板状体の搬送用容器
JP5162341B2 (ja) * 2008-06-11 2013-03-13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ガラス基板搬送用トレイとガラス基板梱包体
KR100909478B1 (ko) 2009-01-12 2009-07-28 김봉희 유리기판 보관용 이중상자
KR200459909Y1 (ko) * 2010-05-13 2012-04-20 삼일화학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용 발포수지 포장재
JP2011246170A (ja) * 2010-05-27 2011-12-08 Sekisui Plastics Co Ltd 板状体の搬送用容器
JP5318060B2 (ja) * 2010-09-29 2013-10-16 ヒロパックス株式会社 半導体ウエハーの収納容器
CN102963623B (zh) * 2011-08-31 2015-04-29 上海中航光电子有限公司 玻璃基板包装盒
CN102616469A (zh) * 2012-04-11 2012-08-01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液晶显示面板和组件的共用包装盒及其使用方法
JP6004564B2 (ja) * 2012-05-23 2016-10-12 三甲株式会社 運搬用容器
JP5917316B2 (ja) 2012-06-29 2016-05-11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梱包材および梱包体
JP2014009020A (ja) 2012-06-29 2014-01-20 Sekisui Plastics Co Ltd 梱包材および梱包体
JP5417500B2 (ja) * 2012-07-31 2014-02-12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板状体の搬送容器
JP2014218328A (ja) * 2013-05-08 2014-11-20 新東エスプレシジョン株式会社 メタルマスクシート供給システム
CN103342199B (zh) * 2013-05-31 2015-07-01 友达光电(苏州)有限公司 可调式包装垫
CN103381938B (zh) * 2013-07-11 2016-03-30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承载液晶面板的箱体
KR101426898B1 (ko) 2013-12-06 2014-08-05 주식회사 성곡 표시패널 운반용 트레이조립체
JP3198009U (ja) * 2015-03-31 2015-06-11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梱包材及び梱包体
CN105173333B (zh) * 2015-09-25 2017-04-05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玻璃基板包装盒
JP3210846U (ja) * 2017-03-29 2017-06-08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パネル搬送容器
CN107161466A (zh) * 2017-07-07 2017-09-15 合肥惠科金扬科技有限公司 显示装置的包装结构
TWI610863B (zh) * 2017-07-14 2018-01-1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包裝箱
JP6757524B2 (ja) * 2018-03-15 2020-09-23 東レ株式会社 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2013968A (ja) 2018-11-14 2022-01-19 デンカ株式会社 放熱基板を収容するパッケージおよび梱包箱
JP7434752B2 (ja) * 2018-11-28 2024-02-21 Agc株式会社 被梱包体および梱包体
KR20210029321A (ko) * 2019-09-05 2021-03-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공용 트레이 및 소자 적재 방법
CN111591547A (zh) * 2020-05-22 2020-08-28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包装箱
CN111591548A (zh) * 2020-05-22 2020-08-28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包装装置及其包装方法
CN111907893A (zh) * 2020-08-10 2020-11-10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预弯折显示模组包装盒
KR102470674B1 (ko) * 2022-03-04 2022-11-24 황희진 휴대용 전자기기의 보호필름 어셈블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4305U (ko) * 1990-01-18 1991-09-26
JP2002353302A (ja) 2001-05-23 2002-12-06 Jsp Corp ガラス基板搬送用トレイ
JP2005239242A (ja) * 2004-02-27 2005-09-08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ガラス板梱包体
JP3120707U (ja) * 2006-01-16 2006-04-20 陽程科技股▲ふん▼有限公司 クッションを具えたベアリン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78U (ko) * 1989-05-29 1991-01-08
JP2533359Y2 (ja) * 1990-03-23 1997-04-23 東陶機器株式会社 トイレブース用壁パネル
JPH08164985A (ja) * 1994-12-14 1996-06-25 Fuji Photo Film Co Ltd ガラス乾板の包装容器
JP4462409B2 (ja) * 2004-03-04 2010-05-12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ガラス保護材
JP3850852B2 (ja) * 2004-10-05 2006-11-29 俊郎 藤原 基板搬送用容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4305U (ko) * 1990-01-18 1991-09-26
JP2002353302A (ja) 2001-05-23 2002-12-06 Jsp Corp ガラス基板搬送用トレイ
JP2005239242A (ja) * 2004-02-27 2005-09-08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ガラス板梱包体
JP3120707U (ja) * 2006-01-16 2006-04-20 陽程科技股▲ふん▼有限公司 クッションを具えたベアリング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6798B1 (ko) * 2017-11-20 2018-04-09 주식회사 에스피지코리아 멀티조립상자 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1089594Y (zh) 2008-07-23
JP2007314236A (ja) 2007-12-06
TWM319245U (en) 2007-09-21
JP4933840B2 (ja) 2012-05-16
KR20070114655A (ko) 2007-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8559B1 (ko) 유리 기판 반송용 박스 및 유리 기판 반송용 포장체
JP2008280062A (ja) ガラス基板搬送用ボックス及びガラス基板搬送用包装体
JP2008030756A (ja) ガラス基板搬送用ボックス及びガラス基板搬送用包装体
JP5605592B2 (ja) 搬送ユニット
JP2006273333A (ja) 梱包用トレー
CN100406362C (zh) 薄玻璃板的包装及包装方法
JPH08301354A (ja) 板状ガラス部品搬送箱
JP2009298479A (ja) ガラスシートの梱包
JPH1050815A (ja) ウエハー容器
KR101462975B1 (ko) 유리 기판 곤포 상자
JP4091432B2 (ja) ガラス基板用緩衝体
CN101081655A (zh) 夹持式空气缓冲装置
WO2013047338A1 (ja) 物品包装構造
KR100521298B1 (ko) 유리 기판용 완충체
JP2010105696A (ja) 薄型ディスプレイの搬送用治具
CN204802337U (zh) 车窗组件的包装箱
JP3210846U (ja) パネル搬送容器
KR20040034181A (ko) 글래스 기판 운반용 상자
JP4758566B2 (ja) ガラス基板用緩衝体及び該緩衝体を用いた包装体
JP4593487B2 (ja) 梱包ケースおよび梱包方法
CN200988655Y (zh) 夹持式空气缓冲装置
JP2010064780A (ja) ペリクル収納容器の梱包体
JP3969713B2 (ja) 板状物搬送具
JP2010137921A (ja) ガラス基板のパックおよびアンパック方法、ならびにガラス基板搬送用ボックス
CN214190576U (zh) 一种纸托盘边角防护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