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9478B1 - 유리기판 보관용 이중상자 - Google Patents

유리기판 보관용 이중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9478B1
KR100909478B1 KR1020090002335A KR20090002335A KR100909478B1 KR 100909478 B1 KR100909478 B1 KR 100909478B1 KR 1020090002335 A KR1020090002335 A KR 1020090002335A KR 20090002335 A KR20090002335 A KR 20090002335A KR 100909478 B1 KR100909478 B1 KR 100909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groove
box
cover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2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9876A (ko
Inventor
김봉희
Original Assignee
김봉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봉희 filed Critical 김봉희
Priority to KR1020090002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9478B1/ko
Publication of KR20090019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98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9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9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4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12Containers presenting local stacking elements protruding from the upper or lower edge of a side wall, e.g. handles, lugs, ribs, groo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95Ventilating arrangements, e.g. openings, spac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12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rigid or semi-rigid sheets of shock-absorbing material
    • B65D81/127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rigid or semi-rigid sheets of shock-absorbing material laminated or bonded to the inner wall of a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각의 기판(10)을 보호지(15)와 함께 수평상태로 적층하는 상자에 있어서: 외면에 밴드홈(222)과 요철부(225)를 구비하는 본체(220); 상기 본체(220)에 긴밀하게 수용되고, 저면홈(232)과 격자유로(233)를 구비하는 본체보호부재(230); 및 상기 본체(220)의 개방면에 부착되고, 외면에 밴드홈(242)을 구비하는 덮개(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각각의 기판(10)을 보호지(15)와 함께 수평상태로 적층하는 상자에 있어서: 개방된 상면에 챔퍼부(333)와 인식홈(336)을 구비하고, 내면에 저면홈(332)과 코너홈(335)을 구비하는 본체(320); 및 상기 본체(320)의 개방면에 챔퍼부(343)를 개재하여 결합되는 덮개(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유리기판을 수평 상태로 밀집하여 적층하면서 기판에 대한 완충성과 상자에 대한 내구성을 증대하는 효과가 있다.
유리기판, 이중, 상자, 보호지, 수평, 적층, 완충성, 내구성

Description

유리기판 보관용 이중상자{Duplicate box for keeping glass substrate}
본 발명은 유리기판 보관용 이중상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리기판을 수평 상태로 밀집하여 적층하면서 기판에 대한 완충성과 상자에 대한 내구성을 증대하는 유리기판 보관용 이중상자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TV 모니터, PDP, 노트북 등에 활용되는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표시장치(TFT-LCD)는 능동 매트릭스형 액정 중 하나로 한 쌍의 유리기판(평면유리) 사이에 채워지는 액체와 고체의 중간상인 액정의 전기-광학적 성질을 이용한 구조를 지닌다. 제조현장에서 이러한 액정표시장치의 유리기판들은 외부의 충격을 견디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상자에 수납된 상태로 보관된다.
이러한 유리기판 보관용 상자는 본체와 덮개로 이루어지며 본체의 내면에 균일한 간격으로 형성된 삼각형이나 사다리꼴 단면의 요홈을 이용하여 유리기판을 수직으로 지지하여 수납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은 방식의 상자에서 보다 많은 수의 유리기판을 수납하기 위해서는 요홈의 간격을 좁혀야 하지만 두께가 얇아져 지지 강도상의 문제가 초래되므로 수송 및 보관 비용 측면의 단점을 지닌다.
종래기술의 문헌정보
[문헌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7-0044362호 “유리 기판용 반송 상자”
예컨대,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7-0044362호에 의하면 『복수매의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용 유리 기판을 대략 직립으로 병렬 배치시켜서 수납하는 유리 기판용 반송 상자이며, 상기 반송 상자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체, 측면을 형성하는 외벽판 및 천정면부를 형성하는 덮개체, 또는 유리 기판을 보유 지지하기 위한 홈이 형성된 보유 지지 패드를 복수개 갖고, (중략)보유 지지 패드가 유리 기판 단부면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 공개된다. 이는 강도상으로 견실하기는 하지만 구조적으로 복잡하고 수평적재가 곤란하여 적층에 따른 효율이 낮은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기판 사이에 보호지를 개재하여 수평으로 적층하는 상자 구조가 본 출원인에 의해 제안된 바 있는데, 기판을 최소한의 간격으로 밀집할 수 있어서 적층 및 적재 효율이 매우 높다. 다만 기판의 집적도와 적재수량이 증가함에 따라 경질수지로 성형된 상자의 강도와 경도가 높아지고 기판에 대한 완충성도 다소 미흡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리기판을 수평 상태로 밀집하여 적층하면서 기판에 대한 완충성과 상자에 대한 내구성을 증대하는 유리기판 보관용 이중상자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각각의 기판을 보호지와 함께 수평상태로 적층하는 상자에 있어서: 외면에 밴드홈과 요철부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긴밀하게 수용되고, 저면홈과 격자유로를 구비하는 본체보호부재; 및 상기 본체의 개방면에 부착되고, 외면에 밴드홈을 구비하는 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덮개에는 요홈부 또는 덮개보호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각각의 기판을 보호지와 함께 수평상태로 적층하는 상자에 있어서: 개방된 상면에 챔퍼부와 인식홈을 구비하고, 내면에 저면홈과 코너홈을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개방면에 챔퍼부를 개재하여 결합되는 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본체의 저면홈에는 통공을 더 구비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 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리기판을 수평 상태로 밀집하여 적층하면서 기판에 대한 완충성과 상자에 대한 내구성을 증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상자의 본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다양한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저면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상자의 덮개부를 나타내는 저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상자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도 5의 본체와 덮개를 닫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우선 전체적 구성은 도 5를 기준으로 설명하되, 부분적인 상세 구성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한다.
본 발명은 각각의 기판(10)을 보호지(15)와 함께 수평상태로 적층하는 상자에 관련된다. 본 발명의 상자는 본체(120)와 덮개(140)로 이루어지며 그 내부에 각각 본체보호부재(130)와 덮개보호부재(150)가 수용되는 이중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상자의 소재는 EPP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물성을 지닌 소재를 채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본체(120)는 일면이 개방된 상자 구조이고, 외면에 밴드홈(122)과 요철부(125)를 구비한다. 밴드홈(122)은 상자를 적재하여 밴드로 묶기 위한 요홈 구조이며, 본체(120)의 전면과 상면에 걸쳐서 평행하게 형성된다. 요철부(125)는 상자를 적재할 때 맞물리는 구조이며, 저면상에서 일정 치수로 돌출 또는 함몰되도록 형성된다. 이외에 밴드홈(122)의 상단 지점에 상자의 개방이 용이하도록 손잡이홈(124)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본체(120)에 긴밀하게 수용되는 본체보호부재(130)에 저면공(132)과 코너홈(135)이 구비된다. 본체(120)의 내면에는 별다른 기능부가 존재하지 않지만, 기판(10)이 직접 접촉되며 수용되는 본체보호부재(130)에는 저면공(132)과 코너홈(135) 등이 형성된다. 저면공(132)은 본체보호부재(130)를 본체(120)에 긴밀하게 넣을 때 공기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도 3에 나타나는 것처럼 중앙에 큰 것을 그 주변에 작은 것을 배치한다. 저면공(132)의 크기와 수량은 충분한 지지 강도를 유지하는 범위내에서 결정한다. 코너홈(135)은 기판(10)의 코너부가 접촉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네 모서리에 원형으로 형성한다.
이외에도, 본체보호부재(130)에는 기판(10)과의 접촉 면적이나 중량을 줄이 기 위한 상면홈(134)과 내면홈(136)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면홈(134)과 내면홈(136)은 상면 변부에 형성하는데, 내면홈(136)은 내면 측벽으로 저면까지 연장시킬 수도 있다. 상면홈(134)은 도 2a 와 2b에, 내면홈(136)은 도 2b에 명확하게 도시된다.
한편, 본체보호부재(130)는 도 2a처럼 본체(120)와 동일 높이로 하거나 도 2b처럼 본체(120) 보다 약간 돌출시킬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본체보호부재(130)의 돌출된 부분은 후술하는 덮개(140)와 맞물리는 용도로 활용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덮개(140)는 상기 본체(120)의 개방면에 부착되고, 외면에 밴드홈(142)과 요철부(145)를 구비한다. 도 4에서, 덮개(140)의 밴드홈(142) 및 요철부(145)는 각각 본체(120)의 밴드홈(142) 및 요철부(125)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밴드홈(142)의 하단부에는 상자의 개폐가 용이하도록 손잡이홈(144)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덮개보호부재(150)는 상기 덮개(140)의 내면에 긴밀하게 수용된다. 도 4에 나타내는 것처럼 덮개보호부재(150)는 덮개(140)의 내면과 동일한 치수로 형성되는 장방형의 판재 형태이다. 본체보호부재(130)와 달리 기판(10)의 하중이 크게 작용하지 않으므로 덮개보호부재(150)의 경우 단순한 구조도 무방하다.
이때, 상기 본체보호부재(130)와 덮개보호부재(150)는 각각 본체(120)와 덮개(140)에 비하여 경도가 낮은 연질 구조로 한다. 이러한 연질 구조를 위해 상호 물성이 다른 소재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EPP 등의 동일한 소재라 할지라도 발포율 을 달리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이처럼 연질의 본체보호부재(130)와 덮개보호부재(150)를 부가적으로 사용함에 따라 연질 특성에 의한 완충성과 이중 구조에 의한 내구성 향상이 기대된다.
도 5에서, 기판(10)이 보호지(15)를 개재하여 본체(120) 상의 본체보호부재(130)에 수용되고, 본체(120)의 개방된 상면에 덮개보호부재(150)와 덮개(140)를 차례로 덮는다. 이어서 본체(120)와 덮개(140)의 밴드홈(122)(142)을 이용하여 결속하면 단위 포장 상자가 된다.
도 6에서 덮개(140)의 미설명 부호 146은 성형 완료된 제품을 금형에서 이젝트하는 밀핀부이고, 부호 147은 성형시 금형으로 원료를 주입하기 위한 충진부이고, 부호 148은 상자나 제품의 규격 등을 표시하기 위한 마크부이다.
도 7a 내지 7c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상자의 다양한 적재 방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와 같이 기판(10)을 수용한 상자를 다층으로 적재할 때 다양한 형태의 요철부(145)를 활용할 수 있다. 도 7a에서는 요철부(145)가 모두 음각된 요홈 형태이고, 도 7c에서는 요철부(145)가 모두 양각된 돌기 형태이고, 도 7b에서는 요홈 형태와 돌기 형태가 혼합된 것을 나타낸다. 어느 방식에 있어서나 본체(120)의 저면과 덮개(140)의 상면에서 대응하는 위치의 요철부(125)(145)는 요홈과 돌기 형태가 상호 맞물리도록 한다.
도 8a 및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상자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a 및 9b는 도 8의 변형예에 따른 이중상자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a 및 10b 는 도 8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이중상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와 같은 단일의 상자를 보다 다층으로 적재하는 경우 도 8 내지 도 10처럼 중간에 적재되는 상자의 덮개(140)를 생략할 수 있도록 별도의 중간본체(160)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도 8a 및 8b에서 중간본체(160)의 저면에 형성된 요홈부(62)가 덮개(140)와 같은 기능을 할 수 있다. 최하단의 본체(120)와 최상단의 덮개(140) 사이에 적재되는 중간본체(160)는 전과 동일한 방식으로 기판(10)과 보호지(15)를 교호로 적층 수용한다.
도 9a 및 9b에서, 상자의 다층 적재시 중간본체(160)를 활용하는 것은 도 8과 동일하며, 덮개보호부재(150)의 요철부(55)와 중간본체(160)의 요철부(65)를 더 구비하는 구성이 도시된다. 이러한 요철부(55)(65)는 전술한 본체(120) 및 덮개(140)의 요철부(125)(145)와 동일한 음각 또는 양각 방식으로 형성한다.
도 10a 및 10c에서, 상자의 다층 적재시 중간본체(160)를 활용하는 것은 도 8과 동일하며, 덮개보호부재(150)에 단턱부(56)가 더 구비되는 구성이 도시된다. 단턱부(56)가 덮개보호부재(150)의 테두리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므로 덮개보호부재(150)가 전체적으로 상자 구조와 흡사하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상자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서 본체의 외면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3은 도 11에서 뚜껑의 내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각각의 기판(10)을 보호지(15)와 함께 수평상태로 적층하는 상자에 관련된다. 본 실시예의 상자는 본체(220)와 덮개(240)로 이루어지며 그 내부에 각각 본체보호부재(230)가 수용되는 이중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덮개보호부재(250)는 필요에 따라 수용될 수 있다. 상자의 소재는 EPP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물성을 지닌 소재를 채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명의 본체(220)는 외면에 밴드홈(222)과 요철부(225)를 구비한다.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밴드홈(222)은 상자를 적재하여 밴드로 묶기 위한 요홈 구조이며, 요철부(225)는 상자를 다층으로 적재할 때 상호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구조이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저면홈(232)과 격자유로(233)를 구비하는 본체보호부재(230)가 상기 본체(220)에 긴밀하게 수용된다. 저면홈(232)은 전술한 실시예처럼 관통하지 않고 장방형 요홈 구조로 형성한다. 다만, 방청제와 방습제가 기판과 간섭되지 않는 상태로 수용될 수 있도록 충분한 깊이와 폭으로 형성한다. 격자유로(233)는 방청 및 방습 성분이 기판에 골고루 퍼지도록 저면홈(232)에서 격자 형태로 연통된다. 이외에 기판의 모서리부에서 간섭으로 마모 또는 파손되지 않도록 코너홈(235)을 둘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외면에 밴드홈(242)을 구비하는 덮개(240)가 상기 본체(220)의 개방면에 부착된다. 밴드홈(242)의 용도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며 밴드홈(242)의 일단에 손잡이홈(244)을 두는 것이 좋다. 미설명 부호 246은 밀편부를 나타낸다.
이때, 상기 덮개(240)에는 요홈부(243) 또는 덮개보호부재(25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요홈부(243)는 덮개(240)의 내면 테두리부분에 일정 한 깊이와 폭으로 형성되며 코너홈(235)과 마찬가지로 기판의 모서리와 직접적인 간섭을 피하는 구조이다. 본체(220)에 본체보호부재(230)를 수용하여 2중 구조로 하는 것처럼 덮개(240)에도 덮개보호부재(250)를 수용하여 2중 구조로 할 수 있다. 물론 2중 구조는 내외부의 발포율을 달리하여 내측에 수용되는 본체보호부재(230) 및 덮개보호부재(250)가 연질로 되도록 함을 의미한다. 이 경우 요홈부(243)은 덮개(240) 대신 덮개보호부재(250)에 형성하는 것이 좋다.
도 11 내지 13의 구성에 의하면 하나의 본체(220)와 덮개(240)에 의한 단일의 상자속에 기판을 보호지(15)와 함께 수평상태로 적층하는 것이 가능할 뿐 아니라, 전술한 도 5처럼 하나의 본체(220)와 덮개(240) 사이에 중간본체(160)를 개재하여 다층으로 적층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구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통한 본체(120)(220)와 덮개(140)(240) 간에는 상호 호환적으로 교체가 가능하다. 본체(120)(220)와 덮개(140)(240) 사이에 몇 층의 중간본체(160)를 개재하더라도 호환성이 유지된다. 이러한 효과는 본 발명이 기판을 수평으로 적재하는 특징에서 기인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생략하였으나 전술한 실시예를 반영하여 본체(220)에 손잡이홈을 두거나, 본체보호부재(230)에 상면홈과 내면홈을 두어 중량을 경감할 수도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자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5 및 도 16은 도 14의 변형예들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각각의 기판(10)을 보호지(15)와 함께 수평상태로 적층 하는 상자에 관련되며, 본체(320)와 덮개(340)만을 도시하지만 각각의 본체보호부재와 덮개보호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이중구조의 경우 내외 부재의 발포율을 달리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도 14에 의하면, 본 발명의 본체(320)는 개방된 상면에 챔퍼부(333)와 인식홈(336)을 구비하고, 내면에 저면홈(332)과 코너홈(335)을 구비하는 구조이다. 저면홈(332)은 방청제와 방습제가 기판과 간섭되지 않는 상태로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코너홈(235)은 기판의 모서리부에서 간섭으로 마모 또는 파손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챔퍼부(333)는 본체(320)의 상면에 돌출되는 부분에서 적어도 2개의 모서리부에 형성되며 이는 후술하는 덮개(340)를 결합할 때 방향성을 주기 위함이다. 인식홈(336)은 로봇을 이용한 자동화 라인을 고려하여 로봇이 상자의 전후면을 구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덮개(340)는 상기 본체(320)의 개방면에 챔퍼부(343)를 개재하여 결합되는 구조이다. 덮개(340)의 챔퍼부(343)는 본체(320)의 챔퍼부(323)와 긴밀하게 결합될 수 있는 치수로 형성된다. 덮개(340)의 세부 구성에 있어서 전술한 다른 실시예의 요소들을 채용할 수 있으며, 다층 적재시 일부 덮개(340)를 생략하는 대신 중간본체(16)를 활용할 수 있는 점도 동일하다.
도 15 및 도 16에서, 본체(320')(320")에 형성된 인식홈(336)의 구성이 명확하게 예시되고 있는 바, 도 14는 이와 같은 인식홈(336)의 위치가 본체(320')(320")의 상면으로 한정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도시처럼 저면홈(322)(332)의 위치도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이때, 도 16처럼 상기 본체(320")의 저면홈(332)에는 통공(338)을 더 구비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저면홈(332)은 방청제와 방습제가 수용되는 부분으로서 여기에 통공(338)이 형성되면 다층 적재시 약제의 순환이 가능하여 기판의 장기 보존에 유리하다.
한편, 도 14에서 본체(320)의 저면 일측에 수납홈(327)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수납홈(327)은 일측에 PCB가 조립된 상태의 기판을 수용하는 경우에 간섭을 피하기 위한 용도로 형성되는 홈이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상자의 본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다양한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저면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상자의 덮개부를 나타내는 저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상자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도 5의 본체와 덮개를 닫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a 내지 7c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상자의 적재 방식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a 및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상자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a 및 9b는 도 8의 변형예에 따른 이중상자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a 및 10b는 도 8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이중상자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상자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서 본체의 외면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3은 도 11에서 뚜껑의 내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자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5 및 도 16은 도 14의 변형예들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기판 15: 보호지
120, 220, 320: 본체 122, 222: 밴드홈
124: 손잡이홈 125, 225: 요철부
130, 230: 본체보호부재 132, 332: 저면공
135, 235, 335: 코너홈 140, 240, 340: 덮개
142, 242: 밴드홈 144, 244: 손잡이홈
150, 250: 덮개보호부재 160: 중간본체
233: 격자유로 243: 요홈부
323, 343: 챔퍼부 327: 수납홈

Claims (4)

  1. 각각의 기판(10)을 보호지(15)와 함께 수평상태로 적층하는 상자에 있어서:
    외면에 밴드홈(222)과 요철부(225)를 구비하는 본체(220);
    상기 본체(220)에 긴밀하게 수용되고, 저면홈(232)과 격자유로(233)를 구비하는 본체보호부재(230); 및
    상기 본체(220)의 개방면에 부착되고, 외면에 밴드홈(242)을 구비하는 덮개(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기판 보관용 이중상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240)에는 요홈부(243) 또는 덮개보호부재(25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기판 보관용 이중상자.
  3. 각각의 기판(10)을 보호지(15)와 함께 수평상태로 적층하는 상자에 있어서:
    개방된 상면에 챔퍼부(333)와 인식홈(336)을 구비하고, 내면에 저면홈(332)과 코너홈(335)을 구비하는 본체(320); 및
    상기 본체(320)의 개방면에 챔퍼부(343)를 개재하여 결합되는 덮개(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기판 보관용 이중상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320)의 저면홈(332)에는 통공(338)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기판 보관용 이중상자.
KR1020090002335A 2009-01-12 2009-01-12 유리기판 보관용 이중상자 KR100909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2335A KR100909478B1 (ko) 2009-01-12 2009-01-12 유리기판 보관용 이중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2335A KR100909478B1 (ko) 2009-01-12 2009-01-12 유리기판 보관용 이중상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5668A Division KR100909479B1 (ko) 2006-10-27 2007-08-24 유리기판 보관용 이중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9876A KR20090019876A (ko) 2009-02-25
KR100909478B1 true KR100909478B1 (ko) 2009-07-28

Family

ID=40687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2335A KR100909478B1 (ko) 2009-01-12 2009-01-12 유리기판 보관용 이중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947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0717Y1 (ko) 2004-11-06 2005-04-07 이욱진 웨이퍼 수납용기의 포장재
KR100517652B1 (ko) 2002-10-21 2005-09-28 김봉희 글래스 기판 운반용 상자
KR100694898B1 (ko) 2006-08-21 2007-03-14 (주)원성이피에스 농산물 포장용 박스
JP2007314236A (ja) 2006-05-29 2007-12-06 Jsp Corp ガラス基板搬送用ボックス及びガラス基板搬送用包装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7652B1 (ko) 2002-10-21 2005-09-28 김봉희 글래스 기판 운반용 상자
KR200380717Y1 (ko) 2004-11-06 2005-04-07 이욱진 웨이퍼 수납용기의 포장재
JP2007314236A (ja) 2006-05-29 2007-12-06 Jsp Corp ガラス基板搬送用ボックス及びガラス基板搬送用包装体
KR100694898B1 (ko) 2006-08-21 2007-03-14 (주)원성이피에스 농산물 포장용 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9876A (ko) 200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2766B1 (ko) 유리기판 보관용 박스
US8720691B2 (en) Lower cushioning structure and package cushioning structure for display panel
US9376251B2 (en) Substrate storage container
US9139357B2 (en) Support frame for packaging liquid crystal glass panel
KR100909479B1 (ko) 유리기판 보관용 이중상자
TWI492890B (zh) Packaging materials and packaging
US8162147B1 (en) Box for transporting
WO2010070969A1 (ja) ガラス板梱包用パレット
TW200918416A (en) Object package structure
KR100909478B1 (ko) 유리기판 보관용 이중상자
KR20100034265A (ko) 기판 포장 케이스
CN202006907U (zh) 一种用于盛装未装框太阳能光伏组件的包装箱
CN202138730U (zh) 防静电吸塑盘
WO2011065096A1 (ja) パネル用梱包体
CN107572095B (zh) 包装箱
CN108284996B (zh) 一种包装箱
TWI412475B (zh) 偏光板用裝載箱
WO2023162638A1 (ja) ガラス板梱包体及びガラス板二重梱包体
CN216916733U (zh) 显示面板包装箱、显示面板包装体
CN213200487U (zh) 包装托盘以及包装结构
JP3105536U (ja) 小型基板包装補助具
CN208715791U (zh) 显示器包装盒
CN208932066U (zh) 一种液晶面板包装箱
CN208070449U (zh) 一种货架
JP2019127325A (ja) ガラス板梱包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