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2549A - 조립상자 키트 - Google Patents

조립상자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2549A
KR20110032549A KR1020090090097A KR20090090097A KR20110032549A KR 20110032549 A KR20110032549 A KR 20110032549A KR 1020090090097 A KR1020090090097 A KR 1020090090097A KR 20090090097 A KR20090090097 A KR 20090090097A KR 20110032549 A KR20110032549 A KR 201100325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body
box
concave
convex surfac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0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8363B1 (ko
Inventor
강철교
김창일
Original Assignee
(주)지오피케이
김창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오피케이, 김창일 filed Critical (주)지오피케이
Priority to KR1020090090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8363B1/ko
Publication of KR20110032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2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8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8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06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 G09B23/1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electricity or magnetism
    • G09B23/183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electricity or magnetism for circu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69Engineering, e.g. mechanical, electrical desig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lgebra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주로 교육용 실습 기자재의 전기배선용 접속회로 또는 제어회로 등을 장착하기 위한 컨트롤박스로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 수납용으로도 사용가능하며, 특히 같은 규격의 부품을 사용하여 크기가 다른 상자를 조립할 수 있는 조립상자 키트가 개시된다. 그 조립상자 키트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상자본체(10-1,…,10-n)와 두 개의 측면판(20-1,20-2), 그리고 둘 이상의 상자본체를 차례로 연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연결프레임(30-1,…,30-m)을 구비하며, 각 상자본체에 대하여 측면판과 연결프레임을 밑에서 위로 끼워맞추는 구조로 된다. 이것은 최소의 부품을 사용하고, 별도의 기계요소 없이 끼워맞춤식으로 조립되므로 조립이 쉬우며, 특히 한가지 규격의 부품들로 크기가 다른 상자를 조립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부품 설계 제작 비용과 조립공수를 줄여서 생산원가를 낮출 수 있어 경제적으로 매우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조립상자, 상자본체, 측면판, 연결프레임, 끼워맞춤, 컨트롤박스, 끼워맞춤, 실습 기자재

Description

조립상자 키트{FABRICATED BOX KIT}
본 발명은 주로 교육용 실습 기자재의 전기배선용 접속회로 또는 제어회로 등을 장착하기 위한 컨트롤박스로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 수납용으로도 사용가능하며, 특히 같은 규격의 부품을 사용하여 크기가 다른 상자를 조립할 수 있는 조립상자 키트에 관한 것이다.
상자는 일반 수납용 외에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용도에 따라 다양한 다양한 재질과 다양한 구조 그리고 다양한 크기로 제공되고 있다.
조립상자는 상자를 부위별로 전부 또는 일부를 부품화하여 복잡한 구조의 상자 조립을 가능케 하며, 특히 부품을 규격화함으로써 대량생산과 보수가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종래에도 다양한 구조의 조립상자가 제안되고 있으나, 그중 본 발명의 주제와 가장 밀접한 조립상자가 적용된 도 1과 같은 교육용 실습 테이블이 시판되고 있다. 도 1의 교육용 실습 테이블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248766에 개시된 바 있으며, 일반 테이블(1) 위에 지지대(2)를 세우고, 실습판(4)과 랙 프레임(5)을 설치한 것이다. 실습판(4)에는 다양한 실습 기자재(5)들을 배치 고정할 수 있으며, 랙 프레임(5)에는 실습 기자재(5)들에 대한 전기 배선 접속과 그 제어를 위한 컨트롤박스(6)를 배치 고정할 수 있다. 컨트롤박스(6)는 또한 실습판(4)에도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박스(6)는 실습 기자재에 따라 각각 모듈화된 회로를 내장하고, 그 덮개에 전기 배선 접속 또는 제어 조작을 위한 패널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각 회로나 패널의 모듈에 따라 여러 가지 규격으로 제공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컨트롤박스에 대하여, 상기 등록실용신안 20-0248766에는 상자본체와 두 개의 측면판으로 조립되는 구조가 교시되어 있다. 상자본체는 알루미늄 재질의 연속압출성형물을 원하는 길이로 절단한 것으로서, 대략 상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상자에 대응하여 전면부와 후면부 및 저면부가 있고 좌우 측면부가 제거된 모양이다. 측면판은 상자본체의 제거된 좌우 측면부에 대응되는 모양으로 성형되는 플라스틱 사출물로 제공된다. 상자본체와 측면판은 별도의 나사로 체결된다. 즉, 회로 모듈에 따라 상자본체용 압출성형물을 알맞은 길이로 절단함으로써 각 회로 모듈 크기에 맞추어 상자 조립이 가능한 것이다.
같은 구조의 상자를 다양한 크기로 제공하기 위해 각 크기마다 별도로 설계 제작하는 것은 비용부담이 크므로 비경제적이다. 따라서 상자를 조립식으로 구성하고 원하는 크기로 조립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은 경제적 측면에서 의미있는 일이다.
앞에서 예로든 종래기술에 의한 컨트롤박스의 조립식 구조는, 상자본체를 원하는 크기에 맞추어 일일이 절단하여야 하므로, 대량생산에 불리하다. 또한 조립식 구조에서는 조립 상태가 견고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볼트나 나사 등의 기계요소를 사용하는 것은 그 조립성을 떨어트려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첫째 조립이 쉽고 조립 상태가 견고하도록 개선된 조립구조의 단순 끼워맞춤식 조립상자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며, 둘째 단일 규격의 부품을 사용하여 원하는 크기로 조립할 수 있는 조립상자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첫 번째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상자 키트는 상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상자에 대응하는 전면부와 후면부 및 저면부가 있으며 좌우 양 측면부가 제거된 모양의 상자본체, 이 상자본체의 제거된 측면부에 대응하는 크기와 모양인 측면판이 두 개 구비되고, 그 상자본체의 전면부와 후면부의 각 좌우 모서리 부위에 요철면이 있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각 측면판의 대응하는 모서리 부위에는 그 상자본체의 요철면에 꼭맞게 끼워지는 대응 요철면이 있는 대응 결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두 번째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상자 키트는, 상기 첫 번째 특징에 있어서, 상기 상자본체가 둘 이상 구비되고, 각 상자본체의 상기 요철면에 대응하는 상기 각 측면판의 대응 요철면과 같은 모양의 연결 요철면을 좌우 대칭한 모양으로 가지는 연결프레임이 하나 이상 구비되어, 그 둘 이상의 상자본체를 그 하나 이상의 연결프레임으로 차례로 연결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형태로서, 상기 상자본체의 요철면과 상기 각 측면판의 대응 요철면, 그리고 상기 연결프레임의 연결 요철면을 수직방향으로 연속하게 형성하여, 그 상자본체에 대해 각 측면판 및 연결프레임을 밑에서부터 위쪽으로 밀어서 끼워맞추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형태로서, 상기 각 측면판의 대응 결합부와 연결프레임의 연결 결합부의 각 상단에 별도의 덮개를 나사나 볼트로 고정할 수 있는 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형태로서, 상기 상자본체의 요철면과 상기 각 측면판의 대응 요철면 그리고 상기 연결프레임의 연결 요철면을 각 전면부와 후면부가 만나는 저면부를 따라 연속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형태로서, 상기 상자본체의 내부 바닥면에 별도의 판상부재나 기구물을 나사 또는 볼트로 고정할 수 있는 보스를 하나 이상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형태로서, 상기 상자본체의 전면부와 후면부의 각 외측면에 별도의 부착지지구를 끼워서 결합시킬 수 있는 부착홈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형태로서, 상기 상자본체의 저면부에 별도의 완충지지구를 끼워서 결합시킬 수 있는 지지부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첫 번째 특징에 따른 상자본체와 두 개의 측면판은 별도의 나사나 볼트 등의 체결수단 없이도 간단히 끼워맞춤식으로 조립할 수 있어서 그 조립이 손 쉽고 견고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첫 번째 특징에 의하면, 최소의 부품으로 상자를 조립할 수 있고, 조립이 쉬우므로, 그 설계 제작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고 또 조립공수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조립식 상자의 생산원가를 줄여서 저렴하게 공급할 수 있게 되어 경제적으로 유리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특징에 따른 상자본체와 두 개의 측면판 및 연결프레임은 별도의 나사나 볼트 등의 체결수단 없이도 간단히 끼워맞춤식으로 조립할 수 있어서 그 조립이 손쉽고 견고하며, 특히 둘 이상의 상자본체 하나 이상의 연결프레임으로 연결함으로써, 크기가 다른 상자를 조립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두 번째 특징에 의하면, 한가지 규격의 부품을 사용하여 여러 가지 규격의 상자를 조립 사용할 수 있게 하므로, 다른 규격의 상자를 위해 부품을 다른 규격으로 설계 제작하지 않아도 되므로, 그 생산원가를 더욱 줄일 수 있으며, 따라서 경제적으로 더욱 향상된 유리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첨부된 도 2 이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나타낸다. 도면은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일부 구성요소가 과장되거나 삭제되는 등 실제와 다를 수 있다. 편의상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 또는 대응되는 부분은 앞의 도면과 동일한 참조번호가 부여되었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조립상자 키트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조립상자 키트는 도 2와 같이 상자본체(10)와 두 개의 측면 판(20-1,20-2)로 이루어지며, 별도의 덮개(40)와 회로기판(50)을 포함할 수 있다. 별도의 덮개(40)와 회로기판(50)에는 필요한 회로 요소나 그 접속기구 등이 장착되며, 이로써 전술한 실습 기자재용 전기배선 접속회로 또는 제어회로를 장착한 컨트롤박스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자본체(10)와 두 개의 측면판(20-1,20-2)은 모두 플라스틱 사출성형물로 제공되며, 상호 끼워맞춤식으로 조립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자본체(10)는 대략 직육면체 상자에 대응하는 전면부(도면에서 하단측)와 후면부 및 저면부가 있으며, 좌우 측면부가 제거된 모양으로 되며, 두 개의 측면판(20-1,20-2)과 접하는 그 전면부 및 후면부의 각 좌우 모서리 부위에 결합부(11)를 가지며, 그 결합부(11)에는 각 측면판을 향하는 요철면(12)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두 개의 측면판(20-1,20-2)은 각각 상자본체(10)의 결합부(11)에 형성된 요철면(12)에 꼭맞게 끼워지는 모양으로 형성된 대응 요철면(22)이 있는 대응 결합부(21)를 가진다. 여기서 상자본체(10)의 좌측 결합부(11) 및 요철면(12)은 그 우측에도 형성되어 실질적으로 좌우 대칭한 모양으로 되고 또한 전후 대칭하다. 그리고 좌측 측면판(20-1)과 우측 측면판(20-2)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로서 전후 대칭한 모양이며, 좌우로도 대칭한 모양으로 조립된다.
또한 상자본체(10)의 저면부와 두 개의 측면판(20-1,20-2)이 접하는 각 모서리 부위에는 도 4와 같이 상호 꼭맞게 결합되는 요철면(12a)과 대응 요철면(22a)이 각각에 형성되어 있다. 이 요철면(12a)과 대응 요철면(22a)은 전술한 요철면(12) 및 대응 요철면(22)에서 연속되는 모양으로 형성된 것이다. 즉, 상자본체(10)와 두 개의 측면판(20-1,20-2)은 요철면(12,12a)과 대응 요철면(22,22a)에 의해 그 둘레 전체가 서로 끼워맞춤하는 식으로 조립되는 것이다.
상자본체(10)의 저면부의 안쪽 바닥에서 일정 높이로 돌출하고 적당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보스(13)는 전술한 회로기판(50) 등의 장착물을 나사로 고정하기 위한 것이며, 그 바닥에 간격을 두고 약간 오목하게 파인 복수의 요홈(14)은 그 저면부 외측에 예를 들면 본 발명자들에 의한 선출원 발명 출원번호 10-2009-0052160에 의한 클램핑장치를 부착할 수 있도록 손쉽게 구멍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그 클램핑장치를 부착하여 교육용 실습 기자재와 같이 소정의 실습판에 탈부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자본체(10) 저면부 안쪽 바닥에서 좁고 낮게 돌출된 리브(15)는 복수의 보스(13)와 복수의 요홈(14)에 의해 그 저면부의 두께 변화에 따른 사출성형시의 변형을 막고 강도를 높여주기 위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바람직한 형태로서 상자본체(10)의 저면부의 네 모퉁이 부분에 형성된 지지부(16)는 별도의 고무재질인 완충지지구(60)를 끼워서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전술한 실습 기자재용 실습판 등에 부착되거나 놓여질 때 외부의 충격을 흡수 완충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두 개의 측면판(20-1,20-2)의 각 결합부(21) 상단면에 형성된 구멍(23)은 전술한 별도의 덮개(40)를 나사로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자본체(10)의 요철면(12,12′)은 측면판(20-1,20-2)의 전술한 각 대응 요철면과 함께 수직방향으로 연속하며, 따라서 상자본체(10)에 대해 측면판(20-1,20-2)을 각각 밑에서부터 위쪽으로 끼워맞출 수 있다. 조립상태에서는 별도의 나사를 사용하여 덮개(40)를 그 측면판(20-1,20-2)의 전술한 각 구멍(23)으로 체결하면, 완전하고 견고한 상자(컨트롤박스)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조립상자 키트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조립상자 키트는 도 7과 같이 두 개의 상자본체(10-1,10-2)와 두 개의 측면판(20-1,20-2) 및 연결프레임(30)으로 이루어지며, 별도의 다른 크기인 덮개(40a)와 회로기판(50a)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두 개의 두 개의 상자본체(10-1,10-2)와 두 개의 측면판(20-1,20-2)은 앞의 실시예에서 교시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연결프레임(30)은 두 개의 상자본체(10-1,10-2)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 상자본체에 대응한 소폭의 전면부와 후면부 및 저면부로 이어진 형태이며, 도 8과 같이 그 전면부와 후면부에 연결 요철면(32,32′)이 있는 결합부(31)를 가지며, 또한 도 9와 같이 그 저면부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연결 요철면(32a,32a′)을 가진다. 이들 연결 요철면(32,32′,32a,32a′)은 좌우에 놓이는 두 상자본체(10-1,10-2)의 요철면(12,12′,12a,12a′)에 각각 대응하는 전술한 각 측면판의 각 대응 요철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좌우로 대칭한 모양으로 연속하다.
본 실시예에서의 바람직한 형태로서, 두 개의 상자본체(10-1,10-2)는 각 좌 우 요철면(12,12′)에서 연장되어 상호 맞닿는 연장면(12c)이 형성되고, 그 연장면(12c)에 서로 엇걸리는 걸림부(12d)가 형성되어 있다. 이 연장면(12c)과 걸림부(12d) 형상에 의해 좌측에 위치하는 상자본체(10-1)와 우측에 위치하는 상자본체(10-2)의 안정적 연결이 가능할 것이다.
연결프레임(30)의 연결 결합부(31) 상단면에 형성된 구멍(33)은 전술한 다른 크기인 별도의 덮개(40a) 중간부를 나사로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자본체(10-1,10-2)의 각 요철면(12,12′)에 대응하여, 연결프레임(30)의 연결 요철면(32a,32a′)도 수직방향으로 연속하며, 따라서 상자본체(10)에 대해 측면판(20-1,20-2)과 연결프레임(30)을 각각 밑에서부터 위쪽으로 끼워맞출 수 있다. 조립상태에서는 별도의 나사를 사용하여 덮개(40a)를 그 측면판(20-1,20-2)과 연결프레임(30)의 전술한 각 구멍(23,33)으로 체결하면, 완전하고 견고한 크기가 커진 상자(컨트롤박스)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세 번째 실시예에 따른 조립상자 키트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조립상자 키트는 셋 이상의 상자본체(10-1,10-2,…,10-n)와 두 개의 측면판(20-1,20-2) 그리고 둘 이상의 연결프레임(30-1,30-2,…,30-m)으로 이루어지고, 더욱 커진 덮개(40b)와 여러 가지 크기의 회로기판(50,50a,50b)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각 상자본체와 측면판 및 연결프레임은 앞의 실시예들에서 교시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응용예로서, 전술한 바와 같은 조립상자 키트를 사용하여, 크기가 다른 여러 규격의 컨트롤박스(100,100a,100b)를 구성하고, 랙(70)에 가지런히 지지시킨 하나의 제어시스템을 보인다.
이 제어시스템의 바람직한 지지구조로서, 각 컨트롤박스의 상자본체(10)의 전면부(도면에서 상측)와 후면부에 부착홈(17)이 형성되고, 그 부착홈(17)에 끼워지는 돌출부(81)를 갖는 별도의 부착지지구(80)가 사용되었다. 부착홈(17)과 돌출부(81)는 단면이 사다리꼴 모양으로되어, 길이방향으로 끼워지고 다른 방향으로는 이탈되지 아니한다. 부착지지구(80)의 단부는 랙(70)의 상하 프레임(71)에 끼워진다. 별도의 나사(90)는 랙(70)에 지지된 상태에서 부착지지구(80)로부터 각 컨트롤박스가 그 부착홈(17)의 길이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다.
이상의 실시예들에 의해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자본체를 하나 또는 둘 이상 구비하고, 측면판 두 개, 그리고 연결프레임을 하나 이상 구비함으로써, 여러 가지 크기의 상자를 조립할 수 있으며, 그 조립구조가 단순 끼워맞춤식으로서 조립이 쉽고, 조립상태 또한 견고하다.
본 발명의 조립상자 키트는 전술한 바와 같은 교육용 실습 기자재의 하나인 컨트롤박스를 구성하는데 적합함은 물론, 일반 용도의 상자를 조립하는 데에도 유용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조립상자로 구성된 컨트롤박스가 설치된 교육용 실습 테이블의 도면대용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조립상자 키트로 조립된 상자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상자의 평면도이며, 원내는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2에 표시된 A-A 선상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표시된 B-B 선상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조립상자 키트에 의한 상자를 분리하여 그 조립 방향을 설명하는 분리 상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조립상자 키트로 조립된 상자의 사 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상자의 평면도이며, 원내는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7에 표시된 C-C 선상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7의 조립상자 키트에 의한 상자를 분리하여 그 조립 방향을 설명하는 분리 상태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세 번째 실시예에 따른 조립상자 키트로 조립된 상자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조립상자 키트를 사용하여 구성한 다양한 크기의 컨트롤박스들로 이루어진 제어시스템의 응용예를 보인다.
도 13은 도 12에 표시된 D-D 선상에서 본 부분 절단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0-1,10-2,…,10-n: 상자본체
12,12′,12a,12a′: 요철면
20-1,20-2: 측면판
22,22′,22a,22a′: 대응 요철면
30-1,30-2,…,30-m: 연결프레임
32,32′,32a,32a′: 연결 요철면
40,40a,40b: 덮개
50,50a,50b: 회로기판
80: 부착지지구

Claims (11)

  1. 상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상자에 대응하는 전면부와 후면부 및 저면부가 있으며 좌우 양 측면부가 제거된 모양의 상자본체, 이 상자본체의 제거된 측면부에 대응하는 크기와 모양인 측면판이 두 개 구비되고, 그 상자본체의 전면부와 후면부의 각 좌우 모서리 부위에 요철면이 있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각 측면판의 대응하는 모서리 부위에는 그 상자본체의 요철면에 꼭맞게 끼워지는 대응 요철면이 있는 대응 결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상자 키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자본체가 둘 이상 구비되고, 각 상자본체의 상기 요철면에 대응하는 상기 각 측면판의 대응 요철면과 같은 모양의 연결 요철면을 좌우 대칭한 모양으로 가지는 연결프레임이 하나 이상 구비되어, 그 둘 이상의 상자본체를 그 하나 이상의 연결프레임으로 차례로 연결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상자 키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자본체의 요철면과 상기 각 측면판의 대응 요철면이 수직방향으로 연속하게 형성되어, 그 상자본체에 대해 각 측면판을 밑에서부터 위쪽으로 밀어서 끼워맞추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상자 키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측면판의 대응 결합부 상단에 별도의 덮개를 나 사나 볼트로 고정할 수 있는 구멍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상자 키트.
  5. 청구항 1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상자본체의 요철면이 그 전면부와 후면부가 만나는 저면부를 따라 연속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상자 키트.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자본체의 요철면과 상기 각 측면판의 대응 요철면 및 상기 연결프레임의 연결 요철면이 수직방향으로 연속하게 형성되어, 그 상자본체에 대해 각 측면판과 연결프레임을 밑에서부터 위쪽으로 밀어서 끼워맞추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상자 키트.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각 측면판의 대응 결합부 상단과 상기 연결프레임의 연결 결합부 상단에 별도의 덮개를 나사나 볼트로 고정할 수 있는 구멍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상자 키트.
  8. 청구항 2 또는 6에 있어서, 상기 상자본체의 요철면과 연결프레임의 연결 요철면이 그 전면부와 후면부가 만나는 저면부를 따라 연속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상자 키트.
  9.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상자본체의 내부 바닥면에 별도의 판상부재나 기구물을 나사 또는 볼트로 고정하기 위한 보스가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상자 키트.
  10.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상자본체의 전면부와 후면부의 각 외측면에 별도의 부착지지구를 끼워서 결합시킬 수 있는 부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상자 키트.
  11.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상자본체의 저면부에 별도의 완충지지구를 끼워서 결합시킬 수 있는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상자 키트.
KR1020090090097A 2009-09-23 2009-09-23 조립상자 키트 KR101158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0097A KR101158363B1 (ko) 2009-09-23 2009-09-23 조립상자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0097A KR101158363B1 (ko) 2009-09-23 2009-09-23 조립상자 키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5141A Division KR20110099208A (ko) 2011-08-25 2011-08-25 조립상자 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2549A true KR20110032549A (ko) 2011-03-30
KR101158363B1 KR101158363B1 (ko) 2012-06-22

Family

ID=43937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0097A KR101158363B1 (ko) 2009-09-23 2009-09-23 조립상자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83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46357A (zh) * 2012-03-06 2012-08-22 南京化工职业技术学院 一种仪表挂箱
KR101846798B1 (ko) * 2017-11-20 2018-04-09 주식회사 에스피지코리아 멀티조립상자 키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0699Y1 (ko) * 1981-12-05 1983-05-09 여경봉 다목적 전기실험 교재
KR100856878B1 (ko) 2006-09-28 2008-09-04 김근수 풀박스
KR100993026B1 (ko) * 2008-08-25 2010-11-09 (주)자연과디자인 회전형입체게시대용 모듈박스
KR200466842Y1 (ko) * 2009-03-10 2013-05-09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배선덕트 및 배선덕트 덮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46357A (zh) * 2012-03-06 2012-08-22 南京化工职业技术学院 一种仪表挂箱
KR101846798B1 (ko) * 2017-11-20 2018-04-09 주식회사 에스피지코리아 멀티조립상자 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8363B1 (ko) 2012-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47658B2 (en) Locking enclosure, stiffening ring, and vertical mounting stiffeners for securing components
JP3408820B2 (ja) 組立ユニットを有する配電盤キャビネット
KR101158363B1 (ko) 조립상자 키트
JP4635647B2 (ja) 家具の脚装置
ATE39806T1 (de) Sockel fuer einen schaltschrank.
KR20110099208A (ko) 조립상자 키트
KR101200761B1 (ko) 고저압 수배전반, 분전반 및 모터제어반을 위한 판넬 조립용 장치
JP5532757B2 (ja) キャビネット装置
JP4924364B2 (ja) 組立式デスク
US20060107577A1 (en) Housing with a front frame covering the housing opening
US6471308B1 (en) Frameless stackable cabinet system for rack mounted electronic equipment
JP4749853B2 (ja) 組立式デスク
KR102310878B1 (ko) 높이 조절이 용이한 조립형 유니트 케이스
JP4804939B2 (ja)
US20050056758A1 (en) Base for a control box
KR20210131677A (ko) 건축용 콘크리트 판넬 제조용 성형틀
KR200370331Y1 (ko) 외장패널의 외부 결합구조를 갖는 당구대
US20050000180A1 (en) Decoration panel
EP2174567A1 (en) Modular shelving system
KR102077624B1 (ko) 금형부와 선형부의 조립구조를 갖는 유니트 케이스
CN211352322U (zh) 分体成型组合式电视机后罩
CN216598861U (zh) 一种led电源一体机接线盒
KR200214295Y1 (ko) 신발장의 신발받침판 지지핀결합구조
KR200409702Y1 (ko) 서랍장용 측판
JPH03104193A (ja) プリント板収納シエルフ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0826

Effective date: 20120523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110100605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0826

Effective date: 2012052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