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4295Y1 - 신발장의 신발받침판 지지핀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신발장의 신발받침판 지지핀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4295Y1
KR200214295Y1 KR2020000024220U KR20000024220U KR200214295Y1 KR 200214295 Y1 KR200214295 Y1 KR 200214295Y1 KR 2020000024220 U KR2020000024220 U KR 2020000024220U KR 20000024220 U KR20000024220 U KR 20000024220U KR 200214295 Y1 KR200214295 Y1 KR 2002142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hoe
frame
support plat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42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각
Original Assignee
정현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현각 filed Critical 정현각
Priority to KR20200000242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42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42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4295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신발장의 받침판 지지핀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신발장의 내부에 신발을 얹어 두기 위한 신발받침판을 지지하는 별도의 지지프레임이 구비된 신발장에서, 상기 신발받침판을 지지프레임에 결합시키는 지지핀이 별도의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으면서, 상기 지지핀에 지지프레임이 끼워지는 오목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홈의 양쪽 측벽사이의 간격이 프레임의 폭과 일치하게 되어 있는 한편, 지지핀의 양쪽 선단에 신발받침판을 결합시키는 결합돌기가 각각 구비되어 있고, 상기 지지핀의 몸체 중간에 지지프레임과 나사 결합시키기 위한 관통홈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신발장 받침판 지지핀 결합구조는 지지핀 그 자체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측벽을 갖춘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결합홈을 통하여 지지프레임에 간단하게 결합시킬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튼튼한 구조로 결합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신발장의 신발받침판 지지핀결합구조{Construction for fitting a supporting pins for a shoes plate in a shoes case}
본 고안은 신발장의 신발받침판 지지핀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신발받침판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이 구비된 신발장에서 신발받침판을 지지프레임에 결합시킬때 사용하는 매개체인 지지핀이 지지프레임과 별도의 부품으로 되어 있으면서, 간단하게 확실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한 신발장의 신발받침판 지지핀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장에는 여러개의 신발을 저장 보관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다수개의 신발받침판을 구비하고 있는데, 통상 신발받침판이 신발장에 직접 고정되어 있거나, 별도의 프레임을 통하여 세팅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신발장 내부에 별도의 프레임을 구비하고 있는 신발장의 경우에 있어서는, 이 프레임이 단순히 신발받침판만을 지지하고 있는 구조가 아니라, 상기 프레임이 신발장의 내부에서 상하좌우로 이동하거나 회전할 수 있는 가동구조 되어 있고, 이 가동구조의 프레임에 상기 신발받침판이 분리할 수 있게 세팅된 구조로 되어 있다.
예컨대, 상기 프레임이 신발장의 내부에 좌우로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고, 프레임에는 다수개의 신발받침판이 앞뒤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을 전후로 회전시키면서 신발을 보관저장할 수 있게 한 구조로 된 것이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프레임을 이동시킬 수 있게 한 종래의 신발장에 있어서는, 상기 프레임에 신발받침판을 끼워지지하는 지지핀이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여러가지 문제가 야기되었다.
즉, 상기 프레임에 하나의 신발받침판만이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다수개의 신발받침판이 결합되기 때문에, 이 신발받침판을 지지하는 지지핀 역시 다수개 구비되어 있어야 하므로, 다수개의 지지핀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고정 부착시키기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특히 다수개의 신발받침판이 교차하여 앞뒤로 경사지게 배치된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지지핀 역시 경사지게 배치고정시켜야 하므로, 그 경사각도에 맞추어 개개의 지지핀을 용접등의 방법으로 부착시키기가 용이하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별도의 지그장치를 사용하여, 하나의 프레임에 다수개의 지지핀을 동시에 용접결합시키는 방법이 있기는 하나, 별도의 고가인 지그장치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여러가지 문제점 이외에도, 특히 다수개의 지지핀이 고정부착된 프레임을 이송시키는 작업에 큰 문제가 있는 바, 즉 상기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지지핀이 고정부착된 프레임은 자연히 큰 부피를 차지할 수 밖에 없으므로, 신발장 하나를 분해하여 이송하는 경우에 그 물류비용이 증대됨은 물론 저장공간이 많이 필요하게 되므로, 원가가 상승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신발장의 내부에 신발을 얹어 두기 위한 신발받침판을 지지하는 별도의 지지프레임이 구비되고, 이 지지프레임에 다수개의 신발받침판이 결합된 된 신발장에 있어서, 상기 신발받침판을 지지프레임에 결합시키는 지지핀이 별도의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으면서, 상기 지지핀에 지지프레임이 끼워지는 오목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홈의 양쪽 측벽사이의 간격이 프레임의 폭과 일치하게 되어 있는 한편, 지지핀의 양쪽 선단에 신발받침판을 결합시키는 결합돌기가 각각 구비되어 있고, 상기 지지핀의 몸체 중간에 지지프레임과 나사 결합시키기 위한 관통홈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신발받침판 지지핀 결합구조는, 지지핀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홈을 신발장의 프레임에 끼우면, 상기 오목홈의 측벽이 신발장 프레임에 끼워지워지게 되면서, 이 측벽의 각도에 따라 지지핀에 구비되어 있는 결합돌기의 각도가 조절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지지핀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홈속에 나사를 끼워 조이면, 지지핀이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지 못하도록 고정되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신발받침판 고정용 지지핀은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가 아니면서 그 조립이 용이하므로, 이 지지핀을 프레임에 부착시킨 상태로 이송 및 출하하지 않고 설치현장에서 간단하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전체 부피를 줄일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조립에 필요한 별도의 장비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품이 생산비를 줄일 수가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신발받침판 지지핀 결합구조를 갖춘 신발장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도 1 의 A부분에 대한 확대사시도,
도 3 은 도 2의 분해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신발받침판 지지핀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신발장 2 - 신발받침판
3 - 지지프레임 4 - 지지핀
5 - 스크류 6 - 오목홈
7 - 측벽 8 - 결합돌기
9 - 관통홀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예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면 1 은 본 고안에 따른 신발받침판 지지프레임이 신발장의 내부에 별도로 구비되어 있으면서, 이 프레임에 신발받침판 지지핀이 조립식으로 결합되어 있는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도, 도면 2 는 도면 1의 부분확대 사시도이며, 도면 3은 도면 2 의 상태에서 지지핀을 프레임에 결합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면 4는 본 고안에 따른 지지핀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로서,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신발받침판 지지핀 결합구조는, 신발장(1)의 내부에 신발을 얹어 두기 위한 신발받침판(2)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3)이 구비되어 있고, 이 지지프레임(3)에 상기 신발받침판(2)을 결합시키는 매개체인 지지핀(4)이 스크류(5)를 통하여 결합된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지지프레임(3)은 단면이 사각형인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지지핀(4)은 도면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3)의 바깥쪽으로 끼워지는 소정깊이의 오목홈(6)이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홈(6)의 양쪽 측벽(7)사이의 간격(ℓ)이 지지프레임(3)의 폭과 일치하게 되어 있는 한편, 양쪽 선단에 신발받침판(2)이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돌기(8)가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몸체 중간에 상기 스크류(5)를 끼워 지지프레임(3)에 고정시킬 수 있게 하는 관통홈(9)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핀(4)을 지지프레임(3)에 결합시킬 때 우선 지지핀(4)을 지지프레임(3)의 바깥쪽에 끼우는데, 이때 지지핀(4)의 오목홈(6)을 형성시키는 양쪽 측벽(7)이 지지프레임(3)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렇게 지지핀(4)을 지지프레임(3)에 끼우면 지지핀(4)의 양쪽 측벽(7) 사이의 간격(ℓ)이 지지프레임(3)의 폭과 정확하게 일치하도록 제작되어 있으므로, 지지핀(4)이 지지프레임(3)에 거의 압착된 상태로 끼워지게 된다.
한편, 상기 지지핀(4)은 플라스틱 등의 재료를 사용하여 사출성형하여 제작하는데, 이 지지핀(4)을 사출성형할 때 상기 오목홈(6)을 형성시키는 측벽(7)이 지지핀(4)의 길이방향에 대해 각도를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하거나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게 형성시키므로써, 지지핀(4)이 지지프레임(3)에 결합되는 각도를 변화시킬 수가 있다.
즉, 신발장안에 많은 신발을 저장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상기 신발받침판(3)의 각도를 경사지게 배치하는 구조의 신발장에서, 위쪽의 신발받침판(3)은 경사지게 배치되게 하여도 통상 바닥면이 수평으로 되어 있는 신발장의 구조에서는, 제일 아래쪽의 신발받침판(3)이 수평으로 배치되어야 하므로, 제일 아래쪽의 신발받침판(3)을 지지하는 지지핀(4)도 지지프레임(3)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지지핀(4)의 양쪽 측벽(7)을 지지핀(4)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형성시키면 그 결합방향이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핀(4)의 결합방향을 경사지게 배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양쪽 측벽(7)을 지지핀(4)의 길이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시키면 그 결합방향이 경사지게 되고, 이 지지핀(4)에 결합지지되는 신발받침판(3)도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배열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지지핀(4)을 지지프레임(3)에 끼워 결합시킨 다음, 몸체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구멍(9)을 통하여 스크류(5)를 삽입한 상태에서 조이면, 지지핀(4)이 지지프레임(3)에 밀착하여 달라 붙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지지핀(4)이 지지프레임(3)에 결합된 상태가 도면 1에 도시되어 있는 바, 지지프레임(3)에 결합된 지지핀(4)위에 신발받침판(2)을 올려 결합시키면 조립이 완료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신발받침판(2)위에 신발을 올려 두면, 이 신발의 하중이 지지핀(4)을 통하여 지지프레임(3)으로 전달되는데, 신발받침판(2)과 지지핀(4)사이에는 결합돌기(8)를 통하여 하중이 전달되지만, 지지핀(4)과 지지프레임(3)사이에는 상기 오목홈(6)의 양쪽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측벽(7)과 스크류(5)를 통하여 분산 전달되게 되므로, 지지핀(4)과 지지프레임(3)사이의 지지구조를 튼튼하게 유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싱기 지지핀(4)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홈(6)의 측벽(7)이 항상 일정한 각도로 수직 또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지지핀(4)을 지지프레임(3)에 결합시킬 때 그 결합각도에 별도의 신경을 쓰지 않아도 항상 정확하고 일정한 각도로 결합시킬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신발장의 신발받침판 지지핀 결합구조는, 신발을 얹어 두는 신발받침판(2)을 지지프레임(3)에 결합시키는 지지핀(4)이 지지프레임(3)과 별도의 분리된 부품으로 되어 있으면서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제작과정에서 상기 지지핀(4)을 지지프레임(3)에 일체로 결합시키기 위한 작업과 그에 필요한 지그등의 복잡한 장치가 필요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 유통과정에서 상기 지지프레임(3)의 부피를 줄일 수가 있으므로, 유통에 필요한 제경비를 절감할 수가 있다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지지핀(4)이 지지프레임(3)에 결합된 구조로 되어 있으면서도, 지지핀(4)에 가해지는 하중을 결합스크류(5)와 오목홈(6)의 양쪽 측벽(7)을 통하여 분산 전달할 수 있게 되어 있으므로 튼튼한 지지구조를 만들 수가 있다.
또, 상기 지지핀(4)을 설치현장에서 지지프레임(3)에 간단히 조립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생산공장에서 지지핀(4)을 지지프레임(3)에 미리 조립하기 위한 별도의 조립장치나 지그 등이 필요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지지프레임(3)의 유통부피를 줄일 수가 있으므로 생산비를 낮출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

Claims (1)

  1. 신발장(1)의 내부에 신발을 얹어 두기 위한 신발받침판(2)을 지지하는 별도의 지지프레임(3)이 구비된 신발장에 있어서,
    상기 신발받침판(2)을 지지프레임(3)에 결합시키는 지지핀(4)이 별도의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으면서, 상기 지지핀(4)에 지지프레임(3)이 끼워지는 오목홈(6)이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홈(6)의 양쪽 측벽(7)사이의 간격(ℓ)이 프레임(3)의 폭과 일치하게 되어 있는 한편, 상기 지지핀(4)의 양쪽 선단에 신발받침판(2)을 결합시키는 결합돌기(8)가 각각 구비되어 있고, 상기 지지핀(4)의 몸체 중간에 지지프레임과 나사결합시키기 위한 관통홈(9)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장의 신발받침판 지지구조
KR2020000024220U 2000-08-26 2000-08-26 신발장의 신발받침판 지지핀결합구조 KR2002142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4220U KR200214295Y1 (ko) 2000-08-26 2000-08-26 신발장의 신발받침판 지지핀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4220U KR200214295Y1 (ko) 2000-08-26 2000-08-26 신발장의 신발받침판 지지핀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4295Y1 true KR200214295Y1 (ko) 2001-02-15

Family

ID=73087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4220U KR200214295Y1 (ko) 2000-08-26 2000-08-26 신발장의 신발받침판 지지핀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429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5515B1 (ko) * 2001-06-11 2005-03-10 김지정 신발 보관장치
KR100515223B1 (ko) * 2002-02-15 2005-09-15 주식회사 맥시멈 선반의 설치간격 조절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5515B1 (ko) * 2001-06-11 2005-03-10 김지정 신발 보관장치
KR100515223B1 (ko) * 2002-02-15 2005-09-15 주식회사 맥시멈 선반의 설치간격 조절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94464B2 (en) Assemblable and disassemblable container
KR200214295Y1 (ko) 신발장의 신발받침판 지지핀결합구조
KR200306183Y1 (ko) 통신장비 보관용 캐비닛형 랙의 프레임 연결구조
EP3466839A1 (en) Floating roof for oil tank
KR102247190B1 (ko) 트레이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용 트레이
US20030049347A1 (en) Mold mounting plate of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JPH05192956A (ja) 射出成形機
KR102191400B1 (ko) 폭조절용 카세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용 트레이
JPH11171287A (ja) 大型基板用カセット
JP3673780B2 (ja) ラック用連結部材
KR200170515Y1 (ko) 조립식 공구함
KR101158363B1 (ko) 조립상자 키트
JPH028499Y2 (ko)
KR102627769B1 (ko) 배터리 운반 트레이
KR20200097178A (ko) 높이조절용 카세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용 트레이
CN215477162U (zh) 一种延展箱的支撑结构及延展箱
KR200266538Y1 (ko) 글래스 셀 카세트
KR200380133Y1 (ko) 콘크리트판넬 성형틀
KR102225251B1 (ko) 두께조절용 카세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용 트레이
KR102457488B1 (ko) 함체
CN214357296U (zh) 纸浆模塑包装结构
KR102153503B1 (ko) 금형장치를 이용하는 배전함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도되는 배전함
JP7479752B2 (ja) コンデンサケース及びコンデンサ
RU2324416C2 (ru) Шкаф для ключей
KR200223528Y1 (ko) 팔래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