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3503B1 - 금형장치를 이용하는 배전함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도되는 배전함 - Google Patents

금형장치를 이용하는 배전함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도되는 배전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3503B1
KR102153503B1 KR1020200036703A KR20200036703A KR102153503B1 KR 102153503 B1 KR102153503 B1 KR 102153503B1 KR 1020200036703 A KR1020200036703 A KR 1020200036703A KR 20200036703 A KR20200036703 A KR 20200036703A KR 102153503 B1 KR102153503 B1 KR 102153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partition wall
partition
distribution box
bur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6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근행
Original Assignee
조근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근행 filed Critical 조근행
Priority to KR1020200036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35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3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35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005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parting line of the moul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0061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material feeding chan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0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heating or coo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4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movable, e.g. to or from the moulding s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4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moulding surface, e.g. ribs or groov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4Electrical apparatus, e.g. sparking plug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배전함을 이루는 재료물질이 충진되는 성형홈부, 및 상기 성형홈부 내부로 재료물질을 공급하는 주입관이 연결되는 주입통로를 구비하는 제1금형과, 상기 제1금형과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성형홈부에 주입되는 재료물질이 내측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성형홈부에 삽입되는 복수 개의 돌출블록을 구비하는 제2금형을 결합시키는 단계; (b) 상기 돌출블록 사이의 간격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제2금형에 설치되는 매립격벽과, 상기 매립격벽을 상기 제2금형 외측 또는 내부로 전진 또는 후진시키면서 상기 돌출블록 사이의 간격을 채우거나 비우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와 상기 매립격벽을 연결 또는 분리시키고, 복수 개의 상기 매립격벽을 하나의 상기 구동부에 연결 또는 분리시키는 선택결합부를 구동시킴으로써, 배전함의 구획격벽이 형성되는 공간에는 상기 매립격벽을 배치시키지 않고, 배전함의 구획격벽이 형성되지 않는 공간에는 상기 매립격벽을 배치시키는 단계; (c) 상기 주입관 및 상기 주입통로를 따라 유체의 재료물질을 압송하여 상기 성형홈부 내부에 충진시키고, 상기 제1금형에 구비되는 가열부를 구동시켜 재료물질을 경화시키는 단계; 및 (d) 재료물질이 경화된 후에 상기 제1금형과 상기 제2금형을 분리시킴과 동시에 상기 구획격벽이 배치되는 상기 성형홈부 내측으로 상기 매립격벽을 돌출시키면서 배전함을 이루는 본체케이스로부터 상기 돌출블록을 배출시킬 수 있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단계는, 복수 개의 상기 돌출블록 사이의 간격을 따라 슬라이딩되고, 제1방향으로 배치되어 내부공간을 상부 및 하부로 구획하는 제1격벽; 상기 내부공간 일측에 원형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는 제2격벽; 및 복수 개의 상기 돌출블록의 테두리를 따라 슬라이딩되고, 복수 개의 상기 돌출블록의 외벽에 동시에 접촉되도록 상기 돌출블록의 길이와 비교하여 길게 형성되는 제3격벽을 포함하는 상기 매립격벽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금형장치를 이용하는 배전함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도되는 배전함 {ELECTRONIC DISTRIBUTING BOX MANUFACTURING METHOD USING MOULDING DEVICE AND ELECTRONIC DISTRIBUTING BOX AS INSTITUTIONALIZED BY THIS METHOD OF MANUFACTURE}
본 발명은 금형장치를 이용하는 배전함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도되는 배전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전함의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돌출블록의 형상을 가변시킬 수 있으므로 다양한 모양의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복수 개의 배전함을 하나의 금형장치에 의해 제조할 수 있고, 금형작업이 종료된 후에 돌출블록을 배전함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어 금형 분리작업 중에 발생되는 배전함의 변형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금형장치를 이용하는 배전함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도되는 배전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반(Distributing Board)은 발전소 변전소 등의 운전이나 제어, 전동기의 운전 등을 위해 변압기나 스위치장치 및 기타 안전장치 등의 전기설비가 캐비닛 내부에 일정하게 배치된 것을 말한다.
이러한 배전반은 주로 학교나 빌딩, 아파트단지, 공장 등과 같은 집단 전력수요처에 설치되어 변전소로부터 공급되는 6,600V 이상 22900V의 특고압을 수전하여 380V 또는 220V의 저전압의 상용전압으로 변전하여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배전반 중 캐비닛 역할을 하는 배전함은 다수의 강판들을 소정 크기로 절단하고, 절단된 강판들을 프레스 가공을 통해 성형하며, 성형이 완료된 강판들은 용접작업 후 도장작업을 수행함으로써, 그 생산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배전함은 용접작업에 의해 다수의 강판을 서로 접합하여 생산하는 방식이므로 용접작업의 특성상 상당한 작업시간이 소요되고, 숙련된 용접기술을 필요로 하므로 생산성 저하 및 제조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더욱이 용접이 이루어진 후에는 도장을 위해 용접부분을 매끄럽게 가공하기 위한 공정이 필요한데, 이러한 가공과정으로 인해 분진이 발생되고, 가공이 완료된 부분은 강판의 다른 부분에 비하여 도장의 밀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종래의 배전함은 용접작업을 통해 생산되는 특성상 용접 기술자에 따라 품질의 차이가 발생될 수밖에 없으므로 배전함의 품질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표준화가 곤란하고, 현실적으로 양산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조립식 배전함이 개발되었으며, 종래기술에 따른 조립식 배전함은, 전후 측면에 결합홈들을 갖는 접합부가 형성되고 좌우 측면에 결합돌기들이 형성된 하판과, 측면에 결합홈들을 갖는 접합부가 형성된 좌우 측판과, 일측면에 접합부가 형성되고 나머지 측면에 결합돌기들이 형성된 전후 측판과, 다수의 체결홈을 갖는 상판으로 구성하되, 하판과 전후 좌우 측판의 접합부와 결합돌기들을 절곡선을 따라 절곡하고, 하판의 결합돌기를 대응되는 좌우 측판의 결합홈에 끼워서 조립하고, 전후 측판의 결합돌기들을 대응되는 하판과 좌우 측판의 결합홈에 끼워 조립한 후, 하판과 조립된 전후 좌우 측판의 접합부에 상판을 체결하여서 구성하되, 하판에는 속판이 나사봉에 의해 체결되고, 측판에는 전선 고정홈들을 갖는 전선 고정브라켓들이 체결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27495호(2012년 03월 22일 공고, 발명의 명칭 : 조립식 배전함)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배전함은, 조립작업이 수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배전함을 양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배전함을 양산하기 위해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지는 배전함을 금형작업을 진행하여 제조하는 경우에는 배전함 내부에 구획되는 공간을 다양하게 변경하여 제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배전함의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돌출블록의 형상을 가변시킬 수 있으므로 다양한 모양의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복수 개의 배전함을 하나의 금형장치에 의해 제조할 수 있고, 금형작업이 종료된 후에 돌출블록을 배전함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어 금형 분리작업 중에 발생되는 배전함의 변형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금형장치를 이용하는 배전함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도되는 배전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a) 배전함을 이루는 재료물질이 충진되는 성형홈부, 및 상기 성형홈부 내부로 재료물질을 공급하는 주입관이 연결되는 주입통로를 구비하는 제1금형과, 상기 제1금형과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성형홈부에 주입되는 재료물질이 내측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성형홈부에 삽입되는 복수 개의 돌출블록을 구비하는 제2금형을 결합시키는 단계; (b) 상기 돌출블록 사이의 간격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제2금형에 설치되는 매립격벽과, 상기 매립격벽을 상기 제2금형 외측 또는 내부로 전진 또는 후진시키면서 상기 돌출블록 사이의 간격을 채우거나 비우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와 상기 매립격벽을 연결 또는 분리시키고, 복수 개의 상기 매립격벽을 하나의 상기 구동부에 연결 또는 분리시키는 선택결합부를 구동시킴으로써, 배전함의 구획격벽이 형성되는 공간에는 상기 매립격벽을 배치시키지 않고, 배전함의 구획격벽이 형성되지 않는 공간에는 상기 매립격벽을 배치시키는 단계; (c) 상기 주입관 및 상기 주입통로를 따라 유체의 재료물질을 압송하여 상기 성형홈부 내부에 충진시키고, 상기 제1금형에 구비되는 가열부를 구동시켜 재료물질을 경화시키는 단계; 및 (d) 재료물질이 경화된 후에 상기 제1금형과 상기 제2금형을 분리시킴과 동시에 상기 구획격벽이 배치되는 상기 성형홈부 내측으로 상기 매립격벽을 돌출시키면서 배전함을 이루는 본체케이스로부터 상기 돌출블록을 배출시킬 수 있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단계는, 복수 개의 상기 돌출블록 사이의 간격을 따라 슬라이딩되고, 제1방향으로 배치되어 내부공간을 상부 및 하부로 구획하는 제1격벽; 상기 내부공간 일측에 원형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는 제2격벽; 및 복수 개의 상기 돌출블록의 테두리를 따라 슬라이딩되고, 복수 개의 상기 돌출블록의 외벽에 동시에 접촉되도록 상기 돌출블록의 길이와 비교하여 길게 형성되는 제3격벽을 포함하는 상기 매립격벽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구동부는, 상기 선택결합부에 의해 복수 개의 상기 제1격벽 또는 상기 제2격벽이 동시에 연결, 분리 또는 선택적으로 연결되고, 복수 개의 상기 제1격벽 및 상기 제2격벽 중에 어느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상기 제1격벽 또는 상기 제2격벽을 상기 돌출블록 사이의 간격을 따라 슬리딩시키는 제1실린더; 및 상기 선택결합부에 의해 복수 개의 상기 제1격벽 내지 상기 제3격벽이 동시에 연결, 분리 또는 선택적으로 연결되고, 복수 개의 상기 제1격벽 내지 상기 제3격벽 중에 어느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상기 제1격벽 내지 상기 제3격벽을 상기 돌출블록 사이의 간격을 따라 슬라이딩시키는 제2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배전함을 이루는 재료물질이 충진되는 성형홈부, 및 상기 성형홈부 내부로 재료물질을 공급하는 주입관이 연결되는 주입통로를 구비하는 제1금형과, 상기 제1금형과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성형홈부에 주입되는 재료물질이 내측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성형홈부에 삽입되는 복수 개의 돌출블록을 구비하는 제2금형을 결합시키는 단계; (b) 상기 돌출블록 사이의 간격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제2금형에 설치되는 매립격벽과, 상기 매립격벽을 상기 제2금형 외측 또는 내부로 전진 또는 후진시키면서 상기 돌출블록 사이의 간격을 채우거나 비우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와 상기 매립격벽을 연결 또는 분리시키고, 복수 개의 상기 매립격벽을 하나의 상기 구동부에 연결 또는 분리시키는 선택결합부를 구동시킴으로써, 배전함의 구획격벽이 형성되는 공간에는 상기 매립격벽을 배치시키지 않고, 배전함의 구획격벽이 형성되지 않는 공간에는 상기 매립격벽을 배치시키는 단계; (c) 상기 주입관 및 상기 주입통로를 따라 유체의 재료물질을 압송하여 상기 성형홈부 내부에 충진시키고, 상기 제1금형에 구비되는 가열부를 구동시켜 재료물질을 경화시키는 단계; 및 (d) 재료물질이 경화된 후에 상기 제1금형과 상기 제2금형을 분리시킴과 동시에 상기 구획격벽이 배치되는 상기 성형홈부 내측으로 상기 매립격벽을 돌출시키면서 배전함을 이루는 본체케이스로부터 상기 돌출블록을 배출시킬 수 있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단계는, 복수 개의 상기 돌출블록 사이의 간격을 따라 슬라이딩되고, 제1방향으로 배치되어 내부공간을 상부 및 하부로 구획하는 제1격벽; 상기 내부공간 일측에 원형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는 제2격벽; 및 복수 개의 상기 돌출블록의 테두리를 따라 슬라이딩되고, 복수 개의 상기 돌출블록의 외벽에 동시에 접촉되도록 상기 돌출블록의 길이와 비교하여 길게 형성되는 제3격벽을 포함하는 상기 매립격벽에 의해 이루어지는 금형장치를 이용하는 배전함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금형장치를 이용하는 배전함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도되는 배전함은, 제1금형의 성형홈부에 삽입되는 복수 개의 돌출블록이 제2금형에 설치되고, 복수 개의 돌출블록 사이의 간격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복수 개의 매립격벽이 설치되므로 매립격벽을 제2금형 내부로 삽입시키거나 돌출시키면서 배전함 내부의 수납공간부 형상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형상의 배전함을 하나의 금형으로 제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금형장치를 이용하는 배전함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도되는 배전함은, 복수 개의 돌출블록 사이의 간격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복수 개의 매립격벽을 동시에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구동부가 구비되고, 구동부와 각각의 매립격벽을 연결 또는 분리시키는 선택결합부가 구비되므로 하나의 구동부를 구동시켜 복수 개의 매립격벽을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다양한 모양의 배전함을 제조할 수 있는 금형장치를 제작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금형장치를 이용하는 배전함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도되는 배전함은, 매립격벽이 제2금형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돌출블록 사이의 간격으로 사출재가 주입되어 경화되면서 배전함을 성형한 후에 매립격벽을 배전함 측으로 돌출시키면서 제1금형과 제2금형을 분리시키므로 돌출블록 사이에 개재되어 성형되는 배전함이 돌출블록 외측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어 금형 분리작업 중에 발생되는 배전함의 변형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함 제조용 금형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함 제조용 금형장치의 제2금형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함 제조용 금형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함 제조용 금형장치의 선택결합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함 제조용 금형장치의 돌출블록, 지지블록 및 선택결합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함 제조용 금형장치에 선택결합부가 도시된 평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금형장치를 이용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배전함의 일 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금형장치를 이용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배전함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금형장치를 이용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배전함이 도시된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전함 제조용 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배전함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함 제조용 금형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함 제조용 금형장치의 제2금형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함 제조용 금형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함 제조용 금형장치의 선택결합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함 제조용 금형장치의 돌출블록, 지지블록 및 선택결합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함 제조용 금형장치에 선택결합부가 도시된 평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금형장치를 이용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배전함의 일 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금형장치를 이용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배전함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금형장치를 이용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배전함이 도시된 사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함 제조용 금형장치는, 배전함을 이루는 재료물질이 충진되는 성형홈부(12), 및 성형홈부(12) 내부로 재료물질을 공급하는 주입관(16)이 연결되는 주입통로(14)를 구비하는 제1금형(10)과, 제1금형(10)과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배치되고, 성형홈부(12)에 주입되는 재료물질이 내측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도록 성형홈부(12)에 삽입되는 복수 개의 돌출블록(32)을 구비하는 제2금형(30)과, 돌출블록(32) 사이의 간격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제2금형(30)에 설치되는 매립격벽(34)과, 매립격벽(34)을 제2금형(30) 외측 또는 내부로 전진 또는 후진시키면서 돌출블록(32) 사이의 간격을 채우거나 비우는 구동부(36)와, 구동부(36)와 매립격벽(34)을 연결 또는 분리시키고, 복수 개의 매립격벽(34)을 하나의 구동부(36)에 연결 또는 분리시키는 선택결합부(50)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1금형(10)과 제2금형(30)을 결합시키면 성형홈부(12) 내부에 다수 개의 돌출블록(32)이 연속되게 배치되고, 돌출블록(32)의 외측벽과 성형홈부(12) 내벽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며, 돌출블록(32)들 사이에 간격이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금형(10)과 제2금형(30)이 결합된 후에 주입관(16) 및 주입통로(14)를 따라 액상의 재료물질이 성형홈부(12) 내부에 충진되면 다수 개의 돌출블록(32)들 사이의 간격과 돌출블록(32)과 성형홈부(12) 사이에 재료물질이 충진되면서 다수 개의 구획격벽(84)에 의해 다수 개의 수납부(82)가 구비되는 본체케이스(80)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돌출블록(32)은 제2금형(30)의 저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므로 제1금형(10)과 제2금형(30)을 결합시키면 제2금형(30)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블록(32)이 성형홈부(12) 내부에 삽입되어 재료물질이 충진되지 않는 구역을 제공하게 되고, 성형홈부(12) 내부로 충진되는 재료물질은 성형홈부(12) 내벽과 돌출블록(32) 외벽 사이의 공간에 충진되어 배전함의 본체케이스(80)를 이루게 된다.
본체케이스(80)의 내부에는 다수 개의 수납부(82)가 구비되어 다양한 지지패널과 단자부를 이루는 커넥터 등이 수납되는데, 본 실시예의 돌출블록(32)은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되므로 성형홈부(12) 내부에 재료물질이 충진될 때에 돌출블록(32)들 사이의 간격으로 재료물질이 충진되어 본체케이스(80) 내부를 구획하는 구획격벽(84)을 이루게 된다.
본 실시예의 매립격벽(34)은, 복수 개의 돌출블록(32) 사이의 간격을 따라 슬라이딩되고, 제1방향으로 복수 개가 연속되게 배치되어 1열을 이루고,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복수 열을 이루는 제1격벽(34a)과, 복수 개의 돌출블록(32) 사이의 간격을 따라 슬라이딩되고, 제2방향으로 복수 개가 연속되게 배치되어 1열을 이루고,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복수 열을 이루며, 제1격벽(34a)과 수직을 이루며 배치되는 제2격벽(34b)과, 복수 개의 돌출블록(32)의 테두리를 따라 슬라이딩되고, 복수 개의 돌출블록(32)의 외벽에 동시에 접촉되도록 돌출블록(32)의 길이와 비교하여 길게 형성되는 제3격벽(34c)과, 내부공간 일측에 원형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는 제4격벽(34d)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9개의 돌출블록(32)이 설치되는데, 3개의 돌출블록(32)이 1열을 이루고, 3열의 돌출블록(32)이 설치되어 직사각 모양으로 배치되며, 각각의 돌출블록(32)들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이 형성되고, 돌출블록(32)들 일측에 원통 모양의 원형블록(31)이 구비되어 배전함 일측에 원형의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돌출블록(32)과 성형홈부(12) 사이의 간격으로 충진되는 재료물질은 경화되어 본체케이스(80)의 외벽을 형성하고, 돌출블록(32)들 사이의 간격으로 충진되는 재료물질은 경화되어 본체케이스(80) 내부에 구비되는 구획격벽(84)을 이루게 되어 본체케이스(80) 내부에는 다수 개의 수납부(82)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는 구동부(36)의 작동에 의해 다수 개의 매립격벽(34) 중에 어느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매립격벽(34)을 제2금형(30) 내부로 삽입시켜 모든 돌출블록(32)들 사이의 간격에 재료물질이 충진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매립격벽(34)을 돌출블록(32) 사이의 간격으로 개재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체케이스(80) 내부공간이 최대 9개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고,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본체케이스의 내부공간이 1개의 공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구동부(36)는, 선택결합부(50)에 의해 복수 개의 제1격벽(34a) 또는 제2격벽(34b)이 동시에 연결, 분리 또는 선택적으로 연결되고, 복수 개의 제1격벽(34a) 및 제2격벽(34b) 중에 어느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제1격벽(34a) 또는 제2격벽(34b)을 돌출블록(32) 사이의 간격을 따라 슬리딩시키는 제1실린더(36a)와, 선택결합부(50)에 의해 복수 개의 제1격벽(34a) 내지 제3격벽(34c)이 동시에 연결, 분리 또는 선택적으로 연결되고, 복수 개의 제1격벽(34a) 내지 제3격벽(34c) 중에 어느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제1격벽(34a) 내지 제3격벽(34c)을 돌출블록(32) 사이의 간격을 따라 슬라이딩시키는 제2실린더(36b)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제1격벽(34a)은 돌출블록(32)들 사이에 6개가 개재되고, 제2격벽(34b)은 돌출블록(32)들 사이에 6개가 개재되며, 제1격벽(34a)과 제2격벽(34b)이 서로 교차되면서 격자모양으로 형성하게 되고, 제3격벽(34c)은 3개의 제1격벽(34a) 또는 3개의 제2격벽(34b)을 연결한 길이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길이로 형성되어 돌출블록(32)의 외곽 테두리에 설치되고, 제3격벽(34c) 외부에 제4격벽(34b)이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매립격벽(34)은 총 17개가 설치되고, 하나의 격벽마다 각각 별도의 구동부(36)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금형장치의 설계가 복잡해지므로 금형장치의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기 어렵게 된다.
본 실시예의 매립격벽(34)은 4개 또는 3개의 매립격벽(34)이 선택결합부(50)에 의해 하나의 구동부(36)에 설치되므로 하나의 구동부(36)를 구동시켜 1개 내지 4개의 매립격벽(34)을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금형장치의 설계가 간소화되고, 구동부(36)의 개수가 감소되어 금형장치를 제작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선택결합부(50)는, 돌출블록(32) 4개의 측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4개의 매립격벽(34)과 연결될 수 있도록 4개의 단부를 구비하고, 돌출블록(32) 내측에 구비되는 공간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십자연결대(52)와, 십자연결대(52)의 단부에 대향되도록 매립격벽(34)에 형성되는 연결홈부(54)와, 십자연결대(52)의 단부에 설치되고, 출몰되는 로드가 연결홈부(54)에 삽입되어 십자연결대(52)와 매립격벽(34)을 결합시키는 연결실린더(56)를 포함한다.
돌출블록(32)은 제2금형(30) 저면에 구비되는 지지블록(70)에 연결부(38)에 의해 결합되고, 지지블록(70)은 제2금형(30)의 저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홈부 내부에 각각의 돌출블록(32)에 대향되는 지지블록(70)이 체결부(74)에 의해 설치된다.
지지블록(70)의 내측 단부는 제2금형(30)의 내부에 형성되는 4개의 간격블록(72)과 결합되고, 4개의 간격블록(72) 사이에는 서로 간격이 형성되어 십자연결대(52)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십자 모양의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연결부(38)는, 돌출블록(32)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돌출부재(38a)와, 제1돌출부재(38a)가 압입되도록 지지블록(70)의 저면에 형성되는 제1압입홈부(38b)를 포함한다.
체결부(74)는, 지지블록(7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4개의 제2돌출부재(74a)와, 제2돌출부재(74a)가 압입되도록 4개의 간격블록(72) 저면에 형성되는 제2압입홈부(74b)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2금형(30) 저면에 상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홈부 내부가 2개의 구역으로 구분되고, 2개의 구역 중에 4개의 모서리에 배치되는 구역과, 중앙부 구역에 각각 2개의 간격블록(72)이 형성되고, 2개의 간격블록(72)에는 십자연결대(52)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십자형 공간이 형성된다.
제2금형(30) 내부에 중앙부 구역에는 제1실린더(36a)의 로드가 삽입되어 십자연결대(52)의 중앙부에 연결되고, 모서리 구역에는 제2실린더(36b)의 로드가 삽입되어 십자연결대(52) 중앙부에 연결되며, 각각의 십자연결대(52) 단부에는 각각 연결실린더(56)가 설치되어 연결실린더(56)로부터 로드가 돌출되어 매립격벽(34)의 연결홈부(54)에 삽입되면 십자연결대(52)와 매립격벽(34)이 일체로 연결되어 제1실린더(36a) 또는 제2실린더(36b)로부터 로드가 돌출될 때에 십자연결대(52)와 매립격벽(34)이 동시에 슬라이딩되면서 돌출블록(32) 사이의 간격을 따라 매립격벽(34)이 슬라이딩되면서 출몰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1개의 제1실린더(36a)와, 4개의 제2실린더(36b)의 작동에 의해 16개의 매립격벽(34)이 선택적으로 출몰되는 작동이 이루어지므로 16개의 매립격벽(34) 마다 별도의 실린더가 설치되는 것과 비교하여 실린더의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되고, 금형장치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제4격벽(34d)을 출몰시키기 위한 제3실린더가 별도로 설치되고, 본체케이스(10) 일측에 원형의 공간을 성형하여 본체케이스(10)를 개폐토록 하는 커버가 설치될 때에는 커버의 잠금부와 연결되는 잠금블록(86)을 성형할 수 있도록 제4격벽(34d)을 제2금형(30) 내부로 삽입한 상태에서 금형작업을 진행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함 제조용 금형장치를 이용하는 배전함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함 제조용 금형장치를 이용하는 배전함 제조방법은, 배전함을 이루는 재료물질이 충진되는 성형홈부(12), 및 성형홈부(12) 내부로 재료물질을 공급하는 주입관(16)이 연결되는 주입통로(14)를 구비하는 제1금형(10)과, 제1금형(10)과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배치되고, 성형홈부(12)에 주입되는 재료물질이 내측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도록 성형홈부(12)에 삽입되는 복수 개의 돌출블록(32)을 구비하는 제2금형(30)을 결합시키는 단계와, 돌출블록(32) 사이의 간격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제2금형(30)에 설치되는 매립격벽(34), 및 매립격벽(34)을 제2금형(30) 외측 또는 내부로 전진 또는 후진시키면서 돌출블록(32) 사이의 간격을 채우거나 비우는 구동부(36)와, 구동부(36)와 매립격벽(34)을 연결 또는 분리시키고, 복수 개의 매립격벽(34)을 하나의 구동부(36)에 연결 또는 분리시키는 선택결합부(50)를 구동시킴으로써, 배전함의 구획격벽(84)이 형성되는 공간에는 매립격벽(34)을 배치시키지 않고, 배전함의 구획격벽(84)이 형성되지 않는 공간에는 매립격벽(34)을 배치시키는 단계와, 주입관(16) 및 주입통로(14)를 따라 유체의 재료물질을 압송하여 성형홈부(12) 내부에 충진시키고, 제1금형(10)에 구비되는 가열부를 구동시켜 재료물질을 경화시키는 단계와, 재료물질이 경화된 후에 제1금형(10)과 제2금형(30)을 분리시킴과 동시에 구획격벽(84)이 배치되는 성형홈부(12) 내측으로 매립격벽(34)을 돌출시키면서 배전함을 이루는 본체케이스(80)로부터 돌출블록(32)을 배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제1금형(10)과 제2금형(30)을 결합하여 성형홈부(12) 내부에 돌출블록(32)을 삽입하고, 설계자의 의도에 맞는 구획격벽(84)을 성형하기 위해 구획격벽(84)이 구비되지 않는 돌출블록(32) 사이의 간격에 매립격벽(34)을 삽입하도록 해당 연결실린더(56)를 구동시켜 십자연결대(52)와 매립격벽(34)을 연결하고, 제1실린더(36a) 또는 제2실린더(36b)를 구동시켜 십자연결대(52) 및 매립격벽(34)을 지지블록(70) 외측으로 돌출시키면 매립격벽(34)이 돌출블록(32) 사이의 간격 또는 돌출블록(32)과 성형홈부(12) 사이의 간격에 개재되어 재료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돌출블록(32) 및 매립격벽(34)의 배치를 완료한 후에 주입관(16) 및 주입통로(14)를 통해 재료물질을 성형홈부(12) 내부로 공급하면 돌출블록(32)과 성형홈부(12) 사이의 간격과, 돌출블록(32)들 사이의 간격으로 재료물질이 충진되고, 제1금형(10) 및 제2금형(30)에 구비되는 가열부의 작동에 의해 재료물질이 가열되면서 경화되어 다수 개의 수납부(82)를 구비하는 본체케이스(80)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수 개의 매립격벽(34)을 선택적으로 출몰시키면서 본체케이스(80) 내부에 구비되는 구획격벽(84)의 개수 및 형상을 가변시킬 수 있으므로 하나의 금형장치로 도 7에 도시된 배전함 또는 및 도 8에 도시된 구획격벽(84), 잠금블록(86) 및 제2격벽(88)을 구비하는 배전함과 같은 다양한 모양의 배전함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배전함의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돌출블록의 형상을 가변시킬 수 있으므로 다양한 모양의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복수 개의 배전함을 하나의 금형장치에 의해 제조할 수 있고, 금형작업이 종료된 후에 돌출블록을 배전함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어 금형 분리작업 중에 발생되는 배전함의 변형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금형장치를 이용하는 배전함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도되는 배전함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배전함 제조용 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배전함 제조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배전함 제조용 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배전함 제조방법이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제조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제1금형 12 : 성형홈부
14 : 주입통로 16 : 주입관
30 : 제2금형 32 : 돌출블록
34 : 매립격벽 34a : 제1격벽
34b : 제2격벽 34c : 제3격벽
36 : 구동부 36a : 제1실린더
36b : 제2실린더 38 : 연결부
38a : 제1돌출부재 38b : 제1압입홈부
50 : 선택결합부 52 : 십자연결대
54 : 연결홈부 56 : 연결실린더
70 : 지지블록 72 : 간격블록
74 : 체결부 74a : 제2돌출부재
74b : 제2압입홈부 80 : 본체케이스
82 : 수납부 84 : 구획격벽

Claims (3)

  1. (a) 배전함을 이루는 재료물질이 충진되는 성형홈부, 및 상기 성형홈부 내부로 재료물질을 공급하는 주입관이 연결되는 주입통로를 구비하는 제1금형과, 상기 제1금형과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성형홈부에 주입되는 재료물질이 내측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성형홈부에 삽입되는 복수 개의 돌출블록을 구비하는 제2금형을 결합시키는 단계;
    (b) 상기 돌출블록 사이의 간격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제2금형에 설치되는 매립격벽과, 상기 매립격벽을 상기 제2금형 외측 또는 내부로 전진 또는 후진시키면서 상기 돌출블록 사이의 간격을 채우거나 비우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와 상기 매립격벽을 연결 또는 분리시키고, 복수 개의 상기 매립격벽을 하나의 상기 구동부에 연결 또는 분리시키는 선택결합부를 구동시킴으로써,
    배전함의 구획격벽이 형성되는 공간에는 상기 매립격벽을 배치시키지 않고, 배전함의 구획격벽이 형성되지 않는 공간에는 상기 매립격벽을 배치시키는 단계;
    (c) 상기 주입관 및 상기 주입통로를 따라 유체의 재료물질을 압송하여 상기 성형홈부 내부에 충진시키고, 상기 제1금형에 구비되는 가열부를 구동시켜 재료물질을 경화시키는 단계; 및
    (d) 재료물질이 경화된 후에 상기 제1금형과 상기 제2금형을 분리시킴과 동시에 상기 구획격벽이 배치되는 상기 성형홈부 내측으로 상기 매립격벽을 돌출시키면서 배전함을 이루는 본체케이스로부터 상기 돌출블록을 배출시킬 수 있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단계는,
    복수 개의 상기 돌출블록 사이의 간격을 따라 슬라이딩되고, 제1방향으로 배치되어 내부공간을 상부 및 하부로 구획하는 제1격벽;
    상기 내부공간 일측에 원형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는 제2격벽; 및
    복수 개의 상기 돌출블록의 테두리를 따라 슬라이딩되고, 복수 개의 상기 돌출블록의 외벽에 동시에 접촉되도록 상기 돌출블록의 길이와 비교하여 길게 형성되는 제3격벽을 포함하는 상기 매립격벽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장치를 이용하는 배전함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선택결합부에 의해 복수 개의 상기 제1격벽 또는 상기 제2격벽이 동시에 연결, 분리 또는 선택적으로 연결되고, 복수 개의 상기 제1격벽 및 상기 제2격벽 중에 어느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상기 제1격벽 또는 상기 제2격벽을 상기 돌출블록 사이의 간격을 따라 슬리딩시키는 제1실린더; 및
    상기 선택결합부에 의해 복수 개의 상기 제1격벽 내지 상기 제3격벽이 동시에 연결, 분리 또는 선택적으로 연결되고, 복수 개의 상기 제1격벽 내지 상기 제3격벽 중에 어느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상기 제1격벽 내지 상기 제3격벽을 상기 돌출블록 사이의 간격을 따라 슬라이딩시키는 제2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장치를 이용하는 배전함 제조방법.
  3. (a) 배전함을 이루는 재료물질이 충진되는 성형홈부, 및 상기 성형홈부 내부로 재료물질을 공급하는 주입관이 연결되는 주입통로를 구비하는 제1금형과, 상기 제1금형과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성형홈부에 주입되는 재료물질이 내측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성형홈부에 삽입되는 복수 개의 돌출블록을 구비하는 제2금형을 결합시키는 단계;
    (b) 상기 돌출블록 사이의 간격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제2금형에 설치되는 매립격벽과, 상기 매립격벽을 상기 제2금형 외측 또는 내부로 전진 또는 후진시키면서 상기 돌출블록 사이의 간격을 채우거나 비우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와 상기 매립격벽을 연결 또는 분리시키고, 복수 개의 상기 매립격벽을 하나의 상기 구동부에 연결 또는 분리시키는 선택결합부를 구동시킴으로써,
    배전함의 구획격벽이 형성되는 공간에는 상기 매립격벽을 배치시키지 않고, 배전함의 구획격벽이 형성되지 않는 공간에는 상기 매립격벽을 배치시키는 단계;
    (c) 상기 주입관 및 상기 주입통로를 따라 유체의 재료물질을 압송하여 상기 성형홈부 내부에 충진시키고, 상기 제1금형에 구비되는 가열부를 구동시켜 재료물질을 경화시키는 단계; 및
    (d) 재료물질이 경화된 후에 상기 제1금형과 상기 제2금형을 분리시킴과 동시에 상기 구획격벽이 배치되는 상기 성형홈부 내측으로 상기 매립격벽을 돌출시키면서 배전함을 이루는 본체케이스로부터 상기 돌출블록을 배출시킬 수 있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단계는,
    복수 개의 상기 돌출블록 사이의 간격을 따라 슬라이딩되고, 제1방향으로 배치되어 내부공간을 상부 및 하부로 구획하는 제1격벽;
    상기 내부공간 일측에 원형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는 제2격벽; 및
    복수 개의 상기 돌출블록의 테두리를 따라 슬라이딩되고, 복수 개의 상기 돌출블록의 외벽에 동시에 접촉되도록 상기 돌출블록의 길이와 비교하여 길게 형성되는 제3격벽을 포함하는 상기 매립격벽에 의해 이루어지는 금형장치를 이용하는 배전함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함.
KR1020200036703A 2020-03-26 2020-03-26 금형장치를 이용하는 배전함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도되는 배전함 KR102153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703A KR102153503B1 (ko) 2020-03-26 2020-03-26 금형장치를 이용하는 배전함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도되는 배전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703A KR102153503B1 (ko) 2020-03-26 2020-03-26 금형장치를 이용하는 배전함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도되는 배전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3503B1 true KR102153503B1 (ko) 2020-09-10

Family

ID=72469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6703A KR102153503B1 (ko) 2020-03-26 2020-03-26 금형장치를 이용하는 배전함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도되는 배전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350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4876A (ja) * 1991-12-03 1993-06-22 Mitsubishi Materials Corp ケース成形用金型装置
JPH08337235A (ja) * 1995-06-14 1996-12-24 Gifu Plast Ind Co Ltd 合成樹脂製容器
JP2000301583A (ja) * 1999-04-19 2000-10-31 Mitsui Chemicals Inc 形状の複雑な部材を精密に射出圧縮成形する方法及びこれを実施するための射出圧縮成形装置
JP2009090488A (ja) * 2007-10-04 2009-04-30 Panasonic Corp 断熱箱体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2015127130A (ja) * 2013-12-27 2015-07-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断熱箱体の製造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4876A (ja) * 1991-12-03 1993-06-22 Mitsubishi Materials Corp ケース成形用金型装置
JPH08337235A (ja) * 1995-06-14 1996-12-24 Gifu Plast Ind Co Ltd 合成樹脂製容器
JP2000301583A (ja) * 1999-04-19 2000-10-31 Mitsui Chemicals Inc 形状の複雑な部材を精密に射出圧縮成形する方法及びこれを実施するための射出圧縮成形装置
JP2009090488A (ja) * 2007-10-04 2009-04-30 Panasonic Corp 断熱箱体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2015127130A (ja) * 2013-12-27 2015-07-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断熱箱体の製造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168613A (en) Insulated wiring box made of selectively useable molded sections of thermoplastic material united by solvent welding to form a unitary box
US3476852A (en) Method of molding thermoplastic articles
US5396750A (en) Modular building panel
CA2819339C (en) Mold for the production of molded concrete blocks
KR102153503B1 (ko) 금형장치를 이용하는 배전함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도되는 배전함
KR101830349B1 (ko) 건축물의 구조부재 성형을 위한 가변형 보충 거푸집
CN211037223U (zh) 一种整体卫生间防水底盘的加固装配结构
EP0819046A4 (en) MEANS AND METHOD FOR PRODUCING BUILDING BOARDS
CN110725388A (zh) 一种整体卫生间防水底盘的加固装配结构
JP2000094479A (ja) 射出成形金型及び射出成形方法
EP0019336A1 (en) Plastics crate or tray comprising injection moulding points, method and mould for manufacturing such a crate or tray
DE102015113907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Betonformteilen
US4011703A (en) Building element for making insulating panels and panels assembled therefrom
CN218828845U (zh) 一种磁悬浮门机用的挡线装置及轨道
CN113955275B (zh) 一种组合托盘
KR102530721B1 (ko) 절연 스페이서들을 제조하는 부품 및 방법
CN220701780U (zh) 一种具有分隔结构的物流管理箱
EP0390702B1 (en) Mold panel unit and spring-water processing structure using mold panel units
CN216612142U (zh) 发泡箱
CN216402149U (zh) 一种用于组合托盘的转角件
KR101434505B1 (ko) 발포체 성형장치의 캐비티 금형 프레임 및 그 제조방법
CN217860930U (zh) 一种产品快速组装治具
CN109610709B (zh) 一种新型分体式eps空腔模块
KR102539544B1 (ko) 인슐레이터 사출 금형
CN213462594U (zh) 导航仪中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