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0349B1 - 건축물의 구조부재 성형을 위한 가변형 보충 거푸집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구조부재 성형을 위한 가변형 보충 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0349B1
KR101830349B1 KR1020170048370A KR20170048370A KR101830349B1 KR 101830349 B1 KR101830349 B1 KR 101830349B1 KR 1020170048370 A KR1020170048370 A KR 1020170048370A KR 20170048370 A KR20170048370 A KR 20170048370A KR 101830349 B1 KR101830349 B1 KR 1018303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er
stator
wall
mold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8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종락
백동주
정우진
조성태
류화성
김득모
신상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우씨앤에스
(주)한양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우씨앤에스, (주)한양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우씨앤에스
Priority to KR1020170048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03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0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03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체성형을 위한 벽체 거푸집 가설에서 규격화된 기성품의 벽체 거푸집만으로는 마무리가 미흡한 부분, 즉 자투리 부분을 메꾸기 위해 암ㆍ수형의 고정자와 가동자로 결합되어 서랍식으로 들락날락하면서 그 길이가 자유로이 조절 설치되는 건축물의 벽체성형을 위한 보충 거푸집으로서, 고정자와 가동자 각기는 면판과 채널형의 측면으로 이룬 것과, 가동자의 길이방향 내측 단부에서 설치되는 지지대와, 이 지지대에 턱걸림방식으로 설치되는 브래킷 및 브래킷에 얹혀 고정자와 가동자의 측면에 덧대어 콘크리트 타설에서의 측압에 대응하는 보강목을 포함하여서, 제품의 내구성을 높이고 시공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Description

건축물의 구조부재 성형을 위한 가변형 보충 거푸집{variable type mold panel for sleeve forming of building}
본 발명은 콘크리트를 부어 넣고 양생하여 축조되는 건축물의 벽체 또는 슬래브 등의 구조부재 성형을 위한 거푸집의 가설에서 자투리 부분을 마감하는 건축물의 구조부재 성형을 위한 가변형 보충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를 부어 넣고 양생하여 축조되는 건축물은, 대략 건축물의 설계에 따라 단위판재들이 조립되어 이룬 거푸집을 가설하고, 그 가설된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충전한 후 일정시간 양생하여 소기의 건축물이 축조된다. 여기서, 거푸집은 규격화로 이루는 공용의 기성품이 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거푸집을 이용하여 다층 축조되는 건축물의 수평 또는 수직 구조부재들 중에 그 일례로, 수직 구조부재인 벽체들은 내력벽 또는 비내력벽을 들을 수 있다.
이러한 벽체들은 건축물 내에서의 공간 구획을 위해 가로 또는 세로벽체들이 상호 교차방향으로 설치되고 있는 것으로, 그러한 벽체들의 성형은 대략 단위판재들이 연이어 조립되어 이룬 벽체 거푸집을 가설한 후, 그 가설된 거푸집에 콘크리트가 충전되어 소정시간 양생하는 것으로 이루게 된다.
이렇게 축조되는 건축물에서의 벽체들은 그 폭이 다양하게 설계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다양한 폭의 벽체들로 이루는 건축물들의 축조 시 일정크기로 제작되어 보급되는 기성품의 벽체 거푸집만으로는 미흡하여 현장에서는 그 건축물 설계에 따른 다양한 폭의 미흡 부분, 즉 자투리 부분을 채우는 보충재가 임의로 제작되어 기성품의 벽체 거푸집에 부가적으로 연이어 설치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렇게 벽체 거푸집에서의 미흡 부분 처리를 위해 설치되는 다양한 폭이 요구되는 보충재의 현장제작은, 그 미흡 부분 간극에 따른 다양한 길이의 보충재들을 각기 제작시키어야 하므로 많은 수공과 시간이 요구되어 작업성 저하와 시공성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따르고 있다.
그리하여 근래에 와서는 현장 제작되는 보충재를 대체하는 가변형의 거푸집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그러한 가변형의 거푸집은 일반적인 거푸집과 같이 벽체의 면을 성형시키게 하는 장방형의 판재로 이루는 면판과, 이 면판의 둘레 수직방향에서 낮은 높이로 설치되는 측면들로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되는 가변형의 보충 거푸집은 그 몸체가 2부분으로 나누어 고정자와, 이 고정자 둘레 길이방향에서 상호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들 내측을 타고 결합을 이루어 서랍방식으로 들락날락하면서 그 거푸집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가동자로 이루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가변형의 보충 거푸집에서 고정자와 가동자의 결합은 상기에서와같이 고정 또는 가동자 각기의 둘레에 구비되는 측면들 길이방향에서의 상호 평면접촉으로만 이루고 있는 것으로, 그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두께방향에서의 강도는 구조적으로 비교적 약하고, 따라서 콘크리트의 타설 시 발생하는 측압에 의한 휨이 일어나는 등 구조적으로 취약한 문제가 따르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제품의 내구성이 저조함은 물론, 양생되는 벽체의 면이 평활하지 못하고 배부른 부분이 발생하는 등 시공성에 많은 문제가 있다.
그리하여 근래에 와서는 가변형의 보충 거푸집 두께방향에서의 강도를 높이어 콘크리트 타설 시에서의 측압에 대응하는 내력을 갖게 하는 가변형 거푸집의 구조혁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769044호
본 발명은 상기에서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보충 거푸집의 고정ㆍ가동자 각기의 몸체를 일체로 단일화하고, 측면을 채널형으로 이루어 보충 거푸집의 자체 강도보강과 결합강도를 높이게 함으로서,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킨 건축물의 구조부재 성형을 위한 가변형 보충 거푸집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정ㆍ가동자들에 걸쳐 보강목을 덧대어 보충 거푸집의 내력을 높임으로써, 콘크리트 충전에서의 측압으로 인한 배부른 현상을 방지하고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축물의 구조부재 성형을 위한 가변형 보충 거푸집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물의 구조부재 성형을 위한 벽체 거푸집 가설에서 규격화된 기성품의 벽체 거푸집만으로는 마무리가 미흡한 자투리 부분을 메꾸기 위해 암ㆍ수형의 고정자와 가동자로 결합되어 서랍식으로 들락날락하면서 그 길이가 자유로이 조절 설치되는 건축물의 벽체성형을 위한 가변형 보충 거푸집으로서, 가동자의 길이방향 내측 단부에서 설치되는 지지대와, 지지대에 턱걸림방식으로 설치되는 브래킷 및 브래킷에 얹혀 고정자와 가동자의 측면에 덧대어 콘크리트 타설에서의 측압에 대응하는 보강목과, 고정자와 가동자 각기는 면판과 채널형의 측면으로 구비되어 내구성과 시공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구조부재 성형을 위한 가변형 보충 거푸집은, 고정자와 가동자 각기의 자체강도와 결합강도를 높이어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동시, 측압으로 인한 벽체의 배부른 현상을 완전 방지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건축물의 구조부재 성형을 위한 가변형 보충 거푸집이 적용되어 축조되는 모습을 보여 주는 건축물의 수직 구조부재인 벽체 평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건축물의 구조부재 성형을 위한 가변형 보충 거푸집을 보여 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건축물의 구조부재 성형을 위한 가변형 보충 거푸집 구성을 보여 주는 정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부분을 따라 절단하여 보여 주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건축물의 구조부재 성형을 위한 가변형 거푸집에 적용되는 가동자 또는 고정자의 동체를 보여 주는 사시도.
도 6의 (a)(b)는 본 발명 건축물의 구조부재 성형을 위한 가변형 보충 거푸집의 길이가 신장 또는 수축 조절되는 모습을 보여 주는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 건축물의 구조부재 성형을 위한 가변형 보충 거푸집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단면도.
다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겠다. 도 1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구조부재 성형을 위한 보충 거푸집이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는데, 그 일례로 벽체 성형다.
건축물은 대략 공간 구획을 위해 수평 또는 수직 구조부재들이 설치되고 있는데, 그 일례로 수직 구조부재인 벽체는 가로벽(1) 또는 세로벽(2)이 상호 교차방향으로 설치되고 있는 것으로, 그러한 가로 또는 세로벽체들(1,2)의 성형은 대략 적어 하나 이상의 단위판재(3a)가 조립되어 이룬 벽체 거푸집(3)을 가설하고, 그 가설된 거푸집(3)에 콘크리트를 충전한 후 일정시간 양생하여 축조하게 된다.
이렇게 축조되는 건축물에서의 가로 또는 세로벽체들(1,2)은 그 폭이 다양하게 설계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다양한 폭의 벽체들(1,2)로 이루는 건축물의 축조에서 규격화되어 보급되는 기성품인 벽체 거푸집(3)만으로는 마무리가 미흡하여 현장에서는, 그 자투리 부분을 임의로 제작되고 길이가 자투리 폭에 따라 자유로이 조절되어 설치되는 가변형의 보충 거푸집으로 마감 처리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종래와 동일한 구성이고, 본 발명은 설명한 바와 같이 가로벽(1) 또는 세로벽(2) 성형을 위해 가설되는 벽체 거푸집(3)에서의 자투리 부분을 채우는 보충 거푸집의 구조 혁신에 있다.
본 발명 가변형 보충 거푸집(30)은 몸체가 양분되어 상호 암ㆍ수의 형상결합으로 이루는 고정자(32)와 가동자(34)로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되는 보충 거푸집(30)은 고정자(32)와 가동자(34)가 서랍방식으로 들락날락하며 그 길이가 신장ㆍ수축하게 될 것이다.
이렇게 구성되는 보충 거푸집(30)의 고정자(32)와 가동자(34) 각기는 도 5에서와같이 그 몸체가 평판형의 판재를 소정의 절곡 공정에 의해 단일체로 이루거나 또는 소정의 압출공정을 통해 이루게 되는데, 이를 더 설명하면 장방형의 면판(32a,34a)과, 이 면판(32a,34a)의 둘레 길이방향 양변에서 절곡되어 병행하게 설치되는 채널형의 측면(32b,34b)으로 이루고 있다.
그리고 채널형의 측면(32b,34b)은 보충 거푸집(30)의 고정자(32)와 가동자(34) 각 길이방향에서의 보강은 물론, 측면(32b,34b)이 중첩적으로 상호 암ㆍ수의 형상결합을 이루어되어 결합강도를 높이어 보충 거푸집(30) 길이 교차방향에서의 강도를 더욱 높이게 될 것이다.
또 보충 거푸집(30)의 가동자(34) 길이방향 내측 단부에는 그 길이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ㆍ하단으로는 걸이공(36a)이 구비되는 지지대(36)를 갖는다.
또한 지지대(36)의 걸이공(36a)에는 그 걸이공(36a)과 걸이편(38a)을 이용한 턱걸림방식으로 설치되어 이후에 설명할 보강목 설치를 위한 브래킷(38)이 탈착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브래킷(38)에는 보충 거푸집(30)의 고정자(32)와 가동자(34)의 측면들(32b,34b)에 걸쳐 덧대는 보강목(40)이 얹혀져 설치될 것이다. 이때 보강목(40)은 보충 거푸집(30)의 길이방향에서 설치되어 고정자(32)와 가동자(34) 측으로 가해지는 콘크리트 타설에서의 측압에 대응하는 내력을 제공하게 된다.
그러면 도 6의 (a)(b)를 참조하여 본 발명 건축물의 벽체성형을 위한 가변형 보충 거푸집의 시공과정을 설명하겠다.
도 6의 (a)는 벽체 거푸집(3)에서의 자투리 폭이 적은 경우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보충 거푸집(30)의 고정자(32)로부터 가동자(34)가 대략 절반 정도로 신장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도 6의 (b)는 벽체 거푸집(3)에서의 자투리 폭이 큰 경우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보충 거푸집(30)의 고정자(32)로부터 가동자(34)가 최대로 신장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상기에서와같이 본 발명은 벽체 거푸집(3)에서의 미흡한 부분인 자투리를, 그 자투리의 폭에 따라 길이가 자유로이 조절되어 설치되는 가변형 보충 거푸집(30)으로 마감 처리하게 한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변형 보충 거푸집(30)의 길이를 벽체 거푸집(3)의 자투리 폭에 따라 자유로이 조절되게 하여 다양하게 설계되는 건축물의 벽체성형을 위한 거푸집 시공에 보다 적극적으로 대처하여 시공성을 보다 향상시키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 건축물의 구조부재 성형을 위한 가변형 보충 거푸집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이고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보충 거푸집(30)의 고정자(32)와 가동자(34)에서 숫형 가동자(34)의 측면(34b)에 그 측면(34b)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프레스 공정을 통해 수용홈(34b-1)을 구비하고, 이 수용홈(34b-1) 내에 보충 거푸집(30)의 고정 및 가동자(32,34)를 거푸집(3)의 자투리 폭에 따른 길이조절 후, 그 조절된 보충 거푸집(30)의 길이가 고정 유지되게 하기 위해 못 등의 결속요소(50)가 박히어 결속되게 하는 받침목(60)을 갖는다. 여기서, 결속요소(50)는 보충 거푸집(30)의 고정 및 가동자(32,34)의 측면(32b,34b)에 구비되는 못 구멍을 관통하여 받침목(60)에 박히게 될 것이다.
이상에서와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대된 범위 내에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 가로벽
2: 세로벽
3: 벽체 거푸집 3a: 단위판재
30: 보충 거푸집 32: 고정자 34: 가동자
32a,34a: 면판
32b,34b: 측면
40: 보강목

Claims (3)

  1. 건축물의 벽체성형을 위한 벽체 거푸집 가설에서 규격화된 기성품의 벽체 거푸집만으로는 그 마무리가 미흡한 자투리 부분을 메꾸기 위해 암ㆍ수형의 고정자와 가동자로 결합되어 서랍식으로 들락날락하면서 그 길이가 자유로이 조절 설치되는 건축물의 구조부재 성형을 위한 가변형 보충 거푸집으로서,
    상기 가동자의 길이방향 내측 단부에서 그 길이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ㆍ하단으로는 걸이공이 구비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걸이공에 턱걸림방식으로 설치되는 브래킷;
    상기 브래킷에 얹히고, 상기 고정자와 상기 가동자의 측면들에 걸쳐 덧대어 콘크리트 타설에서의 측압에 대응하는 보강목;
    상기 고정자와 가동자 각기는 면판과, 이 면판의 길이방향 양변에서 절곡되어 병행하게 구비되는 채널형의 측면으로 이루어 상호 암ㆍ수로 중첩 결합되게 한 것; 및
    상기 가동자의 측면에 그 측면의 길이방향으로 수용홈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홈 내에 정착되어 상기 보충 거푸집의 고정 및 가동자를 상기 거푸집의 자투리 폭에 따른 길이조절 후, 그 조절된 상기 보충 거푸집의 길이 고정을 위한 결속요소가 박히게 하는 받침목을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구조부재 성형을 위한 가변형 보충 거푸집.
  2. 삭제
  3. 삭제
KR1020170048370A 2017-04-14 2017-04-14 건축물의 구조부재 성형을 위한 가변형 보충 거푸집 KR101830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370A KR101830349B1 (ko) 2017-04-14 2017-04-14 건축물의 구조부재 성형을 위한 가변형 보충 거푸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370A KR101830349B1 (ko) 2017-04-14 2017-04-14 건축물의 구조부재 성형을 위한 가변형 보충 거푸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0349B1 true KR101830349B1 (ko) 2018-02-21

Family

ID=61524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8370A KR101830349B1 (ko) 2017-04-14 2017-04-14 건축물의 구조부재 성형을 위한 가변형 보충 거푸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034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7575A (ko) 2019-08-09 2021-02-17 김걸 가변형 보충 거푸집
KR20210043807A (ko) 2019-10-14 2021-04-22 김걸 갭 마감용 거푸집
KR102267467B1 (ko) * 2020-11-20 2021-06-18 배석원 가변형 거푸집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2854Y1 (ko) * 2004-06-26 2004-09-22 박상목 건축물 축조를 위한 거푸집 보강대의 클램프
KR200408461Y1 (ko) * 2005-11-15 2006-02-09 양승진 측벽 거푸집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2854Y1 (ko) * 2004-06-26 2004-09-22 박상목 건축물 축조를 위한 거푸집 보강대의 클램프
KR200408461Y1 (ko) * 2005-11-15 2006-02-09 양승진 측벽 거푸집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7575A (ko) 2019-08-09 2021-02-17 김걸 가변형 보충 거푸집
KR20210043807A (ko) 2019-10-14 2021-04-22 김걸 갭 마감용 거푸집
KR102267467B1 (ko) * 2020-11-20 2021-06-18 배석원 가변형 거푸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0349B1 (ko) 건축물의 구조부재 성형을 위한 가변형 보충 거푸집
KR200481707Y1 (ko) 거푸집 겸용 외장벽판
BR0012399A (pt) Elemento de molde perdido para a construção de lajes lisas de concreto reforçadas tradicionais
KR102108621B1 (ko) 단열블록을 거푸집 대신 사용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작틀 및 이의 설치방법
KR20190112903A (ko) 단열재를 거푸집 대신 사용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작틀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제작틀 설치방법
KR101558904B1 (ko) 단열콘크리트 구조 및 시공방법
KR102299680B1 (ko) 갭 마감용 거푸집
KR20200120005A (ko) 건축용 벽체 일체형 거푸집 조립체
CN110107078A (zh) 混凝土梁柱浇筑模框及其安装方法
KR101027973B1 (ko) 벽면 타설용 폼 블록 구조물
KR102252141B1 (ko) 거푸집 겸용 건축물 벽체
KR101311880B1 (ko) 조립식 단위벽체틀 및 이의 제작방법
KR102082481B1 (ko) 연속 시공형 pc벽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216632B1 (ko) 벽면 타설용 폼 블록 구조물을 이용한 벽면 시공방법
KR101846305B1 (ko) 에어 단열 건축자재
KR101451267B1 (ko) 조립형 pc부재 제작용 시스템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pc부재 생산방법
KR101477214B1 (ko) 수평조절받침대를 이용한 조립식 단위벽체틀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901240B1 (ko) 건축물용 조립식 거푸집 패널
KR101859398B1 (ko) 철근 노출콘크리트 벽체를 적용한 건축 구조물 시공방법
JP7451843B2 (ja) 型枠、型枠セット及び型枠構造体
KR20150130754A (ko) 벽체용 거푸집
US20200131763A1 (en) Wall Forming Apparatus
KR200408443Y1 (ko) 콘크리트 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알루미늄 패널
KR102512172B1 (ko) 블록형 단열재 거푸집
KR101791041B1 (ko) 천정보 슬리브 거푸집 고정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