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2172B1 - 블록형 단열재 거푸집 - Google Patents

블록형 단열재 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2172B1
KR102512172B1 KR1020220165615A KR20220165615A KR102512172B1 KR 102512172 B1 KR102512172 B1 KR 102512172B1 KR 1020220165615 A KR1020220165615 A KR 1020220165615A KR 20220165615 A KR20220165615 A KR 20220165615A KR 102512172 B1 KR102512172 B1 KR 102512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on
board
block
formwork
connection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5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식
Original Assignee
김광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식 filed Critical 김광식
Priority to KR1020220165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21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2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2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42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by projecting or otherwise applying hardenable masses to the exterior of a form leaf
    • E04B2/847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by projecting or otherwise applying hardenable masses to the exterior of a form leaf the form leaf comprising an insulating foam pane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블록형 단열 거푸집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본 발명은 서로 마주하는 단열보드; 상기 단열보드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브라켓;으로 이루어진 블록형 단열 거푸집으로, 상기 연결브라켓은, 양 측 말단에 마련된 상기 마주하는 단열보드에 인서트 사출로써 매립되는 매립부재; 상기 매립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의 상단 및 하단에 철근 거치를 위해 마련되는 철근홀더;로 구성되며, 상기 철근홀더는, 상기 연결부재의 상단 및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채, 상향 및 하향으로 개구된 C홀로 철근을 수평으로 삽입하여 철근이 수평 배근되도록 하는 수평배근용 C홀더; 및 상기 연결부재의 상단 및 하단에 접철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채, 수직 접철 시에는 C홀로 철근을 수평으로 삽입하여 철근이 수평 배근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수평배근용 C홀더의 증설용으로 사용되며, 수평 접철 시에는 C홀로 철근을 수직으로 삽입하여 수직 배근되도록 하는 수평 및 수직배근 겸용 C홀더;로 구성된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블록형 단열재 거푸집{Block type insulation formwork}
본 발명은 스티로폼 등의 단열소재로 되고, 블록형 조립방식에 의해 길이방향 및 높이방향으로 증설이 가능한 단열재 거푸집에 관련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단열보드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브라켓을 접철 가능하게 구성하여 단열재 거푸집을 운반 및 보관할 때 적재볼륨을 줄일 수 있는 점, 연결브라켓에 수평 및 수직배근이 가능한 구조를 부가함에 따라 수평 및 수직 배근작업의 용이성을 확보한 점, 인접하는 단열재 거푸집 간의 길이방향 연결시 단열보드에 형성된 요철구조에 의해 결합함으로써 단열보드 간 결속력을 강화한 점 등에 특징을 갖는 블록형 단열재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벽체 및 슬래브로 이루어지는 건축 및 토목용 콘크리트 구조체의 벽체는 콘크리트 타설후 양생 건조시킨 다음, 단열재를 콘크리트 벽체의 외면이나 내면에 부착하여 단열시공을 한다.
즉, 콘크리트 벽체를 먼저 시공하기 위해 철근 조립체 주변에 거푸집을 설치한 후, 거푸집 사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벽체를 형성하고, 이 콘크리트 벽체의 외면 또는 내면에 스티로폼 등의 단열재를 부착 시공함으로써 단열 콘크리트 벽체를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단열 콘크리트 구조는 거푸집 설치공사, 배근공사 및 콘크리트 타설공사 후 단열공가가 이루어지므로 시공과정이 복잡하며, 마감공사 등의 후속공정과 간섭되어 공기가 지연될 수 있고, 단열재를 후시공하게 되므로 골조와 일체화되지 않아서 틈새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틈새 사이로 습기가 침투하여 결로에 의한 곰팡이 발생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거푸집 소재가 강재 또는 합판이어서 사용연한이 경과되면 폐기 처분해야 하므로 이에 따른 비용이 발생하게 되며, 콘크리트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비계공, 철근공, 콘크리트공, 목공, 단열공 등 공정별 숙련공이 필요하고 공정관리가 복잡하여 공사비용과 공시기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2345103호 등록특허공보 제10-1558904호 등록특허공보 제10-2152497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단열보드 자체를 거푸집으로 사용하고, 블록형 조립방식에 의해 길이방향 및 높이방향으로 증설이 가능한 블록형 단열재 거푸집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열보드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브라켓을 접철 가능하게 구성하여, 단열재 거푸집을 대량으로 운반 또는 보관할 때 적재볼륨을 줄일 수 있는 블록형 단열재 거푸집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결브라켓에 수평 및 수직 배근이 가능한 구조를 부가함에 따라 배근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블록형 단열재 거푸집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접하는 단열재 거푸집 간의 길이방향 연결시 단열보드에 형성된 요철구조에 의해 결합함으로써 단열보드 간 결속력을 강화할 수 있는 블록형 단열재 거푸집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서로 마주하는 단열보드; 상기 단열보드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브라켓;으로 이루어진 블록형 단열 거푸집으로, 상기 연결브라켓은, 양 측 말단에 마련된 상기 마주하는 단열보드에 인서트 사출로써 매립되는 매립부재; 상기 매립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의 상단 및 하단에 철근 거치를 위해 마련되는 철근홀더;로 구성되며, 상기 철근홀더는, 상기 연결부재의 상단 및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채, 상향 및 하향으로 개구된 C홀로 철근을 수평으로 삽입하여 철근이 수평 배근되도록 하는 수평배근용 C홀더; 및 상기 연결부재의 상단 및 하단에 접철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채, 수직 접철 시에는 C홀로 철근을 수평으로 삽입하여 철근이 수평 배근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수평배근용 C홀더의 증설용으로 사용되며, 수평 접철 시에는 C홀로 철근을 수직으로 삽입하여 수직 배근되도록 하는 수평 및 수직배근 겸용 C홀더;로 구성된 것을 더 포함하는 블록형 단열 거푸집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열보드는, 동일 길이의 제1 평판보드와 제2 평판보드가 서로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브라켓의 매립부재와 연결부재는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열보드는, 제1 평판부, 상기 제1 평판부의 일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된 제1 절곡단부로 이루어진 제1 절곡보드; 및 상기 제1 평판부와 소정 간격을 두고 마주하게 배치되는 제2 평판부, 상기 제2 평판부의 일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며 상기 제1 절곡단부와 소정 간격을 두고 마주하게 배치되는 제2 절곡단부로 이루어진 제2 절곡보드;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브라켓은, 상기 제1 평판부와 제2 평판부를 연결하는 힌지형 연결브라켓과, 상기 제1 절곡단부와 제2 절곡단부를 연결하는 비힌지형 연결브라켓으로 구성되되, 상기 힌지형 연결브라켓은 한 쌍의 매립부재와 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힌지 결합되고, 상기 비힌지형 연결브라켓은 한 쌍의 매립부재에 결합슬롯이 마련되고, 상기 한 쌍의 매립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의 양 단에는 상기 결합슬롯에 상하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 결합되는 삽입부가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열보드는, 소정 길이의 제3 평판보드; 상기 제3 평판보드와 소정 간격을 두고 마주하게 배치되는 제3 평판부, 상기 제3 평판부의 일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된 제3 절곡단부로 이루어진 제3 절곡보드; 및 상기 제3 평판보드와 소정 간격을 두고 마주하게 배치되는 제4 평판부, 상기 제4 평판부의 일단으로부터 직각을 절곡되되 상기 제3 절곡단부와 소정 간격을 두고 마주하게 배치되는 제4 절곡단부로 이루어진 제4 절곡보드;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브라켓은, 상기 평판보드와 제3, 4 절곡보드의 제3, 4 평판부 사이를 연결하는 힌지형 연결브라켓과, 상기 제3, 4 절곡보드의 제3, 4 절곡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비힌지형 연결브라켓으로 구성되되, 상기 힌지형 연결브라켓은 한 쌍의 매립부재와 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힌지 결합되고, 상기 비힌지형 연결브라켓은 한 쌍의 매립부재에 결합슬롯이 마련되고, 상기 한 쌍의 매립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의 양 단에는 상기 결합슬롯에 상하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 결합되는 삽입부가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열보드의 길이방향 말단에는 다른 단열보드와의 수평 결합을 위한 수평 결합부가 마련되되, 상기 수평 결합부는 쐐기형 돌기 또는 쐐기형 홈으로 구성되어, 상기 다른 단열보드의 쐐기형 홈 또는 쐐기형 돌기와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열보드의 상하단에는 적층돌기 및 적층홈이 교번하게 형성되어, 상기 단열보드의 위에 적층되는 다른 단열보드의 상대 적층홈 및 상대 적층돌기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의 해결 수단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단열보드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브라켓이 접철 가능하므로 단열재 거푸집을 운반 및 보관할 때 적재볼륨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보관 및 물류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브라켓에 철근을 수평 및 수직으로 끼워 넣을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되어, 수평 및 수직 배근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접하는 단열재 거푸집 간의 길이방향 연결시 단열보드에 형성된 쐐기형 요철에 의해 결합함으로써 단열보드 간 결속력을 강화할 수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 타설시 단열재 거푸집 사이로 콘크리트가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예컨대, 일자형, ㄱ자형, T자형의 다양한 단열재 거푸집을 제공함으로써 벽체에 따라 그에 맞는 맞춤형 단열재 거푸집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단열재 거푸집의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단열재 거푸집의 일자형 배치구조,
도 3은 도 2에서 연결브라켓을 접은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단열재 거푸집의 ㄱ자형 배치구조,
도 5는 도 4에서 연결브라켓을 접은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단열재 거푸집의 T자형 배치구조,
도 7은 도 6에서 연결브라켓을 접은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브라켓의 일실시예,
도 9a는 도 5의 연결브라켓에 수평배근된 상태도,
도 9b는 도 5의 연결브라켓에 수평 및 수직 배근된 상태도,
도 10은 도 8의 연결브라켓 위에 다른 연결브라켓을 적층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브라켓의 다른 실시예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단열재 거푸집의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단열재 거푸집의 일자형 배치구조, 도 3은 도 2에서 연결브라켓을 접은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단열재 거푸집의 ㄱ자형 배치구조, 도 5는 도 4에서 연결브라켓을 접은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단열재 거푸집의 T자형 배치구조, 도 7은 도 6에서 연결브라켓을 접은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브라켓의 일실시예, 도 9a는 도 5의 연결브라켓에 수평배근된 상태도, 도 9b는 도 5의 연결브라켓에 수평 및 수직 배근된 상태도, 도 10은 도 8의 연결브라켓 위에 다른 연결브라켓을 적층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브라켓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단열재 거푸집(100)은 기존의 합판 또는 알폼을 대체하는 단열소재의 단열보드(200)와, 마주하는 단열보드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브라켓(30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열보드(200)는 그 자체로서 거푸집 패널의 역할과 단열재 역할을 겸하게 되므로 단열재 시공을 하지 별도로 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을 갖게 된다. 따라서, 콘크리트 벽체의 시공 시 공정을 단순화 할 수 있다.
여기서, 단열보드(200)는 단열효과가 우수하고 무게가 경량인 스티로폼이 제안될 수 있으나, 이와 동일한 또는 유사한 물성을 갖는다면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단열보드(200)는 시공하고자 하는 벽체의 형태에 따라 일(一)자형, ㄱ자형 및 T자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일자형 구조는 도 2에서와 같이, 동일 길이의 제1, 2 평판보드(210,220)를 서로 마주하게 배치하되, 두 평판보드(210,220) 사이는 벽체 두께를 고려하여 소정거리로 이격되게 배치한 것이다. 이에 따라 두 평판보드(210,220)의 사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면 판형 벽체가 시공된다.
상기 ㄱ자형 구조는 도 4에서와 같이, 두 개의 ㄱ자형 보드를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제1 평판부(231), 상기 제1 평판부의 일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된 제1 절곡단부(232)로 이루어진 제1 절곡보드(230)와; 상기 제1 평판부(231)와 소정 간격을 두고 마주하게 배치되는 제2 평판부(241), 상기 제2 평판부의 일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며 상기 제1 절곡단부(232)와 소정 간격을 두고 마주하게 배치되는 제2 절곡단부(242)로 이루어진 제2 절곡보드(24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제1, 2 절곡보드(230,240)의 사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면 ㄱ자형 벽체가 시공된다.
상기 T자형 구조는 도 6에서와 같이, 하나의 평판보드와 2개의 ㄱ자형 보드를 T자형으로 배치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소정 길이의 제3 평판보드(250)와; 상기 제3 평판보드와 소정 간격을 두고 마주하게 배치되는 제3 평판부(261), 상기 제3 평판부의 일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된 제3 절곡단부(262)로 이루어진 제3 절곡보드(260)와; 상기 제3 평판보드(250)와 소정 간격을 두고 마주하게 배치되는 제4 평판부(271), 상기 제4 평판부의 일단으로부터 직각을 절곡되되 상기 제3 절곡단부(262)와 소정 간격을 두고 마주하게 배치되는 제4 절곡단부(272)로 이루어진 제4 절곡보드(27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상기 제3 절곡보드(260)와 제3, 4 절곡보드(260,270)의 사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면 T자형 벽체가 시공된다.
상기한 실시예의 보드들은 도 1, 2, 4, 6에서와 같이, 공통적으로 벽체의 높이 및 길이에 따라 높이 및 길이를 연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보드의 상단 및 하단에 적층돌기(281) 및 적층홈(282)을 교번하게 형성하고, 적층보드(200a)의 상대 적층홈 및 적층돌기와 결합하는 블록 적층방식에 의해 높이를 높여갈 수 있다.
또한, 각 보드의 길이방향 말단에는 수평 결합부(291)가 마련되어, 수평방향으로 연결하고자 하는 다른 보드의 상대 수평 결합부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평 결합부(291)는 단열재 거푸집(100)을 길이방향으로 연장하였을 때, 각 단열재 거푸집들 사이의 결합력이 취약하므로 이를 강화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단열재 거푸집의 연결부위는 콘크리트 타설 시 콘크리트의 무게 부하로 인하여 사이가 벌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견고한 결합력이 필요하다.
일 예로, 해당 단열재 거푸집(100)의 말단에는 돌기를 형성하고, 연결하고자 하는 인접한 단열재 거푸집의 대응 말단에는 홈을 형성하여 돌기와 홈의 끼워 맞춤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그러나, 단열재 거푸집의 소재가 스티로폼인 경우 소재의 특성상 강도가 강하지 않으므로 단순한 끼워 맞춤 결합으로는 견고한 결합력을 얻을 수 없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돌기와 홈은 쐐기형 돌기(291b)와 쐐기형 홈(291a)으로 구성하여 수평 방향으로 탈거를 방지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수평 결합부(291)는 보드의 일단에 쐐기형 홈(291a)이 마련되고, 타단에는 쐐기형 돌기(291b)가 마련될 수 있다. 즉, 각 단부에 서로 반대되는 수평 결합부(291)가 마련됨에 따라 보드를 하나의 금형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 향상에 도움을 준다.
상기와 달리, 보드의 일단과 타단에 모두 쐐기형 홈이 형성되거나 또는 모두 쐐기형 돌기가 형성되는 형태도 제안될 수 있다. 다만, 이 실시예는 돌기만 있는 보드와 홈만 있는 보드를 각각 제작해야 하므로 제작상 실용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므로 전자의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권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브라켓(300)은 상기한 마주하는 단열보드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연결브라켓(300)은 가격적인 측면과, 중량감 측면에서 금속 소재에 비하여 우월하고, 특히 단열보드와의 결합력 측면에서 금속소재에 비하여 상대적인 장점이 있는 플라스틱 사출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브라켓(300)은 마주하고 있는 단열보드에 인서트 사출(insert molding)에 의해 고정되는 매립부재(310)와, 상기 매립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320)와, 상기 연결부재에 마련된 채 철근(1)을 거치하기 위한 철근홀더(33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320)는 도 2 내지 7 및 도 8에서와 같이, 그 양 말단이 양 매립부재(310)와 힌지(h)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320)는 힌지(h)를 중심으로 사선방향 및 단열보드와 직각되는 방향으로 접철이 가능하다. 이는 접철을 통하여 마주하는 단열보드 사이의 간극을 줄여서 적재 및 보관을 유리하게 하기 위함이다.
그 사례를 들면, 도 3과 같이, 일자형 배치구조의 경우에, 연결부재(320)를 사선방향으로 접철하면 제1, 2 평판보드(210,220)의 간격을 최소화 할 수 있으므로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도 5와 같이, ㄱ자형 배치구조의 경우에, 연결부재(320)를 사선방향으로 접철하면 제1, 2 평판부(231,241)의 간격을 줄일 수 있고, 제1, 2 절곡단부(232,242)의 간격도 함께 줄일 수 있다. 다만, 제1, 2 절곡단부(232,242)의 사이를 연결하고 있는 연결부재는 분리해야 한다. 분리되는 연결부재는 도 11을 통해 후술하기로 한다.
또 다른 예를 들면, 도 7과 같이, T자형 배치구조의 경우에, 연결부재(320)를 사선방향으로 접철하면 제3 평판보드(250)와 제3, 4 절곡보드(260,270)의 간격을 줄일 수 있다. 다만, 제3, 4 절곡단부(262,272) 사이를 연결하고 있는 연결부재는 분리해야 한다. 분리되는 연결부재는 도 11을 통해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분리형 연결부재를 분리한 이후에, 상기 제3, 4 절곡보드(260,270)를 제3, 4 절곡단부(262,272)가 근접되는 방향으로 연결부재(320)를 접철할 경우 제3 평판보드(250)와의 간격은 물론 제3, 4 절곡보드(260,270)간 간격도 함께 줄일 수 있다.
상기 연결브라켓(300)의 매립부재(310)는 단열보드에 매립되는 매립대(311)와, 상기 매립대와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며 단열보드의 내면에 노출되는 평판형의 노출대(312)와, 상기 매립대와 노출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대(31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대(313) 상에는 다수의 통공(313a)이 형성되어, 인서트 사출 시 통공(313a)을 통하여 단열소재가 관통되도록 함으로써 단열보드와 매립부재(310)간의 결속력이 강화되도록 하였다.
상기 노출대(312)의 상하측 내면와 외면에는 돌기(312a)와 상기 돌기가 걸림되는 다단형의 걸림부(312b)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돌기(312a)와 걸림부(312b)는 연결브라켓(300)을 상하로 적층할 때 양자를 결합하기 위한 수단이다.
부연하면, 상기 노출대(312)의 상단은 상기 매립대(311)의 상단에 비해 짧은 반면, 하단은 매립대(311)의 하단에 비해 길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노출대(312)의 하단에 형성되는 돌기(312a) 및 걸림부(312b)는 매립대(311)의 하단보다 밑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연결브라켓(300)의 상측에 또 다른 연결브라켓을 적층하고자 할 때는 도 10에서와 같이, 적층되는 연결브라켓의 하단에 형성된 돌기를 하측 연결브라켓의 상단에 형성된 걸림부(312b)에 걸리도록 함에 따라 연결브라켓을 상하로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반대로, 적층되는 연결브라켓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부가 하측 연결브라켓의 상단에 형성된 돌기에 걸리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앞서 설명한 바 있듯이, 연결브라켓(300)의 소재가 사출물이어서 어느 정도의 탄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상측 연결브라켓의 돌기(312a)와 하측 연결브라켓의 걸림부(312b)가 일직선 상에 위치하더라도 압입에 의한 변형으로 상호 결속이 가능하게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노출대(312)의 상하 말단부는 상대 노출대의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원활하게 인입되어 돌기와 걸림부가 합치될 수 있도록 라운드 또는 사면(斜面) 처리되는 것이 좋다.
상기에서 걸림부(312b)는 돌기(312a)와 결합시 결합이 되고 있음을 작업자가 느낄 수 있도록 다단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312b)가 다단형으로 형성될 경우 돌기(312a)와 결합과정에서, 돌기가 걸림부의 단을 넘기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손에 느낌이 전달되므로 옳바른 결합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인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연결브라켓(300)은 비힌지형 연결브라켓으로서, 힌지형의 연결브라켓(300)과는 구분된다. 상기 비힌지형 연결브라켓(300)은 두 단열보드의 사이간격을 좁힐 필요가 없거나 또는 좁히는데 방해가 되는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ㄱ자형 배치구조에서 제1, 2 절곡단부(232,242) 사이 또는, T자형 배치구조에서 제3, 4 절곡보드(260,27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비힌지형 연결브라켓(300)을 배치 구조별로 구분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ㄱ자형 배치구조에 적용되는 비힌지형 연결브라켓(300)은 제1 절곡단부(232)와 제2 절곡단부(242)를 연결하는 것으로, 한 쌍의 매립부재(310)에 결합슬롯(314)이 마련되고, 상기 한 쌍의 매립부재(31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320)의 양 단에는 상기 결합슬롯(314)에 상하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 결합되는 삽입부(321)가 마련된 구성을 이룬다.
T자형 배치구조에 적용되는 비힌지형 연결브라켓(300)은 제3, 4 절곡보드(260,270)의 제3, 4 절곡단부(262,272) 사이를 연결하는 것으로, 한 쌍의 매립부재(310)에 결합슬롯(314)이 마련되고, 상기 한 쌍의 매립부재(31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320)의 양 단에는 상기 결합슬롯(314)에 상하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 결합되는 삽입부(321)가 마련된 구성을 이룬다.
다만, 일자형 배치구조에는 비힌지형 연결브라켓(300)이 적용되지 않는다.
상기 철근홀더(330)는 철근(1)을 수평 및 수직배근 하기 위한 것으로, 수평배근용 C홀더(331)와 수평 및 수직배근 겸용 C홀더(33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배근용 C홀더(331)는 상기 연결부재(320)의 상단 및 하단에 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되, 철근(1)이 수평으로 삽입되어 거치될 수 있도록 C홀(331a)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C홀(331a)은 상향 개구되어 이를 통해 철근(1)을 삽입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수평 및 수직배근 겸용 C홀더(332)는 상기 수평배근용 C홀더(331)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 채, 상기 연결부재(320) 상하단에 상향 및 전후방향으로 접철 가능하게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평 및 수직배근 겸용 C홀더(332)는 도 9a와 같이, 수직 접철 시, 수직한 C홀(332a)로 철근(1)을 수평 삽입하여 상기 수평배근용 C홀더(331)와 같은 역할을 한다. 이 경우 수평배근용 C홀더(331)의 갯수를 증대시켜서 수평배근 효과를 강화할 수 있다. 다만, 수직배근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필요시 수직배근 작업은 별도로 이루어져야 한다.
상기 수평 및 수직배근 겸용 C홀더(332)는 도 9b와 같이, 전후방향(단열보드의 사이방향)으로 수평 접철 시, 수평하게 방향 전환된 C홀(332a)로 철근(1)을 수직 삽입하여 수직배근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평배근과 함께 수직배근이 가능하므로 별도의 배근 작업이 필요없게 된다.
이렇듯, 상기 수평 및 수직배근 겸용 C홀더(332)는 필요에 따라 절첩하여 수평 또는 수직 배근이 가능하고, 철근(1)을 C홀(332a)에 삽입하는 행위만으로 배근 작업을 완료할 수 있으므로 기존처럼 철근을 철끈으로 묶는 등의 부차적 작업이 필요없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철근 100 : 블록형 단열재 거푸집
200 : 단열보드 210 : 제1 평판보드
220 : 제2 평판보드 230 : 제1 절곡보드
231 : 제1 평판부 232 : 제1 절곡단부
240 : 제2 절곡보드 241 : 제2 평판부
242 : 제2 절곡단부 250 : 제3 평판보드
260 : 제3 절곡보드 261 : 제3 평판부
262 : 제3 절곡단부 270 : 제4 절곡보드
271 : 제4 평판부 272 : 제4 절곡단부
281 : 적층돌기 282 : 적층홈
291 : 수평 결합부 291a : 쐐기형 홈
291b : 쐐기형 돌기 300 : 연결브라켓
310 : 매립부재 320 : 연결부재
321 : 삽입부 330 : 철근홀더
331 : 수평배근용 C홀더 331a : C홈
332 : 수평 및 수직배근 겸용 C홀더 332a : C홀
h : 힌지

Claims (9)

  1. 서로 마주하는 단열보드; 상기 단열보드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브라켓;으로 이루어진 블록형 단열 거푸집으로,
    상기 연결브라켓은, 양 측 말단에 마련된 상기 마주하는 단열보드에 인서트 사출로써 매립되는 매립부재; 상기 매립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의 상단 및 하단에 철근 거치를 위해 마련되는 철근홀더;로 구성되며,
    상기 철근홀더는,
    상기 연결부재의 상단 및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채, 상향 및 하향으로 개구된 C홀로 철근을 수평으로 삽입하여 철근이 수평 배근되도록 하는 수평배근용 C홀더; 및
    상기 연결부재의 상단 및 하단에 접철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채, 수직 접철 시에는 C홀로 철근을 수평으로 삽입하여 철근이 수평 배근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수평배근용 C홀더의 증설용으로 사용되며, 수평 접철 시에는 C홀로 철근을 수직으로 삽입하여 수직 배근되도록 하는 수평 및 수직배근 겸용 C홀더;로 구성된 것을 더 포함하는 블록형 단열 거푸집.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열보드는,
    동일 길이의 제1 평판보드와 제2 평판보드가 서로 마주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단열 거푸집.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브라켓의 매립부재와 연결부재는 힌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단열 거푸집.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열보드는,
    제1 평판부, 상기 제1 평판부의 일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된 제1 절곡단부로 이루어진 제1 절곡보드; 및
    상기 제1 평판부와 소정 간격을 두고 마주하게 배치되는 제2 평판부, 상기 제2 평판부의 일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며 상기 제1 절곡단부와 소정 간격을 두고 마주하게 배치되는 제2 절곡단부로 이루어진 제2 절곡보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단열 거푸집.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연결브라켓은,
    상기 제1 평판부와 제2 평판부를 연결하는 힌지형 연결브라켓과, 상기 제1 절곡단부와 제2 절곡단부를 연결하는 비힌지형 연결브라켓으로 구성되되,
    상기 힌지형 연결브라켓은 한 쌍의 매립부재와 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힌지 결합되고,
    상기 비힌지형 연결브라켓은 한 쌍의 매립부재에 결합슬롯이 마련되고, 상기 한 쌍의 매립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의 양 단에는 상기 결합슬롯에 상하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 결합되는 삽입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단열 거푸집.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열보드는,
    소정 길이의 제3 평판보드;
    상기 제3 평판보드와 소정 간격을 두고 마주하게 배치되는 제3 평판부, 상기 제3 평판부의 일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된 제3 절곡단부로 이루어진 제3 절곡보드; 및
    상기 제3 평판보드와 소정 간격을 두고 마주하게 배치되는 제4 평판부, 상기 제4 평판부의 일단으로부터 직각을 절곡되되 상기 제3 절곡단부와 소정 간격을 두고 마주하게 배치되는 제4 절곡단부로 이루어진 제4 절곡보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단열 거푸집.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연결브라켓은,
    상기 평판보드와 제3, 4 절곡보드의 제3, 4 평판부 사이를 연결하는 힌지형 연결브라켓과, 상기 제3, 4 절곡보드의 제3, 4 절곡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비힌지형 연결브라켓으로 구성되되,
    상기 힌지형 연결브라켓은 한 쌍의 매립부재와 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힌지 결합되고,
    상기 비힌지형 연결브라켓은 한 쌍의 매립부재에 결합슬롯이 마련되고, 상기 한 쌍의 매립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의 양 단에는 상기 결합슬롯에 상하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 결합되는 삽입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단열 거푸집.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열보드의 길이방향 말단에는 다른 단열보드와의 수평 결합을 위한 수평 결합부가 마련되되,
    상기 수평 결합부는 쐐기형 돌기 또는 쐐기형 홈으로 구성되어, 상기 다른 단열보드의 쐐기형 홈 또는 쐐기형 돌기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단열 거푸집.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열보드의 상하단에는 적층돌기 및 적층홈이 교번하게 형성되어, 상기 단열보드의 위에 적층되는 다른 단열보드의 상대 적층홈 및 상대 적층돌기와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단열 거푸집.
KR1020220165615A 2022-12-01 2022-12-01 블록형 단열재 거푸집 KR102512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5615A KR102512172B1 (ko) 2022-12-01 2022-12-01 블록형 단열재 거푸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5615A KR102512172B1 (ko) 2022-12-01 2022-12-01 블록형 단열재 거푸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2172B1 true KR102512172B1 (ko) 2023-03-21

Family

ID=85801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5615A KR102512172B1 (ko) 2022-12-01 2022-12-01 블록형 단열재 거푸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217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60055A1 (en) * 2013-03-12 2014-09-18 Reward Wall Systems, Inc. Insulating concrete form (icf) system with tie member modularity
KR101558904B1 (ko) 2013-11-25 2015-10-13 노경범 단열콘크리트 구조 및 시공방법
US10273692B1 (en) * 2017-02-08 2019-04-30 Michael G. RUSH Adjustable rebar positioning device
KR20190115655A (ko) * 2018-04-03 2019-10-14 정상열 단열블록을 거푸집 대신 사용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작틀 및 이의 설치방법
KR102152497B1 (ko) 2018-03-27 2020-09-04 정상열 단열재를 거푸집 대신 사용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작틀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제작틀 설치방법
KR102345103B1 (ko) 2020-11-18 2021-12-30 김두래 거푸집널 대체 단열패널용 무볼팅 패널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60055A1 (en) * 2013-03-12 2014-09-18 Reward Wall Systems, Inc. Insulating concrete form (icf) system with tie member modularity
KR101558904B1 (ko) 2013-11-25 2015-10-13 노경범 단열콘크리트 구조 및 시공방법
US10273692B1 (en) * 2017-02-08 2019-04-30 Michael G. RUSH Adjustable rebar positioning device
KR102152497B1 (ko) 2018-03-27 2020-09-04 정상열 단열재를 거푸집 대신 사용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작틀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제작틀 설치방법
KR20190115655A (ko) * 2018-04-03 2019-10-14 정상열 단열블록을 거푸집 대신 사용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작틀 및 이의 설치방법
KR102345103B1 (ko) 2020-11-18 2021-12-30 김두래 거푸집널 대체 단열패널용 무볼팅 패널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76340B2 (en) Concrete wall formwork module
US7444788B2 (en) Extruded permanent form-work for concrete
US20090120027A1 (en) Concrete form tie with connector for finishing panel
CZ254795A3 (en) Building element
US10753109B2 (en) Concrete form tie, and concrete formwork comprising same
KR200481707Y1 (ko) 거푸집 겸용 외장벽판
CA2900237A1 (en) Form board and method of constructing form using the same
KR101027973B1 (ko) 벽면 타설용 폼 블록 구조물
KR102512172B1 (ko) 블록형 단열재 거푸집
KR20090106914A (ko) 이중 단열 거푸집
KR100761964B1 (ko) 콘크리트 건축물의 벽체 시공용 거푸집
KR101216632B1 (ko) 벽면 타설용 폼 블록 구조물을 이용한 벽면 시공방법
TW200422497A (en) Stacking constructive system wall
KR200414945Y1 (ko) 유러폼의 슬라브 타설용 데크패널
JP4563137B2 (ja) 繊維強化コンクリート製永久型枠
KR20200008077A (ko) 거푸집 조립체
KR101938974B1 (ko) 거푸집용 조인트 장치
KR200442723Y1 (ko) 키를 이용한 거푸집 연결구조
JP3706476B2 (ja) 間隔保持用部材及びそれを含む型枠形成用部材
JPH0972028A (ja) 型枠パネルの連結具
US20040231263A1 (en)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insulating panels in an insulated concrete wall structure
KR20000067735A (ko) 콘크리트 구조물용 슬래브판
KR200196811Y1 (ko) 콘크리트 벽체용 철근 고정장치
KR200141309Y1 (ko) 분전반 베이스의 철근 고정용 후크
KR200288410Y1 (ko)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는 보조패널과 고정수단을 포함한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지지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