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8410Y1 -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는 보조패널과 고정수단을 포함한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지지시스템 - Google Patents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는 보조패널과 고정수단을 포함한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지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8410Y1
KR200288410Y1 KR2020020018745U KR20020018745U KR200288410Y1 KR 200288410 Y1 KR200288410 Y1 KR 200288410Y1 KR 2020020018745 U KR2020020018745 U KR 2020020018745U KR 20020018745 U KR20020018745 U KR 20020018745U KR 200288410 Y1 KR200288410 Y1 KR 2002884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oam
auxiliary
panels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87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기창
Original Assignee
전기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기창 filed Critical 전기창
Priority to KR20200200187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84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84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8410Y1/ko

Links

Landscapes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지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는 보조패널과 고정수단을 포함한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지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그 외측에 다수의 지지바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돌기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폼패널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폼패널홈에 폼패널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폼패널, 상기 폼패널들 사이의 간격을 메꿔주도록 상기 폼패널의 돌기부와 대응되는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폼패널들 사이에 삽입되며, 상기 폼패널홈과 대응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보조패널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패널홈 일측에는 상기 폼패널삽입홀과 대응되도록 보조패널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보조패널, 상기 폼패널들 중 대응되는 내외측 폼패널들을 연결하도록 상기 외측 폼패널홈으로부터 대응되는 상기 내측 폼패널홈으로 삽입 결합되는 패널연결수단 및 상기 폼패널들과 그 사이에 삽입된 상기 보조패널을 결합시키기 위하여 각각 대응되는 상기 폼패널홀들과 상기 보조패널홀들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는 보조패널과 고정수단을 포함한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지지시스템{SUPPORTING SYSTEM FOR A CONCRETE STRUCTURE HAVING AN EASILY MOUNTABLE SUPPORTING PANEL AND A FIXING UNIT}
본 고안은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지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는 보조패널과 고정수단을 포함한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지지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지지시스템은 콘크리트 구조물 축조하는 경우에 반죽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경화되는 동안 원하는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해주는 시스템으로서 거푸집이라고도 한다.
고층의 콘크리트 구조물에서는 그 하중에 따른 옹벽의 두께가 달라지므로 구조물 상하부의 지지부(이하 '폼패널'이라 한다)도 이에 따라 다른 두께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조물의 상하부 옹벽 두께에 상응하게 제작된 폼패널을 상부용 하부용으로 정확히 구별하여 시설하는 경우는 문제가 없으나, 상호 두께가 다른 폼패널을 동시에 사용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폼패널들 사이에 일정한 간격이 형성되므로, 이러한 간격을 메워줄 보조수단이 필요하게 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보조수단이 부가된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지지시스템이 개발되었다.
도 4는 종래의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지지시스템의 조립전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지지시스템은 폼패널(100), 스페이서(200), 결합용타이(300), 체결핀(400)으로 구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200)에는 상기 폼패널(100)의 홈(120)에 대응도록 일직선 방향으로 다수의 홈(240)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조립자는 상기 스페이서(200)의 홈(240)과 상기 폼패널(100)의 홈(120) 방향이 일치하는지 일일이 확인한 후에 상기 스페이서(200)를 상기 폼패널(100)에 삽입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착오로 스페이서(200)의 방향을 바꾸어 조립한 후에 체결핀(400)으로 체결하는 과정에서 이를 발견한 경우에는 초기의 조립을 해제하고 재조립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핀(400)에는 핀삽입홀(420)과 핀변위홀(440)이 형성되어 있다.
폼패널(100)들과 스페이서(200)의 조립이 완료된 후에 체결핀(400)을 상기 폼패널(100)의 홈(120)으로부터 이에 대응하는 스페이서(200)의 홈(240)을 관통하여 맞은편 폼패널(100)의 홈(120)으로 삽입한 후에 상기 핀삽입홀(420)에 다른 체결핀(42)을 삽입하여 고정시켰다.
한편 상기 스페이서(200)의 두께는 폼패널(100)의 두께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므로 두께가 얇은 스페이서(20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핀변위홀(440)에 못을 삽입하여 고정시켰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스페이서(200) 두께의 변화에 따라 별도의 못을 사용해야 하는데 이는 작업 중 못이 분실되는 경우가 있으며, 별도의 부품을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얇은 못으로 상기 체결핀(400)을 고정시킨 경우에는 상기 폼패널(100)과 스페이서(200)가 조립된 후 시멘트가 타설될 때 이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핀변위홀(440)은 일정한 간격별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핀변위홀(440)의 간격과 일치되지 않는 두께의 스페이서(20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폼패널(100)과 스페이서(200)를 밀착 고정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는 보조패널을 포함한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지지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두께의 보조패널에도 적합한 고정수단을 포함한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지지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폼패널들과 보조패널을 견고하게 밀착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수단을 포함한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지지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지지시스템의 조립전 사시도.
도 2a는 도 1의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지지시스템에서 고정수단의 사시도.
도 2b는 도 1의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지지시스템에서 다른 고정수단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지지시스템의 조립후의 측면도.
도 4는 종래의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지지시스템의 조립전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폼패널 12: 평판
14: 지지바 16: 돌기부
18: 폼패널홈 19: 폼패널삽입홀
20: 보조패널 22: 보조패널홈
24: 보조패널삽입홀 30: 패널연결수단
32: 결합홈 40: 고정수단
42: 체결핀 43: 고정홈
44: 고정핀 100: 폼패널
120: 홈 200: 스페이서
240: 홈 300: 결합용타이
400: 체결핀 420: 핀삽입홀
440: 핀변위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콘트리트 구조물 지지시스템은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그 외측에 다수의 지지바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돌기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폼패널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폼패널홈에 폼패널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폼패널, 상기 폼패널들 사이의 간격을 메꿔주도록 상기 폼패널의 돌기부와 대응되는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폼패널들 사이에 삽입되며, 상기 폼패널홈과 대응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보조패널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패널홈 일측에는 상기 폼패널삽입홀과 대응되도록 보조패널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보조패널, 상기 폼패널들 중 대응되는 내외측 폼패널들을 연결하도록 상기 외측 폼패널홈으로부터 대응되는 상기 내측 폼패널홈으로 삽입 결합되는 패널연결수단 및 상기 폼패널들과 그 사이에 삽입된 상기 보조패널을 결합시키기 위하여 각각 대응되는 상기 폼패널홀들과 상기 보조패널홀들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패널삽입홀은 상기 폼패널삽입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보조패널홈의 좌우측으로 번갈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은 그 양측에 두 개의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는 체결핀과, 상기 체결핀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고정홈에 밀착 삽입되는 고정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핀은 상기 폼패널삽입홀들과 상기 보조패널삽입홀에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그 양단의 폭이 좁아지도록 처리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핀은 직경이 달라지도록 그 일단에서 타단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패널은 내구성이 있으며 가벼운 발포성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 등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지지시스템의 조립전 사시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지지시스템은 폼패널(10), 보조패널(20), 패널연결수단(30), 고정수단(40)으로 구성된다.
상기 폼패널(10)은 반죽한 콘크리트를 원하는 형태로 유지시켜 주기 위해 설치되는 본체부분으로서, 평판(12), 지지바(14), 돌기부(16), 폼패널홈(18), 폼패널삽입홀(19)로 구성된다.
상기 평판(12)은 콘크리트가 직접 맞닿는 부분으로써 매끄러운 철강으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바(14)는 콘크리트의 타설로 상기 평판(12)에 가해지는 하중을 견디기 위하여 상기 평판(12)에 설치되는 지지수단으로서, 상기 평판(12)에 수평 또는 수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돌기부(16)는 상기 평판(12)의 끝단부에 돌출 형성된 부분으로서, 다수의 패널들을 연결시키기 위하여 그 내부에는 폼패널홈(18), 폼패널삽입홀(1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폼패널홈(18)은 상기 패널연결수단(30)이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그 내부에는 고정수단(40)이 연결되는 폼패널삽입홀(1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조패널(20)은 상기 규격이 다른 폼패널(10)들 사이의 간격을 메꿔주도록 상기 폼패널(10)의 돌기부(16)와 대응되는 모양으로 형성된 부재로서, 보조패널홈(22)과 보조패널삽입홀(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조패널홈(22)은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폼패널홈(18)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패널삽입홀(24)은 보조패널홈(22)에 상기 폼패널삽입홀(19)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조패널삽입홀(24)은 상기 폼패널삽입홀(19)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보조패널홈(22)의 좌우측으로 번갈아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조패널(20)은 폴리에틸렌(PE)과 폴리프로필렌(PP)을 혼합한 수지를 발포시킨 발포성 혼합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포성 수지로 제조된 보조패널(20)의 중량은 종래 수지로 제조된 보조패널(20) 중량의 약 1/3이므로 매우 가벼우므로, 취급이 용이하다.
상기 패널연결수단(30)은 대응되는 내측 폼패널(10) 외측 폼패널(10)을 연결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그 양단에는 결합홈(32)이 형성되어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지지시스템에서 고정수단의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40)은 상기 폼패널(10)들과 그 사이에 삽입된 상기 보조패널(20)을 결합시키는 수단으로서, 체결핀(42)과 고정핀(44)으로 구성된다.
상기 체결핀(42)은 상기 폼패널삽입홀(19)로부터 이에 대응하는 보조패널삽입홀(24)을 관통하여 맞은편 폼패널삽입홀(19)로 삽입되어 상기 패널들을 체결시키는 수단이다.
상기 체결핀(42)에는 그 양측에 두 개의 고정홈(4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홈의 가로방향 길이는 약 25mm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고정홈(43) 사이의 간격은 약 2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핀(42)은 패널 홀(19,24)들에 삽입을 용이하기 위하여 양단이 라운딩처리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핀(44)은 상기 고정홈(43)에 밀착 삽입되어 상기 체결핀(42)에 의해 상기 패널들을 밀착 고정시키는 수단으로서, 상기 고정핀(44)은 직경이 달라지도록 그 일단에서 타단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한편 폼패널(10)에 맞닿는 부분은 수직으로 형성되고 그 맞은편은 그 일단에서 타단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지지시스템의 조립후의 측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고정수단(40)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보조패널(20)의 두께에 상관없이 폼패널(10)과 보조패널(20)이 밀착고정됨을 알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지지시스템을 설치과정에 따라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폼패널(10)들과 상기 보조패널(20)들 및 상기 패널연결수단(30)을 각각의 위치에 배열하여 조립한다.
상기 조립과정에서 상기 보조패널(20)은 그 방향성을 고려하지 않고 폼패널(10)들 사이에 삽입시킬 수 있다.
이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패널(20)에는 보조패널삽입홀(24)이 지그재그로 번갈아 형성되어 있어, 어떤 방향으로 삽입하더라도 상기 보조패널삽입홀(24)은 폼패널삽입홀(19)과 대응되기 때문이다.
상기 패널(10,20)들을 조립한 후에 상기 고정수단(40)으로 상기 패널(10,20)들을 고정시킨다.
즉, 상기 조립된 패널(10,20)들의 대응되는 홀(19,24)들 사이로 체결핀(42)을 센터링하여 관통 체결한다.
상기 체결핀(42)의 양단은 상기 폼패널삽입홀(19)들과 상기 보조패널삽입홀(24)에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그 양단의 폭이 좁아지도록 처리하였으며, 상기 체결핀(42)의 단부는 라운딩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폼패널(10)에 삽입되는 보조패널(20)의 두께(t)가 보통 10 내지 30mm인 것을 고려하여 상기 체결핀(42)의 고정홈(43)들 사이의 간격은 약 20mm으로 하였으며, 상기 고정핀(44)은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었다.
따라서 상기 보조패널(20)의 두께가 10mm인 경우에는 상기 폼패널(10)과 보조패널(20)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핀(44)은 끝단까지 삽입되며, 상기 보조패널(20)의 두께가 10mm 이상 30mm 이하인 경우에는 그 보조패널(20)의 두께에 따라 상기 패널(10,20)들이 밀착 고정될 때까지 상기 경사진 고정핀(44)이 삽입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지지시스템에 의하면, 본 고안의 보조패널은 보조패널삽입홀이 지그재그로 번갈아 형성되어 있어 조립시 그 방향성을 고려하지 않고 폼패널들 사이에 삽입시킬 수 있는 보조패널이 포함된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지지시스템을 제공하게 된다.
보조패널의 방향성을 고려하지 않고 패널들을 조립시킬 수 있으므로 시스템의 조립 시간이 단축되며 미숙련공도 용이하게 상기 시스템을 조립할 수 있게된다.
또한 종래에는 착오로 보조패널의 방향을 바꾸어 패널들을 조립한 후에 체결하는 과정에서 이를 발견한 경우에는 초기의 조립을 해제하고 재조립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고안에 의한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지지시스템에서는 보조패널을 어떤 방향으로 삽입하여도 조립될 수 있으므로, 상기 문제점이 해결되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지지시스템에 의하면, 체결핀의양측에 일정 길이의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홈에 경사진 고정핀이 삽입되어, 다양한 두께의 보조패널에도 적합한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지지시스템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호 다른 두께의 보조패널을 조립하기 위해 종래와 같이 체결핀에 다수의 핀변위홀을 형성시켜 못으로 고정하던 것과는 다르게 체결핀과 고정핀만으로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보조패널의 두께에 따라 못을 이용하던 종래의 시스템에서는 변위홀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일정한 두께의 보조패널에만 적용될 수 있으나, 본 고안에 따른 체결핀과 경사진 고정핀에 의하면 미세한 차이의 두께를 갖는 보조패널에도 적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못은 지지력이 약하여 폼패널 자체가 와해될 가능성이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양단에 체결핀과 일정 두께의 고정핀으로 견고하게 고정하여 줌으로써 체결력과 지지력이 향상되며 견고하게 폼들을 밀착체결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체결핀은 그 양단의 폭이 좁아지도록 처리하였으며, 특히 그 단부는 라운딩 처리되어 패널 홀들에 삽입을 용이하게 된다.
또한 양단이 모두 돌기부가 없고 평평하게 처리되어 있으므로, 폼패널의 오른쪽 또는 왼쪽의 어느 방향으로도 상기 체결핀을 삽입시킬 수 있게되어, 조립이 더욱 용이하게 된다.

Claims (6)

  1.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그 외측에 다수의 지지바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돌기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폼패널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폼패널홈에 폼패널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폼패널;
    상기 폼패널들 사이의 간격을 메꿔주도록 상기 폼패널의 돌기부와 대응되는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폼패널들 사이에 삽입되며, 상기 폼패널홈과 대응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보조패널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패널홈 일측에는 상기 폼패널삽입홀과 대응되도록 보조패널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보조패널;
    상기 폼패널들 중 대응되는 내외측 폼패널들을 연결하도록 상기 외측 폼패널홈으로부터 대응되는 상기 내측 폼패널홈으로 삽입 결합되는 패널연결수단; 및
    상기 폼패널들과 그 사이에 삽입된 상기 보조패널을 결합시키기 위하여 각각 대응되는 상기 폼패널홀들과 상기 보조패널홀들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지지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패널삽입홀은 상기 폼패널삽입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보조패널홈의 좌우측으로 번갈아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지지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그 양측에 두 개의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는 체결핀과, 상기 체결핀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고정홈에 밀착 삽입되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지지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핀은 상기 폼패널삽입홀들과 상기 보조패널삽입홀에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그 양단의 폭이 좁아지도록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지지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은 직경이 달라지도록 그 일단에서 타단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지지시스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패널은 내구성이 있으며 가벼운 발포성 수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지지시스템.
KR2020020018745U 2002-06-20 2002-06-20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는 보조패널과 고정수단을 포함한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지지시스템 KR2002884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745U KR200288410Y1 (ko) 2002-06-20 2002-06-20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는 보조패널과 고정수단을 포함한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지지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745U KR200288410Y1 (ko) 2002-06-20 2002-06-20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는 보조패널과 고정수단을 포함한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지지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8410Y1 true KR200288410Y1 (ko) 2002-09-10

Family

ID=73076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8745U KR200288410Y1 (ko) 2002-06-20 2002-06-20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는 보조패널과 고정수단을 포함한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지지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841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270U (ko) * 2015-12-16 2017-06-26 (주)진명에프앤씨 유로폼 클램핑 장치
KR102271271B1 (ko) * 2020-01-22 2021-06-30 주식회사 제이씨엔아이 해체용 보 거푸집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270U (ko) * 2015-12-16 2017-06-26 (주)진명에프앤씨 유로폼 클램핑 장치
KR200485667Y1 (ko) * 2015-12-16 2018-03-22 (주)동은에프앤씨 유로폼 클램핑 장치
KR102271271B1 (ko) * 2020-01-22 2021-06-30 주식회사 제이씨엔아이 해체용 보 거푸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8333891A (ja) 型枠用中空パネルおよびこれを用いた型枠システム
KR101312873B1 (ko) 벽체 시공을 위한 수도관 지지 장치
KR200288410Y1 (ko)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는 보조패널과 고정수단을 포함한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지지시스템
KR20110126399A (ko) 다양한 형태를 갖는 체결패널 및 원터치 방식의 체결유닛을 포함하는 거푸집 체결구조
KR100684058B1 (ko)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을 위한 지수판 조립구조
US5907939A (en) Masonry hanger
KR101960783B1 (ko) 거푸집과 철근의 간격 유지 기구
JPH0972028A (ja) 型枠パネルの連結具
JPH06146219A (ja) コンクリート製プレキャスト床版の継手構造
KR100447281B1 (ko) 유로폼 거푸집용 스페이서
KR200174059Y1 (ko) 지수판 연결 구조물
KR101836090B1 (ko) 철근 결속구
CA2631947C (en) One-sided insulated formwork
JP3721647B2 (ja) 複数のプレートを端部に有するスペーサー部材を用いた成形体繋ぎあわせ式コンクリート型枠材料
KR200303803Y1 (ko)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는 보조패널을 포함한 콘크리트타설을 위한 지지시스템
KR101938357B1 (ko) 거푸집과 철근의 간격 유지 기구
KR200196745Y1 (ko) 철근 체결핀을 사용한 콘크리트 거푸집 구조물
JP2002206338A (ja) プラスチック製パネル
KR200347345Y1 (ko) 거푸집
CN109235749B (zh) 一种eps模块及使用方法
JP2016128649A (ja) 鉄筋配設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構造物
KR20010090924A (ko) 유로폼 거푸집용 스페이서
KR101803487B1 (ko) 거푸집 연결용 보강재
KR100392031B1 (ko) 건물시공용 철골조와 이를 이용한 건물 시공방법
JPH10159259A (ja) 鉄筋コンクリート用スペー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