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0783B1 - 거푸집과 철근의 간격 유지 기구 - Google Patents

거푸집과 철근의 간격 유지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0783B1
KR101960783B1 KR1020180117410A KR20180117410A KR101960783B1 KR 101960783 B1 KR101960783 B1 KR 101960783B1 KR 1020180117410 A KR1020180117410 A KR 1020180117410A KR 20180117410 A KR20180117410 A KR 20180117410A KR 101960783 B1 KR101960783 B1 KR 101960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reinforcing bars
piece
fixing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7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태
박광섭
Original Assignee
김윤태
박광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태, 박광섭 filed Critical 김윤태
Priority to KR1020180117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07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0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0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8Spacers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and spacing the reinforcements from th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켜 주면서, 상기 철근을 일체화시키기 위한 바(bar)의 설치 작업을 간소화시켜 줄 수 있어, 작업에 소요되는 노동력을 절감하고 작업 시간을 단축시키도록 구현한 거푸집과 철근의 간격 유지 기구에 관한 것으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철근 중 가장자리의 서로 인접한 두 철근을 연결하기 위한 몸체; 상기 몸체에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두 철근을 각각 삽입하기 위한 두 개의 삽입홀; 및 상기 삽입홀 중 하나 이상에 형성되어, 상기 두 철근을 각각 고정하기 위한 고정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거푸집과 철근의 간격 유지 기구{SPACER OF CONCRETE AND REINFORCING BAR}
본 발명은 거푸집과 철근의 간격 유지 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거푸집의 패널과 그 내부에 배치되는 철근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켜 주면서, 철근을 일체화시켜 주기 위한 바(bar)를 철근에 연결 고정시켜 주기 위한 거푸집과 철근의 간격 유지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공사나 토목 공사에 있어서, 콘크리트 구조물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구조물의 형상에 대응하는 거푸집을 가설하고, 상기 거푸집의 내부로 콘크리트를 부어 굳힌다.
종래의 사용되는 거푸집은, 콘크리트 거푸집용 합판을 주로 사용하며, 공사에 따라 경질섬유판, 합성수지, 알루미늄 패널, 강판 등을 사용하기도 한다. 이때, 상기 거푸집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붓기 이전에, 거푸집의 내부에 철근을 넣고,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콘크리트의 인장(引張), 진동(振動), 충격에 대한 저항을 증대시킨다.
상기와 같은 철근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 내력이나 내구성의 측면에서 거푸집과 철근 사이의 간격을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스페이서(철근 받침대)를 사용되는데, 복잡하고 다양한 형상의 부재에 적용하기 위해 플라스틱 재질의 스페이서가 사용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68877호(2011.09.23. 등록)는 다기능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철근 간격 조절 방법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상기 다기능 스페이서는, 내부에 철근에 삽입되는 철근 삽입구가 형성되고, 외주면은 거푸집의 안쪽 면에 접촉되며, 상기 철근 삽입구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거푸집과 철근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몸체부; 및 상기 철근에 삽입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철근 삽입구까지 형성된 철근 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상기 철근 삽입구 및 철근 삽입부를 포함하고, 반타원 형상을 갖는 제1 몸체부와,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철근 삽입부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반타원 형상을 갖는 제2 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381791호(2017.04.14. 등록)는 콘크리트 건축물의 내·외벽면을 구축할 때 양측 거푸집의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거푸집 간격 유지구를 개시하고 있는데, 상기 거푸집 간격 유지구는, 본체의 일측에는 타이볼트의 관통을 허용하도록 형성되는 중심공과; 상기 본체의 타측에는 상기 중심공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며, 플라스틱 튜브 단부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외측은 넓고 내측으로 갈수록 점차로 좁아지는 내경을 가지는 삽입공과; 상기삽입공의 내주면에는 플라스틱 튜브의 외주면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일정간격으로 돌출되어 있는 지지돌부; 및 상기 중심공과 삽입공의 경계부위인 본체의 내부에는 플라스틱 튜브의 단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단턱을 구성하여서 된 것이며, 또한 상기 본체는 콘크리트몰탈과 같은 재질의 시멘트몰탈로 구성하며,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는 콘크리트몰탈과의 접착력을 높이면서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간격 유지구를 사용하여 철근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 서로 이격 배치된 철근을 일체화하기 위하여, 인접한 철근을 연결하도록 U 바를 설치하는데, 상기 U 바와 철근 사이를 철사로 묶어 고정시키기 때문에, 철사를 감아 묶는 동안 상당량의 노동력과 작업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68877호 한국등록특허 제10-0381791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철근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켜 주면서, 상기 철근을 일체화하기 위한 바(bar)의 설치 작업을 간소화시켜 줄 수 있는 거푸집과 철근의 간격 유지 기구를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철근 중 가장자리의 서로 인접한 두 철근을 연결하기 위한 몸체; 상기 몸체에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두 철근을 각각 삽입하기 위한 두 개의 삽입홀; 및 상기 삽입홀 중 하나 이상에 형성되어, 상기 두 철근을 각각 고정하기 위한 고정체를 포함하는 거푸집과 철근의 간격 유지 기구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몸체는,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연장되는 제1편부재; 및 상기 제1편부재의 양측으로부터 수직을 이루도록 연장되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삽입홀이 형성되는 제2 및 제3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고정체는, 상기 제2 및 제3편부재 사이로 억지끼움 결합되는 결합부재; 상기 결합부재의 중앙 부분에 상기 삽입홀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상기 두 철근을 각각 고정하기 위한 고정홀; 및 상기 결합부재의 일측과 상기 고정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두 철근을 각각 상기 고정홀 쪽으로 삽입하기 위한 라인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고정체는, 상기 결합부재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제2 및 제3편부재 사이로부터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고정체는, 상기 결합부재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재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형상유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존에는 인접한 철근을 연결하기 위해 U 바를 설치한 후 철근과 U 바 사이를 묶거나 별도의 고정 작업이 필요하여 번거로움이 있었던 반면에, 본 발명에 의하면 U 바가 아닌 일 말단이 수직으로 절곡된 바(bar)를 사용함으로써, 바(bar)를 거푸집과 철근의 간격 유지 기구에 걸어 별도의 설치 또는 고정 작업 없이 사용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철근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켜 주면서, 철근을 일체화시키기 위한 바(bar)의 설치 작업을 간소화시켜 줄 수 있어, 작업에 소요되는 노동력을 절감하고 작업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거푸집과 철근 사이의 거리를 유지 확보할 수 있어, 콘크리트 타설시 철근의 휘어짐에 따른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또는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철근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거푸집과 철근의 간격 유지 기구를 이용하여 철근과 바를 연결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나타낸 몸체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나타낸 몸체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 나타낸 몸체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서 나타낸 삽입홀의 제2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서 나타낸 삽입홀의 제3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3에서 나타낸 걸림턱의 제2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서 나타낸 고정체의 제1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1에서 나타낸 고정체의 제2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에서 나타낸 고정체의 제3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에서 나타낸 고정체의 제4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에서 나타낸 몸체의 제2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거푸집과 철근의 간격 유지 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서 나타낸 거푸집 철근의 간격 유지 기구의 정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거푸집과 철근의 간격 유지 기구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거푸집과 철근의 간격 유지 기구를 이용하여 철근과 바(bar)를 연결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거푸집과 철근의 간격 유지 기구는, 거푸집의 패널과 그 내부에 배치되는 철근(S)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켜 주면서, 철근(S)을 일체화시켜 주기 위한 바(bar)(B)를 철근(S)에 연결 고정시켜 준다.
여기서, 바(bar)(B)는, 서로 이격 배치된 철근(S)을 일체화 시켜주기 위한 것으로서, 일 말단이 수직으로 절곡 형성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거푸집과 철근의 간격 유지 기구는, 몸체(100), 삽입홀(200) 및 고정체(400)를 포함한다.
몸체(100)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철근 중 가장자리의 서로 인접한 두 철근(S)을 연결한다.
일 실시 예에서, 몸체(100)는, 양단부의 상측으로 2개 바(bar)(B)가 각각 안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몸체(100)는, 단부로 거푸집을 밀어, 철근(S)과 거푸집 사이의 거리를 유지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몸체(100)는, 철강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삽입홀(200)은, 몸체(100)에 두 군데에 형성되며,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두 철근(S)을 각각 삽입하여 고정시켜 준다. 이때 두 철근(S)은 삽입홀(200) 사이의 거리만큼 이격거리를 유지 및 확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삽입홀(200)은 철근(S)의 외주에 끼워질 수 있도록 철근(S)의 외주에 대응하는 반타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정체(400)는, 삽입홀(20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되며, 삽입홀(200)로 삽입되는 철근(S)을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이로 인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또는 콘크리트 타설 등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철근(S)이 삽입홀(2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체(400)는, 내구성과 탄력성이 좋은 플라스틱, 알루미늄 등의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거푸집과 철근의 간격 유지 기구는 걸림턱(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걸림턱(300)은, 몸체(100)의 양단부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바(bar)(B)를 걸어 구속한다. 이에 따라, 바(bar)를 걸림턱(300)과 철근(S) 사이에 끼워 바로 사용 가능하므로, 별도의 고정 작업을 거치지 않아도 된다.
일 실시 예에서, 걸림턱(300)은, 바(bar)(B)의 규격에 따라 그 크기가 다르게 형성되어, 바(bar)(B)가 이탈되지 않도록 막아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걸림턱(300)은, 바(bar)를 잡아주는 역할을 하며, 수평 철근을 구속하여 수평 철근이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걸림턱(300)은, 제2 및 제3편부재(120)(130)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제2 및 제3편부재(120)(130)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편부재(110)와 제2편부재(120)의 연결 모서리 또는 제1편부재(110)와 제3편부재(130)의 연결 모서리에는, 걸림턱(300)으로부터 시작하여 몸체(100)의 중앙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연장되는 절취선(미도시)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거푸집과 철근의 간격 유지 기구에 의하면, 철근을 일체화시키기 위한 바(bar)의 설치 작업을 간소화시켜 줄 수 있어, 작업에 소요되는 노동력을 절감하고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지며, 안착되는 바(bar)의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
도 2는 도 1에서 나타낸 몸체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나타낸 몸체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1에서 나타낸 몸체의 배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몸체(100)는, 제1편부재(110), 제2편부재(120) 및 제3편부재(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편부재(110)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양측에 제2 및 제3편부재(120)(130)가 연장 형성된다.
제2편부재(120)는, 제1편부재(110)의 일측으로부터 수직을 이루도록 연장되어, 삽입홀(200)이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편부재(120)는, 양단에 돌출편이 형성되어, 콘크리트 작업 후 거푸집을 해체하였을 시에 외부로 노출되는 면적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외기와 접하면서 녹쓸거나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3편부재(130)는, 제1편부재(110)의 다른 일측으로부터 수직을 이루도록 연장되어, 제2편부재(120)에 형성된 삽입홀(200)과 마주하도록 삽입홀(200)을 형성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3편부재(130)는, 양단에 돌출편(131)이 형성되어, 콘크리트 작업 후 거푸집을 해체하였을 시에 외부로 노출되는 면적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외기와 접하면서 녹쓸거나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에서 나타낸 삽입홀의 제2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삽입홀(200,201) 중 선택된 하나의 삽입홀(201)은, 비스듬히 기울어진 반타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삽입홀(200,201)의 내부로 철근을 인입시키는 경우, 몸체(100)를 비스듬하게 기울여 일 삽입홀(201)에 철근을 인입시키고, 삽입홀(201)으로 철근(S)이 삽입된 후에는 몸체(100)를 수평으로 회전하여, 철근(S)을 삽입홀(201)에 걸림 고정시킴으로써, 철근(S)이 삽입홀(201)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도 2에서 나타낸 삽입홀의 제3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삽입홀(201,202)은, 모두 비스듬히 기울어진 반타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거푸집과 철근의 간격 유지 기구는, 철근(S)의 고정력을 높여, 철근(S)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철근 콘크리트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도 3에서 나타낸 걸림턱의 제2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걸림턱(300)은, 연장부(310) 및 걸림부(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장부(310)는, 몸체(100)의 양단부로부터 몸체(100)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연장 형성된다.
걸림부(320)는, 연장부(310)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바(bar)의 상단을 감싸 고정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걸림부(320)는, 상부로 갈수록 몸체(100)의 중앙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은 도 1에서 나타낸 고정체의 제1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고정체(400)는, 결합부재(410), 고정홀(420), 라인홀(430)을 포함한다.
결합부재(410)는, 삽입홀(200)이 형성되는 부분의 제2 및 제3편부재(120)(130) 사이로 억지끼움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결합부재(410)는, 필요에 따라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고정홀(420)은, 삽입홀(200)에 대응하는 결합부재(410)의 중앙 부분에 형성되어, 철근(S)을 삽입하여 고정한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홀(420)은, 철근(S)의 외주에 대응하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어, 철근(S)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철근(S)은 삽입홀(200)에 삽입되어 일차적으로 고정되며, 고정홀(420)에 삽입되어 이차적으로 고정되는 것이다.
라인홀(430)은, 결합부재(410)의 일측과 고정홀(420) 사이에 형성되며, 철근(S)을 고정홀(420)쪽으로 삽입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라인홀(430)은, 외측으로 갈수록 넓어지게 형성되어 철근(S)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도 9는 도 1에서 나타낸 고정체의 제2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고정체(400)는, 결합부재(410), 고정홀(420), 라인홀(430), 이탈방지부재(440)를 포함한다. 여기서, 결합부재(410), 고정홀(420), 라인홀(430)은 도 8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
이탈방지부재(440)는, 결합부재(41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형성되며, 결합부재(410)가 제2 및 제3편부재(120)(130) 사이로부터 이탈을 방지한다.
일 실시 예에서, 이탈방지부재(440)는, 엠보싱이 구비된 고무패드로 형성되어 제2 및 제3편부재(120)(130)에 밀착력을 향상시킴으로써, 결합부재(410)가 제2 및 제3편부재(120)(130) 사이로부터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이탈방지부재(440)는, 결합부재(410)의 상단과 하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어, 필요에 따라 이탈방지부재(440)를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이탈방지부재(440)는, 다수겹으로 적층 형성하여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제2 및 제3편부재(120)(130) 사이의 간격 길이보다 결합부재(410)의 높이가 낮은 경우에 이탈방지부재(440)를 다수개로 적층 형성하여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결합부재(410)를 제2 및 제3편부재(120)(130) 사이에 완전히 밀착시킬 수 있다.
도 10은 도 1에서 나타낸 고정체의 제3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고정체(400)는, 결합부재(410), 고정홀(420), 라인홀(430), 형상유지부재(450)를 포함한다. 여기서, 결합부재(410), 고정홀(420), 라인홀(430)은 도 8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
형상유지부재(450)는, 결합부재(410)의 내부에 형성되어, 결합부재(410)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여 결합부재(410)의 파손 또는 늘어짐을 방지한다.
일 실시 예에서, 형상유지부재(450)는, 단단한 금속 재질(예를 들어, 구리 등)로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형상유지부재(450)는, 결합부재(410)의 형상과 대응하게 형성되되, 크기는 결합부재(410) 보다 작게 형성되어 결합부재(410)의 내부 중앙 부분에 위치시킴으로써, 결합부재(410)의 탄력성을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도 11은 도 1에서 나타낸 고정체의 제4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고정체(400)는, 결합부재(410), 고정홀(420), 라인홀(430), 탄력홈(460), 리벳홀(470)을 포함한다. 여기서, 결합부재(410), 고정홀(420), 라인홀(430)은 도 8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
탄력홈(460)은, 결합부재(410)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로 형성되며, 결합부재(410)의 탄력성을 향상시켜준다.
일 실시 예에서, 탄력홈(460)은,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할 수 있다.
리벳홀(470)은, 다수개의 탄력홈(460) 사이에 해당하는 위치의 결합부재(410)에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되며, 후술할 리벳(141)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2는 도 1에서 나타낸 몸체의 제2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몸체(100)는, 제1편부재(110), 제2편부재(120) 및 제3편부재(130), 리벳 관통홀(140), 리벳(141)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편부재(110), 제2편부재(120) 및 제3편부재(130)는 도 1 내지 도 4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
리벳 관통홀(140)은, 고정체(400)의 리벳홀(470)과 대응하는 위치의 제2편부재(120) 및 제3편부재(130)에 형성되어, 리벳(141)을 관통시킨다.
리벳(141)은, 리벳 관통홀(140)을 관통하여 리벳홀(470)에 삽입되어 머리부분을 받친 후 압착 변형시켜서 제2편부재(120) 및 제3편부재(130)와 고정체(400) 사이를 체결한다.
일 실시 예에서, 리벳(140)은, 고정체(400)의 높이가 제2 및 제3편부재(120)(130) 사이의 간격 길이와 동일하거나 짧은 경우에, 고정체(400)를 수직방향으로 가압하여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2편부재(120) 및 제3편부재(130)와 고정체(400) 사이를 체결함으로써 고정체(400)가 제2 및 제3편부재(120)(130) 사이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거푸집과 철근의 간격 유지 기구의 평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에서 나타낸 거푸집 철근의 간격 유지 기구의 정면도이다. 여기서, 도 2 및 도 3과 같은 부호를 가지는 구성은 동일한 기능과 형상을 가지는 동일 부재이므로, 반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거푸집과 철근의 간격 유지 기구는, 몸체(100) 내부로 콘크리트 액이 채워지기 위하여, 몸체(100)의 내부로 콘크리트액을 유입시키기 위한 제1관통홀(111), 제2관통홀(121) 및 제3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된다.
제1편부재(110)는, 복수 개의 제1관통홀(111)이 형성되고, 제2편부재(120) 및 제3편부재(130)에는 서로 마주하는 제2관통홀(121) 및 제3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관통홀(111)과, 제2관통홀(121) 및 제3관통홀(미도시)는 서로 다른 수직선상에 배치되도록 어긋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거푸집과 철근의 간격 유지 기구는, 제1 관통홀(111)과, 제2관통홀(121) 및 제3관통홀(미도시)이 어긋나도록 배치됨으로써, 콘크리트액의 타설시, 콘크리트 액이 몸체(100) 내부로 채워지면서 콘크리트의 내부에 견고하게 매설될 수 있으며, 수직 응력에 대하여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S : 철근
B : 바
100 : 몸체
110 : 제1편부재
111 : 제1관통홀
120 : 제2편부재
121 : 제2관통홀
130 : 제3편부재
131 : 돌출편
140 : 리벳 관통홀
141 : 리벳
200, 201, 202 : 삽입홀
300 : 걸림턱
400 : 고정체
410 : 결합부재
420 : 고정홀
430 : 라인홀
440 : 이탈방지부재
450 : 형상유지부재
460 : 탄력홈
470 : 리벳홀

Claims (5)

  1.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철근 중 가장자리의 서로 인접한 두 철근을 연결하기 위한 몸체;
    상기 몸체에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두 철근을 각각 삽입하기 위한 두 개의 삽입홀; 및
    상기 삽입홀 중 하나 이상에 형성되어, 상기 두 철근을 각각 고정하기 위한고정체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는,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연장되는 제1편부재; 및
    상기 제1편부재의 양측으로부터 수직을 이루도록 연장되며,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삽입홀이 형성되는 제2 및 제3편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편부재는, 복수 개의 제1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편부재 및 제3편부재에는 서로 마주하는 제2관통홀 및 제3관통홀이 형성되되,
    상기 제1 관통홀과, 상기 제2관통홀 및 제3관통홀은 서로 다른 수직선상에 배치되도록 어긋나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체는,
    상기 제2 및 제3편부재 사이로 억지끼움 결합되는 결합부재;
    상기 결합부재의 중앙 부분에 상기 삽입홀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상기 두 철근을 각각 고정하기 위한 고정홀;
    상기 결합부재의 일측과 상기 고정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두 철근을 각각 상기 고정홀 쪽으로 삽입하기 위한 라인홀;
    상기 결합부재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제2 및 제3편부재 사이로부터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재; 및
    상기 결합부재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재의 탄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탄력홈을 포함하며,
    상기 이탈방지부재는, 다수겹으로 적층 형성하여 높낮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과 철근의 간격 유지 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는,
    상기 결합부재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재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형상유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과 철근의 간격 유지 기구.
KR1020180117410A 2018-10-02 2018-10-02 거푸집과 철근의 간격 유지 기구 KR101960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7410A KR101960783B1 (ko) 2018-10-02 2018-10-02 거푸집과 철근의 간격 유지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7410A KR101960783B1 (ko) 2018-10-02 2018-10-02 거푸집과 철근의 간격 유지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0783B1 true KR101960783B1 (ko) 2019-03-21

Family

ID=66036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7410A KR101960783B1 (ko) 2018-10-02 2018-10-02 거푸집과 철근의 간격 유지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07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95733A (zh) * 2019-08-01 2019-10-01 北京城建六建设集团有限公司 地采暖地面垫层分隔缝模具、分隔缝结构及其施工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4970Y1 (ko) * 1988-08-05 1991-07-12 홍석훈 철근 골조용 스페이서
KR970006704A (ko) * 1995-07-15 1997-02-21 소광민 조립식 철근배근체를 이용한 내ㆍ외장재의 동시 시공구조
KR100381791B1 (ko) 2000-03-30 2003-05-01 조홍준 거푸집 간격유지구
KR101068877B1 (ko) 2008-12-22 2011-09-30 한국수자원공사 다기능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철근 간격 조절 방법
KR20150044210A (ko) * 2013-10-16 2015-04-24 삼광선재 주식회사 옹벽 전용 스페이서
KR20160057900A (ko) * 2014-11-14 2016-05-24 최재수 트러스 거더 고정용 스페이서 및 그 스페이스를 이용한 트러스 거더 고정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4970Y1 (ko) * 1988-08-05 1991-07-12 홍석훈 철근 골조용 스페이서
KR970006704A (ko) * 1995-07-15 1997-02-21 소광민 조립식 철근배근체를 이용한 내ㆍ외장재의 동시 시공구조
KR100381791B1 (ko) 2000-03-30 2003-05-01 조홍준 거푸집 간격유지구
KR101068877B1 (ko) 2008-12-22 2011-09-30 한국수자원공사 다기능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철근 간격 조절 방법
KR20150044210A (ko) * 2013-10-16 2015-04-24 삼광선재 주식회사 옹벽 전용 스페이서
KR20160057900A (ko) * 2014-11-14 2016-05-24 최재수 트러스 거더 고정용 스페이서 및 그 스페이스를 이용한 트러스 거더 고정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95733A (zh) * 2019-08-01 2019-10-01 北京城建六建设集团有限公司 地采暖地面垫层分隔缝模具、分隔缝结构及其施工方法
CN110295733B (zh) * 2019-08-01 2024-01-23 北京城建六建设集团有限公司 地采暖地面垫层分隔缝模具、分隔缝结构及其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6827Y1 (ko) 시공성이 우수한 유로폼용 고정구
KR102179516B1 (ko) 조립식 영구 거푸집 및 그 시공 방법
JP2017515997A (ja) 帯鉄筋固定具、ワンタッチ締め付け式帯鉄筋及び帯鉄筋固定具により帯鉄筋が係合された鉄筋コンクリート部材
KR101960783B1 (ko) 거푸집과 철근의 간격 유지 기구
WO2016129800A1 (ko) 원터치 고정형 격자철선을 이용한 철근 일체형 합성구조
KR101552226B1 (ko) T형 데크플레이트의 중공폼 설치구조
CN110185469B (zh) 一种隧道二衬结构钢筋保护层控制方法
KR101938357B1 (ko) 거푸집과 철근의 간격 유지 기구
KR100684058B1 (ko)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을 위한 지수판 조립구조
KR20170050143A (ko) 포밍관을 이용한 조립식 거푸집
KR101310843B1 (ko) 장선 및 멍에부재가 일체화된 보강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조립체
CN210013385U (zh) 一种钢筋卡接装置
CN211948754U (zh) 一种雨水方沟墙体施工缝止水带处防变形装置
KR200357642Y1 (ko) 인코너판넬 보강구조
KR102064451B1 (ko) 시멘트 페이스트의 누출 방지를 위한 건축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KR102036772B1 (ko) 단열 데크플레이트
KR200174059Y1 (ko) 지수판 연결 구조물
KR101083403B1 (ko) 벽면 타설용 폼블록 고정용 브릿지
KR101119059B1 (ko) 지수판
KR101938974B1 (ko) 거푸집용 조인트 장치
KR100848381B1 (ko) 골판형 합성상판
KR200288410Y1 (ko)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는 보조패널과 고정수단을 포함한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지지시스템
KR101068877B1 (ko) 다기능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철근 간격 조절 방법
JP2018204386A (ja) 補強材、補強構造
JP6188323B2 (ja) 梁のピン連結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