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4059Y1 - 지수판 연결 구조물 - Google Patents

지수판 연결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4059Y1
KR200174059Y1 KR2019980005461U KR19980005461U KR200174059Y1 KR 200174059 Y1 KR200174059 Y1 KR 200174059Y1 KR 2019980005461 U KR2019980005461 U KR 2019980005461U KR 19980005461 U KR19980005461 U KR 19980005461U KR 200174059 Y1 KR200174059 Y1 KR 2001740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ex plate
water
plate
concrete
f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54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9297U (ko
Inventor
김영조
Original Assignee
김영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조 filed Critical 김영조
Priority to KR20199800054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4059Y1/ko
Publication of KR199900392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92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40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40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04B1/6806Waters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시 콘크리트 이어붓기 면을 통한 누수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지수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수판 간 연결부의 밀폐도를 향상시켜 콘크리트 이어붓기 면에 충분한 수밀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지수판이 콘크리트 구조물의 중앙부에 안정된 상태로 설치되도록 하는 지수판 연결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중앙의 심재(5)를 중심으로 상하면에 연장부(6)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6)의 표면에 복수개의 걸림돌기(8)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수판(1)과; 양측에 상기 지수판(1)이 끼워질 수 있도록 수납공간(3)을 형성하되, 상기 수납공간(3)의 내측 중앙부에는 분리벽(9)을 구비하는 수팽창부재(2)와; 상기 수팽창부재(2)의 수납공간(3)에 끼워지는 지수판(1)의 단부가 상기 수납공간(3)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수팽창부재(2)의 외측 단부에 설치되는 클램프 커플링 부재(4)와; 상기 수팽창부재(2)로 연결된 지수판(1)이 타설되는 콘크리트(7)의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지수판(1)의 상측 연장부(6)에 끼워져 설치되는 지수판 고정부재(1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지수판 연결 구조물
본 고안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시 콘크리트 이어붓기 면을 통한 누수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지수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수판 사이의 연결부에 대한 밀폐도를 향상시켜 콘크리트 이어붓기 면에 충분한 수밀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지수판이 콘크리트 구조물의 중앙부에 안정된 상태로 설치되도록 하는 지수판 연결 구조물(Connection Structure being used for Cut-off plate)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근 콘크리트 구조는 철근과 콘크리트를 일체로하여 만들어지는 것으로, 구조물 구축시 배열된 철근을 중심으로 좌우에 거푸집을 설치하여 외벽 두께를 결정하고 상기 거푸집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외벽을 시공하고 있다.
이같은 시공에 있어서,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작업은 콘크리트가 양생되어 일정 강도 유지가 가능한 범위에서 이어붓기를 하는 것이 보편화 되어 있으며, 콘크리트 이어붓기를 하는 경우, 하부 시공면과 상부 시공면 사이에 이물질 등에 의한 틈이 생성됨으로 인하여 상기 틈새로 물이 누수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로 흘러들어오게되는 현상이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이같이 물이 누수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 시공면과 하부 시공면의 연결부에 지수판을 설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지수판은 한정된 길이로 성형되는 것으로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규모가 큰 경우, 다시 말해 벽면의 길이가 비교적 길게 연속되는 경우 상기 지수판을 콘크리트 구조물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 연결해서 설치하여야만 하였던 것이며, 이때 상기 각각의 지수판의 마주보는 양측 단면이 일정 폭으로 겹치도록 한 다음 볼트에 의하거나 또는 와이어와 같은 묶음용부재를 사용하여 연결하는 것이었다.
상기와 같이 연속하여 결속된 지수판은 또한 이를 거푸집의 내측에 설치함에 있어, 결속용 와이어 등을 이용하여 양측 거푸집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고정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였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지수판과 지수판의 연결부위를 볼트에 의해 체결하거나 와이어로 결속하는 경우, 이들 연결부위의 완전한 밀폐가 이루어지지 않아 콘크리트 이어붓기 면을 통해 누수된 물이 상기 지수판에 의해 충분히 차단되지 못한체 이들 겹침면이나 천공된 틈새로 유입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로 흘러 들어오게되는 현상이 발생되었다.
뿐만 아니라, 거푸집에 와이어 등으로 결속된 상기 지수판은 콘크리트 타설시 일정 방향으로 집중적인 투입이 이루어지는 콘크리트의 분사압에 의해 상기 거푸집의 중앙 부위에 설치되지 못하고 거푸집의 내측 벽면으로 밀리게 되는 현상이 발생되고, 상기 지수판이 휘어지거나 비틀린 상태로 설치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지수판 간의 연결부위가 충분히 수밀되며, 상기 지수판이 콘크리트 구조물의 중앙부에 안정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지수판 연결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지수판 연결 구조물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고정부재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지수판 고정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지수판 2: 수팽창부재 3: 수납공간 4: 클램프 커플링 부재 5: 심재 6: 연장부 7: 콘크리트 8: 걸림돌기 9: 분리벽 10: 돌출부 11: 결합홀 12: 판부재 13: 조임볼트 14: 너트 15: 거푸집 16: 지수판 고정부재 17: 띠철근 18: 날개편 19: 지지구 20: 고정홀 21: 지지편 22: 절곡부 23: 못 30: 지수판 고정부재 31: 고정편 32: 볼록부 33: 와이어 삽입홀 34: 걸림부 35: 와이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중앙의 심재를 중심으로 상하면에 연장부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의 표면에 복수개의 걸림돌기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수판과; 양측에 상기 지수판이 끼워질 수 있도록 수납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수납공간의 내측 중앙부에는 분리벽을 구비하는 수팽창부재와; 상기 수팽창부재의 수납공간에 끼워지는 지수판의 단부가 상기 수납공간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수팽창부재의 외측 단부에 설치되는 클램프 커플링 부재와; 상기 수팽창부재로 연결된 지수판이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지수판의 상측 연장부에 끼워져 설치되는 지수판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지수판 연결 구조물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지수판 연결 구조물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지수판 고정부재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지수판(1)과, 상기 지수판(1)의 단부가 충분한 접촉면을 가지고 긴밀히 끼워져 결합되는 수팽창부재(2)와, 상기 수팽창부재(2)에 형성된 수납공간(3)에 상기 지수판(1)을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클램프 커플링 부재(4)와, 상기 지수판(1)이 거푸집(15)의 내측에 안정적으로 고정 설치되도록 하는 지수판 고정부재(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수판(1)은 세로변 중앙부에 소정의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원통형의 심재(5)를 제공하며, 상기 원통형의 심재(5)를 중심으로 상하 양측에 연장부(6)가 대칭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콘크리트(7)의 양생과 함께 상기 지수판(1)이 구조물에 견고히 결합되어 구조물의 외부로 이탈되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상기 연장부(6)의 전후 양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의 걸림돌기(8)가 형성된다. 이같은, 상기 연장부(6)는 콘크리트(7) 타설시 안정된 결합면을 유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면적을 보유하며, 이같은 연장부(6)는 또한 소정의 내구성을 유지하는 범위내에서 가능한 한 얇게 형성시켜 탄성력이 증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지수판(1)의 단부에는 포켓 구조를 갖는 수팽창부재(2)가 끼워져 결합되는데, 상기 수팽창부재(2)는 연질의 고무 재질로 형성되며, 양측에 상기 지수판(1)이 끼워지는 수납공간(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공간(3)의 중앙에는 분리벽(9)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분리벽(9)에 의해 좌우로 나뉘어진 양측의 수납공간(3)은 완전하게 차폐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팽창부재(2)의 수납공간(3)에 끼워진 지수판(1)의 단부가 상기 수납공간(3)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수납공간(3)의 개방단부와 인접한 위치에 클램프 커플링 부재(4)가 결합된다.
상기 클램프 커플링 부재(4)는, 그 중앙 부위에 상기 지수판(1)의 심재(5)와 대응되도록 반원 형상으로 절곡되는 돌출부(10)를 돌설하고 있으며, 상기 절곡된 돌출부(10)를 중심으로 상하 양측 단부에는 결합홀(11)이 형성되는 한쌍의 판부재(12)가 좌우 대칭되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판부재(12)의 결합홀(11)에는 조임볼트(13)가 각각 끼워지고 상기 조임볼트(13)에는 너트(14)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판부재(12)의 단부에 형성되는 결합홀(11)의 천공 위치는 상기 수팽창부재(2)의 폭 외측에 형성되도록 하여 수팽창부재(2)의 손상없이 견고한 조임이 가능토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지수판(1) 상부에는 상기 지수판(1)이 콘크리트(7) 타설 과정에서 투입되는 콘크리트 배합물에 의해 밀리게되어 거푸집(15)의 중앙에 위치하지 못하고 일정 방향으로 치우치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상기 지수판(1)이 콘크리트 배합물에 의해 휘어지거나 비틀린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지수판 고정부재(16)가 제공된다.
상기 지수판 고정부재(16)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15) 또는 띠철근(17)에 고정 결합되는 날개편(18)과, 상기 날개편(18)의 하부에 부착되는 지지구(19)로 구성된다.
상기 날개편(18)은 폭이 좁고 길이가 긴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양측 단부에는 못이 관통되는 고정홀(2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홀(20)은 상기 날개편(18)이 구조물의 외벽 두께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등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된다.
이같은, 상기 날개편(18)의 하부에는 지수판(1)을 지지하는 지지구(19)가 구비되는데, 상기 지지구(19)는 상기 날개편(18)의 하면 중앙부에 용접되며, 하향으로 연장되는 지지편(21)이 좌우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되는 클립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편(21)의 하단부에는 각각 내측으로 상향 절곡되는 절곡부(22)를 일체로 형성시켜, 상기 절곡부(22)가 상기 지수판(1)의 걸림돌기(8)를 지지하도록 하여 상기 지수판(1) 표면에 긁힘이나 손상 없이 상기 지지편(21)이 지수판(1) 상측에 끼워져 지지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을 콘크리트 구조물에 적용함에 있어서는 먼저, 수팽창부재(2)의 좌우 양측 수납공간(3)에 상호 연결시키고자 하는 지수판(1)의 단부를 각각 끼워 넣고 클램프 커플링 부재(4)의 판부재(12)를 상기 수팽창부재(2)의 외측면에 각각 거치시킨 다음 조임볼트(13)로 상기 판부재(12)를 조인다. 이와 같이 상기 조임볼트(12)를 조이게 되면 상기 클램프 커플링 부재(4)의 판부재(12)가 내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수팽창부재(2)의 외측면을 압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수팽창부재(2)의 내측면이 상기 지수판(1)에 밀착되어 상기 지수판(1)과 수팽창부재(2)가 수밀되면서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팽창부재(2)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클램프 커플링 부재(4)에 의한 압압 동작이 무리없이 이루어지는 것이며, 상기 지수판(1)과의 수밀성도 향상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연결된 지수판(1)의 연결체를 거푸집(15)의 내측에 위치시킨 후 콘크리트(7)를 타설하게 되는데, 상기 지수판(1)의 연결체가 지수판 고정부재(16)에 의해 거푸집(15)의 내측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과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은 사용상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지수판 고정부재(16)의 지지구(19)를 지수판(1)의 상부에서 부터 끼워넣는 것이며, 상기 지지구(19)를 내측으로 압압시켜 상기 지지구(19)의 지지편(21)이 상기 지수판(1)을 지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편(21) 하단에 형성된 절곡부(22)가 상기 지수판(1)의 걸림돌기(8)를 지지하여 상기 지수판(1)이 미끄러져 하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지수판(1)이 지지구(19)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지수판(1)을 거푸집(15)의 내측에 위치시킨 후 상기 지수판 고정부재(16)의 날개편(18)을 거푸집(15)의 상단에 안착시킨다. 이와 같이, 날개편(18)을 거푸집(15)의 상단에 안착시킨 후, 못(23)이 상기 날개편(18)의 고정홀(20)을 관통하여 상기 거푸집(15)의 상단에 고정되도록 박아 상기 날개편(18)이 유동되지 못하도록 고정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지수판 고정부재(16)의 날개편(18)이 거푸집(15)에 고정되며, 상기 지수판 고정부재(16)의 지지구(19)에 지지되어 있는 지수판(1)이 거푸집(15)의 내측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날개편(18)을 거푸집(15)의 상단에 못(23)으로서 고정 하였으나 바람직하기로는 띠철근(17)에 결속하여 고정시키는 것이 효율적일 것이다.
또한, 상기 날개편(18)의 고정홀(20)은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므로 시공하고자 하는 구조물의 두께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지수판 고정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으로 연장되는 고정편(31)이 좌우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편(31)의 상단에 외향 절곡된 볼록부(32)를 갖는 클립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볼록부(32)의 좌우 양측에는 각각 와이어 삽입홀(33)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편(31)의 하단부에는 내측으로 상향 절곡되는 걸림부(34)를 일체로 형성시킨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지수판(1)이 지수판 고정부재(30)에 의해 거푸집(15)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지수판 고정부재(30)의 볼록부(32)에 형성된 와이어 삽입홀(33) 중 일측의 와이어 삽입홀(33) 외측에서 와이어(35)의 일측 단부를 삽입시키고, 상기 삽입된 와이어(35)의 단부가 와이어 삽입홀(33)의 타측을 통하여 외측으로 인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지수판 고정부재(30)에 와이어(35)를 연결한 후, 상기 지수판 고정부재(30)를 지수판(1)의 상부에서 부터 끼워넣는 것이며, 상기 지수판 고정부재(30)의 고정편(31)을 내측으로 압압시켜 고정편(31)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부(34)가 상기 지수판(1)의 걸림돌기(8)를 지지하여 상기 지수판(1)이 하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되면서 지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지수판(1)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35)를 거푸집(15) 또는 띠철근(17)에 결속하므로서 상기 지수판 고정부재(30)가 거푸집(15)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지수판 고정부재(30)에 지지되어 있는 지수판(1)이 거푸집(15)의 내측에 안정적으로 고정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지수판 고정부재(30)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지수판 고정부재(30)가 와이어(35)에 의해 거푸집(15) 또는 띠철근(17)에 고정 설치되므로 콘크리트(7) 타설시 지수판 고정부재(30)에 의해 미타설되는 면적이 축소되는 것이며, 콘크리트(7) 양생 후 거푸집(15)을 분리하는 작업에서 상기 와이어(35)를 절단하면 되므로, 날개편(18)을 구비한 지수판 고정부재(30)를 사용시 상기 날개편(18)이 구조물의 벽면 외측으로 돌출되는데 따른 외장시공이 불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일 실시예에 의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을 따른 지수판 연결 구조물에 의하여, 지수판 간의 연결 부위가 충분히 수밀되어 물이 콘크리트 이어붓기 면을 통해 누수되어 구조물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현상이 방지되는 것이며, 지수판이 구조물의 중앙부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므로 콘크리트 부어넣기 작업시 콘크리트 하중에 의해 지수판이 유동되거나 만곡되는 현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중앙의 심재를 중심으로 상하면에 연장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의 표면에 복수개의 걸림돌기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수판과;
    양측에 상기 지수판이 끼워질 수 있도록 수납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수납공간의 내측 중앙부에는 분리벽을 구비하는 수팽창부재와;
    상기 수팽창부재의 수납공간에 끼워지는 지수판의 단부가 상기 수납공간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수팽창부재의 외측 단부에 설치되는 클램프 커플링 부재와;
    상기 수팽창부재로 연결된 지수판이,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지수판의 상측 연장부에 끼워져 설치되는 지수판 고정부재;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수판 연결 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띠철근이 배열된 거푸집의 상부에 고정 결합될 수 있도록 양측 단부에 복수개의 고정홀을 형성한 날개편과, 상기 날개편의 하부에 결합되며 지수판이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삽입공간을 구비하는 클립형의 지지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수판 연결 구조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외향절곡된 볼록부에 와이어 삽입홀을 천공하고, 상기 와이어 삽입홀에 결속용 와이어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수판 연결 구조물.
KR2019980005461U 1998-04-08 1998-04-08 지수판 연결 구조물 KR2001740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5461U KR200174059Y1 (ko) 1998-04-08 1998-04-08 지수판 연결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5461U KR200174059Y1 (ko) 1998-04-08 1998-04-08 지수판 연결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9297U KR19990039297U (ko) 1999-11-05
KR200174059Y1 true KR200174059Y1 (ko) 2000-03-02

Family

ID=19533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5461U KR200174059Y1 (ko) 1998-04-08 1998-04-08 지수판 연결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405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5060B1 (ko) * 2009-12-22 2010-11-18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콘크리트 구조물 이음장치
KR101177094B1 (ko) 2010-11-02 2012-08-30 (주)보령건설 콘크리트 벽체 지수판 불량 시공 점검 장치 및 점검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0306B1 (ko) * 2001-02-01 2004-03-04 양윤영 콘크리트용 지수판
KR20030018608A (ko) * 2001-08-30 2003-03-06 주식회사 이레피아 지수판 설치구조
CN115961703A (zh) * 2022-12-20 2023-04-14 北京城建道桥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纵向止水带紧固系统及其应用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5060B1 (ko) * 2009-12-22 2010-11-18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콘크리트 구조물 이음장치
KR101177094B1 (ko) 2010-11-02 2012-08-30 (주)보령건설 콘크리트 벽체 지수판 불량 시공 점검 장치 및 점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9297U (ko) 199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3377B1 (ko) 철근 커플러
EP0142365A1 (en) Protector clamp for well control lines
KR200174059Y1 (ko) 지수판 연결 구조물
KR101000820B1 (ko) 지수판 및 상기 지수판을 이용한 시공방법
KR200286101Y1 (ko) 철근 연결장치
KR100684058B1 (ko)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을 위한 지수판 조립구조
KR20090009578A (ko) 철근 연결장치
KR20160140120A (ko) 데크플레이트용 스페이서
KR102140455B1 (ko) 링유닛을 포함하는 배관 내부 보강장치
KR101960783B1 (ko) 거푸집과 철근의 간격 유지 기구
KR200431816Y1 (ko) 다발철근용 커플러
JP2006233632A (ja) 可撓止水継手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20010011656A (ko) 지수판 고정용 클립
EP0097195A1 (en) Prefabricated concrete reinforcement element and method for making reinforcement joints
KR100858056B1 (ko) 다발철근용 커플러
KR0118694Y1 (ko) 표면 처리용 패널
KR200288410Y1 (ko)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는 보조패널과 고정수단을 포함한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지지시스템
KR100447281B1 (ko) 유로폼 거푸집용 스페이서
KR101665638B1 (ko) 덮개를 가지는 부잔교 함체의 수상 연결에 의한 부잔교 시공방법
KR200377451Y1 (ko)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을 위한 지수판 조립구조
JP2710012B2 (ja) 建設用型枠
KR950001167A (ko) 합성수지제 배수로관의 접속방법
CN213038640U (zh) 一种现浇混凝土墙体用连接件
JP2002206338A (ja) プラスチック製パネル
KR0119047Y1 (ko) 연결철물 매립보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0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