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6101Y1 - 철근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철근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6101Y1
KR200286101Y1 KR2020020016084U KR20020016084U KR200286101Y1 KR 200286101 Y1 KR200286101 Y1 KR 200286101Y1 KR 2020020016084 U KR2020020016084 U KR 2020020016084U KR 20020016084 U KR20020016084 U KR 20020016084U KR 200286101 Y1 KR200286101 Y1 KR 2002861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circumferential surface
reinforcing bar
outer circumferential
deform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60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재혁
Original Assignee
(주)윈윈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윈윈개발 filed Critical (주)윈윈개발
Priority to KR20200200160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61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61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6101Y1/ko

Links

Landscapes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철근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외주면에 소정의 간격마다 마디가 형성되며, 서로 맞대게 배치되는 이형철근과; 상기 이형철근의 외주면이 그 내로 끼워지는 원통편과; 상기 이형철근의 외주면과 원통편이 함께 덮여지며, 소정의 조각판 형상으로 적어도 두개 이상으로 이루어지며, 외측 중앙에는 양측단으로부터 내측단으로 들어가는 요홈이 형성된 평활면과 상기 평활면의 양단부에 배치됨과 동시에 소정의 각도를 가지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외주면과, 상기 외주면의 내측에는 소정의 간격마다 이형철근의 마디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마디홈으로 이루어지는 커플링과; 상기 커플링의 외측면이 그 내측으로 삽입되며, 그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원통체와; 상기 원통체의 양단 좌우측에서 끼워지며, 커플링의 단부가 끼워지도록 그 내주면에 소정의 각도로 요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요입홈의 내측 중앙으로 이형철근이 삽입되며, 그 외측에는 숫나사산이 형성된 한쌍의 클램프로; 구성됨으로써, 연결부위의 부피를 적절히 유지할 수 있어서, 콘크리트의 타설을 용이하게 하고, 피복두께를 확보할 수 있음과 동시에 부품제작에 따른 비용상승 및 조립공정의 단순화로 공사비를 경감시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철근 연결장치{steel reinforcement connector}
본 고안은 철근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건설 공사중 시공물의 골조를 형성하는 철근의 길이가 짧을 경우 철근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 철근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근은 건축이나 토목공사에서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성보강을 위해 사용되는 바, 상기 철근은 구조물의 크기가 클 경우에는 대직경 철근이 사용되고, 작을 경우에는 소직경 철근이 사용되며, 이 외에도 구조물의 용도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철근이 사용된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은 철근은 그 크기(길이, 직경)가 제한되기 때문에, 구조물의 높이 및 크기가 클 경우에는 통상 2개 이상의 철근을 이어서 사용한다.
이와 같은 경우의 종래의 철근이음은 2개의 철근을 겹쳐서 철사로 결속하는 겹이음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이러한 철근 겹이음 방식은 그 결속력이 취약하기 때문에 겹친 부위의 길이를 철근직경의 25배 이상이 되도록 강제로 시방서에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철근 겹이음은 공사비용이 저렴하나 수작업에 의존하는 관계로 인하여 많은 인력과 시간이 요구되며, 아울러 겹친 부위의 직경이 비이음부의 직경에 비해 2배 이상 커지기 때문에 철근을 조밀하게 설치할 경우에는 철근 겹이음 부위에 콘크리트의 타설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구조물의 전체적인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기술이 출원되었다.
첫째, 선행기술은 한국 등록특허 제 0240099 호(1999. 10. 25, 등록)의 철근 연결구조로 중앙부에 둘레 턱을 두고 그 양측 외경부에 나사부가 형성되며, 내경부는 중앙부를 기준으로 하여 양측으로 확개되는 형태의 테이퍼 면으로 형성되는 중간부재와 원통형 부재로서 축방향으로 분할되어 2개 1조로 이루어져 상호 연결하고자 하는 철근의 선단부에 가압 고정되어 그의 선단부가 상기 중간부재의 양측 테이퍼면에 의해 가압되는 제1, 2잭과, 상기 제 1, 2잭의 일측 외주면을 가압함과 동시에 그의 전단부분이 중간부재의 양측 숫나사부에 체결되는 제1, 2 커플러로 되어 2개의 철근을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는 구조에 있어서,
제1, 2잭은 원통형 부재를 축방향으로 분할 형성한 형태로서 각각 2개 1조로 이루어지되, 이들의 내경부는 철근 외주면의 길이방향 리브와 원주방향 리브를 수용할 수 있는 리브 홈이 각각 형성되고, 외경부는 중앙부분을 기점으로 양단부가소경부로 이루어지고, 중앙부가 대경부로 이루어져 양측으로 상기 중간부재의 양테이퍼면과 대응하는 테이퍼면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철근 연결구조는 연결되는 2개의 철근 외측에 중간부재와 테이퍼잭 및 커플러 등의 많은 부품이 조립되어 이 부분의 부피(외경)가 지나치게 커지므로 콘크리트의 피복두께를 맞추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즉, 콘크리트에 매설되는 철근은 피복두께가 25㎜이상이 되어야 하는데, 상기한 바와 같은 철근 연결구조에서는 철근에 비해 연결부위의 외경이 훨씬 크기 때문에 피복두께를 맞추기가 어렵고, 또한 다수의 부품이 나사 조립되는 관계로 인하여 이들 부품의 제작에 따른 비용이 증가되어 함께 작업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둘째, 선행기술은 한국 등록특허 제 220173 호(1999. 6. 18, 등록)의 철근 연결구조로 2개의 철근을 길이방향으로 연결함에 있어서, 상호 연결되는 철근의 양 선단부를 단부 유효직경이 대직경부로 이루어지도록 테이퍼 형상으로 연결부를 각각 성형하고, 일측 철근의 연결부 테이퍼 면을 전체적으로 가압할 수 있는 잭과, 내경부 후측부분이 상기 철근과 연결되는 다른 철근의 연결부의 테이퍼면을 가압하면서 내경부 전측부분이 상기 잭과 나사 체결되는 커플러에 의하여 2개의 철근이 연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철근 연결구조는 철근의 연결부위를 대직경으로 형성하여야 하는 제조상의 문제점과 함께 이 또한 2개의철근이 잭과 커플러에 의하여 나사 결합됨으로 연결부위의 부피가 지나치게 커져 콘크리트의 타설을 어렵게 만들고, 피복두께의 어려움과 함께 부품제작에 따른 비용상승 및 조립공정의 추가로 인하여 공사비의 증가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선행기술은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 1998-020421 호(1998. 7. 15, 공개)의 철근 연결장치로 반원형 접속구의 외면은 테이퍼면을 형성하고 내면의 중간부위에는 넓은공간요홈을 형성하여 넓은공간요홈 상하에는 좁은공간요홈을 다수개 형성시켜 반원형 접속구를 상하철근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되게 밀착시킨 후 내면에 테이퍼면으로 된 외부결합체를 삽입 일체로 결합할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철근 연결장치는 반원형 접속구 및 외부결합체의 접속면이 테이퍼지기 때문에 얇은 면의 안정성을 위해서는 일정두께가 유지되어야 함으로 이에 따라 두꺼운 면이 더욱 굵어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연결부의 전체적인 부피가 커져 시방서 규정의 피복두께를 맞추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철근과 철근간의 간격도 연결부에 의해서 그 간격이 차단되어 미세한 간격이 되기 때문에 콘크리트의 타설을 방해하는 원인이 되었다.
또한, 종래의 철근 연결장치는 그 조립시 외부결합체의 타격면이 원형이므로 균일한 힘으로 타격하기가 곤란할 뿐만 아니라 반원형 접속구 및 외부결합체의 접속면이 원형이어서 마찰면이 큰 관계로 인하여 그만큼 큰 타격력을 요하게 되는 등 효율적인 결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의 출원인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2001 - 28214 호(2001. 9.13, 출원)로 쐐기형 원터치 철근연결장치를 출원한 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근이 끼워지는 캡과의 결합을 위하여 캡 결합부가 구성되며, 캡 결합부의 내부면에는 캡을 고정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캡 결합부의 내부에는 철근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철근 고정편에 탄성력을 제공하며, 그 양선단에는 철근 고정편에 삽입되기 위한 결합 돌출부를 포함되어 구성된 스프링이 구성되며,
연결하고자 하는 철근의 외경보다 좁은 내경을 갖는 타원형의 통공을 이루고, 그 외면은 소정의 각을 갖는 다각면으로 이루어져 분할되는 하나 이상 다수개의 조각편으로 이루어지며, 그 내면은 밀착되는 철근을 잡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철근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를 형성하고, 철근에 구성된 마디에 걸리도록 결합홈을 구성하며 하부에는 상기 스프링에 구성된 결합 돌기가 삽입되기 위한 결합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철근 고정편과,
상기 철근 고정편을 그 내측으로 게재하면서 캡 결합부에 결합되도록 외측면의 소정부위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타측으로 철근이 끼워지는 철근 주입부가 형성되고, 그 내면으로부터 소정의 위치까지 상기 철근 고정편의 외측면이 형성하는 다각면에 대응되게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점차 그 내경이 넓어지는 통공을 갖는 캡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쐐기형 원터치 철근 연결장치는 철근이 연결된 캡과 캡 결합부의 사이가 중공부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철근의 양단에 있는 캡 부분과 캡 결합부의 결합강도가 일정하지 않아 캡 에 비하여캡 결합부의 결합강도가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쐐기형 원터치 철근 연결장치는 철근 연결과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철근 고정편의 결합홀에 스프링의 결합돌기를 끼울 때 특히 정교함을 요하기 때문에 이에 따라 작업속도가 늦어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철근의 이음작업이 간단하면서도 강도가 확실하게 보장되고, 연결부위의 부피가 감소되어 콘크리트의 피복두께의 조절이 용이하며, 조립 및 시공이 편리한 철근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철근 연결장치는 외주면에 소정의 간격마다 마디가 형성되며, 서로 맞대게 배치되는 이형철근과; 상기 이형철근의 외주면이 그 내로 끼워지는 원통편과;
상기 이형철근의 외주면과 원통편이 함께 덮여지며, 소정의 조각판 형상으로 적어도 두개 이상으로 이루어지며, 외측 중앙에는 양측단으로부터 내측단으로 들어가는 요홈이 형성된 평활면과 상기 평활면의 양단부에 배치됨과 동시에 소정의 각도를 가지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외주면과, 상기 외주면의 내측에는 소정의 간격마다 이형철근의 마디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마디홈으로 이루어지는 커플링과;
상기 커플링의 외측면이 그 내측으로 삽입되며, 그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원통체와; 상기 원통체의 양단 좌우측에서 끼워지며, 커플링의 단부가 끼워지도록 그 내주면에 소정의 각도로 요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요입홈의 내측 중앙으로이형철근이 삽입되며, 그 외측에는 숫나사산이 형성된 한 쌍의 클램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쐐기형 원터치 철근 연결장치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쐐기형 원터치 철근 연결장치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쐐기형 원터치 철근 연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철근 연결장치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철근 연결장치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철근 연결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철근 연결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철근 11 : 리브
12 : 마디 20 : 캡
21 : 나사산 22 : 철근 주입구
30 : 철근 고정편 31 : 걸림돌기
32 : 결합홈 33 : 결합홀
40 : 스프링 41 : 결합돌기
50 : 캡 결합부 51 : 나사산
100 : 이형철근 110 : 마디
200 : 원통편 300 : 커플링
310 : 평활면 312 : 요홈
320 : 곡면 330 : 마디홈
400 : 원통체 410 : 암나사산
500 : 클램프 510 : 요입홈
520 : 숫나사산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철근 연결장치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철근 연결장치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철근 연결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철근 연결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철근 연결장치는 외주면에 소정의 간격마다 마디(110)가 형성되며, 서로 맞대게 배치되는 이형철근(100)과; 상기 이형철근(100)의 외주면이 그 내로 끼워지는 원통편(200)과;
상기 이형철근(100)의 외주면과 원통편(200)이 함께 덮여지며, 적어도 두개 이상의 조각편으로 이루어지며, 외측 중앙에는 양측단으로부터 내측단으로 들어가는 요홈(312)이 형성된 평활면(310)과 상기 평활면(310)의 양단부에 배치되며, 곡면(320)으로 형성되는 외주면과, 상기 외주면의 내측에는 소정의 간격마다 형성된 마디홈(330)으로 이루어지는 커플링(300)과;
상기 커플링(300)의 외측면이 그 내측으로 삽입되며, 그 내주면에 암나사산(410)이 형성된 원통체(400)와; 상기 원통체(400)의 양단 좌우측에 끼워지며, 커플링(300)의 단부가 끼워지도록 그 내주면에 적어도 두개 이상의 요입홈(510)이 형성되며, 상기 요입홈(510)의 내측 중앙으로 이형철근(100)이 삽입되며, 그 외측에는 숫나사산(520)이 형성된 한 쌍의 클램프(500)로; 구성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철근 연결장치는 서로 대향되는 이형철근(100)과 상기 이형철근(100)이 삽입되는 원통편(200)과 상기 이형철근(100)과 원통편(200)을 덮어씌우는 두 개 이상의 조각편으로 이루어지는 커플링(300)과 상기 커플링(300)이 삽입되는 원통체(400)와 상기 원통체(400)를 좌우에서 나사결합식으로 결합시키는 한 쌍의 클램프(5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원통편(200)은 소정의 폭과 길이 및 너비를 가짐과 동시에 통체로 이루어지는 구조이며, 상기 원통편(200) 내주면으로 서로 연결하고자 하는 이형철근(100)을 서로 맞대 놓고 그 외주면에 원통편(200)이 설치된다.
즉, 상기 원통편(200)은 이형철근(100)이 삽입되게 이형철근(100)의 외경보다는 다소 큰 내경을 가지는 원통으로 이루어지며, 원통편(200)을 이등분하여 좌우에 배치되는 이형철근(100)의 연결시 이형철근(100)의 위치를 잡아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원통편(200)내 중앙에 막힘판을 형성하면 이형철근을 양쪽에서 삽입시 중앙에 체결될 수 있는 이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한쪽으로 이형철근이 편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그리고, 상기 원통편(200)은 커플링(300)의 조각편을 지지하여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이형철근의 유입을 원활하게 하고, 상기 커플링(300)의 요홈(312)이 끊어질 때 체결을 계속하면 커플링(300)이 밀리게 되어 체결력이 약하게 됨에 따라 이러한 밀림을 방지하기 위해 체결력을 강화시키는 역활을 수행하며, 압축력에 대응하는 역활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커플링(300)은 적어도 두개 이상의 조각편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조각편은 중앙에 배치되는 평활면(310)과 상기 평활면(310)의 양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곡면(320)상으로 테이퍼지며, 커플링(300)의 내주면에는 소정의 간격마다 이형철근(100)의 마디에 대응되도록 마디홈(330)이 형성되며, 상기 평활면(310)에는 폭방향으로 양측단으로부터 내측으로 다소 들어가는 요홈(312)이 형성되며, 이러한 요홈(312)은 원통편(200)의 외측을 감싸 원통편(20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커플링(300)은 통상의 원통을 120도씩 삼등분 하여 3조각으로 나누거나, 180도씩 이등분하여 2조각으로 나누어 본 고안을 구현할 수도 있으며, 그 개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도 있으므로, 그 개수에 제한을 받는 것이 아님을 밝혀두며, 마디홈(330)의 단면형상은 어느 특정형상에 국한하지 아님을 밝혀둔다.
특히, 상기 커플링(300)은 삼방향 내지 이방향에서 이형철근(100)과 원통편(200)의 움직임을 견고하게 잡아주는 역할을 수행하며, 이들 각각의 커플링(300) 조각편이 이형철근(100)과 원통편(20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기 위하여 커플링(300)을 원통체(400)내로 억지로 끼우며, 상기 원통체(400)의 양단을 클램프(500)가 좌우에서 나사 결합함과 동시에 커플링(300)의 조각편들이 각각 클램프(500)의 요입홈(510)내에 정교하게 삽입되기 때문에 커플링(300)이 이형철근(100)이나 원통편(200)으로부터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커플링(300)이 그 내주면에 삽입된 이형철근(100)을 견고히 물려주기 위해 이형철근(100) 및 원통편(200)이 삽입된 상태에서 커플링(300)을 각각 끼우는 방식인데 이형철근(100)이 커플링(300)에 삽입되어 있고, 이 커플링(300)이 원통체(400)에 삽입되며, 궁극적으로 이형철근(100)이 삽입된 커플링(300)이 벌어지는 것을 클램프(500)의 요입홈(510)에서 수용토록 하여 커플링(300)이 외부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토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커플링(300) 체결시 끊어져서 이형철근의 형상에 맞게 조각편이 자리매김을 할 수 있도록 끊어지면서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커플링(300)의 요홈(312)이 이형철근 결합시 끊어지므로 커플링(300)으로 지지대로서 압축하중을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원통체(400)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내주면에는 암나사산(410)이 형성되며, 이 암나사산(410)은 내주면 전체에 걸쳐 형성할 수도 있으며, 원통체(400)의 양측단에 형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암나사산(410)은 이에 결합되는 클램프(500)의 숫나사산(520)을 나사결합식으로 결합하여 견고히 연결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원통체(400)의 암나사산(410)은 그 절반은 왼나사, 나머지 절반은 오른나사가 형성되어, 원통체(400)을 조임시 클램프(500)가 진행하는 방식을 취함을 밝혀둔다.
한편, 상기 클램프(500)는 원통체(400)의 좌우에서 나사결합식으로 원통체(400)를 결합하기 위하여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바, 이는 원통형 부재로 원통체(400)에 삽입되도록 일측단 외주면에 숫나사산(520)을 형성하며, 상기클램프(500)의 내측에는 커플링(300)의 조각편이 삽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조각편의 개수 및 형상에 대응되는 형태로 요입홈(510)의 개수 및 형상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클램프(500)의 내주면 중앙에는 이형철근(100)의 용이토록 하기 위하여 클램프(500)의 요입홈(510)들끼리 막힘 없이 트여지는 단면형상을 이루도록 한다.
이는 상기 커플링(300)이 이형철근(100)을 둘러싼 후 클램프(500)의 요입홈(510)에 커플링(300)의 조각편을 억지로 끼운 후 상기 클램프(500)를 원통체(400)의 좌우에서 나사결합으로 체결함으로 말미암아 이형철근(100)이 커플링(300)으로부터 빠져나가는 일을 방지토록 하여 견고히 밀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클램프(500)의 외면은 원통과 1각 이상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는 조임시 편리하도록 하기 위함이며, 상기 클램프는 원통체(400)의 좌우에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왼나사, 오른나사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철근 연결장치의 연결과정을 설명한다.
기 설치된 이형철근(100)에 연결하고자 하는 이형철근(100)을 철근 연결장치로 연결할 때는 기 설치된 이형철근(100)에는 클램프(500)를 삽입하고, 연결할 타측의 이형철근(100)에는 원통편(200)과 원통체(400)와 클램프(500)를 순차적으로 삽입하며, 상기 원통편(200)을 중심으로 하여 각각의 이형철근(100)을 맞댄 후 원통편(200)을 맞대 이형철근(100)의 외주면을 끼운 후 커플링(300)을 이형철근(100)과 원통편(200)에 걸쳐 덮어씌운다.
이때, 상기 커플링(300)의 중앙에 형성된 요홈(312)이 원통편(200)에 정확히밀착되도록 덮어씌움과 동시에 이형철근(100)의 마디와 커플링(300)의 마디홈(330)이 각각 대응되도록 덮어씌운다.
그리고, 상기 커플링(300)을 기준으로 좌우에 위치된 클램프(500)를 이동시켜 클램프(500)의 요입홈(510)내로 커플링(300)을 삽입토록 한 후, 상기 클램프(500)를 타측의 이형철근(100)에 기 설치된 원통체(400)의 좌우로 클램프(500)를 견고하게 나사결합하면, 기 설치된 이형철근(100)과 이에 연결할 이형철근(100)과의 연결은 완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철근 연결장치는 연결하고자 하는 2개의 이형철근의 외측에 클램프와 커플링 및 원통체에 의하여 나사 결합됨으로써, 연결부위의 부피를 적절히 유지할 수 있어서, 콘크리트의 타설을 용이하게 하고, 피복두께를 확보할 수 있음과 동시에 부품제작에 따른 비용상승 및 조립공정의 단순화로 공사비를 경감시키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외주면에 소정의 간격마다 마디가 형성되며, 서로 맞대게 배치되는 이형철근과; 상기 이형철근의 외주면이 그 내로 끼워지는 원통편과;
    상기 이형철근의 외주면과 원통편이 함께 덮여지며, 적어도 두개 이상의 조각편으로 이루어지며, 외측 중앙에는 양측단으로부터 내측단으로 들어가는 요홈이 형성된 평활면과 상기 평활면의 양단부에 배치되며, 곡면으로 형성되는 외주면과, 상기 외주면의 내측에는 소정의 간격마다 형성된 마디홈으로 이루어지는 커플링과;
    상기 커플링의 외측면이 그 내측으로 삽입되며, 그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원통체와;
    상기 원통체의 양단 좌우측에 끼워지며, 커플링의 단부가 끼워지도록 그 내주면에 적어도 두개 이상의 요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요입홈의 내측 중앙으로 이형철근이 삽입되며, 그 외측에는 숫나사산이 형성된 한 쌍의 클램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장치.
KR2020020016084U 2002-05-27 2002-05-27 철근 연결장치 KR2002861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6084U KR200286101Y1 (ko) 2002-05-27 2002-05-27 철근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6084U KR200286101Y1 (ko) 2002-05-27 2002-05-27 철근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6101Y1 true KR200286101Y1 (ko) 2002-08-22

Family

ID=73084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6084U KR200286101Y1 (ko) 2002-05-27 2002-05-27 철근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6101Y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22876A1 (en) * 2002-09-04 2004-03-18 Win Win Development Co.,Ltd. Shell unit of compression-coupling device for iron bars
KR100486172B1 (ko) * 2002-09-19 2005-04-29 주식회사 유성엔지니어링 철근 이음장치
KR100725529B1 (ko) 2006-01-23 2007-06-08 삼양기전(주) 철근연결장치의 가압커플러
KR100883882B1 (ko) * 2008-06-23 2009-02-18 한국뉴매틱(주) 로드부재의 에어 록킹장치
KR101033681B1 (ko) 2009-02-06 2011-05-12 김병섭 철근 커플러
KR101036591B1 (ko) 2009-04-03 2011-05-24 김병섭 철근 커플러
KR101116703B1 (ko) * 2009-01-22 2012-02-22 손철주 철근 커플러
KR101847635B1 (ko) * 2015-12-23 2018-04-11 양안종 철근 연결장치
WO2018221760A1 (ko) * 2017-05-31 2018-12-06 전병수 철근 연결장치
KR102661358B1 (ko) 2023-08-17 2024-04-29 주식회사 청광개발 자연석 옹벽 시공을 위한 자연석 고정 연결구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22876A1 (en) * 2002-09-04 2004-03-18 Win Win Development Co.,Ltd. Shell unit of compression-coupling device for iron bars
KR100486172B1 (ko) * 2002-09-19 2005-04-29 주식회사 유성엔지니어링 철근 이음장치
KR100725529B1 (ko) 2006-01-23 2007-06-08 삼양기전(주) 철근연결장치의 가압커플러
KR100883882B1 (ko) * 2008-06-23 2009-02-18 한국뉴매틱(주) 로드부재의 에어 록킹장치
KR101116703B1 (ko) * 2009-01-22 2012-02-22 손철주 철근 커플러
KR101033681B1 (ko) 2009-02-06 2011-05-12 김병섭 철근 커플러
KR101036591B1 (ko) 2009-04-03 2011-05-24 김병섭 철근 커플러
KR101847635B1 (ko) * 2015-12-23 2018-04-11 양안종 철근 연결장치
WO2018221760A1 (ko) * 2017-05-31 2018-12-06 전병수 철근 연결장치
KR102661358B1 (ko) 2023-08-17 2024-04-29 주식회사 청광개발 자연석 옹벽 시공을 위한 자연석 고정 연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5655B1 (ko) 철근 연결구
KR101988611B1 (ko) 슬립 방지 철근 커플러
KR200286101Y1 (ko) 철근 연결장치
KR102062732B1 (ko) 나사체결 방식의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
KR100712438B1 (ko) 철근 커플러
KR20170059840A (ko) 결합성을 향상시킨 철근 연결용 커플러
KR101374598B1 (ko) 철근 커플러
KR100439305B1 (ko) 원터치식 철근이음장치
KR100404425B1 (ko) 쐐기형 원터치 철근 연결 장치
KR20090009578A (ko) 철근 연결장치
KR100462291B1 (ko) 원터치식 철근이음장치
KR200286102Y1 (ko) 철근 연결장치
KR200257716Y1 (ko) 쐐기형 원터치 철근 연결 장치
KR200265990Y1 (ko) 철근 이음장치
KR100355494B1 (ko) 철근이음장치
KR200265991Y1 (ko) 철근 이음장치
KR20050095968A (ko) 원터치식 철근이음장치
KR20220121142A (ko) 철근 커플러
KR200231250Y1 (ko) 철근 연결구
KR100308547B1 (ko) 철근연결구
KR100372832B1 (ko) 원터치형 철근 연결 장치
KR200280037Y1 (ko) 철근이음장치
KR200266002Y1 (ko) 철근 이음장치
KR102574966B1 (ko) 향상된 콘크리트 결합력을 갖는 철근 커플러
KR200289099Y1 (ko) 철근 결착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1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