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8056B1 - 다발철근용 커플러 - Google Patents
다발철근용 커플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58056B1 KR100858056B1 KR1020060087150A KR20060087150A KR100858056B1 KR 100858056 B1 KR100858056 B1 KR 100858056B1 KR 1020060087150 A KR1020060087150 A KR 1020060087150A KR 20060087150 A KR20060087150 A KR 20060087150A KR 100858056 B1 KR100858056 B1 KR 10085805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upler
- pair
- cradle
- reinforcing bars
- body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3187 abdomi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7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29910001018 Cast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634 fra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6—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different direc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발철근을 연결하는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1개의 커플러에 의해 복수의 주철근과 횡철근이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조작이 간단하고 일거에 복수의 주철근과 횡철근을 연결시공 할 수 있으므로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다발철근용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철근을 길이방향으로 연결시키는 커플러에 있어서, 중앙에서 대칭이 되도록 둘 이상의 철근을 길이방향으로 각각 안치시킬 수 있는 공간부가 내면에 형성되며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됨으로서 안치된 각각의 철근을 감싸도록 구성된 한 쌍의 몸체부와 상기 공간부에서 측면에 안치된 철근 사이에 거치되어 철근의 위치를 잡아주는 거치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커플러, 이형철근, 복철근, 다발철근, 몸체부, 체결봉
Description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커플러에 의해 철근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본 예에 있어서 철근을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이 철근을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이 철근을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에 있어 구성요소인 거치대를 한 쌍의 유닛으로 구성한 경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a는 몸체부의 상면에 하우징을 더 구성한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가 기둥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a 내지 도 7e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몸체부 110 : 공간부
120 : 거치홈 130,130a : 하우징
140 : 나사구멍 150 : 나사홈
200, 200a : 거치대 210 : 곡면
220 : 바닥면 230 : 상면
300 : 클램프 310 : 바닥면
320 : 나사산 400 : 체결체인
500 : 체결봉 510 : 중공
520 : 유출공
본 발명은 다발철근을 연결하는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1개의 커플러에 의해 복수의 주철근과 횡철근이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조작이 간단하고 일거에 복수의 주철근과 횡철근을 연결시공 할 수 있으므로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다발철근용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근은 제조상, 운반상의 문제 등으로 소정 길이로 공장 제작되어 공급되기 때문에 현장에서 건축물 등의 크기에 따라 절단하여 사용하거나 길이방향으로 연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렇게 길이방향으로 철근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 기술이 제시되고 있는 바,
일 예로 연결하고자 하는 철근을 맞대어 놓고 가스를 이용하여 연결부위를 용접에 의해 연결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 방법은 현장에서 시공위치에 상관없이 연결이 가능한 장점이 있으나 용융온도까지 가열이 필요하므로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다발철근의 연결작업에 있어서도 각각의 철근을 일일이 용접해야 하므로 불편한 단점이 있다.
또한, 철근을 연결하는 방법으로서 다양한 형태의 커플러가 제시되고 있는 바, 일 예로서 실용신안등록 제 158868호(고안의 명칭 : 철근용 커플러)에서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커플러의 외면에 일정간격으로 커플러의 길이 방향으로 요홈을 형성하고 이 요홈의 중앙부에 돌출부를 형성하며 커플러의 내주연에는 나사부를 구성하여 각각의 연결되는 철근에 형성된 나사부와 회전결합에 의해 연결되는 커플러를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커플러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요홈에 의해 콘크리트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이 경우에 있어서도 다발철근에 대한 연결시공이 필요한 경우 각각의 연결할 철근의 수에 맞게 커플러를 구비해야 하며 일일이 연결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하나의 커플러에 의해 복수의 주철근과 횡철근을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으며, 조작이 간단하여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커플러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철근을 길이방향으로 연결시키는 커플러에 있어서, 중앙에서 대칭이 되도록 둘 이상의 철근을 길이방향으로 각각 안치시킬 수 있는 공간부가 내면에 형성되며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됨으로서 안치된 각각의 철근을 감싸도록 구성된 한 쌍의 몸체부와, 상기 공간부에서 측면에 안치된 철근 사이에 거치되어 철근의 위치를 잡아주는 거치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간부에는 상기 거치대가 거치될 수 있는 거치홈이 구성됨으로서 상기 거치대가 흔들림 없이 상기 공간부에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공간부에는 양단에 길이방향으로 안치턱을 구성하여 한 쌍의 몸체부가 결합되는 경우 각각의 안치턱에 의해 이형철근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리브를 잡아줄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는 산과 골로 구성된 톱니를 구성하여 타 몸체부의 양단에 형성된 톱니와 맞물리도록 구성됨으로서 인장에 의해 몸체부 상호간의 엇갈림을 방지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치대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상기 공간부에 거치되는 바닥면과, 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측면에 안치된 철근의 외주연과 각각 접하는 곡면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거치대는 한 쌍으로 구성되는데, 각각의 거치대는 상기 공간부에 거치되는 바닥면과 측면에 형성되어 철근의 외주연과 접하는 곡면과 타 측면에 형 성되는 접합면으로 구성되는 한 쌍의 유닛으로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유닛은 상기 바닥면과 곡면이 접하는 부분이 상호 연결 줄에 의해 연결되어 각각의 거치대는 측면에 안치된 철근을 감싸면서 각각의 유닛의 접합면이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거치대를 한 쌍의 유닛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거치대를 구성하는 한 쌍의 유닛에 있어 각각의 유닛의 접합면에는 타 거치대의 한 쌍의 유닛과 각각 대향하도록 산과 골로 구성된 톱니가 형성됨으로서 인장에 의해 엇갈림을 방지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곡면에는 이형철근의 원주방향 리브가 끼워질 수 있도록 리브홈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수단은 몸체부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며, 내부에 중공을 형성하며, 중앙에 유출공이 구비되고 끝단에 나사부가 형성된 체결봉과, 상기 몸체부 외측에서 상기 체결봉의 나사부에 대응하여 회전체결 되는 너트와, 상기 체결봉의 나사부가 형성되지 않은 타단이 고정되는 타 몸체부의 중앙에 형성된 고정홈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봉에는 상기 관통공의 내측과 상기 고정홈의 내측 사이에 스프링이 구성됨으로서 한 쌍의 몸체부가 자동적으로 상기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벌어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부에는 횡철근이 연결될 수 있는 반원형의 하우징이 일체형으로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외주연에는 나사홈을 구성하여 병마개 형상으로 바닥면에 중공을 형성하는 클램프의 내주연에 형성된 나사산과 회전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클램프의 중공의 내경은 철근의 외경보다 크게 구성되고, 각각의 하우징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경보다 작게 구성되어 결합되는 횡철근의 외주연에 구성되는 체결체인이 상기 클램프의 바닥면이 형성하는 테두리의 내면에 걸리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본 예에 있어서 철근을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이 철근을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이 철근을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에 있어 구성요소인 거치대를 한 쌍의 유닛으로 구성한 경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a는 몸체부의 상면에 하우징을 더 구성한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가 기둥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a 내지 도 7e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주철근과 복수의 횡철근을 잡아주는 한 쌍의 몸체부(100)와, 상기 몸체부에서 측면에 안치되는 주철근을 잡아주는 거치대(200, 200a)와, 상기 몸체부(100)를 체결하는 수단으로서 체결봉(500)과, 상기 몸체부(100)에 횡철근을 체결하는 수단으로서 클램프(300), 체결체인(400)으로 구성되는 다발철근용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철근이 연결될 수 있는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 상기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것은 그 일 예로서 복철근에 사용되는 커플러를 도시하고 있는 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몸체부(100)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앙에서 대칭이 되도록 복철근을 길이방향으로 각각 안치시킬 수 있는 공간부(110)가 내면에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100)가 이하에서 설명될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됨으로서 상기 공간부(110)에 안치된 각각의 철근을 감싸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공간부(110)의 형상은 각각의 양단에 곡면(111)으로 구성되며 곡면(111) 사이에는 평탄부(112)로 구성되어 각각의 곡면(111)에 철근의 외주연이 접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공간부(110)에 있어 평탄부(112)에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하에서 설명할 거치대(200, 200a)가 견고하게 거치될 수 있는 거치홈(120)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거치홈(120)의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의 돌기(121)가 형성될 수 있는 바, 이는 이하에서 설명할 거치대(200, 200a)의 바닥면(220, 220a)에 형성된 돌기홈(221, 221a)에 삽입되어 거치대가 더욱 견고하게 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기(121)는 공간부(110)의 중앙에서 양 단으로 갈수록 돌기(121) 단면의 너비가 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3에서 도시된 돌기(121) 단면은 사다리꼴로 구성됨으로 상기 사다리꼴의 밑변 및 상변의 크기가 중앙에서 양 단으로 갈수록 커지게 구성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돌기(121)의 구성에 대향하도록 이하에서 설명할 거치대(200, 200a)의 바닥면(220, 220a)에 형성된 돌기홈(221, 221a)의 형 상도 중앙에서 양 단으로 갈수록 단면의 너비가 커지게 구성되어야 한다. 이렇게 구성됨으로서 인장에 의하더라도 마찰력에 의해 거치대(200, 200a)가 몸체부(100)에서 이탈됨이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공간부(110)에는 양단에 즉 각각의 곡면(111)의 끝단에 길이방향으로 안치턱(160)을 구성하여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몸체부(100)가 결합되는 경우 각각의 안치턱(160)에 의해 이형철근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리브가 삽입됨으로서 공간부(110)에서 안치된 이형철근의 회전을 잡아 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공간부(110)에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앙에서 일체형으로 돌출 형성된 제어턱(170)이 구성된다. 상기 제어턱(170)의 형상은 상기 각각의 곡면(111)에서 시작되어 평탄부(112)의 일정부분까지 연장된 형상으로 각각의 제어턱(170)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이 공간으로 이하에서 설명할 체결봉(500)이 삽입된다. 이러한 제어턱(170)이 구성으로 제어턱(170)의 양쪽에 위치하는 복철근의 삽입이 제어되는 것이며, 상기 체결봉(500)의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부(100)의 양단에는 즉 한 쌍의 몸체부(100)가 결합시 접하는 부분에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산과 골로 구성된 톱니(180)를 구성하여 타 몸체부(100)의 양단에 형성된 톱니(180)와 맞물리도록 구성됨으로서 결합된 한 쌍의 몸체부(100)에 인장의 작용에 의해 몸체부 상호간의 엇갈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치대(200)는 상기 공간부(110) 중앙에 거치되는 것으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거치홈(120)에 바닥면(220)이 삽입되어,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110)의 곡면(111)에 각각 대향하도록 형성된 곡면(210)에 의해 복철근의 측면에 위치한 철근사이에서 철근을 견고하게 잡아주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거치대(200)의 바닥면(220)에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돌기(121)가 삽입되는 돌기홈(22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돌기홈(221)의 단면형상은 상기 돌기(121)의 단면형상과 동일하게 구성되어야 하며,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다리꼴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홈(221)도 상기 돌기(121)를 공간부(110)의 중앙에서 양 단으로 갈수록 돌기(121) 단면의 너비가 커지도록 구성하는 경우 이에 대향하도록 거치대(200)의 일단에서 타단방향으로 돌기홈(221)의 단면 너비가 커지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거치대(20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공간부(110)에 4개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거치대(200)의 곡면(210)에는 이형철근의 원주방향 리브가 끼워질 수 있도록 리브홈(211)이 구성됨으로서 이형철근이 길이방향으로의 유동을 잡아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거치대(20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몸체부(100) 내부에서 이형철근과 결합시 각각의 상면(230) 사이에 이형철근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리브가 삽입됨으로서 공간부(110)에서 안치된 이형철근의 회전을 잡아 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에서 언급한 안치턱(160)과 상기 거치대(200)의 상면(230) 사이에 이형철근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리브가 삽입됨으로서 이형철근의 회전을 잡아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거치대(200)는 탄성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크기는 상기 거치홈(120)에 안치 시 상기 공간부(110)의 곡면(111)보다 상기 거치대(200)의 곡면(210)이 조금 돌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이렇게 구성됨으로서 상기 거치대(200)의 곡면(210)의 탄성력에 의해 그 내주연의 철근을 견고하게 잡아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거치대(200a)는 한 쌍으로 구성되는데, 각각의 거치대(200a)는 한 쌍의 유닛(U)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유닛(U)은 상기 공간부(110)에 거치되는 바닥면(220a)과 측면에 형성되어 철근의 외주연과 접하는 곡면(210a)과 타 측면에 형성되는 접합면(230a)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도 도 5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바닥면(220a)과 상기 접합면(230a)이 접하는 부분에 돌기홈(221a)이 형성되어 거치대(200a)의 유닛(U)과 대향하는 타 거치대(200a)의 유닛(U)이 결합하여 각각의 돌기홈(221a)의 결합된 형상이 상기 거치대(200)의 돌기홈(221)과 같은 형상으로 되어 상기 거치홈(120)에 형성된 돌기(121)가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 경우에도 상기에서 기 언급한 바와 같이 유닛(U)의 돌기홈(221a)의 단면형상은 상기 돌기(121)의 단면형상에 대향하도록 유닛(U)의 일단에서 타단방향으로 단면 너비가 커지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유닛(U)은 상기에서 언급한 거치대(200)를 반으로 나눈 조각으로 타 거치대의 유닛(U)과 각각의 접합면(230a)을 맞대면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거치대(200)와 동일한 형상 및 구조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각각의 거치대(200a)를 구성하는 한 쌍의 유닛(U)은 상기 바닥면(220a)과 상기 곡면(210a)이 접하는 부분이 상호 연결 줄(240a)에 의해 연결되는데, 상기 연결 줄(240a)은 연철 등의 재질로 구성되어 가압에 의해 형상변형이 용이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됨으로서 상기 연결 줄(240a)은 복철근에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5a에서 보는 바와 같이 펴진 상태를 유지하고,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철근에 설치된 상태에서는 복철근을 구성하는 각각의 철근의 외측 외주연을 감싸게 되고 이러한 형상이 외압이 작용하지 않을 시 그대로 유지되므로 도 7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철근을 일체로 몸체부(100)에 안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연결 줄(240a)의 재질 상의 특성으로 인해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의 거치대(200a)의 대향하는 유닛(U)은 상호 접합면(230a)을 맞댄 상태에서 각각의 곡면(210a)이 복철근을 구성하는 각각의 철근의 내측 외주연에 접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거치대(200a)를 구성하는 각각의 유닛(U)의 접합면(230a)에는 타 거치대(200a)의 한 쌍의 유닛(U)의 접합면(230a)과 각각 대향하도록 산과 골로 구성된 톱니(231a)가 형성됨으로서 각각의 접합면(230a)을 맞댄 유닛(U)의 엇갈림을 방지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곡면(210a)에는 이형철근의 원주방향 리브가 끼워질 수 있도록 리브홈(211)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수단은 몸체부(100)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140)과, 상기 관통공(140)에 삽입되며, 내부에 중공(510)을 형성하며, 중앙에 유출공(520)이 구비되고 끝단에 나사부(530)가 형성된 체결봉(500)과, 상기 몸체부(100) 외측에서 상기 체결봉(500)의 나사부(530)에 대응하여 회전체결 되는 너트(540)와, 상기 체결 봉(500)의 나사부(530)가 형성되지 않은 타단이 고정되는 타 몸체부(100)의 중앙에 형성된 고정홈(15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구성됨으로서 한 쌍의 몸체부(100)는 상기 몸체부(100) 외측에서 상기 관통공(140)을 관통한 체결봉(500)에 형성된 나사부(530)에 너트(540)를 회전함에 의해 상기 너트(540)가 상기 몸체부(100)를 가압함으로서 타 몸체부(100)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체결봉(500)은 그 내부에는 중공(510)이 형성되어 상기에서 설명한 너트(540)의 회전에 의해 한 쌍의 몸체부(100)가 결합된 후 상기 중공(510)으로 에폭시를 주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체결봉(500)의 중앙에는 외부와 연통되도록 유출공(520)이 형성되어 중공(510)으로 주입된 에폭시가 유출공(520)을 통해 상기 각각의 제어턱(170)과 연결되는 복철근의 끝단이 형성하는 공간에 유입되며, 이러한 에폭시의 유입으로 연결되는 복철근의 인장에 대한 저항성을 보강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체결봉(500)에는 상기 관통공(140)의 내측과 상기 고정홈(150)의 내측 사이에 스프링이 구성됨으로서 한 쌍의 몸체부(100)가 자동적으로 상기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벌어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됨으로서 도 7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너트(540)의 회전에 의한 체결 전에 한 쌍의 몸체부(100)는 벌어진 상태가 유지되고 이렇게 됨으로서 거치대(200a)를 설치한 복철근이 용이하게 양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몸체부(100)에는 횡철근이 연결될 수 있는 반원형의 하우징(130)이 일 체형으로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4개의 횡철근이 연결될 수 있도록 각각의 몸체부(100)에 4개의 하우징(130)을 구성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몸체부(100)가 결합됨으로서 상기 반원형의 하우징(130)이 결합되어 결합된 하우징(130)의 내주연으로 횡철근이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결합된 하우징(130)은 병마개 형상의 클램프(300)에 의해 체결되는데,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하우징(130)의 외주연에는 나사홈(131)을 구성하여 병마개 형상으로 바닥면(310)에 중공(311)을 형성하는 클램프(300)의 내주연에 형성된 나사산(320)과 회전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클램프(300)의 중공(311)의 내경은 철근의 외경보다 크게 구성되고, 각각의 하우징(13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경보다 작게 구성되어야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결합되는 횡철근의 외주연에 구성되는 체결체인(400)이 상기 클램프(300)의 바닥면(310)이 형성하는 테두리(312)의 내면과 이형철근의 원주방향 리브 사이에 걸리도록 구성되어 횡철근이 인장에 의해 결합된 하우징(130)의 내주연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체결체인(400)은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링(410)에 복수의 쇠구슬(420)이 삽입된 형상으로 이러한 쇠구슬(420)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프(300)의 바닥면(310)이 형성하는 테두리(312)의 내면과 이형철근의 원주방향 리브 사이에 걸리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도 6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 부(100)의 측면에 상기에서 언급한 4개의 횡철근이 연결될 수 있는 반원형의 하우징(130)이 일체형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또한 각각의 몸체부(100)의 상면에 각각 2개씩 띄철근 등이 연결될 수 있는 원형의 하우징(130a)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원형의 하우징(130a)에 있어 도 6b와 같이 띠철근 등이 연결은 상기에서 언급한 하우징(130)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도 7a 및 도 7e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7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결되는 각각의 복철근에 거치대(200a)를 설치한다.
그 다음 도 7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몸체부(100)를 벌어진 상태 즉 너트(540)를 회전하지 않고 체결봉(500)에 장착된 스프링(550)의 탄성에 의해 한 쌍의 몸체부(100)가 벌어진 상태에서 거치대(200a)가 설치된 복철근을 양방향에서 삽입한다.
그 다음 도 7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너트(540)를 회전시킴으로서 한 쌍의 몸체부(100)가 결합되며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거치대(200a)의 탄성력에 의해 연결되는 복철근이 가압됨으로서 견고하게 연결되며, 또한, 거치대(200a)의 바닥면220a)에 돌기홈(221a)과 몸체부(100) 거치홈(120)에 돌기(121)가 구성되고, 상기 돌기(121)는 중앙에서 양단방향으로 단면너비가 커지도록 구성되고 이러한 구성에 대향하도록 상기 돌기홈(221a)도 거치대(200a) 일단에서 타단방향으로 단면너비가 커지도록 구성되는 경우에는 연결된 복철근에 인장이 작용하더라도 거치 대(200a)의 바닥면220a)에 돌기홈(221a)과 몸체부(100) 거치홈(120)에 돌기(121)에 작용되는 마찰력으로 인해 결국 복철근은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너트(540)의 회전에 의한 한 쌍의 몸체부(100)의 체결이 끝나면 체결봉(500)에 형성된 중공(510)을 통해 에폭시를 주입하고, 주입된 에폭시는 유출공(520)을 통해 연결되는 복철근의 끝단과 각각의 제어턱(17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메우게 되며, 이렇게 주입된 에폭시에 의해 연결되는 복철근이 인장력에 대한 저항성이 보강되는 것이다.
그 다음 도 7d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몸체부(100)에 연결되는 횡철근에 클램프(300)의 중공(311)이 관통하도록 하고, 관통된 횡철근의 끝단에 형성된 원주방향의 리브에 걸리도록 체결체인(400)을 장착한다.
마지막으로 도 7e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클램프(300)와 체결체인(400)이 장착된 횡철근을 한 쌍의 몸체부(100)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하우징(130)의 내주연으로 삽입하고, 상기 클램프(300)를 회전에 의해 결합된 하우징(130)의 외주연에 체결한다. 이렇게 체결함으로서 횡철근의 외주연에 구성되는 체결체인(400)이 상기 클램프(300)의 바닥면(310)이 형성하는 테두리(312)의 내면과 횡철근의 끝단에 형성된 원주방향 리브 사이에 걸리도록 구성되어 횡철근이 인장에 의해 결합된 하우징(130)의 내주연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결합된 하우징(130)의 외주연에 상기 클램프(300)가 회전에 의해 결합됨으로서 결국 한 쌍의 몸체부(100)는 너트(540)의 회전에 의해 1차적으로 결합되고, 각각의 클램프(300)에 의해 2차적으로 결합되어 견고한 체결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된 내용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이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향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에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발철근용 커플러에 의하면, 하나의 커플러에 의해 복수의 주철근과 횡철근을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조작이 간단하여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2)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철근을 길이방향으로 연결시키는 커플러에 있어서,중앙에서 대칭이 되도록 둘 이상의 철근을 길이방향으로 각각 안치시킬 수 있는 공간부가 내면에 형성되며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됨으로서 안치된 각각의 철근을 감싸도록 구성된 한 쌍의 몸체부와;상기 공간부에서 측면에 안치된 철근 사이에 거치되어 철근의 위치를 잡아주는 거치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되,상기 거치대는 한 쌍으로 구성되는데, 각각의 거치대는 상기 공간부에 거치되는 바닥면과 측면에 형성되어 철근의 외주연과 접하는 곡면과 타 측면에 형성되는 접합면으로 구성되는 한 쌍의 유닛으로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유닛은 상기 바닥면과 곡면이 접하는 부분이 상호 연결 줄에 의해 연결되어 각각의 거치대는 측면에 안치된 철근을 감싸면서 각각의 유닛의 접합면이 접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발철근용 커플러.
- 제6항에 있어서,상기 거치대를 구성하는 한 쌍의 유닛에 있어 각각의 유닛의 접합면에는 타 거치대의 한 쌍의 유닛과 각각 대향하도록 상호 대향하는 산과 골로 구성된 톱니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발철근용 커플러.
- 제6항에 있어서,상기 곡면에는 이형철근의 원주방향 리브가 끼워질 수 있도록 리브홈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발철근용 커플러.
- 삭제
- 제6항에 있어서,상기 체결수단은 몸체부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며, 내부에 중공을 형성하며, 중앙에 유출공이 구비되고 끝단에 나사부가 형성된 체결봉과, 상기 몸체부 외측에서 상기 체결봉의 나사부에 대응하여 회전체결 되는 너트와, 상기 체결봉의 나사부가 형성되지 않은 타단이 고정되는 타 몸체부의 중앙에 형성된 고정홈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고,상기 체결봉에는 상기 관통공의 내측과 상기 고정홈의 내측 사이에 스프링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발철근용 커플러.
- 제6항에 있어서,상기 몸체부에는 횡철근이 연결될 수 있는 반원형의 하우징이 일체형으로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외주연에는 나사홈을 구성하여 병마개 형상으로 바닥면에 중공을 형성하는 클램프의 내주연에 형성된 나사산과 회전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발철근용 커플러.
- 제 11항에 있어서,상기 클램프의 중공의 내경은 철근의 외경보다 크게 구성되고, 각각의 하우징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경보다 작게 구성되어 결합되는 횡철근의 외주연에 구성되는 체결체인이 상기 클램프의 바닥면이 형성하는 테두리의 내면에 걸리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발철근용 커플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87150A KR100858056B1 (ko) | 2006-09-11 | 2006-09-11 | 다발철근용 커플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87150A KR100858056B1 (ko) | 2006-09-11 | 2006-09-11 | 다발철근용 커플러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24319U Division KR200431816Y1 (ko) | 2006-09-11 | 2006-09-11 | 다발철근용 커플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23383A KR20080023383A (ko) | 2008-03-14 |
KR100858056B1 true KR100858056B1 (ko) | 2008-09-12 |
Family
ID=39396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87150A KR100858056B1 (ko) | 2006-09-11 | 2006-09-11 | 다발철근용 커플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5805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58627B1 (ko) * | 2018-12-28 | 2020-10-12 | 하재식 | 초기슬립을 최소화한 초고장력 철근커플러 |
KR102105141B1 (ko) * | 2019-11-07 | 2020-04-27 | 황영태 | 테이퍼형 체결 구조를 갖는 철근 커플러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399817U (ko) | 1976-06-23 | 1978-08-12 | ||
JPH06108588A (ja) * | 1992-09-21 | 1994-04-19 | Sekisui House Ltd | 鉄筋の接合装置とそれに使用する接合具 |
KR19980068529U (ko) * | 1997-10-23 | 1998-12-05 | 정귀조 | 철근연결금구 |
KR200383847Y1 (ko) | 2005-02-11 | 2005-05-10 | 정범건 | 철근 연결구 |
KR100491535B1 (ko) | 2004-10-20 | 2005-05-27 | 티에스스틸산업 주식회사 | 철근이음장치 |
-
2006
- 2006-09-11 KR KR1020060087150A patent/KR10085805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399817U (ko) | 1976-06-23 | 1978-08-12 | ||
JPH06108588A (ja) * | 1992-09-21 | 1994-04-19 | Sekisui House Ltd | 鉄筋の接合装置とそれに使用する接合具 |
KR19980068529U (ko) * | 1997-10-23 | 1998-12-05 | 정귀조 | 철근연결금구 |
KR100491535B1 (ko) | 2004-10-20 | 2005-05-27 | 티에스스틸산업 주식회사 | 철근이음장치 |
KR200383847Y1 (ko) | 2005-02-11 | 2005-05-10 | 정범건 | 철근 연결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23383A (ko) | 2008-03-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21948B1 (ko) | 철근연결구 | |
KR101926130B1 (ko) |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 | |
RU2006143336A (ru) | Скрепа для арматурных стержней (варианты) и ее применение при изготовлении конструкций их железобетона | |
KR200431816Y1 (ko) | 다발철근용 커플러 | |
KR100858056B1 (ko) | 다발철근용 커플러 | |
JP2008144823A (ja) | スリーブホルダ | |
KR102023688B1 (ko) | 철근용 커플링 소켓 | |
KR20080002334U (ko) | 스터드형 밴드케이블 | |
KR200286101Y1 (ko) | 철근 연결장치 | |
KR20090009578A (ko) | 철근 연결장치 | |
JP4738961B2 (ja) | 鉄筋結束用金具 | |
KR100404425B1 (ko) | 쐐기형 원터치 철근 연결 장치 | |
KR101246678B1 (ko) |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 | |
KR20080103688A (ko) | 다발철근용 커플러 | |
KR102062152B1 (ko) | 철근 이음용 원터치 커플러 | |
KR200203628Y1 (ko) | 철근 연결장치 | |
KR200257716Y1 (ko) | 쐐기형 원터치 철근 연결 장치 | |
KR101228096B1 (ko) | 탄성체가 구비된 클램프 | |
KR100815173B1 (ko) | 원터치식 클립잠금장치를 이용한 기계식 철근이음장치 | |
JP3975124B2 (ja) | セパレータの鉄筋側結合金具 | |
JP5067640B2 (ja) | 結束バンド用支持部材 | |
KR200286102Y1 (ko) | 철근 연결장치 | |
KR102677521B1 (ko) | 시공성이 향상된 철근커플러 | |
KR20210075660A (ko) | 내진용 철근 커플러 | |
JP4265848B2 (ja) | 鉄筋コンクリート施工用スペーサ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