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3688A - 다발철근용 커플러 - Google Patents

다발철근용 커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3688A
KR20080103688A KR1020070050706A KR20070050706A KR20080103688A KR 20080103688 A KR20080103688 A KR 20080103688A KR 1020070050706 A KR1020070050706 A KR 1020070050706A KR 20070050706 A KR20070050706 A KR 20070050706A KR 20080103688 A KR20080103688 A KR 200801036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r
body portion
cradle
units
inclin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0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원숙
박규만
Original Assignee
정원숙
박규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원숙, 박규만 filed Critical 정원숙
Priority to KR1020070050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103688A/ko
Publication of KR20080103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36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14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using wed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33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parallel relationshi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16B7/182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for coaxial connections of two rods or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발철근을 연결하는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1개의 커플러에 의해 복수의 철근이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조작이 간단하고 일거에 복수의 철근을 연결시공 할 수 있으므로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다발철근용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철근을 길이방향으로 연결시키는 커플러에 있어서, 중앙에서 대칭이 되도록 하나 이상의 철근을 길이방향으로 각각 안치시킬 수 있는 공간부가 내면에 형성되며 그 외주연의 양단에 나사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 접하면서 그 내주연에 하나 이상의 철근이 고정되는 한 쌍의 거치대와, 상기 몸체부의 나사홈과 회전결합 될 수 있는 나사산이 내주연에 구성되는 한 쌍의 클램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커플러, 이형철근, 복철근, 다발철근, 몸체부, 거치대

Description

다발철근용 커플러{A COUPLER FOR MULTI-REINFORCING ROD}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커플러에 의해 철근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본 예에 있어서 철근을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이 철근을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이 철근을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에 있어 구성요소인 거치대를 각각 4개의 유닛 및 6개의 유닛으로 구성한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몸체부 110 : 공간부
120 : 제 1경사면 130 : 나사홈
140 : 관통공 200 : 거치대
210 : 삽지부 220 : 제 2경사면
300 : 클램프 310 : 바닥면
320 : 벽면 330 : 나사산
본 발명은 다발철근을 연결하는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1개의 커플러에 의해 복수의 철근이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조작이 간단하고 일거에 복수의 철근을 연결시공 할 수 있으므로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다발철근용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근은 제조상, 운반상의 문제 등으로 소정 길이로 공장 제작되어 공급되기 때문에 현장에서 건축물 등의 크기에 따라 절단하여 사용하거나 길이방향으로 연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렇게 길이방향으로 철근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 기술이 제시되고 있는 바,
일 예로 연결하고자 하는 철근을 맞대어 놓고 가스를 이용하여 연결부위를 용접에 의해 연결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 방법은 현장에서 시공위치에 상관없이 연결이 가능한 장점이 있으나 용융온도까지 가열이 필요하므로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다발철근의 연결작업에 있어서도 각각의 철근을 일일이 용접해야 하므로 불편 한 단점이 있다.
또한, 철근을 연결하는 방법으로서 다양한 형태의 커플러가 제시되고 있는 바, 일 예로서 실용신안등록 제 158868호(고안의 명칭 : 철근용 커플러)에서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커플러의 외면에 일정간격으로 커플러의 길이 방향으로 요홈을 형성하고 이 요홈의 중앙부에 돌출부를 형성하며 커플러의 내주연에는 나사부를 구성하여 각각의 연결되는 철근에 형성된 나사부와 회전결합에 의해 연결되는 커플러를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커플러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요홈에 의해 콘크리트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이 경우에 있어서도 다발철근에 대한 연결시공이 필요한 경우 각각의 연결할 철근의 수에 맞게 커플러를 구비해야 하며 일일이 연결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하나의 커플러에 의해 철근을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으며, 조작이 간단하여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커플러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철근을 길이방향으로 연결시키는 커플러에 있어서, 중앙에서 대칭이 되도록 하나 이상의 철근을 길이방향으로 각각 안치시킬 수 있는 공간부가 내면에 형성되며 그 외주연의 양단에 나사홈이 형성됨을 특 징으로 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 접하면서 그 내주연에 하나 이상의 철근이 고정되는 한 쌍의 거치대와, 상기 몸체부의 나사홈과 회전결합 될 수 있는 나사산이 내주연에 구성되는 한 쌍의 클램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발철근용 커플러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몸체부와 접하는 상기 거치대는 접하는 면의 형상에 경사를 구성하여 상기 클램프로 회전하는 경우 클램프에 의해 거치대를 가압하면서 철근이 몸체부와 강결하게 체결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몸체부의 내주연 양단에는 상기 몸체부 중심방향으로 높아지는 제 1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거치대에는 그 외주연에 상기 제 1경사면과 접하는 제 2경사면이 형성되도록 하여 클램프의 회전에 의해 거치대는 철근을 가압하고 몸체부는 상방향으로 클램프 내주연을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각각의 거치대는 복수의 유닛으로 구성되며 복수의 유닛에 형성된 제 2경사면에 안치홈을 구성하고 상기 안치홈에 고정링이 안치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연결할 철근에 복수의 유닛을 조립하고 유닛에 형성된 안치홈에 탄성재질의 고정링을 체결함으로써 연결할 철근 특히 복수의 철근을 잡아주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복수의 유닛에는 각각 삽지부가 구성되는데 접하는 유닛의 결합에 의해 각각의 유닛에 형성된 삽지부가 철근을 고정하도록 구성되며, 각각의 삽지부에는 각각 위치를 달리하여 철근의 리브가 삽입될 수 있도록 리브홈이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복수의 유닛으로 구성하고 각각의 유닛에는 삽지부를 구성하며 삽지부에는 각각 위치를 달리하는 리브홈을 구성하는 것은 이형철근의 리브가 일정하게 형성되는 것이 아니고 특히 복수의 이형철근을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이형철근의 리브 위치에 맞추어 복수의 유닛을 조립하기 위함이다.
상기 클램프는 병마개 형상으로 바닥면에 형성된 중공과, 상기 중공 외측에서 형성되는 테두리와, 상기 테두리 외측에서 융기하여 벽면을 구성하며 그 내주연에 상기 나사홈과 회전결합 될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클램프가 몸체부와 회전결합에 의해 체결됨과 동시에 상기 테두리가 거치대를 가압하고 거치대와 몸체부에 형성되는 경사면의 형상에 기인하여 거치대의 내주연 즉 각각의 삽지부가 철근을 가압함으로써 철근이 강결하게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부 중심부에는 관통공이 구성되어 클램프와 몸체부의 회전체결이 끝난 후에 상기 관통공을 통해 에폭시를 주입함으로써 커플러에 연결된 철근을 강결하게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본 예에 있어서 철근을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이 철근을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이 철근을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A-A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에 있어 구성요소인 거치대를 각각 4개의 유닛 및 6개의 유닛으로 구성한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연결될 복수의 철근이 양방향에서 삽입되는 몸체부(100)와,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서 철근을 잡아주는 거치대(200)와, 상기 몸체부(100)와 상기 거치대(200) 내부로 연결되는 복수의 철근을 체결하는 수단으로서 클램프(300)로 구성되는 다발철근용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철근이 연결될 수 있는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 상기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은 그 일 예로서 복철근 또는 3개의 철근에 사용되는 커플러를 도시하고 있는 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몸체부(100)는 일체형으로 구성되며 도 3,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앙에서 대칭이 되도록 복철근을 길이방향으로 각각 안치시킬 수 있는 공간부(110)가 내면에 형성된다. 상기 공간부(110)의 형상은 복철근을 연결하는 경우에는 양측면에 반원으로 구성되며 상,하면은 평면으로 구성되어 복철근이 내장될 수 있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공간부(110)의 형상은 연결되는 철근의 수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는 공간부(110)가 직접적으로 연결될 철근을 고정하는 구성이 아니므로 이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공간부(110)의 양단에는 중심방향으로 높아지는 즉 양단방향으로 낮아지는 제 1경사면(120)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100) 외주연의 양단에는 나사홈(130)이 형성된다. 또한, 몸체부(100) 중심부에는 관통공(140)이 구성되어 에폭시 등을 주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거치대(200)는 원뿔형상으로 구성되고 그 내부에 연결할 철근이 고정되어 연결할 철근과 상기 거치대(200)가 일체로 상기 몸체부(100)에 이하에서 설명할 클램프(300)에 의해 체결되는 구조이다. 상기 거치대(200)는 복수의 유닛을 조립하여 구성할 수 있는데 도 5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철근을 연결하는 경우 4개의 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유닛(a, b, c, d)에는 각각 반원형상의 삽지부(210)가 형성되고 각각 접하는 유닛 즉 도 5a에서는 a와 b 및 c와 d의 대향하는 삽지부(210)에 의해 철근이 삽지되는 것이다. 상기 각각의 유닛(a, b, c, d)은 조립되어 일체로 거치대(200)를 구성하는데 상기 거치대(200)는 상기 몸체부(100)의 제 1경사면(120)과 접하는 면으로써 제 2경사면(220)이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거치대(200)의 형상에서 원뿔형상에서 측면에 대응하는 면이 된다. 이렇게 제 2경사면(220)이 구성됨으로써 이하에서 설명할 클램프(300)의 회전에 의해 거치대(200)의 바닥면(250)을 가압하면 거치대(200)는 몸체부(100) 중심방향으로 전진하게 되며 이렇게 작동함에 따라 거치대의 제 2경사면(220)과 몸체부(100)의 제 1경사면(120)은 서로 접하면서 거치대(200)는 철근의 중심방향을 향하게 되며 이러한 힘에 의해 철근이 몸체부(100)의 공간부(110)에서 고정이 되는 것이다.
상기 거치대(200)는 제 2경사면(220)에 안치홈(230)이 구성되고 상기 안치홈(230)에는 탄성재질의 고정링(240)이 안치된다. 이렇게 고정링(240)에 의해 상기 거치대(200)를 구성하는 각각의 유닛(a, b, c, d)이 연결될 철근을 삽지하면서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링(240)이 구성됨으로써 제 2경사면(220)과 제 1경사면(120)에서 탄성에 의한 가압으로 삽지부(210)가 더욱 강결하게 연결될 철근을 삽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거치대(200)를 구성하는 각각의 유닛(a, b, c, d)에서 삽지부(210)에 는 각각 위치를 달리하여 철근의 리브가 삽입될 수 있도록 리브홈(211)이 구성되는데 이렇게 삽지부(210) 즉 각각의 유닛(a, b, c, d)에 구성된 삽지부 마다 리브홈(211)을 구성하는데 그 위치를 각각 달리하여 구성하는 것은 이형철근의 경우 각각의 철근마다 리브의 위치가 다르므로 연결할 철근의 경우 즉 상기 예와 같이 복철근의 경우에는 각각의 삽지부에 삽지되는 면이 4개가 있을 것이며 각각의 면에 구성된 리브의 위치가 각각 다를 것이므로 각각 다른 리브 위치에 맞도록 각각의 유닛(a, b, c, d)을 조립하여 거치대(200)를 구성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다발철근에 적용되는 것이므로 도 5b에서는 3개의 철근을 연결하는 경우에 거치대(200)를 구성하는 유닛을 6개로 구성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이 경우에도 삽지부(210), 안치홈(230), 고정링(240)의 구성은 동일하고 단지 각각의 유닛의 형상만이 다르게 구성되어 한번에 3개의 철근을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거치대(200)는 탄성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렇게 탄성재질로 구성함으로써 몸체부(100)와 연동하여 연결될 철근을 가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몸체부(100)와 연결될 철근과 일체로 조립된 거치대(200)는 병마개 형상의 클램프(300)에 의해 체결되는데,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클램프(300)는 병마개 형상으로 바닥면(310)에 형성된 중공(311)과, 상기 중공(311) 외측에서 형성되는 테두리(312)와, 상기 테두리(312) 외측에서 융기하여 벽면(320)을 구성하며 그 내주연에 상기 나사홈(130)과 회전결합 될 수 있는 나사산(330)이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클램프(300)에 형성된 중공(311)의 내경은 철근의 외경보다 크게 구성되고, 거치대(200)의 바닥면(250) 즉 거치대(200)의 원뿔형상에서 바닥면(250)의 지름보다 작게 구성되어야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서 도 4a 및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클램프(300)의 테두리(312)가 거치대(200)의 바닥면(250)과 접하면서 클램프(300)의 회전에 의해 몸체부(100) 중심방향으로 클램프(300)가 이동하게 되고 이러한 이동에 의해 클램프(300)의 테두리(312)가 거치대(200)의 바닥면(250)을 가압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도 6a 내지 도 6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6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결되는 각각의 복철근에 클램프(300)를 장착하고 거치대(200)를 각각의 유닛을 조립하여 설치한다. 이 경우 거치대(200)를 유닛으로 구성하는 경우 각각의 유닛에 형성된 삽지부(210)의 리브홈(211)에 연결되는 각각의 복철근에 형성된 리브의 위치에 맞추어 조립을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 다음 도 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거치대(200)와 일체화된 각각의 복철근을 몸체부(100)의 공간부(110)로 삽입한다.
그 다음 도 6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클램프(300)를 몸체부(100) 외주연에서 회전시킴으로서 클램프(300)와 몸체부(100)가 결합되며 이러한 결합에 의해 자동적으로 클램프(300)가 몸체부(100) 중심방향으로 거치대(200)를 가압하고 거치대(200)의 제 2경사면(220)과 몸체부(100)의 제 1경사면(120)이 접하면서 거치 대(200)는 철근 중심방향으로 향하는 힘을 받게 되며 이러한 힘에 의해 거치대(200)의 삽지부(210)가 강결하게 철근을 가압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거치대(200)의 외주연에 구성된 고정링(240) 또한 탄성재질로 구성됨으로써 거치대(200)의 삽지부(210)가 강결하게 철근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데 있어서 일조를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클램프(300)의 회전에 의한 몸체부(100)의 공간부(110)에 복철근이 고정되면 몸체부(100)에 형성된 관통공(140)을 통해 에폭시를 주입하고, 주입된 에폭시는 연결되는 복철근의 끝단과 공간부(11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메우게 되며, 이렇게 주입된 에폭시에 의해 연결되는 복철근이 인장력에 대한 저항성이 보강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된 내용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이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향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에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발철근용 커플러에 의하면, 하나의 커플러에 의해 복수의 철근을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조작이 간 단하여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형철근에 있어서 리브의 형성위치가 다름에도 하나의 커플러에 의해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1. 철근을 길이방향으로 연결시키는 커플러에 있어서,
    중앙에서 대칭이 되도록 하나 이상의 철근을 길이방향으로 각각 안치시킬 수 있는 공간부가 내면에 형성되며 그 외주연의 양단에 나사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 접하면서 그 내주연에 하나 이상의 철근이 고정되는 한 쌍의 거치대와;
    상기 몸체부의 나사홈과 회전결합 될 수 있는 나사산이 내주연에 구성되는 한 쌍의 클램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발철근용 커플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내주연 양단에는 상기 몸체부 중심방향으로 높아지는 제 1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거치대에는 그 외주연에 상기 제 1경사면과 접하는 제 2경사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발철근용 커플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거치대는 복수의 유닛으로 구성되며 복수의 유닛에 형성된 제 2 경사면에 안치홈을 구성하고 상기 안치홈에 고정링이 안치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다발철근용 커플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닛에는 각각 삽지부가 구성되며 접하는 유닛의 결합에 의해 각각의 유닛에 형성된 삽지부가 철근을 고정하도록 구성되며, 각각의 삽지부에는 각각 위치를 달리하여 철근의 리브가 삽입될 수 있도록 리브홈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발철근용 커플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병마개 형상으로 바닥면에 형성된 중공과, 상기 중공 외측에서 형성되는 테두리와, 상기 테두리 외측에서 융기하여 벽면을 구성하며 그 내주연에 상기 나사홈과 회전결합 될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발철근용 커플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중심부에는 관통공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발철근용 커플 러.
KR1020070050706A 2007-05-25 2007-05-25 다발철근용 커플러 KR200801036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0706A KR20080103688A (ko) 2007-05-25 2007-05-25 다발철근용 커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0706A KR20080103688A (ko) 2007-05-25 2007-05-25 다발철근용 커플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3688A true KR20080103688A (ko) 2008-11-28

Family

ID=40288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0706A KR20080103688A (ko) 2007-05-25 2007-05-25 다발철근용 커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10368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54916A (zh) * 2017-02-28 2017-06-16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免套丝钢筋套筒
KR102341669B1 (ko) * 2021-05-12 2021-12-20 김성태 소성변형 유도형 철근연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54916A (zh) * 2017-02-28 2017-06-16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免套丝钢筋套筒
KR102341669B1 (ko) * 2021-05-12 2021-12-20 김성태 소성변형 유도형 철근연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1357B1 (ko) 철근 연결 장치
MX2013004953A (es) Acoplador de barra de refuerzo.
CN213173702U (zh) 两两预制桩之间的连接件以及两两预制桩连接组件
CN105745456B (zh) 塑料构件
KR20190067964A (ko) 구조용 커플러
KR20080103688A (ko) 다발철근용 커플러
CN210316227U (zh) 灌浆套筒、钢筋节点连接结构及装配式建筑
KR101374598B1 (ko) 철근 커플러
KR200431816Y1 (ko) 다발철근용 커플러
CN213419597U (zh) 一种延长杆连接结构
KR20200001876U (ko) 조립식 폴
US11732479B2 (en) Sleeve for connecting steel bar
KR100858056B1 (ko) 다발철근용 커플러
KR20110043200A (ko) 파이프 고정용 클램프
US11412872B2 (en) Reinforced structure of composite chopsticks
KR20200107901A (ko) 원터치 철근 커플러
KR200289099Y1 (ko) 철근 결착구
KR20180020533A (ko) 내진용 철근 커플링장치
EP1067248A2 (en) Anchoring device for building components made of concrete or the like with easy-to-apply element for anchoring to the component
KR19990079849A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철근연결구
KR200466186Y1 (ko) 목다보 고정구
KR100308547B1 (ko) 철근연결구
KR20070076713A (ko) 철근 이음기
CN218340219U (zh) 打胶组件和打胶装置
CN211873560U (zh) 一种带肋钢筋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