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876U - 조립식 폴 - Google Patents

조립식 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876U
KR20200001876U KR2020190000643U KR20190000643U KR20200001876U KR 20200001876 U KR20200001876 U KR 20200001876U KR 2020190000643 U KR2020190000643 U KR 2020190000643U KR 20190000643 U KR20190000643 U KR 20190000643U KR 20200001876 U KR20200001876 U KR 2020000187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hole
base member
forming
b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6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4357Y1 (ko
Inventor
최효묵
Original Assignee
최효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효묵 filed Critical 최효묵
Priority to KR20201900006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357Y1/ko
Publication of KR202000018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8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3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35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53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폴과 관련된다. 본 발명은 실시예로, 중앙에 삽입홈이 형성되고 바닥면에 고정되는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에 형성된 삽입홈과 대응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부를 마감하는 상단부재 및 상기 베이스부재의 삽입홈에 일단이 결합되어 연장되고 상기 상단부재(2)의 수용홈에 다른 일단이 결합되어 고정되는 폴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기 상단부재는 길이 방향으로 절단된 복수의 부분부재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조립식 폴을 제시한다.

Description

조립식 폴{Assembly pole}
본 고안은 조립식 폴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CCTV의 지지나 버스 정류소 안내판의 지지와 같은 용도로 사용하기 위하여 외부에 세워서 설치하는 조립식 폴과 관련된다.
CCTV나 버스 정류소 안내판은 먼 곳까지 촬영이 가능하거나 멀리에서도 식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폴을 세운 후 높은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폴은 밑판, 상판, 폴대 등 여러 개의 구성 요소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들 구성들은 서로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폴로 완성된 후 지정된 장소에 설치된다. 또한 폴대가 하나의 긴 봉으로 이루어져 설치 및 운반에 불편함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2467호에는 폴대를 조립식으로 개선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조립식 폴은 설치 및 운반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조립식 폴은 밑판과 상판 등의 구성이 각각 하나의 몸체로 되어 있어 많은 양을 적재하기 어렵고, 폴이 연결이 나사체결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어 조립에 시간이 소요된다.
한편 강한 바람이 부는 경우와 같이 외력이 가해지면 흔들림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흔들림이 있는 경우 안전에 위협 요소가 될 수 있고, CCTV가 설치된 경우 촬영한 영상이 왜곡되어 정확한 영상을 촬영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폴을 이루는 각 구성들의 조립성을 높여 설치 및 운반의 용이성을 더욱 높이는 방안이 보강될 필요가 있으며, 외력에 의한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폴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는 방안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2467호 (2012.09.06)
본 고안은 조립식 폴을 이루는 각 구성들이 부분품들로 이루어져 서로 조립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적재량을 크게 할 수 있고 설치 및 운반의 용이성을 높일 수 있는 조립식 폴을 제시한다.
또한 외력에 의한 흔들림을 방지하고 폴을 안전하게 지지하는 것이 가능한 조립식 폴을 제시한다.
그 외 본 고안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실시예로, 중앙에 삽입홈이 형성되고 바닥면에 고정되는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에 형성된 삽입홈과 대응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부를 마감하는 상단부재 및 상기 베이스부재의 삽입홈에 일단이 결합되어 연장되고 상기 상단부재의 수용홈에 다른 일단이 결합되어 고정되는 폴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기 상단부재는 길이 방향으로 절단된 복수의 부분부재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조립식 폴을 제시한다.
여기에서 상기 베이스부재는, 바닥의 일부를 이루는 하판, 상기 하판으로부터 연장되고 삽입홈의 일부를 이루며 길이 방향의 절단면을 가지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외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체결부재가 통과하는 홀이 형성되는 결속부를 포함하는 부분부재들이 결속부를 맞대고 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단부재는, 상부를 마감하는 상판, 상기 상판으로부터 연장되고 수용홈의 일부를 이루며 길이 방향의 절단면을 가지는 제1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의 외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체결부재가 통과하는 홀이 형성되는 제1결속부를 포함하는 제1부재 및 수용홈의 일부를 이루며 길이 방향의 절단면을 가지는 제2연장부와, 상기 제2연장부의 외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체결부재가 통과하는 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결속부와 맞닿는 제2결속부를 포함하는 제2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립식 폴은, 관통홀이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폴대를 길이 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관통홀의 일부를 이루며 길이 방향의 절단면을 가지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외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체결부재가 통과하는 홀이 형성되는 결속부 및 상기 관통홀의 내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폴대의 일단과 접촉하여 폴대를 지지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부분부재들이 결속부를 맞대고 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립식 폴은, 상기 베이스부재와 연결되어 지지하는 받침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재는, 길이 방향으로 통과홀이 형성되는 중심부, 상기 중심부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들의 끝단을 잇는 폐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재와 연결되는 다리부재가 통과하는 홀이 형성되는 외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외곽부에서 상기 다리부재가 통과하는 홀의 사이에는 관통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조립식 폴을 이루는 각 구성들의 적재량을 크게 할 수 있고 구성들의 조립성이 우수하여 설치 및 운반의 용이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폴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라도 흔들림이 적어 안전성이 높으며 CCTV를 설치한 경우 흔들림이 최소화된 고품질의 영상을 얻을 수 있다.
그 외 본 고안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고안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베이스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상단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연결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받침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받침부재를 이용하여 폴을 지지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받침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상술한 본 고안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폴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폴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폴(100)은 베이스부재(1), 상단부재(2) 및 폴대(3)를 포함하되 여기에서 베이스부재(1)와 상단부재(2)는 길이 방향으로 절단된 복수의 부분부재가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베이스부재(1)는 중앙에 삽입홈(14)이 형성되어 이 삽입홈(14)에 폴대(3)의 일단이 결합되고 바닥면에 고정됨으로써 폴대(3)가 직립하여 연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단부재(2)는 베이스부재(1)에 형성된 삽입홈(14)과 대응되는 수용홈(23)이 형성되어 폴대(3)의 다른 일단이 결합되는 한편 폴의 상부를 마감한다.
한편 폴대(3)는 베이스부재(1)의 삽입홈(14)에 일단이 결합되어 연장되고 상단부재(2)의 수용홈(23)에 다른 일단이 결합되어 고정된다.
여기에서 베이스부재(1)와 상단부재(2)는 베이스부재(1)와 상단부재(2)가 길이 방향으로 절단되어 복수로 나뉘어진 부분부재들이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조립식 폴(100)은 베이스부재(1)와 상단부재(2)의 부분부재들을 서로 포개지도록 적재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적재 공간을 적게 소비하는 한편 단위 부재들의 무게를 줄일 수 있어 적재 및 운반에 유리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이하, 각 부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베이스부재(1)는 조립식 폴(100)의 하단 부분에 해당하는 요소로서 하판(11), 연장부(12) 및 결속부(13)를 포함하는 부분부재들이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도 2를 참조하면 하판(11)은 바닥의 일부를 이루고 하판(11)으로부터 삽입홈(14)의 일부를 이루는 연장부(12)가 연장된다. 하판(11)은 반원형의 형상이고 연장부(12)는 속이 비어있는 반원통형의 형상을 가진다. 이에 따라 하판(11)의 두께 방향과 연장부(12)의 길이 방향으로는 절단면(S)이 형성된다.
절단면(S)을 형성하는 연장부(12)의 양 끝단에서 연장부(12)의 외주 방향으로 절곡된 형태로 돌출되는 결속부(13)가 형성된다. 결속부(13)는 연장부(12)가 하판(11)과 맞닿는 부분에서 더 두텁게 보강되는 형태를 가진 돌출면으로 이루어진다. 결속부(13)에는 체결부재가 통과하기 위한 결속홀(13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부분부재들이 절단면(S)과 결속부(13)가 접하도록 결합되어 폴의 온전한 베이스부재(1)를 이루게 된다.
도면을 참고하면 대략 반원통형의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부분부재 2개가 절단면(S)과 결속부(13)가 접하도록 한 상태에서 결속부(13)의 결속홀(131)에 볼트가 삽입되고 반대쪽에서 너트가 결합됨으로써 일체화된다. 이에 따라 원형의 삽입홈(14)이 형성되고 이 삽입홈(14)에 폴의 일측이 결합된다.
이와 같이 부분부재들의 형상을 동일하게 하고 일체화시킴으로써 부재의 적재와 운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돌출된 형태의 결속부(13)를 형성하고 결속부(13)들을 접합시킨 후 체결부재를 체결하는 형태로 조립이 이루어지므로 조립이 용이하고 결합 상태를 견고하게 할 수 있다.
한편 하판(11)에는 다리부재(6)의 고정을 위한 슬릿 형상의 결합홀(111)이 형성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90도의 각도를 두고 슬릿 형상의 결합홀(111)이 4개가 형성된다. 이 결합홀(111)에 다리부재(6)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한편 결합홀(111)을 4개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2개, 3개 또는 5개 이상의 복수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결속부(13)와 동일한 형상의 보강부(15)가 결속부(13)와 일정 간격을 두고 베이스부재(1)에 형성될 수도 있고, 베이스부재(1)들의 결합이 완료된 하판(11) 중앙에는 전선이나 영상신호선이 통과하기 위한 홀(112)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삽입홈(14)과 홀(112)이 특별히 구분되지 않고 서로 통하는 하나의 관통홀로 이루어지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추가하여 연장부(12)에는 홀(121)이 형성되고 이 홀(121)을 통해 고정부재가 삽입되어 폴대(3)를 가압하면서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고정부재는 나사로 이루어지고 홀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단부재(2)는 조립식 폴(100)의 상부 끝단을 이루는 부분으로서, 서로 형상이 다른 제1부재(21)와 제2부재(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부재(21)는 상판(211), 제1연장부(212) 및 제1결속부(2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제2부재(22)는 제2연장부(222)와 제2결속부(2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부재(21)에서 상판(211)은 상부를 마감한다. 상판(211)에는 CCTV(10)와 같은 설치물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홀(25)이 형성될 수 있다. 상판(211)은 원형이고 분할되지 않은 일체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한편 제1연장부(212)는 상판(211)으로부터 연장되고 수용홈(23)의 일부를 이루며 속이 비어있는 반원통형의 형상을 가진다. 이에 따라 베이스부재(1)와 마찬가지로 제1연장부(212)의 길이 방향으로는 절단면(S)이 형성된다.
절단면(S)을 형성하는 제1연장부(212)의 양 끝단에서 제1연장부(212)의 외주 방향으로 절곡된 형태로 돌출되는 제1결속부(213)가 형성된다. 제1결속부(213)는 제1연장부(212)가 상판(211)과 맞닿는 부분이 더 두텁게 보강되는 형태를 가진 돌출면으로 이루어진다.
제1결속부(213)에는 체결부재가 통과하기 위한 결속홀(24)이 하나 이상 형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제1부재(21)는 폴의 상단을 이루는 부분부재가 된다.
제2부재(22)에서 제2연장부(222)는 수용홈(23)의 다른 일부를 이루며 속이 비어 있는 반원통형의 형상을 가진다. 이에 따라 제1연장부(212)와 마찬가지로 길이 방향으로는 절단면(S)이 형성된다. 또한 제1연장부(212)와 마찬가지로 절단면(S)을 형성하는 제2연장부(222)의 양 끝단에는 제1결속부(213)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제2결속부(223)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제2부재(22)는 폴의 상단을 이루는 또 다른 부분부재가 된다.
이러한 제1부재(21)와 제2부재(22)가 절단면(S)과 결속부(213, 223)가 접하도록 결합되어 폴의 온전한 상단을 이루게 된다. 한편 추가적으로 제2부재(22)에 결합리브(221)를 형성하고 제1부재(21)의 상판(211)을 통해 체결부재(미도시)를 제2부재(22)의 결합리브(221)에 체결함으로써 양 부재의 결합을 더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도면을 참고하면 제1부재(21)와 제2부재(22)는 절단면(S)과 결속부(213, 223)가 접하도록 한 상태에서 결속부(213, 223)의 결속홀(24)에 볼트가 삽입되고 반대쪽에서 너트가 결합됨으로써 조립이 완료된다. 조립이 완료됨에 따라 원형의 수용홈(23)이 형성되고 이 수용홈(23)에 폴의 다른 일측이 결합된다.
이와 같이 제1부재(21)에서 상판(211)을 일체로 함으로써 누수에 의해 폴대(3) 내부로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제1부재(21)와 제2부재(22)의 연장부(212, 222) 및 결속부(213, 223)의 형상은 대체로 동일하게 함으로써 적재와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판(211)에는 전선이나 영상신호선이 통과하기 위한 배선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홀에 전선 보호용 주름관(미도시)을 결합시키고 주름관을 통해 배선을 하며 홀과 주름관의 틈은 실리콘 등의 실링재로 메워 기밀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재(1)와 같이 연장부(212, 222)에는 홀(26)이 형성되고 이 홀(26)을 통해 고정부재가 삽입되어 폴대(3)를 가압하면서 고정시킬 수 있다.
폴대(3)는 조립식 폴(100)이 세워지도록 기둥 역할을 하는 구성으로서, 일단이 베이스부재(1)의 삽입홈(14)에 결합되고 다른 일단이 상단부재(2)의 수용홈(23)에 결합된다.
폴대(3)는 중앙이 빈 관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빈 부분에는 CCTV(10)로 연결되는 전선이나 영상신호선이 배선될 수 있다.
폴대(3)의 상측 끝단은 상판(211)에 의해 마감되고 전선이나 영상신호선은 바닥면으로부터 베이스부재(1)의 하판(11) 중앙에 형성된 홀(112)을 통해 폴대(3) 내부로 진입하고 상판(211)의 배선홀(미도시)을 통해 빠져나가 CCTV(10)에 배선될 수 있다.
한편 베이스부재(1)와 상단부재(2)에 결합되는 폴대(3)는 하나로 이루어져 폴대(3)의 양쪽 단부가 베이스부재(1)와 상단부재(2)에 각각 결합될 수도 있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4)를 이용하여 복수의 폴대(3)가 이어지는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폴(100)은 폴대(3)를 길이 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는 연결부재(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4)는 짧은 길이의 폴대(31, 32)들을 연결해 주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 요소로서, 연장부(41), 결속부(42) 및 돌출부(43)를 포함하고 보강부(4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연장부(41)는 관통홀(45)의 일부를 이루며 속이 비어 있는 반원통형의 형상을 가진다. 이에 따라 연장부(41)의 길이 방향으로는 절단면(S)이 형성되고 절단면(S)을 형성하는 연장부(41)의 양 끝단에서 연장부(41)의 외주 방향으로 절곡된 형태로 돌출되는 결속부(42)가 형성된다. 결속부(42)에는 체결부재가 통과하기 위한 결속홀(421)이 하나 이상 형성된다.
또한 돌출부(43)가 관통홀의 내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돌출부(43)는 폴대(3)의 일단과 접촉하여 폴대(3)를 지지한다. 돌출부(43)는 반원의 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부와 상부의 폴대(3)를 구획하는 한편 하측 폴대(3)의 상단 및 상측 폴대(3)의 하단과 각각 접촉하여 폴대(3)를 지지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연결부재(4)들이 절단면(S)과 결속부(42)가 접하도록 결합되어 폴대(3)를 연결하기 위한 온전한 부재로서 기능한다.
도면을 참고하면 대략 반원통형의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부분부재 2개가 절단면(S)과 결속부(42)가 접하도록 한 상태에서 결속부(42)의 결속홀(421)에 볼트가 삽입되고 반대쪽에서 너트가 볼트에 결합됨으로써 조립이 완료된다. 조립이 완료됨에 따라 원형의 관통홀(45)이 완성되고 이 관통홀(45)에 상측과 하측 폴대(3)의 일단이 결합된다.
한편 연결부재(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41)의 길이 방향 도중에 연장부(41)의 외주 방향으로 돌출되는 보강부(44)가 형성되고 보강부(44)에 의해 결속부(42)가 분할되는 구성일 수 있다. 이때 분할된 결속부(42)와 보강부(44)가 만나는 부분은 결속부(42)가 더 두텁게 이루어지는 형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보강부(44)에 의해 폴대(3)의 연결 부분이 견고해지고 체결부재에 의해 결속부(42)에 가해지는 힘을 보강부(44)로 분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연결부재(4) 역시 폴대(3)를 가압하면서 고정시키는 고정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홀(411)이 연장부(41)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연결부재(4)를 1개 사용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폴대(3)의 길이나 지지하는 힘을 고려하여 여러 개의 연결부재(4)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연결부재(4)를 이용하면 짧은 길이의 폴대(3)를 여러 개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공간이 많지 않은 경우에도 용이하게 적재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설명에서 베이스부재(1), 상단부재(2) 및 연결부재(4)는 2개의 부분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였으나 3개, 4개 이상의 복수의 부분부재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폴(100)은 베이스부재(1)와 연결되어 폴을 지지하는 받침부재(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받침부재(5)는, 길이 방향으로 통과홀(54)이 형성되는 중심부(51)와, 중심부(51)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연결부(52) 및 연결부(52)들의 끝단을 잇는 폐곡면으로 이루어지고 베이스부재(1)와 연결되는 다리부재가 통과하는 홀(55)이 형성되는 외곽부(53)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중심부(51)는 속이 빈 원기둥의 형태로서 통과홀(54)이 형성된다. 이 통과홀(54)을 통해 영상신호선이나 전선을 배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정확한 위치로 배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외곽부(53) 역시 속이 빈 원기둥의 형태로서 원형의 폐곡면을 이룬다. 외곽부(53)에는 복수의 홀(55)이 형성되는데 도면을 참조하면 8개의 홀이 형성된다. 이 홀에 다리부재(6)가 결합되어 고정된다. 받침부재(5)는 다리부재(6)에 의해 베이스부재(1)와 연결되는데 홀(55)의 갯수가 복수이고 베이스부재(1)의 결합홀(111)이 슬릿 형상이므로 위치를 정확하게 맞추지 않아도 베이스부재(1)의 결합홀(111)과 받침부재(5)의 홀이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다리부재(6)가 결합되지 않는 다른 홀은 영상신호선이나 전선을 배선하는 통로로 사용이 가능하다.
연결부(52)는 중심부(51)와 외곽부(53)를 연결하여 중심부(51)와 외곽부(53)의 위치를 규정하는 한편 받침부재(5) 전체의 구조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도면에서 연결부(52)는 4개의 연결바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연결바의 갯수는 적절게 변형하여 채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받침부재(5)는 다리부재(6)를 개재하여 베이스부재(1)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폴을 더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은 형태의 받침부재(5)는 합성수지를 압출 또는 사출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단면 형상을 가지면서 긴 원통형으로 형성된 모재를 제조하고 이를 절단하는 형태로 손쉽게 제작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받침부재(5)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곽부(53)의 홀(55)들 사이에 관통공간(V)이 형성되는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작하는 경우에는 기본 구조는 동일하여 지지기능을 유지하면서 관통공간 만큼 재료를 절감할 수 있으므로 경제성 면에서 유리하다. 한편 받침부재(5)에서 다리부재(6)가 통과하는 홀(55)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받침부재(5)를 이용하여 베이스부재(1)를 지지하는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받침부재(5)와 베이스부재(1)를 연결하여 고정하기 위하여 막대 형태의 다리부재(6)가 사용될 수 있다. 다리부재(6)는 일단이 절곡되어 연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장되는 다리부재(6)의 일단이 받침부재(5)의 홀(55)과 베이스부재(1)의 결합홀(111)을 차례로 통과한다. 다리부재(6)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이 나사산에 너트가 체결되어 받침부재(5) 및 베이스부재(1)에 고정될 수 있다.
받침부재(5)를 사용하는 형태의 일 예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바닥면을 파낸 후 다리부재(6)가 결합된 받침부재(5)를 수평이 되도록 하여 지중에 설치한다. 이때 받침부재(5)의 통과홀(54)로는 영상신호선이나 전선을 배선하기 위한 배선관(P)을 뽑아 놓는다. 통과홀(54)이 형성된 중심부(51)는 배선 위치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기저부(B)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기저부에는 받침부재(5)와 다리부재(6)가 고정되어 배치되고 다리부재(6)의 끝단이 기저부(B) 위로 돌출된다. 기저부(B)는 기저부 형상의 거푸집에 영상신호선이나 전선의 배선관(P)과 다리부재(6) 및 받침부재(5)를 배치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거푸집에 부어 경화시키는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후 기저부(B) 위로 돌출된 다리부재(6)의 끝단에 베이스부재(1)를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받침부재(5)를 이용하여 조립식 폴(1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전기선이나 영상신호선의 배선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폴(100)의 각 구성들은 용접으로 접합되는 것이 아니라 끼움 및 볼트, 너트 등의 체결 방식으로 간단하게 조립이 가능하고 각 구성들이 부분부재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므로 설치 및 운반이 용이하다.
한편 상술한 구성들인 조립식 폴(100)의 구성들(베이스부재(1), 상단부재(2), 폴대(3), 연결부재(4) 등)은 절연체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절연체로는 PVC(polyvinyl chloride), 섬유강화플라스틱(FRP)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등이 있다.
종래에는 강도 등을 위하여 금속재의 물질을 이용하여 폴을 제작하였으나, 이렇게 할 경우 누전, 감전 등의 위험성이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았다. 본 고안에서와 같이 PVC 등을 재질로 하고 그 두께를 어느 정도 이상으로 하게 되면, 기존의 폴에서 문제가 되는 누전, 감전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강도 면에서도 우수한 폴의 제작이 가능하다.
또한, 구성품을 PVC나 섬유강화플라스틱 등으로 하는 경우 다양한 색상의 폴의 제작이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다. 금속재의 경우 표면에 도포된 코팅이 벗겨질 수 있으므로 코팅 색상은 금속재의 색상과 유사한 색상을 사용하는 것이 미관상 유리하였다.
그러나, PVC, 섬유강화플라스틱 등으로 하는 경우 재료 위에 덧칠을 할 필요없이 재료 자체가 원하는 색상을 가지도록 할 수 있으므로, 외부의 충격 등으로 겉면이 손상을 입더라도 색상의 변화는 없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와 같이 PVC 등을 이용하는 경우 색상이 벗겨질 것을 우려하지 않고, 다양한 색상을 이용한 폴의 제작이 가능해진다.
상기와 같은 조립식 폴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베이스부재
11 : 하판 111 : 결합홀 12 : 연장부 121 : 홀
13 : 결속부 131 : 결속홀 14 : 삽입홈 15 : 보강부 112 : 홀
2 : 상단부재
21 : 제1부재 211 : 상판 212 : 제1연장부 213 : 제1결속부
22 : 제2부재 221 : 결합리브 222 : 제2연장부 223 : 제2결속부
23 : 수용홈 24 : 결속홀 25 : 설치홀 26 : 홀
3, 31, 32 : 폴대
4 : 연결부재
41 : 연장부 411 : 홀 42 : 결속부 421 : 결속홀
43 : 돌출부 44: 보강부 45 : 관통홀
5, 5' : 받침부재
51 : 중심부 52 : 연결부 53 : 외곽부 54 : 통과홀 55 : 홀
6 : 다리부재
S : 절단면 B : 기저부 V : 관통공간 P : 배선관
10 : CCTV 100 : 조립식 폴

Claims (6)

  1. 중앙에 삽입홈이 형성되고 바닥면에 고정되는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에 형성된 삽입홈과 대응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부를 마감하는 상단부재 및
    상기 베이스부재의 삽입홈에 일단이 결합되어 연장되고 상기 상단부재의 수용홈에 다른 일단이 결합되어 고정되는 폴대
    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기 상단부재는 길이 방향으로 절단된 복수의 부분부재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조립식 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는,
    바닥의 일부를 이루는 하판, 상기 하판으로부터 연장되고 삽입홈의 일부를 이루며 길이 방향의 절단면을 가지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외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체결부재가 통과하는 홀이 형성되는 결속부를 포함하는 부분부재들이 결속부를 맞대고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조립식 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재는,
    상부를 마감하는 상판, 상기 상판으로부터 연장되고 수용홈의 일부를 이루며 길이 방향의 절단면을 가지는 제1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의 외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체결부재가 통과하는 홀이 형성되는 제1결속부를 포함하는 제1부재 및
    수용홈의 일부를 이루며 길이 방향의 절단면을 가지는 제2연장부와, 상기 제2연장부의 외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체결부재가 통과하는 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결속부와 맞닿는 제2결속부를 포함하는 제2부재
    를 포함하는 조립식 폴.
  4. 제1항에 있어서,
    관통홀이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폴대를 길이 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관통홀의 일부를 이루며 길이 방향의 절단면을 가지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외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체결부재가 통과하는 홀이 형성되는 결속부 및 상기 관통홀의 내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폴대의 일단과 접촉하여 폴대를 지지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부분부재들이 결속부를 맞대고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조립식 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와 연결되어 지지하는 받침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재는,
    길이 방향으로 통과홀이 형성되는 중심부,
    상기 중심부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들의 끝단을 잇는 폐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재와 연결되는 다리부재가 통과하는 홀이 형성되는 외곽부를 포함하는
    조립식 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부에서 상기 다리부재가 통과하는 홀의 사이에는 관통공간이 형성되는 조립식 폴.
KR2020190000643U 2019-02-15 2019-02-15 조립식 폴 KR2004943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643U KR200494357Y1 (ko) 2019-02-15 2019-02-15 조립식 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643U KR200494357Y1 (ko) 2019-02-15 2019-02-15 조립식 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876U true KR20200001876U (ko) 2020-08-25
KR200494357Y1 KR200494357Y1 (ko) 2021-09-24

Family

ID=72233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643U KR200494357Y1 (ko) 2019-02-15 2019-02-15 조립식 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35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20741A1 (en) * 2019-04-16 2022-07-14 Adam John Miller Davit Arm Bas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6330B1 (ko) * 2022-09-01 2023-03-06 (주)다한산업 강구조물의 지주 연결 조립체
KR102561481B1 (ko) * 2023-01-16 2023-07-31 강원숙 배전용 전신주의 수평 유지 장치 및 그 설치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2103U (ja) * 1991-07-18 1994-09-02 ヒロテツ工業株式会社 アンカーボルト設定用型板
JP2000002020A (ja) * 1998-06-16 2000-01-07 Nippon Light Metal Co Ltd 支柱の固定構造
KR200462467Y1 (ko) 2009-08-19 2012-09-12 최창수 Cctv용 조립식 폴
KR20140035703A (ko) * 2012-09-14 2014-03-24 오정식 Led조명을 구비한 cctv용 지주
KR101563159B1 (ko) * 2015-01-13 2015-10-26 주식회사 신화 파일커플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2103U (ja) * 1991-07-18 1994-09-02 ヒロテツ工業株式会社 アンカーボルト設定用型板
JP2000002020A (ja) * 1998-06-16 2000-01-07 Nippon Light Metal Co Ltd 支柱の固定構造
KR200462467Y1 (ko) 2009-08-19 2012-09-12 최창수 Cctv용 조립식 폴
KR20140035703A (ko) * 2012-09-14 2014-03-24 오정식 Led조명을 구비한 cctv용 지주
KR101563159B1 (ko) * 2015-01-13 2015-10-26 주식회사 신화 파일커플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20741A1 (en) * 2019-04-16 2022-07-14 Adam John Miller Davit Arm Base
US11993946B2 (en) * 2019-04-16 2024-05-28 Adam Miller Davit arm ba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4357Y1 (ko) 2021-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01876U (ko) 조립식 폴
US5263297A (en) Structural member with a metal shell
RU2541002C2 (ru) Гибридная составная балка и балочная система
KR100864953B1 (ko) 프리캐스트 내부합성블록 세그먼트를 이용한이중단면구조의 콘크리트복합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US5457929A (en) Structural member with a metal shell
CN210827541U (zh) 塔筒基础的中心筒构件、具有其的中心筒和塔筒基础
US10213026B2 (en) Pultruded adjustable bed frame
KR101514144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골조와 이의 시공방법
KR101713141B1 (ko) 복합 교각 연결 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CN210766856U (zh) 预制拼接的中心筒及具有其的塔筒基础
KR100648979B1 (ko) 이중단면구조로 제작된 섬유강화플라스틱 관을 이용한콘크리트복합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514209B1 (ko) 보강판에 의해 보강된 금속 셸을 가지는 구조용 부재
KR101193075B1 (ko) 에프알피 콘크리트 합성파일 연결장치
KR101298581B1 (ko) 섬유보강 복합소재 데크 튜브 간의 스냅-핏과 접착 혼합 조립에 의한 바닥판과 거더의 연결구조 및 연결방법
KR20090118728A (ko) 콘크리트 충진 복합단면 교각 및 복합단면 교각과 기초의연결구조
CN209874655U (zh) 可拆卸模块化装配式组合围墙
KR100819504B1 (ko) 섬유강화플라스틱을 이용한 콘크리트복합체와 지지구조물의 연결방법
CN209307835U (zh) 一种装配式波形钢腹板连续组合梁
KR200232726Y1 (ko) 조립식 울타리
KR101544111B1 (ko) 섬유강화 철골연결구
CN218148884U (zh) 一种装配式钢结构的梁柱节点
KR100684390B1 (ko) 앵커볼트 조립체
KR101594728B1 (ko) 복합파일
CN217481708U (zh) 一种塑料膨胀管
CN218623610U (zh) 复材拼接加固角钢塔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