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4390B1 - 앵커볼트 조립체 - Google Patents

앵커볼트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4390B1
KR100684390B1 KR1020030071778A KR20030071778A KR100684390B1 KR 100684390 B1 KR100684390 B1 KR 100684390B1 KR 1020030071778 A KR1020030071778 A KR 1020030071778A KR 20030071778 A KR20030071778 A KR 20030071778A KR 100684390 B1 KR100684390 B1 KR 100684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bolt
anchor
stopper
present
bolt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1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8437A (ko
Inventor
백현일
Original Assignee
백현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현일 filed Critical 백현일
Publication of KR20050008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84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4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4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53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 E04H12/2261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on a flat b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undation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앵커볼트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몸체의 일단에 나사부가 형성된 복수개의 앵커볼트와; 상기 앵커볼트들이 각각 삽입되는 하우징과, 이 각각의 하우징을 상호 연결하는 벽체으로 이루어진 연결부재와; 상기 앵커볼트의 몸체 외주면에 결합된 상태로 하우징 내에 삽입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부품수가 적고 구조가 간단하여 취급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을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으며, 작업 현장에서 조립이 이루어짐으로써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함과 아울러 조립 설치가 용이하다.
앵커볼트, 연결부재, 스토퍼

Description

앵커볼트 조립체{ANCHOR BOLT ASSEMBLY}
도 1은 종래의 앵커볼트 조립체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앵커볼트 조립체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앵커볼트 조립체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앵커볼트 조립체의 요부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앵커볼트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앵커볼트 조립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앵커볼트 조립체의 설치 상태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앵커볼트 11 ; 몸체
12 ; 나사부 20 ; 연결부재
21 ; 하우징 22 ; 벽체
23 ; 보강리브 30 ; 스토퍼
31 ; 관통홀 32 ; 절개부
본 발명은 앵커볼트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상의 각종 구조물들을 지지 고정하기 위하여 매설되는 앵커볼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앵커볼트는 철골구조물 또는 목조구조물 등의 하부나 교량의 거더와 같은 콘크리트 또는 철근 콘크리트의 기초를 고정하는 볼트로서, 그 길이의 대부분을 기초부 내에 매설하고 일부분을 기초부 위로 돌출되도록 하여 그 돌출부에 상부구조물을 결합시킨 후 너트로 고정하게 되며, 이렇게 구조물이 콘크리트 기초부와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구조물의 진동 및 떨림 현상을 방지하고 외부 충격 등에 의해 분리되거나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앵커볼트는 매설되는 부분의 끝을 절곡하거나 별도의 앵커판을 장착하여 매설부인 콘크리트 기초부로부터 잘 빠지지 않게 하거나 별도의 가시볼트를 사용하여 매설하기도 한다.
그리고 이러한 앵커볼트는 주로 진동이 심한 공작기계의 고정용으로 사용되거나 가로등이나 표시판을 걸기 위하여 지주의 고정목적으로 주로 사용되며, 이외에도 각종 철제 구조물을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앵커볼트는 콘크리트 기초부 내에 하나의 독립된 개체로 매설되기도 하지만, 대부분 4개를 1개조로 하여 등간격 또는 부등간격의 거리를 유지하도록 준비작업을 시행한 후 콘크리트 기초부 내에 매설하게 된다.
이와 같이 앵커볼트 4개를 1개조로 하여 콘크리트 기초부 내에 매설되는 종래의 앵커볼트(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직립 설치되고, 상기 이웃하는 앵커볼트(1)의 사이에는 각각 2열의 연결봉(2)(3)을 용접 등의 수단으로 고정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이렇게 준비된 앵커볼트(1)는 차량 등을 이용하여 작업 현장으로 이송한 후 앵커볼트의 하부를 콘크리트 기초부 내에 매설한 후 그 상측에 너트 등을 이용하여 구조물을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앵커볼트는 용접 작업으로 각각의 앵커볼트(1)에 2열의 연결봉(2)(3)을 고정시킴으로써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많은 양의 연결봉이 필요하게 됨으로써 원자재의 사용량이 많게 되며, 이에 따라 비용을 상승시키는 한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미리 앵커볼트 4개를 1개조로 고정시킨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부피가 크고 중량이 무거워 운반이나 취급이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용접 등의 작업에 의해 각 앵커볼트 간의 간격이 불일치되는 등의 불량율을 상승시키는 문제점도 내포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 및 설치가 용이하며 제조비용을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앵커볼트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구조물에 고정되도록 일단에 나사부가 형성된 앵커볼트를 각각 삽입고정하는 복수 개의 하우징이 벽체로 연결된 연결부재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일측에 절개부를 가지고 외측면이 테이퍼지도록 형성된 스토퍼가 내측에 삽입되고, 이 스토퍼의 내측에는 앵커볼트가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벽체의 내측에는 보강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앵커볼트 조립체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앵커볼트 조립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직립 설치되는 다수의 앵커볼트(10)와, 이 각각의 앵커볼트(10)를 연결 고정하는 연결부재(20)를 포함한다.
상기 앵커볼트(10)는 통상적으로 하단이 일정 각도로 절곡 연장된 몸체(11)와, 이 몸체(11)의 상부에 일체로 마련되는 나사부(12)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재(20)는 각 앵커볼트(10)의 몸체(11)가 삽입 결합되는 하우징(21)과, 상기 각각의 하우징(21)을 연결하는 벽체(22)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부재(20)는 앵커볼트(10)의 크기 등에 따라 재질을 다르게 제작할 수 있는 바, 주로 앵커볼트(10)가 비교적 작은 크기일 경우에는 수지재로 사출 성형되고, 큰 경우에는 주철 등의 금속재 주물에 의해 성형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앵커볼트 몸체(11)의 외주면에는 스토퍼(30)가 결합된다. 이 스토퍼(30)는 앵커볼트(10)가 하우징(21)에 삽입될 경우 결합 강도를 높여주어 각각의 앵커볼트(10)가 연결부재(20)로부터 유동되는 것을 방지해 준다.
이러한 스토퍼(30)의 중앙에는 앵커볼트 몸체(11)가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홀(31)이 수직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외주면 일단부에는 절개부(3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절개부(32)에 의해 앵커볼트 몸체(11)의 외주면에 스토퍼(30)가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30)는 상부로 갈수록 그 외경이 점차 감소되는 즉, 상향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21)의 내주면은 상기 스토퍼(30)의 외형에 대응되도록 상부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감소된다.
따라서, 상기 앵커볼트(10)는 스토퍼(30)에 의해 하우징(21) 내부에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으며, 아울러 견고하게 결합됨으로써 구조물 등에 앵커볼트(10)를 설치할 경우 그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스토퍼(30)를 이용할 경우, 앵커볼트(10)의 외경에 상관없이 동일한 연결부재(20)에 결합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즉, 구조물의 규모에 따라 앵커볼트(10)의 크기나 직경을 달리 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연결부재(20)의 하우징(21) 내경 및 스토퍼(30)의 외경을 일률적으로 제작한 상태에서 상기 앵커볼트 몸체(11)에 결합되는 스토퍼(30)의 관통홀(31) 직경을 다양하게 제작하게 되면, 동일한 연결부재(20)로도 다양한 직경을 가진 앵커볼트(10)와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예컨대, 현재 사용되고 있는 앵커볼트(10)의 경우, 대체로 외경이 19, 22, 25㎜인 것을 사용하고 있는 바, 스토퍼(30)의 관통홀(31)의 직경을 이에 대응되도록 형성하면 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상기 연결부재(20)의 내측에는 상호 마주보는 벽체(22)를 가로질러 격자형으로 교차 결합된 보강리브(23)가 고정되어 있다. 이 보강리브(23)는 앵커볼트(10) 및 연결부재(20)가 기초부 내에 매설될 경우 기초부 내에서 보다 견고한 상태를 유지하여 유동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상기 연결부재(20)의 이웃하는 벽체(22)와 벽체(22) 사이의 모서리에 각각 보강리브(23)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앵커볼트 4개가 1개조로 이루어진 것을 일예로 도시 및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앵커볼트가 4개 뿐만 아니라 3개, 5개, 6개 등의 형태가 1개조로 제작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앵커볼트(10)는 연결부재(20)와 함께 작업 현장으로 운송된 후 조립된다.
즉, 상기 연결부재(20)의 하우징(21) 내에 각각의 앵커볼트(10)를 삽입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앵커볼트 몸체(11)의 외주면에는 스토퍼(30)가 압착 설치된다. 이와 같이, 스토퍼(30)의 절개부(32)를 통해 앵커볼트 몸체(11)를 압입한 후 앵커볼트(10)를 하우징(21) 내에 삽입하게 되면, 스토퍼(30)에 의해 앵커볼트(10)는 하우징(21) 내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렇게 조립이 완료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20)에 결합된 각각의 앵커볼트(10)를 콘크리트 기초부(S) 내에 매설하게 되며, 이 때 상기 각각의 앵커볼트(10)는 상단부가 기초부(S)의 상측에 돌출되도록 매설된다.
이어서 콘크리트 기초부(S)가 양생되면 앵커볼트(10)의 상단부에 구조물(40)의 하단을 결합하고, 상기 앵커볼트(10)의 상단 나사부(12)에 너트(41)를 체결하면 구조물의 설치가 완료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부품수가 적고 구조가 간단하여 취급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을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으며,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여 작업 현장에서 조립이 가능함으로써 조립 설치가 용이하다.

Claims (4)

  1. 구조물에 고정되도록 일단에 나사부가 형성된 앵커볼트를 각각 삽입고정하는 복수 개의 하우징이 벽체로 연결된 연결부재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일측에 절개부를 가지고 외측면이 테이퍼지도록 형성된 스토퍼가 내측에 삽입되고, 이 스토퍼의 내측에는 앵커볼트가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벽체의 내측에는 보강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볼트 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30071778A 2003-07-11 2003-10-15 앵커볼트 조립체 KR1006843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47099 2003-07-11
KR1020030047099 2003-07-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8437A KR20050008437A (ko) 2005-01-21
KR100684390B1 true KR100684390B1 (ko) 2007-02-22

Family

ID=37221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1778A KR100684390B1 (ko) 2003-07-11 2003-10-15 앵커볼트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43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269B1 (ko) 2009-01-29 2012-01-31 (주)탑인프라솔라 앙카볼트 고정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모듈 지지용 지주의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594Y1 (ko) * 2017-11-29 2021-11-11 제진수 지주 설치용 구조물
KR102087035B1 (ko) * 2018-07-25 2020-03-10 주식회사 미도산업 앵커볼트 설치용 지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4647A (ko) * 2000-08-17 2002-02-25 이기웅 제거식 앙카체용 쐐기를 이용한 앙카체 및 이를 이용한 제거 앙카 공법
KR20020062035A (ko) * 2001-01-19 2002-07-25 주식회사 나노비젼 마이크로 디스플레이용 로테이팅 미러 스캐닝 구동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4647A (ko) * 2000-08-17 2002-02-25 이기웅 제거식 앙카체용 쐐기를 이용한 앙카체 및 이를 이용한 제거 앙카 공법
KR20020062035A (ko) * 2001-01-19 2002-07-25 주식회사 나노비젼 마이크로 디스플레이용 로테이팅 미러 스캐닝 구동 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20014647
2002620350000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269B1 (ko) 2009-01-29 2012-01-31 (주)탑인프라솔라 앙카볼트 고정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모듈 지지용 지주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8437A (ko) 2005-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76055B1 (en) Modular foundation system
KR101615200B1 (ko) 스플라이스 슬리브 및 그의 체결 방법
KR100684390B1 (ko) 앵커볼트 조립체
JP2016191289A (ja) 杭頭接合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杭頭接合構造
JP4440136B2 (ja) 手摺支柱の取付工法
KR100461914B1 (ko) 강관말뚝용 철근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강관말뚝 머리부와철근콘크리트 기초의 결합구조
JP4941024B2 (ja) 設置物を載せる組立型基台
KR200282684Y1 (ko) 조립식 덮개판으로 보강되는 강관말뚝용 머리 보강장치
KR100582866B1 (ko) 펜스 주주 지지 구조
KR100645024B1 (ko) 기둥부재 고정용 프리캐스트 구조물
JPH1018424A (ja) 鉄骨柱等の柱脚部の根巻き型補強構造
JP6100818B2 (ja) 擁壁
JP6435218B2 (ja) 複合構造における仕口鉄骨の固定方法、仕口の構築方法と仕口構造、アンカーボルト固定治具
KR200375997Y1 (ko) 기둥부재 고정용 프리캐스트 구조물
JP2005076274A (ja) 分割式土留めフレーム
EP1666682B1 (en) Device for fastening posts on a surface, erection kit and fence
KR101162229B1 (ko) 기둥을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기둥 고정용 지지구
KR101980152B1 (ko) 지주의 파일기초 합성구조물의 시공방법
KR200427575Y1 (ko) 조립식 소형 맨홀용 패널 및 이를 이용하는 조립식 소형맨홀
KR200249532Y1 (ko) 강관말뚝 두부보강구조
KR102364921B1 (ko) 앵커 어셈블리
JP2509077B2 (ja) 雨水地下貯水施設
KR101272001B1 (ko) 프리캐스트 세그먼트부재 조립에 의한 우수저류조 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우수저류조 시공방법
KR200236547Y1 (ko) 강관말뚝 두부보강구조
KR20010044822A (ko) 강관말뚝 두부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