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6547Y1 - 강관말뚝 두부보강구조 - Google Patents

강관말뚝 두부보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6547Y1
KR200236547Y1 KR2020010007178U KR20010007178U KR200236547Y1 KR 200236547 Y1 KR200236547 Y1 KR 200236547Y1 KR 2020010007178 U KR2020010007178 U KR 2020010007178U KR 20010007178 U KR20010007178 U KR 20010007178U KR 200236547 Y1 KR200236547 Y1 KR 2002365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reinforcing
reinforcement structure
reinforcing member
pipe p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71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근호
이형범
김병석
김영진
주봉철
Original Assignee
문근호
이형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근호, 이형범 filed Critical 문근호
Priority to KR20200100071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65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65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6547Y1/ko

Links

Landscapes

  • Foundations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량등 건축물의 시공시 지반을 다지기 위한 지정작업중 특히 강관에 의한 지정 작업시 강관 상부로의 기초 콘크리트를 위한 배근에 있어 안전한 강도를 유지하여 지진에 대비하며 현장에서 바로 조립이 가능하여 운반이 용이하고 상부의 이형철근 조립시 나사조립하여 간편하고 단시간에 시공할 수가 있는 강관말뚝의 두부보강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부품수의 감소로 현장작업시간이 단축되며, +자형 보강판 대신 콘크리트 타설시 묻힐 수 있도록 보강부재를 구비하여 원주방향의 힘을 견딜 수 있도록 하여 유격 및 큰 변위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안전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어 지진에 대비할 수 있는 강관말뚝 두부보강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중앙부에 콘크리트 타설용홈이 형성되고 상부면 둘레에 다수개의 철근끼움너트가 부착된 상부원판과, 상기 상부원판의 소정위치를 관통하며 너트로 체결되며 하단에 걸림턱을 구비한 다수의 보강부재와, 상기 다수의 보강부재가 끼워지며 상기 보강부재의 걸림턱에 걸려 소정공간을 형성하며 강관의 내부에 삽입되는 하부원판과, 상기 상부원판의 철근끼움너트에 결합되는 다수의 철근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강관말뚝 두부보강구조{A pile head reinforcement structure of precast concrete pile}
본 고안은 교량등 건축물의 시공시 지반을 다지기 위한 지정작업중 특히 강관에 의한 지정 작업시 강관 상부로의 기초 콘크리트를 위한 배근에 있어 안전한강도를 유지하여 지진에 대비하며 현장에서 바로 조립이 가능하여 운반이 용이하고 상부의 이형철근 조립시 나사조립하여 간편하고 단시간에 시공할 수가 있는 강관말뚝의 두부보강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4는 일반적인 강관말뚝 두부보강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강관말뚝의 두부보강구조는 덮개판(100)의 소정위치에 다수개의 철근(200)이 나사결합 가능하도록 다수의 철근결합홀(110)을 구비하였으며 하부에 +자형 보강판(300)을 볼트결합하였다.
한편 상기 덮개판(100)의 하부에 +자형 보강판(300)을 볼트(400)켤합한 일체형의 두부보강구조를 강관말뚝의 상부에 삽입하여 상기 강관말뚝외주면과 상기 +자형 보강판(300)의 일단과 볼트(400)결합하였다.
상기 덮개판(100)의 소정위치에 구비된 철근결합홀(110)에 일단에 소정 나사선이 형성된 다수의 철근(200)을 결합한다.
그런 다음 횡방향으로 기초 철근을 배근한 다음 콘크리트 타설을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강관말뚝의 두부보강구조는 부품수의 증가로 현장조립작업시간이 길어지고 또한 소정 위치에 많은 볼트가 삽입될 홀을 정밀하게 천공하여하 하며, 볼트체결 후에도 강관파일과의 볼트결합 면이 잘 맞지 않는 등 작업상의 어려움을 가중시켰고, 땅에 스며드는 침출수의 영향을 받는 지반 및 연약지반의 강관의 외주면에 +자형 보강판을 결합한 볼트 및 볼트공에 부식이 발생되며, 볼트 및 볼트공의 틈과 유격에 의해 외력이 가해졌을 경우 큰 변위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부품수의 감소로 현장작업시간이 단축되며, +자형 보강판 대신 콘크리트 타설시 묻힐 수 있도록 보강부재를 구비하여 원주방향의 힘을 견딜 수 있도록 하여 유격 및 큰 변위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안전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어 지진에 대비할 수 있는 강관말뚝 두부보강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중앙부에 콘크리트 타설용홈(60)이 형성되고 상부면 둘레에 다수개의 철근끼움너트(20)가 부착된 상부원판과, 상기 상부원판(10)의 소정위치를 관통하며 너트(20)로 체결되며 하단에 걸림턱(41)을 구비한 다수의 보강부재(40)와, 상기 다수의 보강부재(40)가 끼워지며 상기 보강부재(40)의 걸림턱(41)에 걸려 소정공간을 형성하며 강관의 내부에 삽입되는 하부원판(30)과, 상기 상부원판(10)의 철근끼움너트(20)에 결합되는 다수의 철근(5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강관말뚝 두부보강구조를 나타낸 분해 조립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강관말뚝 두부보강구조의 상부원판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강관말뚝 두부보강구조의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일반적인 강관말뚝 두부보강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상부원판 11 : 보강부재 끼움홀
20 : 철근끼움너트 30 : 하부원판
31 : 보강부재 걸림홀 40 : 보강부재
41 : 걸림턱 50 : 철근
60 : 타설용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강관 말뚝용 덮개판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강관말뚝 두부보강구조를 나타낸 분해 조립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강관말뚝 두부보강구조의 상부원판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강관말뚝 두부보강구조의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중앙부에 콘크리트 타설용홈(60)이형성된 상부원판(10)의 둘레에 철근끼움너트(20)를 다수개 구비하였다.
상기 철근끼움너트(20)에 결합될 철근(50)의 일단에는 테이퍼가공을 하여 나사선을 형성한다.
또한 상부원판(10)의 소정위치에 소정 직경을 가지며 관통된 보강부재 끼움홀(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강부재(40)는 상부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는 절곡된 걸림턱(41)을 구비하였다.
하부원판(30)은 상기 보강부재(40)가 끼워지도록 소정위치에 소정직경을 가진 보강부재 걸림홀(31)을 구비하였고 상기 보강부재(40)의 걸림턱(41)에 걸려 고정되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상부원판의 소정위치에 다수의 철근끼움너트를 용접하여 고정한다.
그런다음 작업장으로 운반을 하게 되는데 상부원판 및 하부원판, 보강부재, 철근등을 분리하여 운반하기 때문에 부피가 적어 운반시 변형이 적고 운반이 용이하다.
소정작업장으로 운반된 강관말뚝 두부보강구조는 현장에서 직접조립하여 사용하게 된다.
즉 하부원판의 보강부재 관통홀에 다수의 보강부재를 끼운다음 상기 보강부재의 걸림턱에 상기 하부원판이 걸리도록 설치한다.
하부의 걸림턱에 하부원판을 지지한 다수의 보강부재를 상부원판의 소정위치에 형성된 보강부재 끼움홀에 끼워 너트를 이용하여 상기 보강부재를 고정한다.
그런다음 상기 보강부재에 의해 일체형이 된 상부원판 및 하부원판을 소정 강관말뚝의 두부에 삽입하게 된다.
상기 강관말뚝 상부에 상기 하부원판은 삽입되고 상부원판은 상기 강관말뚝의 상부면에 안착되어진다. 이 때 상기 강관말뚝 및 상부원판의 외주면을 용접하는데 상기 강관말뚝의 원주를 8등분하여 4곳에 용접을 하여 용접가공으로 인한 강관말뚝상부의 변형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한다.
그런다음 상부원판에 구비된 타설용홈을 통해 상부원판 하부의 소정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데 이때 보강부재가 콘크리트에 잘 묻히도록 한다.
콘크리트를 타설용홈을 통해 타설한 다음 소정길이를 가지며 일단에 테이퍼가공으로 나사선이 형성된 다수개의 철근을 상기 상부원판 상부면의 소정위치에 고정설치된 철근끼움너트에 상기 철근을 회전시켜 결합시킨다.
상기 철근을 수직으로 결합시킨 후 횡방향으로 기초철근을 구성할 경우 상기 수직철근이 상기 기초철근과 교차가 되면 상기 수직철근을 분리하여 다른 곳에 수직철근을 결합하여 상기 기초철근을 배근하는데 용이하도록 할 수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볼트에 의해 조립되는 부품의 수를 감소하여 현장작업시간이 단축시키고, 콘크리트 타설시 묻힐 수 있도록 보강부재를 구비하여 원주방향의 힘을 콘크리트가 견딜 수 있도록 하여 유격 및 큰 변위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안전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어 지진에 대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중앙부에 콘크리트 타설용홈(60)이 형성되고 상부면 둘레에 다수개의 철근끼움너트(20)가 부착된 상부원판(10)과, 상기 상부원판(10)의 소정위치를 관통하며 너트(20)로 체결되며 하단에 걸림턱(41)을 구비한 다수의 보강부재(40)와, 상기 다수의 보강부재(40)가 끼워지며 상기 보강부재(40)의 걸림턱(41)에 걸려 소정공간을 형성하며 강관의 내부에 삽입되는 하부원판(30)과, 상기 상부원판(10)의 철근끼움너트(20)에 결합되는 다수의 철근(5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말뚝 두부보강구조.
KR2020010007178U 2001-03-16 2001-03-16 강관말뚝 두부보강구조 KR2002365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7178U KR200236547Y1 (ko) 2001-03-16 2001-03-16 강관말뚝 두부보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7178U KR200236547Y1 (ko) 2001-03-16 2001-03-16 강관말뚝 두부보강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6399A Division KR20010044822A (ko) 2001-03-29 2001-03-29 강관말뚝 두부보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6547Y1 true KR200236547Y1 (ko) 2001-10-08

Family

ID=73097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7178U KR200236547Y1 (ko) 2001-03-16 2001-03-16 강관말뚝 두부보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654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9520B1 (ko) * 2001-08-21 2004-09-21 김미순 강관파일의 두부보강 구조 및 그 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9520B1 (ko) * 2001-08-21 2004-09-21 김미순 강관파일의 두부보강 구조 및 그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2532Y1 (ko) 대심도 기둥 철근망 조립 및 거치를 위한 지그
US6254314B1 (en) Covering plate assembly for steel pipe piles
US20110239581A1 (en) Precast Concrete to Foundation Connection
KR20110038587A (ko) 철근 케이지 구조
KR20090069151A (ko) 건축용 파일의 조립식 두부보강장치
JP5484288B2 (ja) カーポートやテラス等の柱の基礎構造、柱の基礎の施工方法および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KR200282684Y1 (ko) 조립식 덮개판으로 보강되는 강관말뚝용 머리 보강장치
KR200201561Y1 (ko) 강관파일 두부보강구조
KR200236547Y1 (ko) 강관말뚝 두부보강구조
KR200249532Y1 (ko) 강관말뚝 두부보강구조
KR20010044822A (ko) 강관말뚝 두부보강구조
KR20180007292A (ko) Phc 말뚝 연결장치
KR200426656Y1 (ko) 강관의 두부 보강장치
KR200386881Y1 (ko) 강관파일의 두부 보강 구조
JP5203059B2 (ja) コンクリート杭と鋼杭の接続構造
KR200263625Y1 (ko) 콘크리트 타설깊이 조절형 강관파일 두부의 덮개구조
CN111593653A (zh) 预制拼装桥梁立柱定位装置
KR200245405Y1 (ko) 강관말뚝 두부 결합구
KR100306028B1 (ko) 강관말뚝 머리부와 콘크리트 기초의 결합구조
KR200225668Y1 (ko) 강관 말뚝용 덮개판
JP2006207306A (ja) 架構体および架構体と杭の接続構造
KR200245357Y1 (ko) 강관말뚝용 강재 결합구
KR100676463B1 (ko) 강관말뚝기초 보강장치
KR20010067001A (ko) 결합구를 이용한 속채움방식의 강관말뚝과콘크리트구조물기초의 결합구조 및 그 결합구
KR20010016494A (ko) 외주용접을 이용한 강관말뚝 머리부 처리용 결합구조 및그 결합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