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6656Y1 - 강관의 두부 보강장치 - Google Patents

강관의 두부 보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6656Y1
KR200426656Y1 KR2020060017572U KR20060017572U KR200426656Y1 KR 200426656 Y1 KR200426656 Y1 KR 200426656Y1 KR 2020060017572 U KR2020060017572 U KR 2020060017572U KR 20060017572 U KR20060017572 U KR 20060017572U KR 200426656 Y1 KR200426656 Y1 KR 2004266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blocking plate
hole
jaw
support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75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흥수
손유식
정철헌
박성수
Original Assignee
비비엠코리아(주)
극동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비엠코리아(주), 극동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비비엠코리아(주)
Priority to KR20200600175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66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66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665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23Details of top sections of foundation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28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10Deep foundations
    • E02D27/12Pile found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조물의 기초에 수직으로 입설되어 기초를 보강함과 동시에 상부에 위치하는 구조물과의 결합을 견고히 함으로써 기초와 구조물의 전체적인 일체성을 도모하기 위한 강관의 두부 보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강관의 두부 보강장치는, 강관의 상단에 안착되는 걸림턱과, 걸림턱에 일체로 이루어지며 철근이 관통되는 관통공을 구비하고 있는 결합턱과, 결합턱과 직각으로 이루어지며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는 체결대와, 체결대에 직각을 이루며 강관의 중심방향으로 내민 부착턱을 포함하고, 체결대에 형성된 체결공과 강관의 구멍을 관통하는 볼트에 의해서 강관에 결합되는 복수의 체결구와,강관의 상단 내측 소정 깊이에 위치하여 상기 강관의 상단을 일정 깊이에서 폐쇄시키는 막음판과, 일단에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강관의 상단 끝에 걸림되고, 타단은 상기 막음판에 결합되는 복수의 지지레그를 포함한다.
강관, 체결구, 걸림턱, 결합턱, 관통공, 부착턱, 지지레그, 막음판

Description

강관의 두부 보강장치{Head reinforced apparatus for steel pip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강관 두부 보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강관의 두부 보강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강관 두부 보강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강관 두부 보강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강관 두부 보강장치에 있어서 체결구의 각각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강관 두부 보강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강관 : 100 체결구 : 200a, 200b, 200c, 200d
걸림턱 : 202 결합턱 : 204
관통공 : 206 부착턱 : 208, 208b
체결대 : 214 체결공 : 212
지지레그 : 300a, 300b 절곡부 : 302
걸림부 : 304 막음판 : 400a, 400b, 400c, 400d
끼움공 : 402 절취부 : 404
철근: 500
본 고안은 구조물의 기초를 다지는 작업에 있어서, 지반 기초에 삽입되는 강관말뚝의 머리부를 보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강관의 머리부를 보강하는 방식으로는, 강관의 상단에 덮개판을 씌우고 여기에 수직철근을 용접하는 덮개식과 강관의 머리부 내부에 수직철근을 넣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속채움식이 있다.
덮개식의 경우 수직철근을 덮개판에 용접하게 되는데, 그 용접되는 접촉 면적이 작아 부착강도가 충분히 확보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어 구조물 전체의 강성을 떨어뜨리게 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또한 덮개판의 주위에 수직철근을 개별적으로 용접하여야 하고, 수직철근이 강관 상부에 배근되는 철근과 서로 간섭되므로 현장에서의 작업성이 매우 떨어지는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강관의 머리부에 콘크리트를 채우는 속채움식이 최근에는 일반화되고 있다. 종래의 속채움식 강관두부보강재는 강관의 내부에 걸림턱이나 볼트를 형성한 후에 막음판을 걸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 은 강관의 좁은 내부에 별도의 걸림턱 등을 형성하여야 하므로 시공상 큰 불편함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강관과 수직철근 및 콘크리트와의 결속력을 강화하는 한편, 조립을 간단히 하여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는 강관 머리부의 보강장치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어 왔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그 조립이 간단하여 현장에서의 시공상의 작업성을 크게 개선 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소요되는 재료의 양을 줄여 경제성이 개선된 강관의 두부 보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부품의 구성요소끼리 견고하게 결합됨으로써 외력에 대한 충분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시공상의 오차를 줄여 상부 구조물의 내구성을 증가시키는 강관의 두부 보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강관의 두부 보강장치는,
강관의 상단에 안착되는 걸림턱; 볼트 가공된 끝단을 가지는 철근이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 가공된 관통공을 구비하고 있는 결합턱; 상기 결합턱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강관의 구멍과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는 체결대; 및 상기 체결대에 일체로서 형성되며 강관의 중심방향으로 내민 부착턱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대에 형성된 상기 체결공과 상기 강관의 구멍을 관통하는 볼트에 의해서 상기 강관에 결합되는 체결구; 상기 강관의 상단 내측 소정 깊이에 위치하여 상기 강관의 상단을 일정 깊이에서 폐쇄시키는 막음판; 및 일단에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강관의 상단 끝에 걸림되고, 타단은 상기 막음판에 결합되는 지지레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강관의 두부 보강장치는,
그 상단의 측부에는 강관의 상단에 걸림되어 안착시키기 위한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고, 그 상단의 중앙부에는 볼트 가공된 끝단을 가지는 철근이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 가공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강관에 접하는 그 측단에는 상기 강관의 구멍과 대응되는 위치에 나사 전조된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고, 외표면에는 횡방향으로 환형의 부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원통형의 체결구; 상기 강관의 상단 내측 소정 깊이에 위치하여 상기 강관의 상단을 일정 깊이에서 폐쇄시키는 막음판; 및 일단에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강관의 상단 끝에 걸림되고, 타단은 상기 막음판에 결합되는 지지레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강관 말뚝의 머리 보강장치의 일실시예의 구성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이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동일한 부재의 경우에는 서로 다른 도면의 경우에도 동일한 부호를 사 용하며, 동일한 부재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강관의 두부 보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강관의 두부 보강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구조물의 기초에 수직으로 입설되어 기초를 보강함과 동시에 상부에 위치하는 구조물과의 결합을 견고히 함으로써 기초와 구조물의 전체적인 일체성을 도모하기 위한 강관의 두부 보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강관(100)의 상부에는 철근(500)이 수직으로 설치되는데, 본 고안은 이렇게 수직으로 설치되는 철근(500)과 강관(100)의 상단을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보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철근(500)의 끝단에는 볼트가 전조되어 있고, 그 끝단은 결합턱(204)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공(206)에 볼트 결합하게 된다.
체결구(200a)는 철근(500)이 결합되는 관통공(206)이 형성되어 있는 결합턱(204)과, 체결구(200a)를 강관(100)의 상단에 안착시키기 위한 걸림턱(202)과, 체결구(200a)를 강관(1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공(212)이 형성되어 있는 체결대(214)와, 콘크리트와의 부착력 강화를 위한 부착턱(208)으로 구성되어 있다.
관통공(206)은 그 끝단이 볼트 가공되어 있는 철근(500)과 결합되기 위하여 내측에는 나사가 전조되어 있다. 이로써 관통공(206)은 철근(500)과 견고하게 볼트결합되는 한편, 철근(500)을 파지하여 철근(500)이 시공중에 옆으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결합턱(204)은 전체적으로 반타원의 수평단면을 가지는 기둥의 형상으로 이 루어져 있고, 상단의 중앙부에는 전술한 관통공(206)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턱(204)은 강관(100)의 상단에 철근(500)을 결합시키는 작용을 하는 한편, 강관(100)의 상단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와의 기계적인 부착력을 확보하는데 유리한 작용을 하게 된다.
관통공(206)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원형 이외에도 사각형, 육각형 등 다양한 형태의 다각형으로 할 수도 있는 것임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걸림턱(202)은 강관(100) 상단에 체결구(200a)가 걸림되어 안착되도록 강관(100) 상단의 두께만큼 돌출되어 있다. 결국 체결구(200a)는 걸림턱(202)을 강관(100) 상단에 안착시킨 후에 체결대(214)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공(212)에 볼트를 결합시킴으로써 강관(100)에 결합되는 것이다.
체결대(214)는 강관(100)의 내면에 밀착되고, 그 측단에는 강관과 볼트 결합되기 위하여 나사 전조된 체결공(212)을 구비하고 있어 체결구(200a)가 강관(10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부착턱(208)은 체결구(200a)의 하단에 강관(100) 중심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어 있는데, 강관(100)의 상단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을 강화시키는 작용을 한다.
막음판(400a)은 강관(100)의 상단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차폐하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서, 강관(100)의 내면 지름과 동일한 지름을 가지며 원판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지지레그(300)는 막음판(400a)을 강관(100)의 내부에 고정시키는 작용을 하 는 것으로서, 상부 끝단에는 갈고리 형상의 걸림부(304)가 형성되어 있고, 걸림부(304)는 강관(100)의 상단에 걸림되어 지지레그(300)를 강관(100)에 걸리게 한다. 지지레그(300)의 하부 끝단은 막음판(400a)의 상면에 용접 등에 의한 방법으로 부착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강관의 두부 보강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는 막음판(400b) 및 지지레그(300b)의 형상에서 지금까지의 실시예와는 구별되는 특징을 갖는다. 막음판(400b)에는 지지레그가 뻗어 내려진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원형의 끼움공(402)이 형성되어 있고, 지지레그(300b)의 하부 끝단에는 그 끝단을 절곡시켜 이루어진 절곡부(302)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레그(300b)의 절곡부(302)는 막음판(400b)의 끼움공(402)에 끼워지고, 막음판(400b)은 절곡부(302)에 의해 받침되어 지지되는 것이다. 끼움공(402)의 형상은 원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타원형, 슬롯형 등 절곡부(302)가 끼움되어 막음판(400b)을 지지할 수 있는 작용을 하는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변형이 가능할 것으로 여겨진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강관의 두부 보강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의 실시예는 막음판(400c)의 형상 면에서 지금가지의 실시예와 차이점을 가진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음판(400c)에는 지지레그(300b)가 뻗어 내려진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가장자리를 뜯어낸 절취부(404)가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절취부(404)에 지지레그(300b)의 절곡부(302)가 끼움되어 막음판(400c)을 지지하게 된다.
절취부(404)의 형상은 절곡부(302)가 끼움될 수 있다면, 슬롯형이나 직선형 홈으로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강관의 두부 보강장치에 있어서 체결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지금까지의 실시예는 체결구(200a)가 걸림턱(204), 체결대(214), 부착턱(208)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도 5a 및 도 5b에서 도시된 체결구(200b, 200c)는 반원 또는 다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통형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도 5a 및 도 5b에서 도시된 체결구(200b, 200c)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 상단의 측부에 강관(100)의 상단에 걸림되어 안착시키기 위한 걸림턱(202)이 형성되어 있고, 그 상단의 중앙부에는 볼트 가공된 끝단을 가지는 철근(500)이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 가공된 관통공(20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강관(100)에 접하는 그 측단에는 상기 강관(100)의 구멍과 대응되는 위치에 나사 전조된 체결공(212)이 형성되어 있고, 외표면에는 횡방향으로 환형의 부착홈(207)이 형성되어 있다.
체결공(212)은 강관(100)에 형성된 구멍과 볼트로 결합되기 위하여 나사 전조되어 있다. 부착홈(207)은 일정한 깊이로 패여 있는 골을 체결구(200b, 200c)의 외면에 환형으로 형성시켜 놓은 것이다. 부착홈(207)은 체결구(200b, 200c)와 콘크 리트 간의 부착강도를 높이는 작용을 한다.
부착홈(207)은 일정한 깊이로 패여 있는 것뿐만 아니라, 일정한 높이로 돌출되게 하여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며, 이러한 변형예 역시 콘크리트와의 부착력 강화라는 측면에서는 동일한 작용효과를 가지는 것이고,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범주에 속한다고 볼 것이다.
한편, 체결구(200b, 200c)의 형상은 반원형, 삼각형, 사다리꼴형 등 다양한 단면형상을 가지는 통형으로 할 수도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예 또한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구성한다.
또한, 지지레그(300a, 300b) 및 막음판(400a, 400b, 400c)에 대한 지금까지의 실시예들은 도 5a 및 도 5b에서의 실시예에 대해서도 얼마든지 그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구성하는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강관 두부 보강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체결구(200d)의 형상 및 막음판(400d)의 위치에서 지금까지의 실시예들과는 차이를 보인다. 체결구(200d)의 부착턱(208b)이 강관의 중심 방향으로 지금가지의 실시예에서 보다 더욱 연장되어 있다. 또한 부착턱(208b)에는 결합턱(204)과 마찬가지로 철근(500)이 삽입되어 결합되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즉, 철근(500)은 결합턱(204)에 마련된 구멍을 관통한 후에 부착턱(208b)에 마련된 관통공에 결합되는 것이다.
부착턱(208b)에 마련된 관통공에는 철근(500)이 결합되기 위한 나사가 전조 되어 있다. 따라서 볼트 가공이 되어 있는 철근(500)의 끝단이 부착턱(208b)에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체결구(200d)에는 체결공이 두 개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체결구(200d)는 두 개의 볼트(M)에 의해 강관(100)과 결합하게 되며, 볼트(M)의 위치는 체결대(214)상에서 철근(500)의 위치와 간섭이 되지 아니하도록 한다. 이로써 철근(500)의 결합과 체결구(200d)의 조립에 있어서, 어느 작업을 먼저 하여도 무관하게 되므로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막음판(400d)은 상기의 부착턱(208b)에 안착되는 구조로 강관의 상단에 결합하게 된다. 즉 막음판(400d)은 체결구(200d)에 있어서 결합턱(204)과 부착턱(208b)의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막음판(400d)은 부착턱(208b)의 상면에 안착되는 방식에 의해 결합턱(204)과 부착턱(208b)의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막음판(400d)의 상면에는 지금까지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콘크리트가 채워지게 된다.
한편, 막음판(400d)이 부착턱(208b)의 상면과 접촉되는 부분에는 절취부가 형성되어 있다. 막음판(400d)에 절취부를 형성함으로써 철근(500)은 상기 절취부를통하여 부착턱(208b)에 돌려 끼워져 결합된다.
이렇게 막음판(400d)이 강관의 상단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강관의 두부보강장치는 속채움식 두부보강장치의 장점과 덮개식 두부보강장치의 장점을 모두 가지게 된다.
즉, 덮개식 두부보강장치의 장점이라 할 수 있는 재료의 절감 특히, 강관의 두부에 채워지는 콘크리크의 절감 효과 및 시공상 작업의 용이성을 함께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막음판(400d)의 상부에 일정량의 콘크리트를 채우게 되므로, 속채움식 두부보강장치의 장점 즉, 강관의 두부에 콘크리트를 충전하여 강관 두부의 내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도 6에 직접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당해 실시예의 결합턱(204)도 지금까지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것과 마찬가지로 철근(500)이 관통하는 구멍의 내측면에 나사를 전조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하는 본 고안에 따른 강관 말뚝의 머리 보강장치는 그 조립이 간단하여 시공상의 작업성을 크게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끼리 견고하게 결합됨으로써 외력에 대한 충분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있는 것은 물론 시공상의 오차를 줄여 상부 구조물의 내구성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비록 고안이 상기에서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되어 졌으나, 고안의 요지와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다른 가능한 수정과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는 고안의 진정한 범위 내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과 변형을 포함할 것으로 예상된다.

Claims (15)

  1. 강관의 상단에 안착되는 걸림턱; 볼트 가공된 끝단을 가지는 철근이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 가공된 관통공을 구비하고 있는 결합턱; 상기 결합턱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강관의 구멍과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는 체결대; 및 상기 체결대에 일체로서 형성되며 강관의 중심방향으로 내민 부착턱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대에 형성된 상기 체결공과 상기 강관의 구멍을 관통하는 볼트에 의해서 상기 강관에 결합되는 체결구;
    상기 강관의 상단 내측 소정 깊이에 위치하여 상기 강관의 상단을 일정 깊이에서 폐쇄시키는 막음판; 및
    일단에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강관의 상단 끝에 걸림되고, 타단은 상기 막음판에 결합되는 지지레그를 포함하는 강관의 두부 보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레그는 그 끝단이 용접에 의해 상기 막음판의 상면에 부착되는 강관의 두부 보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막음판은 상기 지지레그가 뻗어 내려진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끼움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레그는 하부 끝단을 절곡시켜 형성된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곡부는 상기 막음판에 형성된 상기 끼움공을 관통하여 상기 막음판의 저면을 파지하게 되는 강관의 두부 보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막음판은 상기 지지레그가 뻗어 내려진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가장자리를 뜯어낸 절취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레그는 하부 끝단을 절곡시켜 형성된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곡부는 상기 막음판에 형성된 상기 절취부을 통하여 상기 막음판의 저면을 파지하게 되는 강관의 두부 보강장치.
  5. 그 상단의 측부에는 강관의 상단에 걸림되어 안착시키기 위한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고, 그 상단의 중앙부에는 볼트 가공된 끝단을 가지는 철근이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 가공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강관에 접하는 그 측단에는 상기 강관의 구멍과 대응되는 위치에 나사 전조된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고, 그 외표면에는 횡방향으로 환형의 띠를 이루며 소정의 깊이로 패이거나 돌출되어 있는 부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원통형의 체결구;
    상기 강관의 상단 내측 소정 깊이에 위치하여 상기 강관의 상단을 일정 깊이에서 폐쇄시키는 막음판; 및
    일단에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강관의 상단 끝에 걸림되고, 타단은 상기 막음판에 결합되는 지지레그를 포함하는 강관의 두부 보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레그는 그 끝단이 용접에 의해 상기 막음판의 상면에 부착되는 강관의 두부 보강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막음판은 상기 지지레그가 뻗어 내려진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끼움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레그는 하부 끝단을 절곡시켜 형성된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곡부는 상기 막음판에 형성된 상기 끼움공을 관통하여 상기 막음판의 저면을 파지하게 되는 강관의 두부 보강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막음판은 상기 지지레그가 뻗어 내려진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가장자리를 뜯어낸 절취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레그는 하부 끝단을 절곡시켜 형성된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곡부는 상기 막음판에 형성된 상기 절취부을 통하여 상기 막음판의 저면을 파지하게 되는 강관의 두부 보강장치.
  9. 그 상단의 측부에는 강관의 상단에 걸림되어 안착시키기 위한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고, 그 상단의 중앙부에는 볼트 가공된 끝단을 가지는 철근이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 가공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강관에 접하는 그 측단에는 상기 강관의 구멍과 대응되는 위치에 나사 전조된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고, 그 외표면에는 횡방향으로 환형의 띠를 이루며 소정의 깊이로 패이거나 돌출되어 있는 부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삼각기둥, 사각기둥 및 사다리꼴 기둥 중 선택되어 지는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구;
    상기 강관의 상단 내측 소정 깊이에 위치하여 상기 강관의 상단을 일정 깊이에서 폐쇄시키는 막음판; 및
    일단에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강관의 상단 끝에 걸림되고, 타단은 상기 막음판에 결합되는 지지레그를 포함하는 강관의 두부 보강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레그는 그 끝단이 용접에 의해 상기 막음판의 상면에 부착되는 강관의 두부 보강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막음판은 상기 지지레그가 뻗어 내려진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끼움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레그는 하부 끝단을 절곡시켜 형성된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 곡부는 상기 막음판에 형성된 상기 끼움공을 관통하여 상기 막음판의 저면을 파지하게 되는 강관의 두부 보강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막음판은 상기 지지레그가 뻗어 내려진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가장자리를 뜯어낸 절취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레그는 하부 끝단을 절곡시켜 형성된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곡부는 상기 막음판에 형성된 상기 절취부을 통하여 상기 막음판의 저면을 파지하게 되는 강관의 두부 보강장치.
  13. 강관의 상단에 안착되는 걸림턱; 철근이 관통할 수 있도록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결합턱; 상기 결합턱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강관의 구멍과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는 체결대; 및 상기 체결대에 일체로서 형성되며 강관의 중심방향으로 내민 부착턱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대에 형성된 상기 체결공과 상기 강관의 구멍을 관통하는 볼트에 의해서 상기 강관에 결합되는 체결구;
    상기 부착턱에 안착되는 방식으로 상기 결합턱과 상기 부착턱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강관의 상단을 폐쇄시키며, 상기 부착턱과 접촉되는 부분에는 상기 철근이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절취부를 가지는 막음판을 포함하는 강관의 두부 보강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공은 상기 체결대의 양쪽으로 두 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철근의 위치와 간섭되지 아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의 두부 보강장치.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턱의 구멍에도 나사가 전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의 두부 보강장치.
KR2020060017572U 2005-12-29 2006-06-29 강관의 두부 보강장치 KR2004266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7572U KR200426656Y1 (ko) 2005-12-29 2006-06-29 강관의 두부 보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3719 2005-12-29
KR2020060017572U KR200426656Y1 (ko) 2005-12-29 2006-06-29 강관의 두부 보강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9148A Division KR20070072332A (ko) 2005-12-29 2006-06-29 강관의 두부 보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6656Y1 true KR200426656Y1 (ko) 2006-09-18

Family

ID=41775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7572U KR200426656Y1 (ko) 2005-12-29 2006-06-29 강관의 두부 보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6656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9159B1 (ko) * 2009-06-03 2011-08-25 백은정 강관말뚝 두부 보강용 커플러
KR101059161B1 (ko) * 2009-06-03 2011-08-25 백은정 커플러를 이용한 강관말뚝 두부 보강공법
KR101076278B1 (ko) 2010-03-22 2011-10-26 문근호 강관 두부보강용 철근 결속장치
KR101448145B1 (ko) 2013-03-12 2014-10-07 (주)센벡스 기둥 일체형 기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9159B1 (ko) * 2009-06-03 2011-08-25 백은정 강관말뚝 두부 보강용 커플러
KR101059161B1 (ko) * 2009-06-03 2011-08-25 백은정 커플러를 이용한 강관말뚝 두부 보강공법
KR101076278B1 (ko) 2010-03-22 2011-10-26 문근호 강관 두부보강용 철근 결속장치
KR101448145B1 (ko) 2013-03-12 2014-10-07 (주)센벡스 기둥 일체형 기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84413B1 (en) Easily connectable anchor and pillblock replacement for an embedded wooden post
KR100976563B1 (ko)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
KR20070072332A (ko) 강관의 두부 보강장치
KR200426656Y1 (ko) 강관의 두부 보강장치
KR102268071B1 (ko) 말뚝의 두부 보강장치
KR101575789B1 (ko) 콘크리트 파일 강도 보강용 철근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파일 어셈블리
KR100461914B1 (ko) 강관말뚝용 철근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강관말뚝 머리부와철근콘크리트 기초의 결합구조
KR200201561Y1 (ko) 강관파일 두부보강구조
KR102598628B1 (ko) 철근 배치구조에 대응하여 배치구조 조정 가능한 무용접 철근 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착방법
KR102086526B1 (ko) Phc 파일의 이음부 무용접 연결장치
KR20180024420A (ko) 탈형 데크의 스페이서
KR101050291B1 (ko) 강관파일 두부 보강구조
KR20070068663A (ko) 강관 말뚝의 머리 보강장치
KR101304501B1 (ko) 강관파일 두부 보강장치
JPH09189128A (ja) プレキャスト鉄筋コンクリート基礎の型枠固定構造
KR100743729B1 (ko) 강관말뚝 머리부 보강장치
KR100676463B1 (ko) 강관말뚝기초 보강장치
KR20080020915A (ko) 시공이 간편한 철골 기둥과 철골 보의 강절 볼트 접합방식
KR100901291B1 (ko) 콘크리트 파일의 두부 보강조립체
KR100779582B1 (ko) 강관말뚝 두부보강구조 및 두부보강방법
KR100397847B1 (ko) 강관 말뚝용 머리 보강장치
KR100449520B1 (ko) 강관파일의 두부보강 구조 및 그 구조물
KR200376608Y1 (ko) 강관말뚝 두부보강을 위한 연결구조
KR20070062848A (ko) 일체식 소켓을 이용한 강관 파일 두부 보강장치 및 그보강공법
JPH10131397A (ja) せん断補強鉄筋の定着部構造、およびそれに用いる定着プレ−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