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4420A - 탈형 데크의 스페이서 - Google Patents
탈형 데크의 스페이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24420A KR20180024420A KR1020160110587A KR20160110587A KR20180024420A KR 20180024420 A KR20180024420 A KR 20180024420A KR 1020160110587 A KR1020160110587 A KR 1020160110587A KR 20160110587 A KR20160110587 A KR 20160110587A KR 20180024420 A KR20180024420 A KR 2018002442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acer
- deck
- piece
- head
- bend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8—Spacers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and spacing the reinforcements from the form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E04B5/40—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with metal form-slab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8—Spacers of metal or substantially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페이서를 강재의 단일 재질로 형성하면서 헤드, 제1·2절곡지지편, 고정편을 일체로 형성하므로 제조공정의 간소화 및 제조원가를 절감하여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데크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편을 딥 드로잉공법 또는 버링공법으로 성형하므로 용접과 같은 추가공정을 생략하여 제품 생산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스페이서와 데크의 결합력을 한층 향상시켜 제품의 신뢰성 및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탈형 데크의 스페이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탈형 데크의 스페이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페이서를 강재의 단일 재질로 형성하면서 헤드, 제1·2절곡지지편, 고정편을 일체로 형성하므로 제조공정의 간소화 및 제조원가를 절감하여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데크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편을 딥 드로잉공법 또는 버링공법으로 성형하므로 용접과 같은 추가공정을 생략하여 제품 생산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스페이서와 데크의 결합력을 한층 향상시켜 제품의 신뢰성 및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탈형 데크의 스페이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슬래브에는 강선 트러스 하부에 얇은 강판으로 이루어진 데크를 부착하여 이를 거푸집 겸 철근으로 사용한 데크는 오랫동안 국내 건축공사 현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데크를 적용하는 슬래브는 목재 거푸집 등의 재래식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에 비하여 콘크리트 양생 전까지 가설 지주를 생략하는 기능을 가지며, 트러스거더 하부에 부착한 데크가 거푸집 역할을 하여 별도 거푸집을 조립하고 해체하는 시간을 벌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트러스거더는 데크와 용접에 의해 결합되므로 분리가 불가능하여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트러스거더와 데크 사이에 스페이서를 설치하여 콘크리트 양생 후 데크를 분리하기 위한 탈형 데크 기술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전술한 탈형 데크에 적용되는 스페이서의 선행기술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37323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 등록발명의 스페이서는 두 개의 육면체로 형성된 합성수지재 스페이서 몸체가 스틸재로 형성된 스페이서 헤드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도록 인서트사출성형되어지되, 스페이서 몸체는 하부에 상부를 향하는 암나사가 형성되고, 스페이서 헤드는 헤드편이 하부에서 상부를 향하여 좁아지게 절곡되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헤드편의 하단에 외측 상부로 보강편이 경사지게 절곡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선 등록발명은 스페이서 몸체와 스페이서 헤드가 이질 재료로 형성되므로 제조공정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스페이서 몸체와 헤드의 결합력이 저하되어 제품의 상품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스페이서를 강재의 단일 재질로 형성하면서 헤드, 제1·2절곡지지편, 고정편을 일체로 형성하므로 제조공정의 간소화 및 제조원가를 절감하여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탈형 데크의 스페이서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데크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편을 딥 드로잉공법 또는 버링공법으로 성형하므로 용접과 같은 추가공정을 생략하여 제품 생산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스페이서와 데크의 결합력을 한층 향상시켜 제품의 신뢰성 및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탈형 데크의 스페이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트러스거더와 데크 사이에 설치되는 스페이서로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트러스거더가 안착되도록 상부로 돌출형성되는 헤드가 구비되고 상기 헤드의 양측 단부에 형성되어 외향으로 경사지면서 하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중첩되는 제1·2절곡지지편이 구비되며 상기 제1·2절곡지지편의 중앙에 딥 드로잉공법으로 성형되어 상부가 폐쇄되는 고정편이 일체의 강재인 단일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트러스거더와 데크 사이에 설치되는 스페이서로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트러스거더가 안착되도록 상부로 돌출형성되는 헤드가 구비되고 상기 헤드의 양측 단부에 형성되어 외향으로 경사지면서 하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중첩되는 제1·2절곡지지편이 구비되며 상기 제1·2절곡지지편의 중앙에 버링공법으로 성형되어 내부가 관통되는 고정편이 일체의 강재인 단일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편의 상단부를 폐쇄부재로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스페이서를 강재의 단일 재질로 형성하면서 헤드, 제1·2절곡지지편, 고정편을 일체로 형성하므로 제조공정의 간소화 및 제조원가를 절감하여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데크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편을 딥 드로잉공법 또는 버링공법으로 성형하므로 용접과 같은 추가공정을 생략하여 제품 생산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스페이서와 데크의 결합력을 한층 향상시켜 제품의 신뢰성 및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스페이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인 스페이서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인 스페이서의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인 스페이서에 트러스거더와 데크가 설치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인 스페이서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인 스페이서의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인 스페이서의 정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인 스페이서의 폐쇄부재가 캡 구조로 형성된 상태의 정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인 스페이서에 트러스거더와 데크가 설치된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인 스페이서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인 스페이서의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인 스페이서에 트러스거더와 데크가 설치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인 스페이서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인 스페이서의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인 스페이서의 정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인 스페이서의 폐쇄부재가 캡 구조로 형성된 상태의 정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인 스페이서에 트러스거더와 데크가 설치된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트러스거더(10)와 데크(20) 사이에 설치되는 스페이서(100)로서, 상기 스페이서(100)는, 상기 트러스거더(10)가 안착되도록 상부로 돌출형성되는 헤드(110)가 구비되고 상기 헤드(110)의 양측 단부에 형성되어 외향으로 경사지면서 하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중첩되는 제1·2절곡지지편(120(130)이 구비되며 상기 제1·2절곡지지편(120)(130)의 중앙에 딥 드로잉공법으로 성형되어 상부가 폐쇄되는 고정편(140)이 일체의 강재인 단일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트러스거더(10)와 데크(20) 사이에 설치되는 스페이서(100')로서, 상기 스페이서(100')는, 상기 트러스거더(10)가 안착되도록 상부로 돌출형성되는 헤드(110)가 구비되고 상기 헤드(110)의 양측 단부에 형성되어 외향으로 경사지면서 하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중첩되는 제1·2절곡지지편(120)(130)이 구비되며 상기 제1·2절곡지지편(120)(130)의 중앙에 버링공법으로 성형되어 내부가 관통되는 고정편(140')이 일체의 강재인 단일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편(140')의 상단부를 폐쇄부재(150)로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헤드(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폐쇄부재(150)는 제1·2절곡지지편(120)(130) 내측에 장착되며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폐쇄부재(150)는 고정편(140')의 상단부를 수용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제1·2절곡지지편(120)(130)과 제1·2절곡지지편(120)(130) 사이의 헤드(110) 하부에 내측으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헤드(110)의 강성을 확보하는 보강편(160)을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스페이서(100)는 강재(鋼材)의 단일 재질로 형성되며, 헤드(110), 제1·2절곡지지편(120)(130), 고정편(140)이 일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헤드(110)는 상향으로 돌출된 구조를 가지면서 트러스거더(10)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트러스거더(10)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상기 헤드(110)의 양측에는 하단부로 갈수록 외향으로 벌어져 일정 경사를 가지면서 하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중첩되는 제1·2절곡지지편(120)(130)이 형성된다.
상기 제1·2절곡지지편(120)(130)의 수평부 중앙에는 딥 드로잉(deep drawing) 공법으로 성형되는 고정편(140)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편(140)은 제1절곡지지편(120)의 내측 상부에 일체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고정편(140)의 상단부는 폐쇄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2절곡지지편(130)에는 스크류볼트(30)가 결합되도록 결합공(141)이 관통된다.
또한, 상기 제1·2절곡지지편(120)(130)과 제1·2절곡지지편(120)(130) 사이의 헤드(110) 하부에는 내측으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헤드(110)의 강성을 높이는 보강편(160)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스페이서(100)를 데크(20)의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시킨다.
상기 데크(20)는 소정의 규격을 가지는 합판, 합성수지 또는 강판 등과 같은 판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되 그 중 강판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데크(20)에는 스페이서(100)의 고정을 위해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통공이 관통형성된다.
상기 데크(20)의 통공에 스페이서(100)의 고정공(14)을 동일선상으로 위치시킨 후, 상기 데크(20)의 하부에서 스크류볼트(30)를 체결시키게 되면 나사산이 고정편(140)의 내측면을 파고 들어가면서 스페이서(100)와 데크(20)가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고정편(140)은 상부가 폐쇄된 구조이므로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의 유입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스페이서(100)와 데크(20)가 고정되면, 상기 스페이서(100)의 헤드(110)에 트러스거더(10)를 고정시킨다.
상기 트러스거더(10)는 상부철근(11), 래티스(12), 하부철근(13)으로 이루어지며, 일정 길이를 갖는 상부철근(11)의 양측에 지그재그로 형성된 래티스(12)의 상단부가 용접으로 각각 고정설치되며, 상기 래티스(12)는 하부로 갈수록 외향으로 벌어져 폭이 커지도록 고정된다.
상기 래티스(12)의 하단부 외측으로는 하부철근(13)이 밀착되어 용접으로 고정되어 형성되는 통상의 구조이다.
상기 스페이서(100)의 헤드(110)에 트러스거더(10)의 하부철근(13)을 올려 놓은 후, 상기 하부철근(13)과 헤드(110)의 접촉부위를 용접으로 고정시키면 되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100')는 강재(鋼材)의 단일 재질로 형성되며, 헤드(110), 제1·2절곡지지편(120)(130), 고정편(140'), 폐쇄부재(150)가 일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헤드(110)는 상향으로 돌출된 구조를 가지면서 트러스거더(10)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트러스거더(10)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상기 헤드(110)의 양측에는 하단부로 갈수록 외향으로 벌어져 일정 경사를 가지면서 하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중첩되는 제1·2절곡지지편(120)(130)이 형성된다.
상기 제1·2절곡지지편(120)(130)의 수평부 중앙에는 버링(burring) 공법으로 성형되는 고정편(140')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편(140')은 제1절곡지지편(120)의 내측 상부에 일체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고정편(140')은 내부가 관통형성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2절곡지지편(130)에는 스크류볼트(30)가 결합되도록 결합공(141)이 관통된다.
상기 제1·2절곡지지편(120)(130) 내측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사다리꼴 형상의 폐쇄부재(150)가 장착되며, 제1·2절곡지지편(120)(130)와 제1·2절곡지지편(120)(130) 사이에 형성된 보강편(160)의 양측 단부는 폐쇄부재(150)에 접촉되면서 상기 폐쇄부재(150)의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폐쇄부재(150)는 내부가 채워지거나 중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편(160)은 폐쇄부재(150)의 유동을 방지하는 기능 이외에 헤드(110)의 강성을 높이는 효과도 가지게 된다.
상기 고정편(140')을 폐쇄부재(150)에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폐쇄부재(150)가 제1·2절곡지지편(120)(130)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2절곡편(130)의 외측에서 일정 압력을 순간적으로 가하게 되면, 상기 고정편(140')의 단부가 폐쇄부재(150) 내부로 파고들면서 고정편(140')과 폐쇄부재(150)가 서로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폐쇄부재(15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꼴 형상이 아닌 캡 구조로 이루어져 고정편(140')의 상단부를 수용하면서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스페이서(100')를 데크(20)의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시킨다.
상기 데크(20)는 소정의 규격을 가지는 합판, 합성수지 또는 강판 등과 같은 판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되 그 중 강판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데크(20)에는 스페이서(100')의 고정을 위해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통공이 관통형성된다.
상기 데크(20)의 통공에 스페이서(100')의 고정공(14)을 동일선상으로 위치시킨 후, 상기 데크(20)의 하부에서 스크류볼트(30)를 체결시키게 되면 나사산이 고정편(140')의 내측면을 통과하여 폐쇄부재(150)를 파고 들어가면서 스페이서(100')와 데크(20)가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폐쇄부재(150)는 고정편(140')의 상단부를 막고 있는 구조이므로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의 유입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스페이서(100')와 데크(20)가 고정되면, 상기 스페이서(100')의 헤드(110)에 트러스거더(10)를 고정시킨다.
상기 트러스거더(10)는 상부철근(11), 래티스(12), 하부철근(13)으로 이루어지며, 일정 길이를 갖는 상부철근(11)의 양측에 지그재그로 형성된 래티스(12)의 상단부가 용접으로 각각 고정설치되며, 상기 래티스(12)는 하부로 갈수록 외향으로 벌어져 폭이 커지도록 고정된다.
상기 래티스(12)의 하단부 외측으로는 하부철근(13)이 밀착되어 용접으로 고정되어 형성되는 통상의 구조이다.
상기 스페이서(100')의 헤드(110)에 트러스거더(10)의 하부철근(13)을 올려 놓은 후, 상기 하부철근(13)과 헤드(110)의 접촉부위를 용접으로 고정시키면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100': 스페이서
110: 헤드
120: 제1절곡지지편
130: 제2절곡지지편
140,140': 고정편
141: 고정공
150: 폐쇄부재
160: 보강편
110: 헤드
120: 제1절곡지지편
130: 제2절곡지지편
140,140': 고정편
141: 고정공
150: 폐쇄부재
160: 보강편
Claims (6)
- 트러스거더와 데크 사이에 설치되는 스페이서로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트러스거더가 안착되도록 상부로 돌출형성되는 헤드가 구비되고 상기 헤드의 양측 단부에 형성되어 외향으로 경사지면서 하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중첩되는 제1·2절곡지지편이 구비되며 상기 제1·2절곡지지편의 중앙에 딥 드로잉공법으로 성형되어 상부가 폐쇄되는 고정편이 일체의 강재인 단일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형 데크의 스페이서.
- 트러스거더와 데크 사이에 설치되는 스페이서로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트러스거더가 안착되도록 상부로 돌출형성되는 헤드가 구비되고 상기 헤드의 양측 단부에 형성되어 외향으로 경사지면서 하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중첩되는 제1·2절곡지지편이 구비되며 상기 제1·2절곡지지편의 중앙에 버링공법으로 성형되어 내부가 관통되는 고정편이 일체의 강재인 단일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편의 상단부를 폐쇄부재로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형 데크의 스페이서.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형 데크의 스페이서.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재는 제1·2절곡지지편 내측에 장착되며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형 데크의 스페이서.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재는 고정편의 상단부를 수용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형 데크.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2절곡지지편과 제1·2절곡지지편 사이의 헤드 하부에 내측으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헤드의 강성을 확보하는 보강편을 더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형 데크의 스페이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10587A KR101946850B1 (ko) | 2016-08-30 | 2016-08-30 | 탈형 데크의 스페이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10587A KR101946850B1 (ko) | 2016-08-30 | 2016-08-30 | 탈형 데크의 스페이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24420A true KR20180024420A (ko) | 2018-03-08 |
KR101946850B1 KR101946850B1 (ko) | 2019-02-13 |
Family
ID=61726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10587A KR101946850B1 (ko) | 2016-08-30 | 2016-08-30 | 탈형 데크의 스페이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46850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284643A (zh) * | 2019-07-25 | 2019-09-27 | 河南绿建建筑科技有限公司 | 一种开口型钢混凝土组合桁架楼板 |
KR102137925B1 (ko) * | 2020-01-17 | 2020-07-27 | 주식회사 제일테크노스 | U형 절곡강판을 이용한 강판 탈형데크용 스페이서 및 강판 탈형데크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40102B1 (ko) * | 2020-08-20 | 2022-09-06 | (주)코스틸 |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를 이용한 슬래브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60759B1 (ko) * | 2014-10-10 | 2015-10-15 | (주)코스틸 | 스페이서 조립체 |
KR101609759B1 (ko) * | 2015-03-02 | 2016-04-07 | 주식회사 제일테크노스 | 탈형 데크 |
-
2016
- 2016-08-30 KR KR1020160110587A patent/KR101946850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284643A (zh) * | 2019-07-25 | 2019-09-27 | 河南绿建建筑科技有限公司 | 一种开口型钢混凝土组合桁架楼板 |
KR102137925B1 (ko) * | 2020-01-17 | 2020-07-27 | 주식회사 제일테크노스 | U형 절곡강판을 이용한 강판 탈형데크용 스페이서 및 강판 탈형데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46850B1 (ko) | 2019-02-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95740B1 (ko) | 콘크리트충전강관기둥의 상하 분리식 접합부구조 | |
KR101452940B1 (ko) | 들뜸방지 탈형 데크 플레이트 | |
JP2014037763A (ja) | 脱型デッキ | |
US20120192506A1 (en) | Concrete weldment | |
KR101946850B1 (ko) | 탈형 데크의 스페이서 | |
KR101995497B1 (ko) | 플레이트를 구비한 상하 pc기둥 간 강접합 결합구조 및 이를 이용한 pc보의 강접합 결합구조 | |
KR101460069B1 (ko) | 스페이서 유닛 및 이를 구비한 탈형 데크 | |
EP1966445B1 (en) | Column shoe | |
KR100967734B1 (ko) |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 | |
KR102069419B1 (ko) | 내부가 강관으로 보강된 복합말뚝 | |
KR101429527B1 (ko) | 복합보 접합부 구조 | |
KR200455723Y1 (ko) | 하이브리드 철골보 | |
KR20170089239A (ko) | 스페이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탈형 데크 | |
KR101986623B1 (ko) | 탈형 데크용 스페이서 모듈, 이를 구비한 탈형 데크 및 단열 데크 | |
KR102195990B1 (ko) | 이중 구조로 형성된 무해체 거푸집 및 그 이중 구조로 형성된 무해체 거푸집의 내부에 단열재가 구비된 무해체 거푸집 어셈블리 | |
US20100170166A1 (en) | Spot footing | |
KR101642110B1 (ko) | 탈형 데크 플레이트 | |
KR100859312B1 (ko) | 골판형 합성상판 | |
KR200201561Y1 (ko) | 강관파일 두부보강구조 | |
KR100894808B1 (ko) | 트러스거더 연결구 | |
KR200426656Y1 (ko) | 강관의 두부 보강장치 | |
KR101415695B1 (ko) | 합성보를 이용한 클린룸 골조 | |
KR20190000599U (ko) | 콘크리트 매립용 채널 | |
KR101864198B1 (ko) | Pc기둥 및 pc보의 src 결합구조, 상하부 pc기둥 상호간 플레이트 결합구조 | |
KR101872274B1 (ko) | 철골-콘크리트 하이브리드 상하 pc기둥 간 강접합 조인트 결합구조와 고정식 플레이트를 이용한 철골-콘크리트 하이브리드 pc기둥 및 pc보의 강접합 조인트 결합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