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7734B1 -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 - Google Patents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7734B1
KR100967734B1 KR1020080109282A KR20080109282A KR100967734B1 KR 100967734 B1 KR100967734 B1 KR 100967734B1 KR 1020080109282 A KR1020080109282 A KR 1020080109282A KR 20080109282 A KR20080109282 A KR 20080109282A KR 100967734 B1 KR100967734 B1 KR 100967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concrete member
steel
brackets
jo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9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0142A (ko
Inventor
이호찬
Original Assignee
이호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찬 filed Critical 이호찬
Priority to KR1020080109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7734B1/ko
Publication of KR20100050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0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7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7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3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materials; Composite steel and concrete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0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e.g. with reinforcements or tensioning members
    • E04C3/26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e.g. with reinforcements or tensioning members prestress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방형의 콘크리트 부재(10);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양단에 선단부가 노출되도록 매립된 철골(20);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양측면에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되며, 외측면은 측방향으로 노출되는 동시에 내측면은 상기 콘크리트 부재에 매립되어 있는 한 쌍의 접합 브라켓(41)(42); 상기 접합 브라켓의 내측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스터드 부재(44); 상기 콘크리트 부재(10)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인장 철근(14); 상기 접합 브라켓의 상단 사이에 결합되는 상부 보강부재(50); 및 상기 상부 보강부재의 하부에서 상기 접합 브라켓 사이에 결합되는 하부 보강부재(52);를 포함하는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에 관한 것이다.
합성보, 복합보

Description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 {Steel concrete composite crossbeam}
본 발명은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른 보를 연결할 수 있도록 중간 연결부를 제공함과 동시에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에 관한 것이다.
삭제
일반적인 건축물 시공에 있어서 슬래브를 축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기둥 부재를 세우고, 기둥 부재 사이에 보를 연결한 다음 거푸집과 보강 철근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는 공정을 거치게 된다.
상기 기둥 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보는 통상적으로 H형강이 사용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철골과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미리 건조한 소위 PC(Precast concrete) 보가 적용되기도 한다.
특허 등록 제0808057호 '합성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은 강재와 철근 콘크리트로 구성된 건축용 합성부재를 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합성부재를 사용할 경우에는 보의 설치가 간편하고 거푸집 형성과 철근 배근 공정 등을 생략하거나 줄일 수 있으므로 시공성과 경제성이 뛰어나다. 특히, 위 특허에 따른 합성부재는 강재가 콘크리트 부재의 양단부에만 구비되고, 중앙부에는 할로우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자중이 가벼워 운반 및 취급이 더욱 용이한 특징이 있다.
반면에, 상기 합성부재는 중앙부에 철골이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양단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구조적인 취약성을 가지고 있다. 더욱이, 중앙부에 할로우부가 형성된 경우에 이러한 구조적 취약성은 더욱 심화될 수 있다.
건축물 시공시에는 합성부재의 양단이 기둥 부재에 연결됨은 물론이고, 합성부재의 중간 지점에도 보가 연결될 필요성이 있어서 위와 같은 구조적인 문제점은 보완되어야만 한다.
또한, 상기 합성부재의 중앙부에는 콘크리트 부재만 구비되어 있을 뿐 다른 보를 연결할 만한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특히, 콘크리트 부재에 형성된 할로우부는 보 연결 수단을 구비하는데 여러 가지 장애 요인으로 작용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합성부재의 중앙부에 접합 브라켓을 마련하여 보를 연결할 수 있는 동시에 그럼에도 불구하고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는, 장방형의 콘크리트 부재(10);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양단에 선단부가 노출되도록 매립된 철골(20);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양측면에서 상단이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 위로 노출된 상태로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되며, 외측면은 측방향으로 노출되는 동시에 내측면은 상기 콘크리트 부재에 매립되어 있는 한 쌍의 접합 브라켓(41)(42); 상기 접합 브라켓의 내측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스터드 부재(44); 상기 콘크리트 부재(10)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인장 철근(14); 상기 접합 브라켓의 상단 사이에 상기 철골의 상부 플렌지(22)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상부 보강부재(50); 상기 상부 보강부재의 하부에서 상기 접합 브라켓 사이에 상기 철골의 하부 플렌지(24)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하부 보강부재(52); 및 상기 콘크리트 부재를 가로질러 상기 접합 브라켓 사이에 결합되며 관통공(54a)이 형성되어 있는 보조 보강부재(54);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콘크리트 부재의 중앙부에 한 쌍의 접합 브라켓을 구비하거나 또는 접합 철골을 매립함으로서 다른 보를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슬래브 시공이 매우 용이하다.
특히, 콘크리트 부재의 중앙부에 공극부가 형성된 경우에는 보강부재를 구비함으로써 구조적인 취약점을 극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콘크리트 부재 내부에 매립된 철근의 구성은 편의상 도시하지 않았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는 장방형의 콘크리트 부재(10)와, 상기 콘크리트 부재(10)의 양단에 선단부가 노출되도록 매립된 철골(20)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철골(20)은 나란하게 연장되는 상부 및 하부 플렌지(22)(24)와, 상기 상하부 플렌지(22)(24)를 연결하도록 형성된 웨브(26)를 포함하는 H형강으로 구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철골(20)은 하부 플렌지(24)와 웨브(26)의 일부가 콘크리트 부재(10) 내에 매립되도록 설치되는데, 이것은 슬래브 시공 위치를 고려하여 설정된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콘크리트 부재(10) 내에 매립되는 철골(20)의 하부 플렌지(24)와 웨브(26) 등에는 복수개의 스터드부재(미도시)가 구비되어 콘크리트 부재(10)와의 결합력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부재(10)에는 다양한 형태의 보강 철근이 더 마련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콘크리트 부재(10)에는 길이 방향으로 철골(20)의 하부 플렌지(24)를 통과하여 연장되는 인장 철근(14) 또는 긴장재가 매립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장 철근(14) 또는 긴장재는 프리텐셔닝 방식에 의해 콘크리트 부재(10) 내에 매립되는데, 이 경우 콘크리트 부재(10)의 단면력을 증대시켜 하중에 따른 인장응력에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부재(10)에는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열되어 있는 스터럽 철근(12)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터럽 철근(12)은 상기 철골(20)의 하부 플렌지(24)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그 단부가 상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인장 철근(14)과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그러나, 이러한 스터럽 철근의 형상과 설치 간격 및 위치 등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의 중앙부에는 다른 보를 연결하기 위한 접합 브라켓(41)(42)이 마련되는데 도 1의 B-B' 선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도 3을 참조로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 부재(10)의 중앙부 양측면에는 한 쌍의 접합 브라켓(41)(42)이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합 브라켓(41)(42)은 강재로 이루어진 플레이트로서 외측면(41a)(42a)이 콘크리트 부재(10)의 측방향으로 노출되는 동시에 내측면(41b)(42b)은 상기 콘크리트 부재(10) 내에 매립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접합 브라켓(41)(42)의 내측면(41b)(42b)에는 복수개의 스터드 부재(44)가 형성되어 있어서 콘크리트 부재(10)에 매립될 경우 콘크리트와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접합 브라켓(41)(42)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른 보가 접합되는 부분이므로 보가 접합되기에 적절한 크기와 높이로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콘크리트 부재(10)의 측면 폭에 상응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접합 브라켓(41)(42)은 그 상단이 상기 철골(20)의 상부 플렌지(22)와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것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동일한 구조의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를 연결하였을 경우 그 상면의 높이를 일치시키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접합 브라켓(41)(42)의 상단은 콘크리트 부재(10)의 상면 위로 노출된 채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접합 브라켓(41)(42)은 보강부재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보강되는데, 바람직하게 상기 보강부재는 강재로 이루어진 플레이트로서 상기 접합 브라켓(41)(42)의 상단 사이에 결합되는 상부 보강부재(50)와, 상기 상부 보강부재(50) 하부에서 접합 브라켓(41)(42) 사이에 결합되어 있는 하부 보강부재(52)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 보강부재(50)는 콘크리트 부재(10)의 상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하부 보강부재(52)는 콘크리트 부재(10) 내에 매립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상부 보강부재(50)는 전술한 철골(20)의 상부 플렌지(22)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며,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 보강부재(50)와 하부 보강부재(52) 사이의 간격은 상기 철골(20)의 상부 플렌지(22)와 하부 플렌지(24)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도록 설정된다.
상부 및 하부 보강부재(50)(52)가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질 경우,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보를 연결할 때 연결되는 보의 상부 및 하부 플렌지 높이가 상기 상부 및 하부 보강부재(50)(52)와 일치됨으로써 구조적으로 더욱 안정적인 결합이 가능하 다.
그러나, 이러한 보강부재(50)(52)의 설치 위치는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대안으로서 상기 하부 보강부재(52)가 콘크리트 부재(10)의 바닥면에 매립되도록 위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접합 브라켓(41)(42)은 콘크리트 부재(10) 내에 스터드 부재(44)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1차적인 결합력이 보강되며, 상기 접합 브라켓(41)(42) 사이에 상부 및 하부 보강부재(50)(52)를 개재시킴으로써 2차적인 보강력을 확보된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50)(52)는 접합 브라켓(41)(42)의 수평 저항력 뿐만 아니라 수직 저항력을 모두 보강하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한 쌍의 접합 브라켓(41)(42) 사이에는 보조 보강부재(54)가 추가로 개재되는데, 상기 보강부재(54)는 콘크리트 부재(10)를 가로질러 상기 접합 브라켓(41)(42)과 결합되는 강재 플레이트이다.
이 경우, 상기 보조 보강부재(54)는 앞서 설명된 실시예에 비해 접합 브라켓(41)(42)의 보다 많은 지점들을 연결하므로 접합 브라켓(41)(42)의 보강력은 더욱 증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조 보강부재(54)에는 관통공(54a)이 형성되는데 이것은 콘크리트 부재(10)와의 결합력을 더욱 증대시키는 작용을 한다. 또 다른 대안으로서, 상기 관통공(54a)을 가로질러 콘크리트 부재(10)의 길이 방향으로 철근(미도 시)을 추가적으로 배근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접합 브라켓(41)(42)이 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콘크리트 부재(10)에는 길이 방향으로 장방형의 공극부(Cavity)(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 부재(10)에 공극부(30)가 형성될 경우에는, 콘크리트 부재(10)의 양단 일부에만 철골(20)이 매립되는 구조로 인해 복합보의 전체 무게가 상대적으로 가벼워 취급 및 시공이 용이하다.
또한, 상기 공급부(30)는 접합 브라켓(41)(42)이 형성된 영역에도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실시예가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도 5는 도 4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부재를 가리킨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의 콘크리트 부재(10)에는 공극부(30')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공극부(30')는 접합 브라켓(41)(42)이 설치된 영역의 콘크리트 부재(10)를 포함하여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보조 보강부재(54)와 관통공(54a)가 공극부(30')에 노출되어 있는데, 이 경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를 부어서 타설할 때 공급된 콘크리트가 상기 관통공(54a)을 통해서 유동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를 사용하여 건축물을 시공하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건물의 기둥이 될 위치에 기둥 부재를 설치한다. 상기 기둥 부재는 통상적인 H형강을 사용하거나 또는 H형강과 콘크리트 부재가 프리캐스트되어 있는 합성기둥을 사용하여 시공될 수 있다.
기둥 부재의 설치가 끝나면,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를 기둥에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콘크리트 부재(10)의 양단으로 노출된 철골(20) 단부를 기둥에 용접하거나 별도의 브라켓을 사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기둥 부재의 설치와 복합보의 연결은 당해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기둥 부재에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100)의 연결이 완료되면, 이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의 중앙부에 설치된 접합 브라켓(41)(42)에 다른 보(200)를 연결한다. 이때, 연결되는 보(200)는 본 발명에 따른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가 될 수도 있고, 또는 다른 대안으로서 일반적인 H형강보 또는 H형강과 콘크리트 부재가 일체로 성형된 합성보가 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의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을 모두 포괄하여 단순히 '보'로 약칭한다.
상기 보(200)는 다양한 방식으로 접합 브라켓(41)(42)에 결합될 수 있는데, 가장 보편적인 방법은 보(200)의 철골(210) 단부를 접합 브라켓(41)(42)에 용접하는 것이다.
이때, 연결되는 보(200)에 있는 철골(210)의 상부 및 하부 플렌지가 상기 상부 및 하부 보강부재(50)(52)의 높이와 각각 일치하도록 결합시킨다. 이렇게 결합이 이루어질 경우, 철골의 상면 높이가 서로 일치하게 되므로 슬래브 시공이 더욱 용이할 뿐만 아니라, 연결되는 상부 및 하부 플렌지가 상기 상부 및 하부 보강부재(50)(52)와 연속성을 유지하는 효과가 있어서 구조적으로도 안정하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접합 브라켓(41)(42)에 복수의 체결공(71)이 형성된 연결 브라켓(70)을 용접하여 고정시키고, 여기에 다른 보(200)의 철골(210) 단부를 위치시킨 후, 연결 브라켓(70)의 체결공(71)으로 체결볼트(72)를 삽입하여 철골 단부에 형성된 구멍(211)을 통과하도록 하여 너트(73)로 고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결합 방법은 독립적으로 사용되거나 상기 용접 방식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위와 같이 복합보의 중앙부에 보가 연결되면, 다음으로 상기 보 위에 데크 플레이트(미도시)를 설치하고 동시에 슬래브 철근을 배근한다. 상기 데크 플레이트는 슬래브 거푸집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보의 콘크리트 부재의 상단 에지에 걸쳐지도록 설치되어 보와 보 사이를 커버한다. 이러한 데크 플레이트의 구성과 기능은 이미 당업계에 널리 알려진 것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어서, 설치된 데크 플레이트 위에 콘크리트를 부어서 타설한다. 이때, 공급된 콘크리트는 본 발명의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의 공극부(30)로 침투하여 메우게 되며, 전술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콘크리트가 관통공(54a)을 통해서 유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면 본 발명의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를 사용한 슬래브의 축조가 완료된다.
비록 지금까지 콘크리트 부재의 중앙부에 공극부가 있는 구성을 실시예로 설 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콘크리트 부재에 공극부가 없는 복합보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의 구성이 도 8 및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도 9는 도 8의 D-D'선에 따른 단면도를 나타내며, 이들 도면에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부재를 가리킨다.
본 실시예의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에 있어서도, 콘크리트 부재(10)의 양측면에 한 쌍의 접합 브라켓(41)(42)이 설치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복합보에는 전술한 상부 및 하부 보강부재가 구비되지 않고, 상기 콘크리트 부재(10)를 가로 질러 접합 브라켓(41)(42) 사이에 보조 보강부재(54')만이 설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조 보강부재(54')의 상단은 상기 접합 브라켓(41)(42)의 상단과 그 높이가 일치하도록 구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보조 보강부재(54')에는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관통공(54a')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극부(30)가 접합 브라켓(41)(42)이 설치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콘크리트 부재(10)에 형성되어 있으나,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합 브라켓(41)(42)이 설치된 영역의 콘크리트 부재(10)를 포함하도록 공극부(3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의 접합 브라켓(41)(42)에 다른 보(200)를 연결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보를 연결하는 과정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의 구성이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도 13은 도 12의 E-E'선에 따른 단면도를 나타내며, 이들 도면에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부재를 가리킨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는 콘크리트 부재(10)의 중앙부에는 노출부(13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노출부(13a)에는 접합 철골(60)이 양단이 매립된 채로 설치된다.
상기 접합 철골(60)은 복합보의 철골(20)을 일부분 절단함으로써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철골(20)과 마찬가지로 콘크리트 부재(10)의 길이 방향으로 매립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매립되는 접합 철골(60)의 측면에는 복수개의 스터드 부재(61)가 형성되어 콘크리트 부재(10)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접합 철골(60)의 상부 플렌지(62)와 하부 플렌지(64)는 상기 철골(20)의 상부 플렌지(22) 및 하부 플렌지(24)와 각각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설치된다.
동시에, 상기 접합 철골(60)의 상부 플렌지(62)와 하부 플렌지(64)는 상기 콘크리트 부재(10)의 노출부(10a)를 통해 측면으로 노출되어 있으며,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연결되는 보의 철골과 정확하게 맞춤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접합 철골(60)의 웨브(66)에는 체결공이 형성된 연결 브라 켓(68)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상기 접합 철골(60)이 형성되지 않은 콘크리트 부재(10)에는 공극부(도 1의 30 참조)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도 14에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실시예의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에 다른 보(200)를 연결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되는 보(200)는 본 실시예에 따른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의 콘크리트 부재(10)에 형성된 노출부(10a)를 통해 연결된다.
즉, 연결되는 보(200)의 철골 단부(210)를 콘크리트 부재(10)의 노출부(10a)를 통해 삽입하여, 콘크리트 부재(10)의 상면에 거치시킨다. 이때, 연결보(200)의 철골 단부의 상부 플렌지와 하부 플렌지는 상기 접합 철골(60)의 상부 플렌지(62) 및 하부 플렌지(64)와 각각 접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철골 단부(210)와 접합 철골(60)을 서로 용접하여 결합시키고, 추가적으로 연결 브라켓(68)을 사용하여 양자를 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아래 도면들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되지만, 이러한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그 도면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의 중앙부에 다른 보를 연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사시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D-D'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따른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의 중 앙부에 다른 보를 연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 실시예에 따른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E-E'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 실시예에 따른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의 중앙부에 다른 보를 연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Claims (9)

  1. 장방형의 콘크리트 부재(10);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양단에 선단부가 노출되도록 매립된 철골(20);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양측면에서 상단이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 위로 노출된 상태로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되며, 외측면은 측방향으로 노출되는 동시에 내측면은 상기 콘크리트 부재에 매립되어 있는 한 쌍의 접합 브라켓(41)(42);
    상기 접합 브라켓의 내측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스터드 부재(44);
    상기 콘크리트 부재(10)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인장 철근(14);
    상기 접합 브라켓의 상단 사이에 상기 철골의 상부 플렌지(22)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상부 보강부재(50);
    상기 상부 보강부재의 하부에서 상기 접합 브라켓 사이에 상기 철골의 하부 플렌지(24)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하부 보강부재(52); 및
    상기 콘크리트 부재를 가로질러 상기 접합 브라켓 사이에 결합되며 관통공(54a)이 형성되어 있는 보조 보강부재(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80109282A 2008-11-05 2008-11-05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 KR100967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9282A KR100967734B1 (ko) 2008-11-05 2008-11-05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9282A KR100967734B1 (ko) 2008-11-05 2008-11-05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0142A KR20100050142A (ko) 2010-05-13
KR100967734B1 true KR100967734B1 (ko) 2010-07-05

Family

ID=42276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9282A KR100967734B1 (ko) 2008-11-05 2008-11-05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77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20303B (zh) * 2012-06-15 2014-12-10 吴方伯 一种混凝土叠合梁
KR101375382B1 (ko) * 2013-08-19 2014-03-17 장민우 프리캐스트 무거푸집 합성보 및 이의 제조공법
CN104060760B (zh) * 2014-06-19 2016-09-07 浙江勤业建工集团有限公司 高层建筑结构转换层混凝土超大梁分层施工方法
CN104234443B (zh) * 2014-10-08 2016-05-25 苏州中固建筑科技有限公司 一种钢骨混凝土构件的牛腿式加固方法及新增梁构件
KR101703146B1 (ko) * 2016-01-28 2017-02-06 진승영 철골 구조물의 결합 시공 방법 및 철골 구조물의 결합 구조체
CN107268888A (zh) * 2017-07-31 2017-10-20 中民筑友建筑科技(昆山)有限公司 一种预制梁结构
CN109024907B (zh) * 2018-07-26 2021-05-18 广西大学 群钉布置装配式钢-预制混凝土板组合梁连接构造的制备及其施工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6294A (ja) 1997-12-04 1999-06-22 Fujita Corp 鉄骨入りコンクリート梁及びこれを用いた床施工法
KR20040034970A (ko) * 2002-10-18 2004-04-29 노윤근 피씨 강선 및 티형 강판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철근콘크리트 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100808057B1 (ko) * 2007-04-11 2008-02-28 (주)엠씨에스공법 합성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KR100864604B1 (ko) * 2008-05-19 2008-10-22 (주)크로스구조연구소기술사사무소 철근콘크리트 빔 단부연결용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6294A (ja) 1997-12-04 1999-06-22 Fujita Corp 鉄骨入りコンクリート梁及びこれを用いた床施工法
KR20040034970A (ko) * 2002-10-18 2004-04-29 노윤근 피씨 강선 및 티형 강판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철근콘크리트 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100808057B1 (ko) * 2007-04-11 2008-02-28 (주)엠씨에스공법 합성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KR100864604B1 (ko) * 2008-05-19 2008-10-22 (주)크로스구조연구소기술사사무소 철근콘크리트 빔 단부연결용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0142A (ko) 2010-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8941B1 (ko)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 및 이를 이용한 건축 시공 방법
KR101157147B1 (ko) 콘크리트 복합 기둥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KR100967734B1 (ko)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
KR100797194B1 (ko) 콘크리트 복합 기둥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KR101196472B1 (ko) 티형 철골-철근 콘크리트 복합보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 방법
KR101067001B1 (ko) 철근을 이용한 스틸 박스 거더 교량의 슬래브 시공 공법
KR100839439B1 (ko) 하부구조와 상부구조를 조립식으로 결합하는 라멘교량의강접구조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교량의 시공방법
KR101270733B1 (ko) 강상판데크 일체식 복합구조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박스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
KR100761786B1 (ko)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KR100812132B1 (ko) 콘크리트 슬래브 조립체
KR101011252B1 (ko) 부모멘트부 보강 라멘 구조물의 골조 및 이를 갖는 라멘 구조물
KR200455723Y1 (ko) 하이브리드 철골보
KR100626544B1 (ko) 강판-콘크리트 합성보 및 이를 이용한 고강성 합성구조시스템
KR101429527B1 (ko) 복합보 접합부 구조
KR20100042448A (ko)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 및 이를 이용한 건축 시공 방법
KR101779449B1 (ko) 중공박스형 강재 조립보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KR101940876B1 (ko) 합성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735077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교량용 바닥판
KR101346019B1 (ko) 휨성능이 향상된 강합성 보의 시공방법
KR100990967B1 (ko) 조립형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1878762B1 (ko) 보춤을 줄일 수 있는 기둥과 보의 이중 결합 구조
KR20100038545A (ko)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 방법
KR20200013911A (ko)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이 장착된 가설교량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834423B1 (ko) 변단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보
KR101984211B1 (ko) 보와 기둥이 연결되는 부분을 보강할 수 있는 와이드 합성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