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2467Y1 - Cctv용 조립식 폴 - Google Patents

Cctv용 조립식 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2467Y1
KR200462467Y1 KR2020090010812U KR20090010812U KR200462467Y1 KR 200462467 Y1 KR200462467 Y1 KR 200462467Y1 KR 2020090010812 U KR2020090010812 U KR 2020090010812U KR 20090010812 U KR20090010812 U KR 20090010812U KR 200462467 Y1 KR200462467 Y1 KR 2004624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cctv
component
poles
prefabric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08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1921U (ko
Inventor
최창수
Original Assignee
최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창수 filed Critical 최창수
Priority to KR20200900108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467Y1/ko
Publication of KR201100019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19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4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46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38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to be placed on the groun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 외부에 설치되는 CCTV의 지지를 위하여 사용되는 CCTV용 폴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상기 폴은 복수의 부품폴을 조립하여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부품폴은 양단에 인접하여 조립되는 타 부품폴과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용 조립식 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아파트 단지, 거리 등에 설치되는 CCTV의 설치, 수리 등이 용이하며 CCTV용 폴을 이용하여 경관을 아름답게 조성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CCTV, 폴, 조립식

Description

CCTV용 조립식 폴{Jointed pole for CCTV}
본 고안은 CCTV용 폴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복수의 부품폴을 조립함으로써 하나의 CCTV용 폴을 형성할 수 있는 CCTV용 조립식 폴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방범, 치안 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골목길, 아파트 단지 등에 CCTV를 설치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많아지고 있다.
CCTV를 건물 내부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벽이나 천정 등에 부착하여 설치를 하면 되지만, 외부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다른 소유자의 건물 벽 등을 이용하는 것이 쉽지 않고, 또한 CCTV를 건물 벽이나 담 등과 떨어진 곳에 설치해야 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건물 내부에 설치하는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CCTV를 설치하는 것은 적용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건물 외부, 아파트 단지 내의 길, 공원 등에 CCTV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CCTV를 지지할 수 있는 둥근 기둥 형상의 폴을 이용하며, 지면에 CCTV용 폴을 세우고 그 위에 CCTV를 설치하는 식으로 CCTV가 설치된다.
이 때, CCTV의 영상을 전송하기 위한 전선이나 CCTV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 등은 폴의 내부를 통하여 CCTV와 연결되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CCTV용 폴과 이에 설치된 CCTV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CCTV용 폴(10)은 금속 재질로 속이 빈 기둥형상으로 하나의 폴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CCTV(20)에 전원 공급을 위한 전선(11) 및 촬영 영상을 전송하기 위한 전선(12) 등을 구비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CCTV용 폴(10)은 하나의 긴 원통형상이며, 3m 정도 길이를 갖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이러한 폴(10)의 긴 길이 때문에 새로 CCTV를 설치하는 작업을 하는 경우, 폴을 운반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 긴 폴(10)의 길이 때문에 설치 및 운반 작업이 용이하지 않고, 특수 장비를 이용하여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CCTV를 수리해야 하는 경우나 내부의 전선(11, 12)의 연결이 끊어졌다던가 하는 등의 이유로 내부의 전선(11, 12)을 교체, 추가하여야 하는 경우에도 그 수리 등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CCTV용 폴이 조립식으로 구성되어, 설치 및 수리가 용이한 CCTV용 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건물 외부에 설치되는 CCTV를 지지하기 위한 폴에 있어서, 상기 폴은 복수의 부품폴을 조립하여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부품폴은 양단에 인접하여 조립되는 타 부품폴과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용 조립식 폴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부품폴의 일단에 구비된 연결부는 암나사 형태를 띠고, 상기 부품폴의 타단에 구비된 연결부는 수나사 형태를 띠도록 구성되거나, 상기 연결부의 단면의 형상이 상기 부품폴의 일단에 구비된 제1연결부의 외측 단면과 상기 제1연결부와 연결되는 타부품폴의 제2연결부의 내측 단면과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CCTV용 조립식 폴의 하단은 지면에 고정된 지반지지대(120)와 연결되고, 상단은 상기 CCTV를 지지하는 CCTV 지지대(131)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CCTV용 조립식 폴을 구성하는 각 부품폴의 높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품폴은 PVC 등 절연체로 제작되고, 색상별로 제작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품폴의 외주면에는 가지형상의 인조물을 꽂을 수 있는 홈이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품폴의 외주면에는 장식용 조명이 구비된 발광홀이 하나 이상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명을 위하여 상기 CCTV용 조립식 폴은 상기 발광홀에 삽입되어 발광되는 발광부; 빛의 세기를 감지하는 광센서부; 및 상기 광센서부에서 감지된 빛의 세기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발광다이오드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여 발광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품폴의 내면에는 상기 CCTV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의 적어도 일부가 고정되며, 상기 전선의 양단에는 상기 부품폴과 연결되는 타부품폴에 구비된 전선과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CCTV용 조립식 폴을 구성하는 상기 부품폴 중 지면에서 1m 이내에 위치하게 되는 부품폴에는 야간 촬영을 위한 조명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아파트 단지, 거리 등에 설치되는 CCTV의 설치, 수리 등이 용이하며 CCTV용 폴을 이용하여 경관을 아름답게 조성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이하 본 고안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CCTV를 지지하는 폴(110)이 복수개의 부품폴(111, 112, 113)로 분리되어 있고, 각각의 부품폴을 조립하면 최종적인 하나의 폴(110)이 형성되며, 그 형성된 폴은 그 폴을 지지하는 지반지지대(120)와 CCTV(130)를 지지하는 CCTV 지지대(131)에 연결되어 사용된다.
각각의 부품폴은 속이 빈 원통형상을 띠고 있으며, 그 높이(길이)는 30cm 이상 1m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높이가 너무 낮으면 정해진 높이의 하나의 폴(110)을 형성하기 위하여 많은 부품폴이 소요되고, 이에 따라 각 부품폴을 조립하는 횟수가 너무 많아져서 바람직하지 않고, 높이가 너무 높으면 하나의 폴을 복수개의 부품폴로 변경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설치, 수리 및 운반의 용이성이라는 효과를 충분히 달성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각 부품폴은 30cm 이상 1m 이내의 범위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부품폴의 길이가 모두 일정할 필요는 없으며, 필요에 따라 다른 길이(높이)를 가지는 부품폴을 제작하여 조립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모든 부품폴이 획일화된 길이로 제작된다면 CCTV의 설치 위치는 항상 일정해야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CCTV가 설치되어야 할 최적 높이가 다를 수 있으므로, 이러한 최적 높이에 CCTV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각 부품폴들이 각기 다른 높이를 가지도록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2m 50cm의 높이에 CCTV를 설치하는 것이 최적이라고 판단되지만 부품폴의 높이가 1m로 획일화되어 있는 경우에는, 최적의 높이에 CCTV를 설치할 수 없게 되지만, 부품폴이 1m 및 50cm 높이의 부품폴로 2종류로 제작된다면 1m 부품폴 2개와 50cm 부품폴 1개를 이용하면 원하는 높이에 CCTV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질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생산되는 폴이 일체형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특정 지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그 지역에서 최적이라고 생각되는 높이의 폴만을 별도로 제작하는 것은 대량생산체제에 적합하지 않아 쉽지 않지만, 본 고안과 같이 폴이 일체형으로 제작되는 것이 아니라 부품폴의 조립을 통하여 제작되는 경우에는, 각기 높이가 다른 2-3 종류의 부품폴만을 대량생산하더라도 부품폴의 적절한 조합에 의해 원하는 최적 높이에 근접한 높이를 갖는 폴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방법에서는 달성할 수 없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부품폴은 절연체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절연체로는 PVC(polyvinyl chloride), 섬유강화플라스틱(FRP)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등이 있다.
종래에는 강도 등을 위하여 금속재의 물질을 이용하여 폴을 제작하였으나, 이렇게 할 경우 누전, 감전 등의 위험성이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았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와 같이 PVC 등으로 부품폴을 제작하고, 그 두께를 어느 정도 이상, 바람직하게는 5mm 이상으로 하게 되면, 기존의 폴에서 문제가 되는 누전, 감전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강도 면에서도 우수한 폴의 제작이 가능하다.
또한, 부품폴을 PVC, 섬유강화플라스틱 등으로 하는 경우 다양한 색상의 폴 의 제작이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다. 즉 다양한 색상별로 부품폴을 대량생산할 수 있다.
종래의 폴의 경우, 금속재의 물질을 이용하여 제작한 후, 겉면에 색상을 입히는 방식으로 제작되었으나, 긁히거나 기타 여러 이유로 인하여 색상이 벗겨지는 경우가 많았다.
이렇게 되는 경우, 색상이 벗겨진 부분과 색상이 남아 있는 부분의 색상차가 큰 경우에는 그 부분이 미관을 크게 해치는 관계로, 색상이 벗겨지더라도 그 부분의 색상과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 색상만을 이용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PVC, 섬유강화플라스틱 등으로 하는 경우 재료 위에 덧칠을 할 필요없이 재료 자체가 원하는 색상을 가지도록 할 수 있으므로, 외부의 충격 등으로 겉면이 손상을 입더라도 색상의 변화는 없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와 같이 PVC 등을 이용하는 경우 색상이 벗겨질 것을 우려하지 않고, 다양한 색상을 이용한 폴의 제작이 가능해진다.
각 부품폴의 양단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부품폴 또는 CCTV 지지대(131), 지반지지대(120)와 연결할 수 있는 연결부(1111, 1112)를 구비한다.
도 2 및 도 3에서 연결부는 부품폴(111)의 일단에는 암나사(1112)가, 타단에는 수나사(1111)가 형성된 예를 들었으나, 하나의 부품폴은 양단이 모두 암나사 형태의 연결부를 구비하고, 다른 부품폴은 양단이 모두 수나사 형태의 연결부를 구비하도록 하여, 암나사 형태의 연결부를 구비한 부품폴과 수나사 형태의 연결부를 구비한 부품폴이 서로 연결되도록 하여 하나의 폴(110)을 구성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 하다.
도 2 및 도 3에서는 부품폴의 연결부를 암나사와 수나사의 형태로 구성하는 경우만을 도시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상을 가지는 연결부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4에서와 같이, 부품폴(211)의 하단에 구비된 연결부(2112)가 부품폴(212)의 상단에 구비된 연결부(2121)의 내부로 삽입되어 맞물리도록, 부품폴의 일측에 구비된 연결부의 외면의 형상과 타측에 구비된 연결부의 내면의 형상이 서로 대응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연결부에는 두 개의 인접한 부품폴(211, 212)이 서로 연결되는 경우 각 부품폴의 연결부에 구비된 체결공(2110, 2120)의 위치가 서로 일치하게 되도록 체결공(2110, 2120)이 복수개 구비되고, 그 체결공으로 나사, 리벳 등의 체결수단(2130)을 관통시킨 후 고정하는 방식으로 인접한 양 부품폴이 서로 연결되어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부품폴의 형상은 도 2 및 도 3에서 본 속이 빈 원통형뿐만 아니라 사각기둥의 형상도 가능하며, 기타 오각 기둥, 육각기둥 등 그 단면형상을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내부의 단면형상도 원뿐만 아니라 사각형, 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한편, 도 2에서와 달리 제일 상단에 설치되는 부품폴(111)의 경우에는 그 위에 설치되는 CCTV 지지대(131)와 일체화된 형상으로 제작이 가능하며, 제일 하단에 설치되는 부품폴(113)의 경우에는 지반지지대(120)와 일체화된 형상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한편,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부품폴(311)의 외부에 하나 이상의 홈(341, 342, 343, 344)이 구비되어 조화나 인조나뭇가지 등의 가지형상의 인조물(341)을 꽂을 수 있도록 하여 외관을 꾸밀 수 있게 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5의 단면 중 일부를 도시한 것으로, 각 홈(341, 342, 343, 344)은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각 홈의 경사각도는 전부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부품폴에 하나 이상의 발광을 위한 홀이 존재하고, 그 홀에 발광 다이오드 등 발광부가 구비되어 장식용 조명이 삽입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에는 하나만 도시되어 있으나, 부품폴(410)에는 복수의 발광홀(422)이 구비되며, 발광홀에(422)에는 발광을 위한 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발광을 위한 수단의 대표적인 예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발광다이오드(421)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한 발광수단은 폴의 미적 경관을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발광홀은 미적인 디자인에 따라 부품폴 상의 복수의 장소에 위치하게 되어 어두워지면 미적인 경관을 조성하게 된다.
한편, 발광홀(422)의 외측면은 유리나 투명플라스틱, 반투명 플라스틱 등과 같이 빛을 투과할 수 있는 재질의 소재로 발광홀(422)의 입구를 막아서 외부의 이물질이나 습기가 들어오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광다이오드(421)의 점등은 별도의 수동 스위치를 두어서 CCTV 관리자가 수동으로 점소등을 할 수도 있지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센서부(440)를 이용하여 어두워지면 자동으로 점등이 되도록 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광센서부(440)는 빛의 세기를 감지한다. 광센서부(440)는 각 부품폴마다 구비될 수도 있고, 각 부품폴이 조립된 하나의 폴에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8에서와 같이 CCTV의 케이스(130-1, 130-2) 내에 카메라(530) 앞에 구비되어 CCTV가 촬영시 받아들이는 빛과 동일한 빛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430)는 광센서부(440)로부터 감지된 빛의 세기가 미리 정해진 설정값 이하인 경우, 즉 어두워진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전원부(450)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발광다이오드(421)에 공급하여 발광되도록 한다.
제어부(430)도 역시 부품폴마다 구비될 수도 있고, 각 부품폴이 조립된 하나의 폴에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다.
전원부(450)는 장식용 조명을 위한 각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부(450)는 배터리 등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로 폴 내에 구비될 수도 있고, CCTV의 작동을 위하여 공급되는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방식으로 전원을 장식용 조명을 위한 각 구성요소에 공급할 수도 있다.
한편, CCTV에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수단, CCTV에서 촬영된 영상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 도 7에 도시된 장식용 조명을 위한 각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 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의 내부를 통하여 설치된 전선을 이용하여 구현이 가능하다.
다른 방법으로는 부품폴의 내측면에 상기와 같은 전선을 고정하고, 전선의 양단에 커넥터를 연결하여 부품폴을 서로 조립하기만 하면 전선들이 서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이러한 예를 도시한 것으로, 부품폴의 내측면에 전선과 커넥터가 고정되어 있는 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10은 도 9의 B-B`면을 따라 살펴본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품폴(511)의 내측면에는 축방향으로 내측면을 따라 전원 공급을 위한 전선(531)과 CCTV 영상을 전송하기 위한 전선(532)이 고정되어 설치되며, 전선(521, 522)의 양단에는 인접한 부품폴과 연결되었을 때 서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521, 522)가 구비되어 있어서, 두 개의 부품폴을 서로 연결하면서 커넥터가 설치된 위치를 맞추면 저절로 전원 및 통신을 위한 전선이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도 9 및 도 10에는 2개의 전선만을 도시하였으나, 제작자의 필요에 따라 전선의 수는 달라질 수 있으며, 전선의 수에 따라 사용되는 커넥터의 종류도 달라질 수 있다.
커넥터(521, 522)는 인접한 부품폴에 구비된 전선을 서로 연결시켜줄 수만 있으면 되며 그 모양이나 크기 등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
한편, 도 9 및 도 10과 같이 전선(531, 532) 및 커넥터(521, 522)가 부품폴(511)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커넥터가 정확히 맞물리도록 부품폴을 연결하는 것이 중요하다.
도 4에서와 같은 형태의 부품폴과 같이 단면이 다각형이어서 회전이 안되는 경우에는 문제가 없지만, 도 9와 같이 연결부(5111, 5112)가 암나사, 수나사의 형태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설치시 정확한 위치를 맞추지 못하면 내부의 전선이 서로 연결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 11에서와 같이, 전선(632)의 일부만이 부품폴(611)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전선(632)의 양단에 구비된 커넥터(621, 622)와 그 커넥터에 연결된 부위의 전선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 인접한 부품폴을 연결할 때 커넥터의 위치가 정확히 맞물리지 않더라도 서로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의 폴은 야간에 촬영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조명이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촬영용 조명은 지상에서 1m 이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는 촬영용 조명이 구비된 본 고안의 CCTV용 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에서 보는 바와 본 고안의 폴(710)을 구성하는 부품폴(711, 712, 713) 중 1m 이내에 위치한 부품폴(713)에는 야간 촬영용 조명(750)이 구비되어 야간에는 점등되어 주위를 비치게 된다.
조명의 위치가 1m 이내로 제한되는 이유는, CCTV용 폴이 아파트 등에 설치되 는 경우 1m 이상의 위치에 조명을 설치하게 되면 1층 및 저층에 거주하는 주민의 수면을 방해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야간 촬영을 위한 조명의 점등 및 소등을 위한 회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차이가 있다면, 도 7의 경우는 장식용 조명이므로 빛의 밝기가 많이 요구되지 않지만, 도 12는 주위를 밝히기 위한 조명이므로 CCTV에 의해 촬영되는 주위를 밝힐 정도의 밝기가 요구된다는 점이다.
도 1은 종래 CCTV용 폴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CCTV용 폴의 분해도
도 3은 본 고안의 부품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부품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부품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외주면에 가지형상의 인조물을 꽂을 수 있는 홈이 하나 이상 구비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의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구비되는 장식용 조명을 위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고안에서 광센서부가 CCTV용 케이스에 설치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고안의 부품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내주면에 전선 및 커넥터가 구비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9의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고안의 CCTV용 폴에 야간 촬영용 조명이 구비된 예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폴 10, 110, 710 CCTV용 지지대 131
지반지지대 120 CCTV 20, 130, 720
카메라 530 CCTV용 케이스 130-1, 130-2
부품폴 111, 112, 113, 211, 212, 311, 410, 511, 611, 711, 712, 713
연결부 1111, 1112, 2111, 2112, 2121, 2122, 5111, 5112, 6111, 6112
체결공 2110, 2120 체결수단 2130
인조물 351 인조물용 홈 341, 342, 343, 344
발광홈 422 발광홈용 투명재질소재 421
커넥터 521, 522, 621, 622 야간촬영용 조명 750
전선 11, 12, 531, 532, 632

Claims (13)

  1. 삭제
  2. 건물 외부에 설치되는 CCTV를 지지하기 위한 폴에 있어서,
    상기 폴은 복수의 부품폴을 조립하여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부품폴은 양단에 인접하여 조립되는 타 부품폴과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부품폴의 일단에 구비된 연결부는 암나사 형태를 띠고, 상기 부품폴의 타단에 구비된 연결부는 수나사 형태를 띠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용 조립식 폴.
  3. 건물 외부에 설치되는 CCTV를 지지하기 위한 폴에 있어서,
    상기 폴은 복수의 부품폴을 조립하여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부품폴은 양단에 인접하여 조립되는 타 부품폴과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의 단면의 형상은 상기 부품폴의 일단에 구비된 제1연결부의 외측 단면이 상기 제1연결부와 연결되는 타부품폴의 제2연결부의 내측 단면과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용 조립식 폴.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CCTV용 조립식 폴의 하단은 지면에 고정된 지반지지대(120)와 연결되고, 상단은 상기 CCTV를 지지하는 CCTV 지지대(131)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용 조립식 폴.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CCTV용 조립식 폴을 구성하는 각 부품폴의 높이는 서로 다를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CCTV용 조립식 폴.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폴은 절연체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용 조립식 폴.
  7.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폴은 PVC 또는 섬유강화플라스틱으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용 조립식 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폴은 색상별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용 조립식 폴.
  9.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폴의 외주면에는 가지형상의 인조물을 꽂을 수 있는 홈이 하나 이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용 조립식 폴.
  10.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폴의 외주면에는 장식용 조명이 구비된 발광홀이 하나 이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용 조립식 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CCTV용 조립식 폴은
    상기 발광홀에 삽입되어 발광되는 발광부;
    빛의 세기를 감지하는 광센서부; 및
    상기 광센서부에서 감지된 빛의 세기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발광부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여 발광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용 조립식 폴.
  12.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폴의 내면에는 상기 CCTV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의 적어도 일부가 고정되며, 상기 전선의 양단에는 상기 부품폴과 연결되는 타부품폴에 구비된 전선과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용 조립식 폴.
  13.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CCTV용 조립식 폴을 구성하는 상기 부품폴 중 지면에서 1m 이내에 위치하게 되는 부품폴에는 야간 촬영을 위한 조명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용 조립식 폴.
KR2020090010812U 2009-08-19 2009-08-19 Cctv용 조립식 폴 KR2004624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812U KR200462467Y1 (ko) 2009-08-19 2009-08-19 Cctv용 조립식 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812U KR200462467Y1 (ko) 2009-08-19 2009-08-19 Cctv용 조립식 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921U KR20110001921U (ko) 2011-02-25
KR200462467Y1 true KR200462467Y1 (ko) 2012-09-12

Family

ID=44207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0812U KR200462467Y1 (ko) 2009-08-19 2009-08-19 Cctv용 조립식 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46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876U (ko) 2019-02-15 2020-08-25 최효묵 조립식 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12862A1 (en) * 2020-12-10 2022-06-15 Orbis Oy A modular pole structure suitable for providing a smart po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4883Y1 (ko) * 2005-06-28 2005-09-06 이장옥 씨씨티비 카메라용 가변형 브래킷
KR100745184B1 (ko) * 2005-09-21 2007-08-02 (주) 반도체 통신 조립이 용이한 전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4883Y1 (ko) * 2005-06-28 2005-09-06 이장옥 씨씨티비 카메라용 가변형 브래킷
KR100745184B1 (ko) * 2005-09-21 2007-08-02 (주) 반도체 통신 조립이 용이한 전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876U (ko) 2019-02-15 2020-08-25 최효묵 조립식 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921U (ko) 2011-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83630A1 (en) Decorative lighting
US8113696B2 (en) Universal light ball and tube light system
US8901827B1 (en) Intelligent solar lighting system
US20040032748A1 (en) Illuminating structure
KR100985710B1 (ko) 광학렌즈가 구비된 엘이디 센서등
US10386048B2 (en) Landscape light mounting system with orientation adjustment feature
CN104755837A (zh) 从发光二极管组件传送热量的方法
KR200462467Y1 (ko) Cctv용 조립식 폴
US20080211412A1 (en) Remotely controlled light fixture system
US20070204551A1 (en) Illuminated gazebo
US8388188B2 (en) Light emitting diode ornamental display illumination system with remote solar cell
US8884531B1 (en) Intelligent solar lighting system
KR101889513B1 (ko) 조명기능을 갖는 파고라
US11085601B2 (en) Microwave-sensor application for light or electric device
US9488347B1 (en) Lighting system
US20180202620A1 (en) Lighted animals
US11035565B1 (en) Flag topper
KR102340658B1 (ko) 경관등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경관등
AU2017101162A4 (en) A lighted goal post
KR102176039B1 (ko) Cctv 동선 추적 장치
KR200468862Y1 (ko) 와이어 걸림수단이 구비된 엘이디 램프 모듈
CN219346300U (zh) 一种灯具
KR101096080B1 (ko) 매립형 발광장치
US20090086471A1 (en) Illuminated landscape module for existing edging system
CN217714738U (zh) 一种发光柱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2

Year of fee payment: 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