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6039B1 - Cctv 동선 추적 장치 - Google Patents

Cctv 동선 추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6039B1
KR102176039B1 KR1020200057445A KR20200057445A KR102176039B1 KR 102176039 B1 KR102176039 B1 KR 102176039B1 KR 1020200057445 A KR1020200057445 A KR 1020200057445A KR 20200057445 A KR20200057445 A KR 20200057445A KR 102176039 B1 KR102176039 B1 KR 102176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art
pole
tracking
subject
cctv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7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응수
Original Assignee
대신네트웍스춘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신네트웍스춘천(주) filed Critical 대신네트웍스춘천(주)
Priority to KR1020200057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60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6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6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06T7/292Multi-camera track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CTV 동선 추적 장치에 있어서, 대상물의 영상을 획득하는 촬영부(110'); 및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촬영부(110')가 구비되는 바디부(110a')를 포함하는 추적유닛을 포함하는 CCTV 동선 추적 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대상자를 촬영하여 대상자의 동선을 추적하여 목적에 알맞은 추적 정보 생성이 가능하며, 특히 동선 추적을 수행하는 추적장치에 별도의 보조촬영유닛을 함께 부가함으로써 대상자에 대한 확실하고 안정적인 동선 추적이 가능한 CCTV 동선 추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CCTV 동선 추적 장치{TRAFFIC LINE DEVICE USING CCTV}
본 발명은 CCTV 동선 추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상자를 촬영하여 대상자의 동선을 추적하여 목적에 알맞은 추적 정보 생성이 가능하며, 특히 동선 추적을 수행하는 추적장치에 별도의 보조촬영유닛을 함께 부가함으로써 대상자에 대한 확실하고 안정적인 동선 추적이 가능한 CCTV 동선 추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선 추적 장치는 피사체를 추적하는 장치로서 이동표적 움직임 추적 방법은 탐색 영역을 별로로 설정해야지만 이동대상을 추적할 수 있어 간소하게 동선 추적 장치를 이용할 수 없는 기술들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부분에 대한 문제는 지속적 기술개발로 보완이 어느정도 달성되는 측면이 있으나, 정작 기본적인 대상물의 추적을 보다 확실하고 안정적으로 수행하는 것은 미흡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외부의 충격에 의한 파손, 흔들림 등이 발생하면 단독으로 동선 추적을 수행하는 경우 쉽게 그 기능을 상실할 수 있는 여지가 크고 특히 자연재해가 많이 발생되는 지역에서는 이러한 단독으로의 추적 수단 운용이 불안전하고 온전한 운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대상자를 촬영하여 대상자의 동선을 추적하여 목적에 알맞은 추적 정보 생성이 가능하며, 특히 동선 추적을 수행하는 추적장치에 별도의 보조촬영유닛을 함께 부가함으로써 대상자에 대한 확실하고 안정적인 동선 추적이 가능한 CCTV 동선 추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CCTV 동선 추적 장치에 있어서, 대상물의 영상을 획득하는 촬영부; 및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촬영부가 구비되는 바디부를 포함하는 추적유닛을 포함하는 CCTV 동선 추적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사체를 추적하는 장치로서 이동대상에 대하여 간소한 동선 추적을 구현할 수 있으며, 기본적인 대상물의 추적을 보다 확실하고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단독으로 동선 추적을 수행하는 경우에 외부의 충격에 의한 파손, 흔들림 등이 발생하면 온전한 작동 기능을 상실의 우려를 방지하여 그 동작 신뢰성을 담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때문에, 자연재해가 많이 발생되는 지역에서도 동선 추적 수단의 운용이 보다 안정적이고 효과적으로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TV 동선 추적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따른 추적장치의 기본 타입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적장치의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7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촬영유닛의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원 발명에 따른 CCTV 동선 추적 장치는 도 1a 내지 도 1b를 참조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추적유닛과, 보조촬영유닛을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예컨데, 대상물의 영상을 획득하는 촬영부(110'); 및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촬영부(110')가 구비되는 바디부(110a')를 포함하는 추적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적유닛이 촬영을 수행하는 기 설정구역 중 적어도 일부 구역에서 단수 또는 복수로 설치되는 보조촬영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촬영유닛은, 건물 외부에 설치되는 CCTV를 지지하기 위한 폴을 포함하며, 상기 폴은 복수의 부품폴을 조립하여 형성되며 상기 부품폴에는 조명이 구비되어 야간 점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내용을 기반으로 각 구성부에 대하여 세부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CCTV 동선 추적 장치 - 추적유닛>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동선 추적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하 도 2을 기준으로 설명하고 도 2에 도시되지 않는 구성은 별도로 참조도면을 표시하였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동선 추적 장치는 촬영부, 판별부 및 동선 추적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촬영부(110')는 영상을 획득한다. 촬영부(110')는 카메라로 구성될 수 있다. 촬영부(110')는 영상을 획득하여 후술할 판별부(120')로 영상을 전송하고 판별부(120')에서 이미지 변환(왜곡')이 발생하는 경우 피사체(사람')으로 인식하여 후술할 동선 추적부(130')에서 피사체를 추적할 수 있게 만든다. 촬영부(110')는 일반적으로 용하는 카메라, CCTV,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촬영부(110')에서 촬영된 영상은 프레임별로 촬영될 수 있고, 각각의 프레임은 별도의 색상 정보로 저장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색상 정보를 RGB라 한다. 촬영부(110')에서 촬영된 영상은 별도의 저장부에 저장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 녹화된 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만든다. 판별부(120'), 동선 추적부(130')의 정보 또한 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다. 판별부(120')는 상기 촬영부(110')에서 획득된 영상에서 피사체를 판별한다. 피사체는 상기 촬영부(110')에서 촬영
된 영상에서 이동하는 물체를 판별하여 피사체로 인지한다. 판별부(120')에서 피사체를 판별하는 방법은 영상에서 이미지 변환이 일어나는 경우 이를 피사체로 인식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6를 참고하면, 이미지의 RGB 변환을 감지하여 이전 영상의 이미지(프레임')와 현재 이미지(프레임')를 비교하여 변화가 있을 경우 이를 피사체로판별한다. 즉 이전영상의 RGB 정보와 현재의 RGB 정보에 변화가 있을 경우 이를 추출하여 피사체로 인지한다. 판별된 피사체는 외곽선으로 이미지를 추출하여 후술할 식별정보를 부여하고 후술할 동선 추적부(130')를 이용하
여 피사체의 동선을 추적하게 된다. 동선 추적부(130')는 판별부(120')에서 판별된 피사체를 추적한다. 도 3를 참고하면, 동선 추적부(130')는 판별부(120')에서 판별된 피사체(사람')의 동선을 추적하여 피사체의 정보를 획득한다. 즉 박람회나 전시회에 같은 장소에서 어느 부스에서 많은 관람이 이루어 졌는지 얼마나 오랜 기간 그 장소에 머물러 있는지 등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피사체(사람')이 많이 이동하는 동선을 파악하여 추후 박람회나 전시회와 같은 장소에서 부스나 전시물을 배치하는데 참고할 수 있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만드는 효과가 있다. 식별정보는 판별부(120')에서 판별된 피사체를 식별할 수 있도록 피사체에게 식별정보를 부여한다. 식별정보는 판별부(120')에서 정보를 부여하며, 구체적으로는 문자 및 순자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마련된다. 판별부(120')에서 피사체를 식별하면 그 피사체에 고유 식별정보가 부여되고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피사체의 동선을 지속적으로 추적할 수 있게 만든다. 또한, 식별정보는 가식별정보를 부여할 수 있다. 가식별정보는 후술할 안면인식 정보를 획득하지 못하는 피사체에 부여되는 식별정보로써, 안면익식이 불명확한 대상을 별도로 관리를 할 수 있게 만든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판별부(120')에서는 피사체의 안면인식 정보를 추출하고 동선 추적부(130')는 안면 인식 정보가 추출된 피사체의 동선을 추적한다. 판별부(120')는 촬영부(110')에서 획득된 영상에서 피사체의 안면인식 정보를 추출하여 식별정보를 부여하게 된다. 이는 피사체 별로 식별정보를 부여하는데 있어서, 식별정보분류 기준을 제공하여 피사체를 구별할 수 있게 만든다. 구체적으로는 안면인식 정보는 피사체의 눈, 코, 입, 귀 및 머리색상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3가지 이상의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동일한 피사체로 판단
한다. 즉 안면인식 정보 중 3가지 이상의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각각의 다른 피사체로 판별할 수 있게 된다. 이는 피사체를 보다 정확하게 구별할 수 있어 추후 박람회나 전시회 같은 곳의 방문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추출할 수 있게 만드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안면인식 정보는 동일한 피사체가 중복되어 방문하는 횟수도 파악할 수 있어 박람회나 전시회의 방문자 성향을 파악할 수 있게 만드는 효과가 있다. 일반 건물의 감시카메라로 이용할 경우 피사체가 사전에 등록된 이용자가 아닌 경우 거동이 수상한 거수자로 파악하고 통계를 낼 수 있어 건물의 보완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도 5를 참고하면, 판별부(120')는 피사체 안면인식 정보를 획득하면, 피사체의 옷색, 피부색, 머리색 정보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정보를 메인 추적 대상으로 인식하여 피사체를 추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판별부(120')에서 메인 추적 대상으로 추출된 정보를 이용하여 동선 추적부(130')는 피사체의 동선을 추적한다. 판별부(120')는 안면인식 정보를 획득하면 추적을 보다 간소하고 범용적으로 할 수 있는 피사체의 옷색, 피부색, 머리색 정보중 하나를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피사체를 추적할 수 있게 만든다. 이는 피사체의 안면인식을 할 수 없는 각도에 피사체가 위치된 경우 피사체를 지속적으로 추적할 수 있게 만든다. 안면인식만을 이용하여 대상을 추적하는 경우 영상에서 안면을 인식하지 못하는 장소에 있는 경우 대상을 보다 정확하게 추적하기 위하여 피사체의 옷색, 피부색, 머리색 정보를 이용하여 대상을 추적할 수 있기 때문에 피사체의 안면 정보가 없는 경우에도 연속적으로 대상을 추적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하게 대상을 추적할 수 있게 만든다. 피사체의 옷색, 피부색, 머리색 정보를 획득한 경우 외곽선으로 표시하여 보다 명확하게 피사체를 구별할
수 있게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도 3를 참고하면, 판별부(120')는 복수의 이미지 변환이 발생하는 경우 각각 피사체에 식별정보를 부여한다. 이는 박람회나 전시회와 같은 사람이 많이 모이는 장소에서도 이미지 변환으로 인한 피사체를 각각 추적할 수 있게 만든다. 복수의 피사체가 동시에 나타나는 경우 각각의 피사체에 식별정보를 부여하고, 안면인식 정보를 획득하지 못하는 피사체에는 가식별정보를 부여하여 구별하여 분류하고, 가식별정보가 부여된 피사체중 다시 안면인식 정보를 획득한 피사체는 식별정보를 부여하여 피사체를 추적할 수 있다. 이는 안면인식이 안된 피사체와 안면인식 된 피사체를 구별하여 추적할 수 있게 만들어 거동이 수상한 사람을 파악할 수 있어 동선 추적장치(10')가 설치된 장소의 상황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만든다. 동선 추적 장치(10')의 배치나, 카메라의 각도등을 조절할 수 있는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도 4을 참고하면, 판별부(120')는 복수의 피사체가 동일한 동선으로 이동하는 경우피사체 그룹으로 판별하고, 피사체 그룹별로 식별정보를 부여하며, 피사체 그룹을 카운팅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동일한 동선으로 이동하는 것은 피사체의 이동방향, 이동속도, 이동시간, 피사체간의 간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정보로 동일한 동선을 파악한다. 즉 판별부(120')는 복수의 피사체를 하나의 그룹으로 판별하고, 그룹별로 식별정보를 부여하여 단체 방문자의 통계를 파악할 수 있어 박람회나 전시회와 같은 장소에서 방문자의 관람 정보 통계를 보다 정확하고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만든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카메라를 이용한 동선 추적 장치(10')는 통신부(1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동선 추적 장치(10')는 두 개 이상으로 마련되어 각각의 동선 추적 장치(10')는 서로 통신한다. 이는 카메라와 카메라를 서로 연결하여 정보를 공유하여 지속적으로 피사체를 추적할 수 있게 만든다. 카메라가 많아질 경우 건물내 사각지대를 줄일 수 있어 보다 효과적으로 피사체를 추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CTV 동선 추적 장치 - 보조촬영유닛>
도 7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CCTV를 지지하는 폴(110")이 복수개의 부품폴(111", 112", 113")로 분리되어있고, 각각의 부품폴을 조립하면 최종적인 하나의 폴(110")이 형성되며, 그 형성된 폴은 그 폴을 지지하는 지반지지대(120")와 CCTV(130")를 지지하는 CCTV 지지대(131")에 연결되어 사용된다. 각각의 부품폴은 속이 빈 원통형상을 띠고 있으며, 그 높이(길이")는 30cm 이상 1m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높이가 너무 낮으면 정해진 높이의 하나의 폴(110")을 형성하기 위하여 많은 부품폴이 소요되고, 이에 따라 각부품폴을 조립하는 횟수가 너무 많아져서 바람직하지 않고, 높이가 너무 높으면 하나의 폴을 복수개의 부품폴로 변경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설치, 수리 및 운반의 용이성이라는 효과를 충분히 달성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각 부품폴은 30cm 이상 1m 이내의 범위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부품폴의 길이가 모두 일정할 필요는 없으며, 필요에 따라 다른 길이(높이)를 가지는 부품폴을 제작하여 조립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모든 부품폴이 획일화된 길이로 제작된다면 CCTV의 설치 위치는 항상 일정해야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CCTV가 설치되어야 할 최적 높이가 다를 수 있으므로, 이러한 최적 높이에 CCTV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각 부품폴들이 각기 다른 높이를 가지도록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2m 50cm의 높이에 CCTV를 설치하는 것이 최적이라고 판단되지만 부품폴의 높이가 1m로 획일화되어 있는 경우에는, 최적의 높이에 CCTV를 설치할 수 없게 되지만, 부품폴이 1m 및 50cm 높이의 부품폴로 2종류로 제작된다면 1m 부품폴 2개와 50cm 부품폴 1개를 이용하면 원하는 높이에 CCTV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 질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생산되는 폴이 일체형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특정 지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그 지역에서 최적이라고 생각되는 높이의 폴만을 별도로 제작하는 것은 대량생산체제에 적합하지 않아 쉽지 않지만, 본 발명과 같이 폴이 일체형으로 제작되는 것이 아니라 부품폴의 조립을 통하여 제작되는 경우에는, 각기 높이가 다른
2-3 종류의 부품폴만을 대량생산하더라도 부품폴의 적절한 조합에 의해 원하는 최적 높이에 근접한 높이를 갖는폴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방법에서는 달성할 수 없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부품폴은 절연체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절연체로는 PVC, 섬유강화플라스틱(FRP")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등이 있다. 종래에는 강도 등을 위하여 금속재의 물질을 이용하여 폴을 제작하였으나, 이렇게 할 경우 누전, 감전 등의 위험성이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았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PVC 등으로 부품폴을 제작하고, 그 두께를 어느 정도 이상, 바람직하게는 5mm 이상으로 하게 되면, 기존의 폴에서 문제가 되는 누전, 감전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강도 면에서 도 우수한 폴의 제작이 가능하다. 또한, 부품폴을 PVC, 섬유강화플라스틱 등으로 하는 경우 다양한 색상의 폴의 제작이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다. 즉 다양한 색상별로 부품폴을 대량생산할 수 있다. 종래의 폴의 경우, 금속재의 물질을 이용하여 제작한 후, 겉면에 색상을 입히는 방식으로 제작되었으나, 긁히거나 기타 여러 이유로 인하여 색상이 벗겨지는 경우가 많았다. 이렇게 되는 경우, 색상이 벗겨진 부분과 색상이 남아 있는 부분의 색상차가 큰 경우에는 그 부분이 미관을 크게 해치는 관계로, 색상이 벗겨지더라도 그 부분의 색상과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 색상만을 이용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PVC, 섬유강화플라스틱 등으로 하는 경우 재료 위에 덧칠을 할 필요없이 재료 자체가 원하는 색상을 가지도록 할 수 있으므로, 외부의 충격 등으로 겉면이 손상을 입더라도 색상의 변화는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와 같이 PVC 등을 이용하는 경우 색상이 벗겨질 것을 우려하지 않고, 다양한 색상을 이용한 폴의 제작이 가능해진다. 각 부품폴의 양단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부품폴 또는 CCTV 지지대(131"), 지반지지대(120")와 연결할수 있는 연결부(1111", 1112")를 구비한다. 도 7 및 도 8에서 연결부는 부품폴(111")의 일단에는 암나사(1112")가, 타단에는 수나사(1111")가 형성된 예를 들었으나, 하나의 부품폴은 양단이 모두 암나사 형태의 연결부를 구비하고, 다른 부품폴은 양단이 모두 수나사 형태의 연결부를 구비하도록 하여, 암나사 형태의 연결부를 구비한 부품폴과 수나사 형태의 연결부를 구비한 부품폴이 서로 연결되도록 하여 하나의 폴(110")을 구성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 및 도 8에서는 부품폴의 연결부를 암나사와 수나사의 형태로 구성하는 경우만을 도시하였으나, 이와 다른형상을 가지는 연결부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9에서와 같이, 부품폴(211")의 하단에 구비된 연결부(2112")가 부품폴(212")의 상단에 구비된 연결부(2121")의 내부로 삽입되어 맞물리도록, 부품폴의 일측에 구비된 연결부의 외면의 형상과 타측에 구비된 연결부의 내면의 형상이 서로 대응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연결부에는 두 개의 인접한 부품폴(211, 212")이 서로 연결되는 경우 각 부품폴의 연결부에 구비된 체결공(2110, 2120")의 위치가 서로 일치하게 되도록 체결공(2110, 2120")이 복수개 구비되고, 그 체결공으로 나사, 리벳 등의 체결수단(2130")을 관통시킨 후 고정하는 방식으로 인접한 양 부품폴이 서로 연결되어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부품폴의 형상은 도 7 및 도 8에서 본 속이 빈 원통형뿐만 아니라 사각기둥의 형상도 가능하며, 기타 오각 기둥, 육각기둥 등 그 단면형상을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내부의 단면형상도 원뿐만 아니라 사각형, 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한편, 도 7에서와 달리 제일 상단에 설치되는 부품폴(111")의 경우에는 그 위에 설치되는 CCTV 지지대(131")와 일체화된 형상으로 제작이 가능하며, 제일 하단에 설치되는 부품폴(113")의 경우에는 지반지지대(120")와 일체화된 형상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한편, 도 10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부품폴(311")의 외부에 하나 이상의 홈(341", 342", 343", 344")이 구비되어 조화나 인조나뭇가지 등의 가지형상의 인조물(341")을 꽂을 수 있도록 하여 외관을 꾸밀수 있게 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도 10의 단면 중 일부를 도시한 것으로, 각 홈(341", 342", 343", 344")은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각홈의 경사각도는 전부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도 12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부품폴에 하나 이상의 발광을 위한 홀이존재하고, 그 홀에 발광 다이오드 등 발광부가 구비되어 장식용 조명이 삽입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12에 도시된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도 12에는 하나만 도시되어 있으나, 부품폴(410")에는 복수의 발광홀(422")이 구비되며, 발광홀에(422")에는 발광을 위한 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발광을 위한 수단의 대표적인 예로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발광다이오드(421")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한 발광수단은 폴의 미적 경관을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발광홀은 미적인 디자인에 따라 부품폴 상의 복수의 장소에 위치하게 되어 어두워지면 미적인 경관을 조성하게 된다. 한편, 발광홀(422")의 외측면은 유리나 투명플라스틱, 반투명 플라스틱 등과 같이 빛을 투과할 수 있는 재질의 소재로 발광홀(422")의 입구를 막아서 외부의 이물질이나 습기가 들어오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광다이오드(421")의 점등은 별도의 수동 스위치를 두어서 CCTV 관리자가 수동으로 점소등을 할 수도 있지만,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센서부(440")를 이용하여 어두워지면 자동으로 점등이 되도록 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광센서부(440")는 빛의 세기를 감지한다. 광센서부(440")는 각 부품폴마다 구비될 수도 있고, 각 부품폴이 조립된 하나의 폴에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13에서와 같이 CCTV의 케이스(130-1, 130-2") 내에 카메라(530") 앞에 구비되어 CCTV가 촬영시 받아들이는 빛과 동일한 빛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430")는 광센서부(440")로부터 감지된 빛의 세기가 미리 정해진 설정값 이하인 경우, 즉 어두워진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전원부(450")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발광다이오드(421")에 공급하여 발광되도록 한다. 제어부(430")도 역시 부품폴마다 구비될 수도 있고, 각 부품폴이 조립된 하나의 폴에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다. 전원부(450")는 장식용 조명을 위한 각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부(450")는 배터리 등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로 폴 내에 구비될 수도 있고, CCTV의 작동을 위하여 공급되는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방식으로 전원을 장식용 조명을 위한 각 구성요소에 공급할 수도 있다. 한편, CCTV에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수단, CCTV에서 촬영된 영상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 도 12에 도시된 장식용 조명을 위한 각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 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의 내부를 통하여 설치된 전선을 이용하여 구현이 가능하다. 다른 방법으로는 부품폴의 내측면에 상기와 같은 전선을 고정하고, 전선의 양단에 커넥터를 연결하여 부품폴을 서로 조립하기만 하면 전선들이 서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은 이러한 예를 도시한 것으로, 부품폴의 내측면에 전선과 커넥터가 고정되어 있는 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15은 도 14의 B-B`면을 따라 살펴본 단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품폴(511")의 내측면에는 축방향으로 내측면을 따라 전원 공급을 위한 전선(531")과 CCTV 영상을 전송하기 위한 전선(532")이 고정되어 설치되며, 전선(521, 522")의 양단에는 인접한 부품폴과 연결되었을 때 서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521, 522")가 구비되어 있어서, 두 개의 부품폴을 서로 연결하면서 커넥터가 설치된 위치를 맞추면 저절로 전원 및 통신을 위한 전선이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도 14 및 도 15에는 2개의 전선만을 도시하였으나, 제작자의 필요에 따라 전선의 수는 달라질 수 있으며, 전선의 수에 따라 사용되는 커넥터의 종류도 달라질 수 있다. 커넥터(521, 522")는 인접한 부품폴에 구비된 전선을 서로 연결시켜줄 수만 있으면 되며 그 모양이나 크기 등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 한편, 도 14 및 도 15과 같이 전선(531, 532") 및 커넥터(521, 522")가 부품폴(511")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커넥터가 정확히 맞물리도록 부품폴을 연결하는 것이 중요하다. 도 9에서와 같은 형태의 부품폴과 같이 단면이 다각형이어서 회전이 안되는 경우에는 문제가 없지만, 도 14와 같이 연결부(5111, 5112")가 암나사, 수나사의 형태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설치시 정확한 위치를 맞추지 못하면 내부의 전선이 서로 연결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 16에서와 같이, 전선(632")의 일부만이 부품폴(611")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전선(632")의 양단에 구비된 커넥터(621, 622")와 그 커넥터에 연결된 부위의 전선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 인접한 부품폴을 연결할 때 커넥터의 위치가 정확히 맞물리지 않더라도 서로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폴은 야간에 촬영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조명이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촬영용 조명은 지상에서 1m 이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7는 촬영용 조명이 구비된 본 발명의 CCTV용 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7에서 보는 바와 본 발명의 폴(710")을 구성하는 부품폴(711", 712", 713") 중 1m 이내에 위치한 부품폴(713")에는 야간 촬영용 조명(750")이 구비되어 야간에는 점등되어 주위를 비치게 된다. 조명의 위치가 1m 이내로 제한되는 이유는, CCTV용 폴이 아파트 등에 설치되는 경우 1m 이상의 위치에 조명을 설치하게 되면 1층 및 저층에 거주하는 주민의 수면을 방해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도 17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재차 설명하면, 상기 보조촬영유닛는, 외주면 둘레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패널(715a)가 구비되는 소정형상의 폴; 상기 폴의 상부에 구비되며, 일 측에 길이방향으로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중공을 포함하는 지지기둥(10); 상기 개구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내측으로 돌출된 샤프트(32); 상기 지지기둥(10) 내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회전하는 모터(30); 일 측은 상기 모터(30)에 권취되고 타측은 상기 샤프트(32)에 권취되며, 상기 모터(3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모터(30)와 상기 샤프트(32) 사이에서 왕복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와이어(35); 상기 스틸와이어(35)의 왕복운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카메라 고정팔(20); 상기 폴를 지지고정하는 지지모듈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지지모듈부는, 소정의 제1 본체부(210)와, 상기 제1 본체부(210)에서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폴가 위치되는 제2 본체부(220)와, 상기 제1 본체부(210)에서 상기 제2 본체부(220)의 일측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 본체부(210)과 상기 폴의 일측으로 접촉하며, 상기 돌출패널(715a)의 일측이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제1 본체부(210)에서 하부로 구동되어 상기 폴를 고정시키는 제1 접촉부(231)와, 상기 제1 본체부(210)에서 상기 제2 본체부(220)의 타측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 본체부(210)와 상기 폴의 타측으로 접촉하며, 상기 돌출패널(715a")의 타측이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제1 본체부(210)에서 하부로 구동되어 상기 폴을 고정시키는 제2 접촉부(232)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본체부(220)는, 상기 제1 본체부(210) 중앙에 구비되는 제2-1 본체부(2201)와, 상기 제1 본체부(210) 일측에 구비되는 제2-2 본체부(2202)와, 상기 제1 본체부(210) 타측에 구비되는 제2-3 본체부(2203)를 포함하며, 상기 제2-1 본체부(2201), 상기 제2-2 본체부(2202) 및 상기 제2-3 본체부(2203)는 상기 폴의 내부로 높이방향 적어도 일부영역이 삽입되며, 상기 제2-2 본체부(2202)는 상기 제1 본체부(210)에서 상기 제1 접촉부(231)가 위치되는 측으로 일정범위 슬라이딩 방식으로 구동되면서 상기 폴의 내벽에 접촉되며, 상기 제2-3 본체부(2203)는 상기 제1 본체부(210)에서 상기 제2 접촉부(232)가 위치되는 측으로 일정범위 슬라이딩 방식으로 구동되면서 상기 폴의 내벽에 접촉되며, 상기 제2-1 본체부(2201)는 상기 제1 본체부(210)에서 둘레방향으로 일정범위로 회전구동되면서 상기 제2-2 본체부(2202)와 상기 제2-3 본체부(2203)를 눌러 고정하며, 상기 보조촬영유닛는, 상기 제1 본체부(210)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본체부(210)을 지지하는 제1 받침기둥(2101)과, 상기 제1 본체부(210)의 일측에 결속되어 상기 제1 본체부(210)을 고정시키는 제1 고정모듈(233)과, 상기 제1 본체부(210)의 타측에 결속되어 상기 제1 본체부(210)을 고정시키는 제2 고정모듈(234)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고정모듈(233)은, 상기 제1 본체부(210)와 이웃하는 제1 고정몸체(2331)와, 상기 제1 고정몸체(2331)의 상부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구동되는 제1 진퇴부(2332)와, 상기 제1 진퇴부(2332)의 내측방향 일단부에 구비되어 상하 방향간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구동되어 상기 제1 본체부(210)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1 함입홈부(H1)에 장착되는 제1 장착부(2333)와, 상기 제1 고정몸체(2331)의 하부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구동되는 제2 진퇴부(2334)와, 상기 제2 진퇴부(2334)의 내측방향 일단부에 구비되어 상하 방향간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구동되어 상기 제1 본체부(210)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 함입홈부(H2)에 장착되는 제2 장착부(2335)를 포함한다. 상기 제2 고정모듈(234)은, 상기 제1 본체부(210)와 이웃하는 제2 고정몸체(2341)와, 상기 제2 고정몸체(2341)의 상부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구동되는 제3 진퇴부(2342)와, 상기 제3 진퇴부(2342)의 내측방향 일단부에 구비되어 상하 방향간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구동되어 상기 제1 본체부(210)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3 함입홈부(H3)에 장착되는 제3 장착부(2343)와, 상기 제1 고정몸체(2331)의 하부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구동되는 제4 진퇴부(2344)와, 상기 제4 진퇴부(2344)의 내측방향 일단부에 구비되어 상하 방향간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구동되어 상기 제1 본체부(210)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4 함입홈부(H4)에 장착되는 제4 장착부(2345)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고정몸체(2331)는 하부에 제2 받침기둥(2336)이 구비되며, 상기 제2 고정몸체(2341)는 하부에 제3 받침기둥(2346)이 구비된다.
상기 보조촬영유닛는, 상기 제1 받침기둥 내지 상기 제3 받침기둥(2346)이 안착되며 지면에 묻혀 설치되는 베이스구조물(251)과, 상기 베이스구조물상에서 상기 제1 받침기둥(2101) 일측에 위치되어 상기 제1 받침기둥(2101)의 하단측면부를 누르는 제1-1 가변구조체(2101)와, 상기 베이스구조물상에서 상기 제1 받침기둥(2101) 타측에 위치되어 상기 제1 받침기둥(2101)의 하단측면부를 누르는 제1-2 가변구조체(2102)와 상기 베이스구조물상에서 상기 제2 받침기둥(2336) 일측에 위치되어 상기 제2 받침기둥(2336)의 하단측면부를 누르는 제2-1 가변구조체(261)와, 상기 베이스구조물상에서 상기 제2 받침기둥(2336) 타측에 위치되어 상기 제2 받침기둥(2336)의 하단측면부를 누르는 제2-2 가변구조체(262)와 상기 베이스구조물상에서 상기 제3 받침기둥(2346) 일측에 위치되어 상기 제3 받침기둥(2346)의 하단측면부를 누르는 제3-1 가변구조체(271)와, 상기 베이스구조물상에서 상기 제3 받침기둥(2346) 타측에 위치되어 상기 제3 받침기둥(2346)의 하단측면부를 누르는 제3-2 가변구조체(272)를 포함하는 하방구조물을 더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구조물(251)은, 상기 제1-1 가변구조체(2101)와 상기 제2-2 가변구조체(262) 사이에 구비되며 둘레방향으로의 회전으로 양측에 상기 제1-1 가변구조체(2101)와 상기 제2-2 가변구조체(262)를 눌러 고정힘을 가하는 제1 가동모듈(281)과, 상기 제1-2 가변구조체(2102)와 상기 제3-2 가변구조체(272) 사이에 구비되며 둘레방향으로의 회전으로 양측에 상기 제1-2 가변구조체(2102)와 상기 제3-2 가변구조체(272)를 눌러 고정힘을 가하는 제2 가동모듈(282)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촬영유닛는, 상기 제1 받침기둥(2101)에 장착되어 구비되는 구동본체부(291)와, 상기 구동본체부(291)의 일측으로 제1 바(291a)를 매개로 연동되며 상기 제2 본체부(220)에 외삽되어 장착되는 제1 고정체(292)와, 상기 구동본체부(291)의 타측으로 제2 바(291b)를 매개로 연동되며 상기 제2 본체부(220)에 외삽되어 장착되는 제2 고정체(293)를 포함하는 결속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고정체(292)는, 상기 구동본체부(291)로부터 전진 또는 후진 되는 상기 제1 바(291a)를 통하여 가압힘 또는 당김힘이 가해져 고정되며, 상기 제2 고정체(293)는, 상기 구동본체부(291)로부터 전진 또는 후진 되는 상기 제2 바(291b)를 통하여 가압힘 또는 당김힘이 가해져 고정되며, 상기 제1 바(291a)와 상기 제2 바(291b)는 상기 구동본체부(291)에서 상하간에 높이조절이 되며, 상기 높이조절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받침기둥(2336)과 상기 제3 받침기둥(2346)상에서 위치 조절되며, 위치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바(291a)와 상기 제2 바(291b)를 통하여 당김힘 또는 가압힘이 가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상기 보조촬영유닛은, 한정된 구역을 고정 촬영하되, 동선을 추적하는 상기 추적유닛과 함께 특정 구역만을 촬영하되, 상기 추적유닛이 동선 추적을 수행하는 경우 외부 충격에 의해 작동 기능을 상실로 촬영을 위한 작동 기능을 상실하는 경우 특정 구역에 대한 촬영을 보조하기 위한 것다.
삭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A : CCTV 동선 추적 장치
10, 110, 710 : 폴
131 : CCTV용 지지대
120 : 지반지지대
20, 130, 720 : CCTV

Claims (2)

  1. CCTV 촬영장치에 있어서,
    대상물의 영상을 획득하는 촬영부(110'); 및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촬영부(110')가 구비되는 바디부(110a')를 포함하는 추적유닛을 포함하는 CCTV 동선 추적 장치와,
    상기 추적유닛이 촬영을 수행하는 기 설정구역 중 적어도 일부 구역에서 단수 또는 복수로 설치되는 보조촬영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촬영유닛은,
    한정된 구역을 고정 촬영하되, 동선을 추적하는 상기 추적유닛과 함께 특정 구역만을 촬영하되, 상기 추적유닛이 동선 추적을 수행하는 경우 외부 충격에 의해 작동 기능을 상실로 촬영을 위한 작동 기능을 상실하는 경우 특정 구역에 대한 촬영을 보조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보조촬영유닛은,
    건물 외부에 설치되는 CCTV를 지지하기 위한 폴을 포함하며,
    상기 폴은 복수의 부품폴(711", 712", 713")을 조립하여 형성되며 상기 부품폴(711", 712", 713")에는 조명(750")이 구비되어 야간 점등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보조촬영유닛은
    상기 부품폴(711", 712", 713")의 하단부에 외주면 둘레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패널(715a")가 구비되며,
    상기 폴를 지지고정하는 지지모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모듈부는,
    소정의 제1 본체부(210)와,
    상기 제1 본체부(210)에서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폴가 위치되는 제2 본체부(220)와,
    상기 제1 본체부(210)에서 상기 제2 본체부(220)의 일측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 본체부(210)와 상기 폴의 일측으로 접촉하며, 상기 돌출패널(715a")의 일측이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제1 본체부(210)에서 하부로 구동되어 상기 폴를 고정시키는 제1 접촉부(231)와,
    상기 제1 본체부(210)에서 상기 제2 본체부(220)의 타측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 본체부(210)와 상기 폴의 타측으로 접촉하며, 상기 돌출패널(715a")의 타측이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제1 본체부(210)에서 하부로 구동되어 상기 폴을 고정시키는 제2 접촉부(23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본체부(220)는,
    상기 제1 본체부(210) 중앙에 구비되는 제2-1 본체부(2201)와,
    상기 제1 본체부(210) 일측에 구비되는 제2-2 본체부(2202)와,
    상기 제1 본체부(210) 타측에 구비되는 제2-3 본체부(2203)를 포함하며,
    상기 제2-1 본체부(2201), 상기 제2-2 본체부(2202) 및 상기 제2-3 본체부(2203)는 상기 폴의 내부로 높이방향 적어도 일부영역이 삽입되며,
    상기 제2-2 본체부(2202)는 상기 제1 본체부(210)에서 상기 제1 접촉부(231)가 위치되는 측으로 일정범위 슬라이딩 방식으로 구동되면서 상기 폴의 내벽에 접촉되며,
    상기 제2-3 본체부(2203)는 상기 제1 본체부(210)에서 상기 제2 접촉부(232)가 위치되는 측으로 일정범위 슬라이딩 방식으로 구동되면서 상기 폴의 내벽에 접촉되며,
    상기 제2-1 본체부(2201)는 상기 제1 본체부(210)에서 둘레방향으로 일정범위로 회전구동되면서 상기 제2-2 본체부(2202)와 상기 제2-3 본체부(2203)를 눌러 고정하며,
    상기 보조촬영유닛은,
    상기 제1 본체부(210)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본체부(210)을 지지하는 제1 받침기둥(2101)과,
    상기 제1 본체부(210)의 일측에 결속되어 상기 제1 본체부(210)을 고정시키는 제1 고정모듈(233)과,
    상기 제1 본체부(210)의 타측에 결속되어 상기 제1 본체부(210)을 고정시키는 제2 고정모듈(234)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고정모듈(233)은,
    상기 제1 본체부(210)와 이웃하는 제1 고정몸체(2331)와,
    상기 제1 고정몸체(2331)의 상부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구동되는 제1 진퇴부(2332)와,
    상기 제1 진퇴부(2332)의 내측방향 일단부에 구비되어 상하 방향간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구동되어 상기 제1 본체부(210)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1 함입홈부(H1)에 장착되는 제1 장착부(2333)와,
    상기 제1 고정몸체(2331)의 하부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구동되는 제2 진퇴부(2334)와,
    상기 제2 진퇴부(2334)의 내측방향 일단부에 구비되어 상하 방향간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구동되어 상기 제1 본체부(210)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 함입홈부(H2)에 장착되는 제2 장착부(2335)를 포함하는 CCTV 촬영장치.
  2. 삭제
KR1020200057445A 2020-05-14 2020-05-14 Cctv 동선 추적 장치 KR102176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445A KR102176039B1 (ko) 2020-05-14 2020-05-14 Cctv 동선 추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445A KR102176039B1 (ko) 2020-05-14 2020-05-14 Cctv 동선 추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6039B1 true KR102176039B1 (ko) 2020-11-06

Family

ID=73572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7445A KR102176039B1 (ko) 2020-05-14 2020-05-14 Cctv 동선 추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603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6994B1 (ko) * 2010-09-29 2011-08-17 주식회사 아이넥스 지능형 영상 보안 시스템 및 그 보안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6994B1 (ko) * 2010-09-29 2011-08-17 주식회사 아이넥스 지능형 영상 보안 시스템 및 그 보안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27183A1 (en) Security camera
US8818083B2 (en) System of drones provided with recognition beacons
US20180283630A1 (en) Decorative lighting
US6781129B2 (en) Dual eye motion detector assembly
US8599254B2 (en) Spotlight with security camera
US20130049609A1 (en) Solar powered light having 3d enhanced lens
US20110102664A1 (en) Lighting control module, video camera compris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CN201844217U (zh) 灯具装置
KR101272109B1 (ko) 녹화수단을 구비한 센서 조명기구
US20150131285A1 (en) Integrated Multiple Light Head
KR102176039B1 (ko) Cctv 동선 추적 장치
US20180024417A1 (en) 360 video/photo production light apparatus
CN1118051A (zh) 一种用于光导纤维和区域照明的照明系统和方法
EP4020392A1 (en) Optical tracking system and marker for optical tracking system
EP2665048A1 (en) Alarm system with peripheral or single video surveillance
CN210948444U (zh) 闸机
KR200462467Y1 (ko) Cctv용 조립식 폴
CN206249347U (zh) 一种安装在虚拟现实眼镜内的虹膜识别装置
US11035565B1 (en) Flag topper
CN214847021U (zh) 一种光警式视觉传感用高精度数控led光源
CN205213124U (zh) 智能灯具
CN2768661Y (zh) 便携式虹膜图像采集装置
KR101675765B1 (ko) 모니터링 장치
CN208849861U (zh) 智能人脸识别摄像头
CN207349995U (zh) 一种新型雷达感应监控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