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6186Y1 - 목다보 고정구 - Google Patents

목다보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6186Y1
KR200466186Y1 KR2020120005905U KR20120005905U KR200466186Y1 KR 200466186 Y1 KR200466186 Y1 KR 200466186Y1 KR 2020120005905 U KR2020120005905 U KR 2020120005905U KR 20120005905 U KR20120005905 U KR 20120005905U KR 200466186 Y1 KR200466186 Y1 KR 2004661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coupled
hole
neck
wood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59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호인
Original Assignee
최호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호인 filed Critical 최호인
Priority to KR20201200059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61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61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618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F16B12/12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non-metal furniture parts, e.g. made of wood, of plastic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4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made mainly of wood or 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목재로 형성되는 가구를 목다보를 통하여 연결 구성하고자 할 때 목재가구의 연결부위와 목다보의 결합부위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목재를 연결할 수 있는 목다보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원통형의 형상으로 내측에 목다보가 결합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내주연에는 결합홈이 구비된 본체와, 상기 목다보가 관통공에 결합된 후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결합홈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본체의 하단을 덮도록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어 판재의 체결홈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위와 같은 본 고안은 첫째, 목재의 연결하고자 하는 부위에 형성되는 목재구멍에 편리하게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는 목다보 고정구로서 본체와 고정몸체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목다보를 견고하게 결합 된 상태로 유지하면서도 목재구멍에 결합되는 고정몸체를 통하여 목재구멍과 목다보의 결합부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효율적인 목재 연결을 이룰 수 있다.
둘째, 목재를 연결하기 위하여 목다보가 삽입되는 목재구멍에 목공본드를 채워넣는 불필요한 작업공정 없이도 목재구멍에 삽입되는 목다보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편리하고 효율적인 목재연결을 이룰 수 있다.
셋째, 목다보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본체, 고정부재와, 목재의 나사구멍에 결합되는 고정몸체를 통하여 목재의 사이에 결합되는 목다보가 외부 충격에 의해 손쉽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목다보 고정구{Wood core Fixing Device}
본 고안은 목다보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목재로 형성되는 가구를 목다보를 통하여 연결 구성하고자 할 때 목재가구의 연결부위와 목다보의 결합부위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목재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한 목다보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목다보(목심)란 촉의 종류로서 나무로 된 촉을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다보(목심)는 문헌(1) 및 문헌(2)에서와 같이, 목재로 가구를 만들고자 할 때 절단된 목재와 목재 사이에 결합하여 마주보며 결합되는 목재를 견고하게 결합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예컨대, 목재가구를 만들기 위하여 목재를 일정한 크기로 절단한 후 목재를 결합시키고자 하는 부위에 드릴을 통하여 나사구멍을 형성하고, 형성된 나사구멍에 목공용 본드를 채우고, 위와 같이 목공용 본드가 채워진 나사구멍에 목다보를 삽입하여 목재의 나사구멍에 결합되는 목다보를 통하여 결합하고자 하는 목재를 견고하게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위와 같이 목다보(목심)를 이용하여 결합하던 종래의 목다보 결합 방법은 목재의 나사구멍에 결합되는 목다보(목심)가 외부충격에 의하여 목재와 손쉽게 분리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으며, 목다부(목심)의 결합상태를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목다보(목심)가 삽입되는 목재의 나사구멍에 목공용 본드 등을 일일이 채워넣어야 하는 작업공정의 문제로 목재가구의 생산효율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크기가 작은 목재의 연결에는 목다보(목심)를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었지만 크기가 큰 목재가구를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목재의 나사구멍에 삽입된 목다부(목심)가 손쉽게 분리되거나 목재의 하중에 의하여 부러지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1)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380768호(2005.03.28.) (2)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118965호(1998.02.27.)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목재가구를 만들기 위하여 절단된 목재를 연결하고자 할 때 목재에 형성된 나사구멍에 목공본드를 채워넣는 불필요한 작업공정 없이도 편리하게 목다보가 고정 결합되도록 하여 목재와 목재를 효율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목다보 고정구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목재와 목재를 연결하기 위하여 목다보를 목재에 결합하는 경우에도 목다보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본체, 고정부재와, 목재의 나사구멍에 결합되는 고정몸체를 통하여 목다보가 외부 충격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목다보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원통형의 형상으로 내측에 목다보가 결합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내주연에는 결합홈이 구비된 본체와, 상기 목다보가 관통공에 결합된 후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결합홈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본체의 하단을 덮도록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어 목재의 나사구멍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본체는 상기 관통공의 상부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돌출부와, 상기 지지돌출부와 대향되게 상기 본체의 하단에 형성되는 고정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내측 중심부에 목다보가 결합되는 삽입공이 구비된 판 형상의 몸체부와, 상기 삽입공의 내주연을 따라 배열 형성되는 다수개의 고정돌기와, 상기 몸체부의 외주연을 따라 배열 형성되는 다수개의 탄성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돌기와 탄성돌기는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와 탄성돌기는 상기 몸체부의 내측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몸체는 내측에 삽입홈이 구비된 원통형으로 형상으로,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본체의 외측과 밀착 지지되도록 고무, 합성수지, 실리콘, 구리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목재의 연결하고자 하는 부위에 형성되는 목재구멍에 편리하게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는 목다보 고정구로서 본체와 고정몸체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목다보를 견고하게 결합 된 상태로 유지하면서도 목재구멍에 결합되는 고정몸체를 통하여 목재구멍과 목다보의 결합부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효율적인 목재 연결을 이룰 수 있다.
둘째, 목재를 연결하기 위하여 목다보가 삽입되는 목재구멍에 목공본드를 채워넣는 불필요한 작업공정 없이도 목재구멍에 삽입되는 목다보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편리하고 효율적인 목재연결을 이룰 수 있다.
셋째, 목다보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본체, 고정부재와, 목재의 나사구멍에 결합되는 고정몸체를 통하여 목재의 사이에 결합되는 목다보가 외부 충격에 의해 손쉽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목다보 고정구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목다보 고정구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인 목다보 고정구에 목다보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따라 목다보 고정구에 목다보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3의 결합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인 목다보 고정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인 목다보 고정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 측단면도.
이하, 도시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설명에 앞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도시된 도 1 내지 도 7에 따라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고안은, 원통형의 형상으로 내측에 목다보(10)가 결합되는 관통공(110)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10)의 내주연에는 결합홈(120)이 구비된 본체(100)와, 상기 목다보(10)가 관통공(110)에 결합된 후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결합홈(1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재(200)와, 상기 본체(100)의 하단을 덮도록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어 목재(20)의 체결홈(21)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몸체(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00)는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내측에는 목다부(10)가 관통 결합 될 수 있는 관통공(110)이 형성되어 구성되고, 상기 관통공(110)의 내측 테두리에는 결합홈(120)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관통공(110)은 결합되는 목다부(10)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며, 상기 결합홈(120)은 고정부재(200)의 일측이 결합 될 수 있도록 상기 관통공(110)의 내측 테두리를 따라 홈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때, 상기 본체(100)는 상부면에 상기 관통공(110)의 상부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돌출부(110)와, 상기 지지돌출부(111)와 대향되는 상기 본체(100)의 하단으로 고정돌출부(112)를 구비하여 구성하게 된다.
상기 지지돌출부(110)는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목재(20)의 나사구멍(21)에 목다보 고정구가 결합되는 경우에 나사구멍(21)의 재질인 목재(20)의 특징에 따라 목재가 변형되어 나사구멍(21)의 형상이 변화되는 경우에도 목재(20)에 형성된 나사구멍(21)에 결합 된 상태로 견고하게 그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는 즉, 상기 지지돌출부(111)가 상기 본체(100)의 상부를 향하여 직경이 점차 감소하는 형태로 구성됨으로써 목재(20)의 나사구멍(21) 형상이 변형되어 나사구멍(21)에 결합 된 본체(100), 고정몸체(300)의 상부면을 덮는 경우에도 상기 지지돌출부(111)와 목재(20)가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상기 지지돌출부(111)를 통하여 본체(100)의 관통공(110)이 가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돌출부(112)는 상기 본체(100)와 후술할 고정몸체(300)가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본체(100)가 고정몸체(300)의 내부에 견고하게 결합 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지지돌출부(111)와 고정돌출부(121)는 도 5 및 도 7에서와 같이, 본체(100)의 하부에 고정몸체(300)가 결합되는 경우에도 고정몸체(300)가 본체의 관통공(110)을 가리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고정몸체(300)와 본체(100)의 결합이 더욱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200)는 도 1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중심부에는 목다보(10)가 결합될 수 있는 삽입공이(211)이 구비된 판 형상의 몸체부(210)로 형성되는 것이며, 이때, 상기 삽입공(211)의 내주연에는 다수개의 고정돌기(212)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의 외주연에는 다수개의 탄성돌기(213)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고정부재(200)는 상기 본체(100)의 결합홈(1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이러한 구성을 이루기 위하여 탄성력이 있는 판 형상의 몸체부(210)로 형성하고, 상기 몸체부(210)의 내측에는 목다보(10)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삽입공(211)이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몸체부(210)는 도시된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삽입공(211)의 내주연을 따라 배열형성되는 다수개의 고정돌기(212)와, 상기 몸체부(210)의 외주연을 따라 배열형성되는 다수개의 탄성돌기(213)를 구비하여 구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2 및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탄성돌기(213)가 본체(100)의 결합홈(120)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몸체부(210)가 본체(100)의 내측에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이루면서도 상기 몸체부(210)의 삽입공(211)에 결합된 목다보(10)의 외측을 상기 고정돌기(212)가 견고하게 밀찰되며 지지함으로써 상기 몸체부(210)의 삽입공(211)에 결합된 목다보(10)가 견고하게 결합 된 상태를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는 즉, 상기 목다보(10)가 상기 몸체부(210)의 삽입공(211)에 결합되는 경우에는 도 5 및 도 7에서와 같이, 목다보(10)의 결합 방향으로 상기 고정돌기(212)가 구부러지며 결합 된 상태를 이루게 됨으로써 상기 목다보(10)와 몸체부(210)의 결합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상기 목다보(10)와 몸체부(210)가 결합되는 결합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상기 목다보(10)가 손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돌기(212)를 통하여 상기 몸체부(210)의 삽입공(211)에 결합된 목다보(10)가 결합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손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돌기(212)와 탄성돌기(213)를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고정돌기(212)가 목다보(10)의 결합방향으로 원활하게 구부러지며 밀착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고정돌기(212)와 탄성돌기(212)를 상기 몸체부(210)의 내측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절곡 형성하여 상기 몸체부(210)의 삽입공(211)에 목다보(10)가 결합되는 경우에는 상기 목다보(10)의 외측 테두리에 상기 고정돌기(212)가 원활하게 밀착되며 목다보(10)의 결합방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도록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목재(20)의 나사구멍(21)에 목다보(10)를 결합하여 목재(20)와 목재(20)를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상술한 본체(100)와 고정부재(200)를 통하여 목재(20)의 나사구멍(21)에 목다보(10)를 더욱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몸체(300)는 도 2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으로서, 내측에는 삽입홈(310)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몸체(300)는 목재(20)의 나사구멍(21)에 원활하게 결합 될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목재(20)의 나사구멍(21)에 삽입되는 경우 나사구멍(21)의 내주면에 밀착 지지될 수 있도록 고무, 합성수지, 실리콘, 구리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는, 상기 본체(100)와 고정부재(200)의 내측으로 목다보(10)가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100)의 외측부를 도 5에서와 같이 감싸도록 상기 고정몸체(300)가 결합 구성됨으로써 목재(20)와 목재(20)를 도 6에서와 같이,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목재(20)의 나사구멍(21)에 결합되는 목다보(10)가 손상되거나 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목재(20)의 하중에 의하여 나사구멍(21)에 결합된 목다보(10)가 손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하여, 상기에서와 같이, 목재(20)의 나사구멍(21)에 결합되는 고정몸체(300)를 고무 또는 합성수지, 실리콘으로 형성하여 나사구멍(21)과의 밀착력을 높임으로써 나사구멍(21)에서 고정몸체(300)가 손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상술한 구리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목재(20) 나사구멍(21)과 고정몸체(300)의 결합과정에서 발생 될 수 있는 압력에 의하여 나사구멍(21)의 내측에서 고정몸체(30)의 형상이 변화하도록 함으로써 나사구멍(21)의 내측에 고정몸체(300)가 견고하게 그 결합 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작업환경 또는 목다보 고정구의 제작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목재(20)의 나사구멍(21)에 목다보(10)를 결합하여 목재(20)와 목재(20)를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목재(20)의 나사구멍(21)에 견고하게 결합 될 수 있는 고정몸체(300)와 상기 고정몸체(300)의 내측에 결합되어 내측으로 삽입되는 목다보(1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본체(100)와 고정부재(200)의 구성을 통하여 목재가구를 형성할 수 있는 목재(20)와 목재(20)의 연결이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어 안전하고 효율적인 목재(20) 가구 연결을 이룰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목재(20)의 나사구멍(21)에 목공용 본드를 채워넣는 불필요한 작업공정 없이도 연결하고자 하는 목재(20)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고안의 요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목다보 20: 목재
21: 나사구멍 100: 본체
110: 관통공 111: 지지돌출부
112: 고정돌출부 120: 결함홈
200: 고정부재 210: 몸체부
211: 삽입공 212: 고정돌기
213: 탄성돌기 300: 고정몸체
310: 삽입홈

Claims (5)

  1. 원통형의 형상으로 내측에 목다보(10)가 결합되는 관통공(110)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10)의 내주연에는 결합홈(120)이 구비된 본체(100)와,
    상기 목다보(10)가 관통공(110)에 결합된 후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결합홈(1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재(200)와,
    상기 본체(100)의 하단을 덮도록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어 목재(20)의 나사구멍(21)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몸체(300)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100)는 상기 관통공(110)의 상부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돌출부(111)와,
    상기 지지돌출부(111)와 대향되게 상기 본체(100)의 하단에 형성되는 고정돌출부(1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다보 고정구.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200)는
    내측 중심부에 목다보(10)가 결합되는 삽입공(211)이 구비된 판 형상의 몸체부(210)와,
    상기 삽입공(211)의 내주연을 따라 배열 형성되는 다수개의 고정돌기(212)와,
    상기 몸체부(210)의 외주연을 따라 배열 형성되는 다수개의 탄성돌기(2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다보 고정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212)와 탄성돌기(213)는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212)와 탄성돌기(212)는 상기 몸체부(210)의 내측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다보 고정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300)는
    내측에 삽입홈(310)이 구비된 원통형으로 형상으로, 상기 삽입홈(310)에 삽입된 본체(100)의 외측과 밀착 지지되도록 고무, 합성수지, 실리콘, 구리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다보 고정구.
KR2020120005905U 2012-07-05 2012-07-05 목다보 고정구 KR2004661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5905U KR200466186Y1 (ko) 2012-07-05 2012-07-05 목다보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5905U KR200466186Y1 (ko) 2012-07-05 2012-07-05 목다보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6186Y1 true KR200466186Y1 (ko) 2013-04-05

Family

ID=51386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5905U KR200466186Y1 (ko) 2012-07-05 2012-07-05 목다보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618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1753B1 (ko) * 2014-11-05 2015-04-17 박영기 다단 적층식 목공예 수납장의 제작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3241Y1 (ko) * 1985-09-21 1988-09-15 조종일 조립식 가구의 체결장치
KR20100003822U (ko) * 2008-10-01 2010-04-09 아이젠전시문화 주식회사 조립식 프레임의 연결구조
WO2012062618A2 (de) 2010-11-13 2012-05-18 Amer Khodabandeh Verbindungselement mit integrierter schnappverbindu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3241Y1 (ko) * 1985-09-21 1988-09-15 조종일 조립식 가구의 체결장치
KR20100003822U (ko) * 2008-10-01 2010-04-09 아이젠전시문화 주식회사 조립식 프레임의 연결구조
WO2012062618A2 (de) 2010-11-13 2012-05-18 Amer Khodabandeh Verbindungselement mit integrierter schnappverbindu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1753B1 (ko) * 2014-11-05 2015-04-17 박영기 다단 적층식 목공예 수납장의 제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779921S1 (en) Jig for repairing broken mounting studs
JP6187839B2 (ja) パッド分離型吸着カップ
USD779923S1 (en) Jig for repairing broken mounting studs
USD815160S1 (en) Ball joint press adapter
KR100908009B1 (ko) 관연결용 압륜 어셈블리
KR200466186Y1 (ko) 목다보 고정구
USD850619S1 (en) Dental tool
KR101976513B1 (ko) 화장용 브러시
KR102130793B1 (ko) 수도꼭지 연결구
JP3207549U (ja) 研磨体用連接部材
US9232857B2 (en) Modular storage frame
US3065654A (en) Hole cutting attachment for electric drills
USD945496S1 (en) Power trowel tool attachment
USD945494S1 (en) Power trowel tool attachment
USD945495S1 (en) Power trowel tool attachment
KR101693757B1 (ko)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조립용 삽
KR20160059819A (ko)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조립용 삽
USD945497S1 (en) Power trowel tool attachment
KR20100129468A (ko) 포장팩용 손잡이
KR101484573B1 (ko) 고강도 합성수지관
KR101499152B1 (ko) 포장박스
KR101785281B1 (ko) 소켓부를 구비한 망치 및 그 제작방법
KR200468713Y1 (ko) 치약튜브 거치대
TWM472769U (zh) 固定組件
KR20140006162U (ko) 볼트너트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