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5281B1 - 소켓부를 구비한 망치 및 그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소켓부를 구비한 망치 및 그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5281B1
KR101785281B1 KR1020170088943A KR20170088943A KR101785281B1 KR 101785281 B1 KR101785281 B1 KR 101785281B1 KR 1020170088943 A KR1020170088943 A KR 1020170088943A KR 20170088943 A KR20170088943 A KR 20170088943A KR 101785281 B1 KR101785281 B1 KR 1017852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bag
wedge
hole
ham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8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선
Original Assignee
이용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선 filed Critical 이용선
Priority to KR1020170088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52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5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5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1/00Hand hammers; Hammer heads of special shape or materials
    • B25D1/02Inserts or attachments forming the striking part of hammer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3/00Attaching handles to the implements
    • B25G3/02Socket, tang, or like fixings
    • B25G3/04Socket, tang, or like fixings with detachable or separate socket pieces

Abstract

본 발명은 소켓부를 구비한 망치에 있어서, 자루부; 상기 자루부의 상단 일부부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소켓부; 상기 자루부의 상단에 하단측 부분이 끼워지며, 상단측 부분은 상측은 넓고 하측은 좁은 상광하협 형태의 쐐기가 형성된 축관부; 및 상측과 하측이 연통된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자루부, 소켓부, 축관부가 상기 통공에 삽입되도록 하는 헤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쐐기의 상단 부분을 가압하면, 소켓부의 상단 부분이 쐐기의 외외주면을 따라 외측으로 벌어진 후,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쐐기의 상단 일부분을 감쌓아 절곡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켓부를 구비한 망치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자루부의 상단 일부분을 감싸도록 소켓부를 구비하는 제1성형단계; 상기 자루부의 상단에 상단측 부분은 상측은 넓고 하측은 좁은 상광하협 형태의 쐐기가 형성된 축관부의 하단측 부분을 삽입하는 축관부설치단계; 자루부, 소켓부 및 축관부가 헤드부의 통공에 삽입되도록 하는 헤드부안착단계; 및 상기 축관부를 타격하여 자루부 측으로 이동시키는 제2성형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켓부를 구비한 망치 및 그 제작방법{HAMMER WITH SOCK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소켓부를 구비한 망치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손잡이 역할을 하는 자루부와 타격하는 헤드부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종래 용접 등을 이용하지 않고, 자루부의 상단 일부분을 감싸는 소켓부와 상시 소켓부 내측으로 삽입되는 축관부를 구비하되, 상기 소켓부의 상단 부분이 축관부 상단 일부분을 감쌓아 절곡부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마찰에 의해 자루부와 헤드부가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여, 제작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소켓부를 구비한 망치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망치(hammer)는 타격을 위한 헤드부와 손잡이 역할을 하는 자루부가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망치를 구성함에 있어, 헤드부와 자루부는 별도로 제작되고 이를 결합하여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헤드부와 자루부의 결합 방법 중 하나로,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52776호에 망치의 결합방법 및 그 망치가 개시되었다.
종래 망치의 결합방법 및 그 망치는 망치몸체에 형성된 자루삽입공의 선단 내측으로부터 일측면에 삼각지지돌부가 형성된 쐐기부재가 삽입하여 용접으로 부착하고, 상기 자루삽입공의 후단으로부터 선단이 삽입됨과 동시에 쐐기부재의 삼각 지지돌부에 강압적인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선단에 V자형의 안내홈이 t형성된 자루가 압입 결합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종래 망치의 결합방법 및 그 망치는 삼각지지돌부가 형성된 쐐기부재를 망치몸체의 자루삽입공에 넣어 용접으로 결합시킨 후 V자형의 안내홈이 형성된 자루를 망치몸체에 형성된 자루삽입공에 끼워 결합하는 것으로, 그 공정이 복잡하고, 쐐기부재의 삼각지지돌부에 자루의 선단에 형성된 V자형 안내홈이 끼워지도록 되어있어 나무로 된 자루가 건조된 상태에서 장시간 반복하여 타격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 자루로부터 망치몸체가 이탈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용접을 통해 결합이 이루어짐으로써, 작업에 따른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52776호(2009.05.26.)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손잡이 역할을 하는 자루부와 타격하는 헤드부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종래 용접 등을 이용하지 않고, 자루부의 상단 일부분을 감싸는 소켓부와 상시 소켓부 내측으로 삽입되는 축관부를 구비하되, 상기 소켓부의 상단 부분이 축관부 상단 일부분을 감쌓아 절곡부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마찰에 의해 자루부와 헤드부가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여, 제작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소켓부를 구비한 망치 및 그 제작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켓부를 구비한 망치는 자루부; 자루부의 상단 일부부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소켓부; 자루부의 상단에 하단측 부분이 끼워지며, 상단측 부분은 상측은 넓고 하측은 좁은 상광하협 형태의 쐐기가 형성된 축관부; 및 상측과 하측이 연통된 통공이 형성되어 자루부, 소켓부, 축관부가 통공에 삽입되도록 하는 헤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쐐기의 상단 부분을 가압하면, 소켓부의 상단 부분이 쐐기의 외외주면을 따라 외측으로 벌어진 후, 내측으로 절곡되어 쐐기의 상단 일부분을 감쌓아 절곡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부를 구비한 망치를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또한, 소켓부를 구비한 망치의 제작방법은 자루부의 상단 일부분을 감싸도록 소켓부를 구비하는 제1성형단계; 자루부의 상단에 상단측 부분은 상측은 넓고 하측은 좁은 상광하협 형태의 쐐기가 형성된 축관부의 하단측 부분을 삽입하는 축관부설치단계; 자루부, 소켓부 및 축관부가 헤드부의 통공에 삽입되도록 하는 헤드부안착단계; 및 축관부를 타격하여 자루부 측으로 이동시키는 제2성형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특징으로 하는 소켓부를 구비한 망치의 제작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손잡이 역할을 하는 자루부와 타격하는 헤드부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종래 용접 등을 이용하지 않고, 자루부의 상단 일부분을 감싸는 소켓부와 상시 소켓부 내측으로 삽입되는 축관부를 구비하되, 상기 소켓부의 상단 부분이 축관부 상단 일부분을 감쌓아 절곡부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마찰에 의해 자루부와 헤드부가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여, 제작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켓부를 구비한 망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켓부를 구비한 망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켓부를 구비한 망치의 제작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켓부를 구비한 망치의 제작방법에서 제1성형단계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4a는 상하지그설치단계, 도 4b는 상하지그이동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켓부를 구비한 망치의 제작방법에서 축관부설치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켓부를 구비한 망치의 제작방법에서 헤드부안착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소켓부를 구비한 망치의 제작방법에서 제2성형단계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7a는 상금형세팅단계, 도 7b는 상금형이동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소켓부를 구비한 망치의 제작방법에서 상금형세팅단계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 따른 소켓부를 구비한 망치 및 그 제작방법은 손잡이 역할을 하는 자루부와 타격하는 헤드부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종래 용접 등을 이용하지 않고, 자루부의 상단 일부분을 감싸는 소켓부와 상시 소켓부 내측으로 삽입되는 축관부를 구비하되, 상기 소켓부의 상단 부분이 축관부 상단 일부분을 감쌓아 절곡부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마찰에 의해 자루부와 헤드부가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여, 제작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소켓부를 구비한 망치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먼저, 본 명세서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소켓부를 구비한 망치는 자루부(10)는 하측에 위치하고, 헤드부(40)는 상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하 방향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성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자루부(10)와 헤드부(40)가 항상 동일한 방향에 위치하여 제작되거나 구비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즉 본 명세서에서 명시하고 있는 '상단', '하단', '상측' 및 '하측' 등은 특정한 방향을 가리키는 것이 아닌, 첨부된 도면을 통해 구성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한 의미로 기재하였으며, 용어 자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켓부를 구비한 망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켓부를 구비한 망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켓부를 구비한 망치의 단면도이다.
여기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켓부를 구비한 망치를 구성함에 있어, 후술되는 소켓부(20)의 절곡부(23)가 형성되기 전의 상태를 분해 사시도로 도시하였으며, 도 2는 상기 절곡부(23)가 형성되어 자루부(10)와 헤드부(40)가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단면도로 도시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소켓부를 구비한 망치는 자루부(10), 소켓부(20), 축관부(30) 및 헤드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종래 망치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용접에 의한 방법을 이용하지 않고, 상기 구성들의 유기적인 결합만으로 견고하게 결합된 망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자루부(10)는 망치를 구성함에 있어, 손잡이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상기 자루부(10)를 파지 후 원운동에 의해 타격함으로써, 자루부(10)의 상단에 결합되는 헤드부(40)가 상기 원운동에 의해 큰 힘으로 타격을 주게 된다. 이에, 두드려 쇠를 연마하거나 못을 박는 등의 작업에 활용될 있다.
이러한, 자루부(10)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비어있는 형태로 이루어지되, 바람직하게는 상단 부분은 원형관 형태로 이루어지고, 하단 부분은 내부가 비어있지 않은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자루부(10)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 부분은 모서리 부분이 모따기 되어 곡선형으로 형성된 전체적인 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외주면 일부분을 감싸는 고무 재질의 손잡이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자루부(10)는 자루테이퍼부(11)가 형성될 수 있다.
자루테이퍼부(11)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자루부(10)의 상측 부분에 형성되되, 하측보다 상측의 지름이 작아지도록 하는 것으로, 지름이 다른 두 개의 원형관이 상기 자루테이퍼부(11)에 의해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에서, 자루테이퍼부(11)를 형성하는 방법에 관해서는 후술되는 소켓부를 구비한 망치의 제작방법에서 제1성형단계(S10)를 통해 이루어지므로, 후술되는 제1성형단계(S10)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소켓부(20)는 자루부(10)의 상단 일부분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내부가 비어있는 원형관 형태로 이루어지고, 자루부(10)의 상단 일부분이 소켓부(20)의 내부 공간에 끼워지는 형태로 구비된다.
즉 소켓부(20)의 내경은 자루부(10)의 외경과 같거나 크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바람직하게, 소켓부(20)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루부(10)의 상단 보다 소정의 높이만큼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상측으로 돌출된 부분이 후술되는 축관부(30)가 상기 자루부(10) 상측으로 삽입되면, 상기 축관부(30)의 상단 일부분을 감쌀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소켓부(20)는 자루테이퍼부(11)에 대응되는 형태의 소켓테이퍼부(21), 돌출부(22) 및 절곡부(23)가 형성될 수 있다.
소켓테이퍼부(21)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측보다 상측의 지름이 작아지도록 하는 것으로, 지름이 다른 두 개의 원형관이 상기 소켓테이퍼부(21)에 의해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에, 소켓부(20)가 자루부(10)의 상측에 구비되면, 자루테이퍼부(11)의 상측에 소켓테이퍼부(21)가 접촉됨으로써, 상기 소켓부(20)가 자루부(10) 상측에 안착되도록 하여, 소켓부(20)가 하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소켓부(20)의 상단 일부분이 자루부(10)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돌출부(22)는 소켓테이퍼부(21)의 하측단에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후술되는 헤드부(40) 결합시, 상기 헤드부(40)에 구비되는 보호부재(42)가 상기 돌출부(22)의 상측에 안착되어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한다.
여기에서, 소켓테이퍼부(21)와 돌출부(22)를 형성하는 방법에 관해서는 후술되는 소켓부를 구비한 망치의 제작방법에서 제1성형단계(S10)를 통해 이루어지므로, 후술되는 제1성형단계(S10)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절곡부(23)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소켓부(20)의 상단 일부분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구부러진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후술되는 소켓부를 구비한 망치의 제작방법에서 제2성형단계(S40)를 통해 상금형(300)을 축관부(30) 상측에 위치시킨 후 자루부(10) 측으로 타격함으로써, 상측으로 돌출된 소켓부(20)가 축관부(30) 상단 일부분을 감싸도록 절곡되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절곡부(2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부(20)의 상단 일부분이 후술되는 축관부(30)의 상측에 형성된 쐐기(31)의 겉면을 따라 벌어진 후 상금형(300)의 하측에 형성된 절곡홈(310)을 따라 절곡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절곡홈(310) 내에서 쐐기(31)의 상단 일부분을 감싸게 됨으로써, 축관부(30)가 자루부(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외측으로 벌어지려는 힘에 의해 헤드부(40)에 형성된 통공(41)의 내주면을 가압하게 됨으로써, 자루부(10)와 헤드부(40)가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다.
여기에서, 절곡부(23)를 형성하는 방법에 관해서는 후술되는 소켓부를 구비한 망치의 제작방법에서 제2성형단계(S40)를 통해 이루어지므로, 후술되는 제2성형단계(S40)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축관부(30)는 자루부(10)의 상단에 하단측 부분이 끼워지며, 상단측 부분은 상측은 넓고 하측은 좁은 상광하협 형태의 쐐기(31)가 형성된다.
쐐기(31)는 하단 단면은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단 단면은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이루어지되, 상단 단면에서 가장 짧은 반지름은 하단 단면의 지름보다 크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쐐기(31)의 상단 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후술되는 헤드부(40)의 크기가 큰 경우에 적합하며, 상단 단면이 타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후술되는 헤드부(40)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에 적합하다.
예를 들어, 헤드부(40)의 크기가 큰 슬레지해머(sledgehammer) 등과 같은 망치에는 원형의 단면을 갖는 쐐기(31)가 사용될 수 있으며, 헤드부(40)의 크기(좌,우 폭)가 작은 보통 망치의 경우, 타원형의 단면을 갖는 쐐기(31)가 사용될 수 있다.
이에, 폭이 상대적으로 작은 보통 망치 제작시, 쐐기(31)가 타원형 단면으로 이루어진 축관부(30)를 결합함으로써, 후술되는 헤드부(40)의 통공(41) 자체도 타원형으로 제작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망치의 크기(규격)가 작아지더라도 통공(41) 까지 무조건 작게 제작하지 않아도 되어 자루부(10)와 헤드부(40) 결합시 큰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쐐기(31)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의 크기가 점점 커지는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자루부(10)의 상단에 끼워진 후, 상기 자루부(10) 측으로 타격되어 이동되면, 쐐기(31)의 형태적 특성에 의해 자루부(10)와 소켓부(20)의 상단 일부분이 외측으로 벌어지려는 힘이 발생되고, 외측으로 벌어지려는 힘에 의해 후술되는 헤드부(40)의 통공(41) 내주면을 가압하게 됨으로써, 자루부(10), 소켓부(20), 축관부(30) 및 헤드부(40)가 상호 표면 가압에 따른 마찰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되고, 소켓부(20)의 절곡부(23)에 의해 축관부(30)가 자루부(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자루부(10)와 헤드부(4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헤드부(40)는 망치를 구성함에 있어, 못 등의 물체를 직접 타격하는 머리 부분에 해당되는 것으로, 통공(41) 및 보호부재(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하 헤드부(40)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측으로 연통된 통공(41)에 자루부(10) 소켓부(20) 및 축관부(30)가 삽입되되, 상기 통공(41)이 형성된 구조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 예로, 슬레지해머(sledgehammer) 등과 같이, 타격하는 부분이 양측에 형성된 헤드부(40)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타격하는 부분이 일측에만 형성된 보통 망치의 형태로 이루어 질 수 있다.
통공(41)은 헤드부(40)의 상측과 하측이 연통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자루부(10), 소켓부(20) 및 축관부(30)가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때, 자루부(10), 소켓부(20) 및 축관부(30)가 통공(41)으로 삽입되면, 상기 축관부(30)를 자루부(10) 측으로 타격하여 이동시킴으로써, 축관부(30)의 상측에 형성된 쐐기(31)의 형태적 특성에 의해 자루부(10)와 소켓부(20)의 상단 일부분이 외측으로 벌어지려는 힘이 발생되고, 이러한 힘에 의해 통공(41)의 내주면을 가압하게 됨으로써, 자루부(10)와 헤드부(40)가 상호간에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축관부(30)가 자루부(10) 측으로 이동되면, 소켓부(20)의 상측이 쐐기(31)의 외주면을 따라 벌어진 후, 내측으로 절곡되어 쐐기(31)의 상단 일부분을 감싸게 됨으로써, 절곡부(23)를 형성하여 축관부(30)가 상기 쐐기(31)에 걸림되어 이탈이 방지되도록 한다.
설계조건에 따라, 통공(41)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과 하측부분이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점 커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경사진 형태의 면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나아가, 경사진 면의 기울기는 쐐기(31)에 형성된 기울기와 동일한 기울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쐐기(31)에 형성된 경사진 부분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자루부(10)와 헤드부(40)가 결합되는 과정에서 후술되는 상금형(300)이 인입되는 여유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쐐기(31)를 타격할 수 있는 여유있는 공간확보로 인해 헤드부(40)의 통공(41) 내주면과 자루부(10), 소켓부(20) 및 축관부(30)와의 밀착력을 최대화할 수 있으며, 비틀림 또한 방지하여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보호부재(42)는 통공(41)의 내주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통공(41)의 내주면과 소켓부(20)의 외주면 사이에 구비되되, 소켓부(20)에 형성된 돌출부(22) 상측에 안착되어 구비된다.
이러한 보호부재(42)는 축관부(30)를 타격하여 자루부(10) 측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상측 일부분이 외측으로 벌어지는 소켓부(20)가 통공(41)의 내주면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고, 타격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여 통공(41)의 내주면과 소켓부(20)가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즉 소켓부(20)와 통공(41)이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여 충격에 따른 파손이나 마모를 최소화하는 동시에, 소켓부(20)의 상측 일부분이 외측으로 벌어지려는 힘에 의해 통공(41)의 내주면을 가압하는 힘은 온전히 전달할 수 있어 보호부재(42)가 구비되어도 자루부(10)와 헤드부(40)가 상호간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보호부재(42)는 소정의 강도를 가지며, 탄력이 있는 고무 재질이나 테프론 소재 등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축관부(30)를 타격 하는 과정에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이면 어떠한 재질로도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설계조건에 따라, 보호부재(42)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단 일부분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지지턱(42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턱(42a)의 상측면은, 상기 보호부재(42)가 통공(41)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헤드부(40)의 하측면에 걸림되어 보호부재(42)가 상기 통공(41)에 삽입되는 정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삽입이 완료된 상태에서의 유동을 최소화하고, 지지턱(42a)의 하측면은, 소켓부(20)에 형성된 돌출부(22)에 걸림되어 자루부(10) 및 소켓부(20)가 통공(41)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돌출부(22)가 지지턱(42a)에 걸림되어 자루부(10)와 소켓부(20)가 통공(41)에 삽입되는 정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소켓부를 구비한 망치는 자루부(10), 소켓부(20), 축관부(30) 및 헤드부(40)로 이루어져, 상기 헤드부(40)를 자루부(10) 측으로 타격하여 이동시키는 공정만으로도 상호 구성간에 마찰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제작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으며, 종래 용접에 의한 방법을 이용하지 않으므로, 제작에 따른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켓부를 구비한 망치의 제작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에서 이미 서술한 내용 중에서 중복되는 부분은 서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켓부를 구비한 망치의 제작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켓부를 구비한 망치의 제작방법에서 제1성형단계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4a는 상하지그설치단계, 도 4b는 상하지그이동단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켓부를 구비한 망치의 제작방법에서 축관부설치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켓부를 구비한 망치의 제작방법에서 헤드부안착단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소켓부를 구비한 망치의 제작방법에서 제2성형단계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7a는 상금형세팅단계, 도 7b는 상금형이동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소켓부를 구비한 망치의 제작방법에서 상금형세팅단계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켓부를 구비한 망치의 제작방법은 제1성형단계(S10), 축관부설치단계(S20), 헤드부안착단계(S30) 및 제2성형단계(S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성형단계(S10)는 자루부(10)의 상단 일부분을 감싸도록 소켓부(20)를 구비하는 단계로, 상하지그설치단계(S11) 및 상하지그이동단계(S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제1성형단계(S10)는 상부지그(100)와 하부지그(200)에 자루부(10)와 소켓부(20)를 위치시킨 후, 상기 상부지그(100)와 하부지그(200)를 상호 근접하게 이동시켜, 자루테이퍼부(11), 소켓테이퍼부(21) 및 돌출부(22)가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상하지그설치단계(S11)는 도 4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는 형태의 제1성형홈(111) 및 상기 제1성형홈(111) 상측에 형성되는 제2성형홈(112)을 포함하는 테이퍼성형홈(110)이 하측에서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로 이루어진 상부지그(100)와 상,하측을 연통하는 관통공(210)이 형성된 하부지그(200) 사이에 자루부(10)의 상단 일부분이 끼워진 소켓부(20)를 위치시켜, 상기 자루부(10)가 관통공(210)에 관통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바람직하게는, 상부지그(100)와 하부지그(200)가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자루부(10)를 상기 하부지그(200)의 관통공(41)을 관통시키고, 상기 자루부(10)의 상단 일부분이 소켓부(20)에 끼워지도록 소켓부(20)를 위치시킨다.
이때, 하부지그(200)의 관통공(41)은 자루부(10)의 외경과 같거나 큰 내경을 갖도록 이루어지되, 상단 일부분은 단턱(2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단턱(211)은 자루부(10)가 관통공(41)에 관통되도록 한 후, 소켓부(20)를 위치시키는 과정에서, 소켓부(20)의 하단면이 상기 단턱(211)에 안착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자루부(10)로부터 소켓부(20)가 위치하는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후술되는 상하지그이동단계(S12)에서 소켓부(20)가 상기 단턱(211)에 지지되어 관통공(41) 내부로 삽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하지그이동단계(S12)는 상부지그(100)와 하부지그(200)를 상호 근접하도록 이동시켜, 자루테이퍼부(11), 소켓테이퍼부(21) 및 돌출부(22)가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즉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자루부(10) 및 소켓부(20)가 테이퍼성형홈(110) 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테이퍼성형홈(110)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자루부(10)는 하측보다 상측의 지름이 작아지도록 하는 자루테이퍼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소켓부(20)는 하측보다 상측의 지름이 작아지도록 하는 소켓테이퍼부(21)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소켓부(20)가 자루부(10) 상측에 안착되도록 하는 동시에, 소켓부(20)의 상단 일부분이 자루부(10) 상단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상부지그(100)와 하부지그(200) 사이에 형성된 틈을 통해 소켓부(20)의 외측면 일부분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돌출부(22)가 함께 형성되도록 한다.
축관부설치단계(S20)는 제1성형단계(S10)에서 자루부(10)와 소켓부(20)가 1차 성형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루부(10)의 상단에 상단측 부분은 상측은 넓고 하측은 좁은 상광하협 형태의 쐐기(31)가 형성된 축관부(30)의 하단측 부분을 삽입하는 단계이다.
헤드부안착단계(S30)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자루부(10), 소켓부(20) 및 축관부(30)가 헤드부(40)의 통공(41)에 삽입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이때, 자루부(10), 소켓부(20) 및 축관부(30)가 헤드부(40)의 통공(41)에 삽입되면, 상기 통공(41) 내주면에 구비된 보호부재(42)에 형성된 지지턱(42a)의 상측면은 상기 헤드부(40)의 하측면을 지지하고, 상기 지지턱(42a)의 하측면은 소켓부(20)에 형성된 돌출부(22)의 상측에 걸림된다. 이에, 헤드부(40)는 자루부(10)에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기 자루부(10)의 상측에 안착되어 후술되는 제2성형단계(S40)를 통해 결합하는 과정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축관부설치단계(S20) 및 헤드부안착단계(S30)를 순차적으로 기재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헤드부안착단계(S30)가 먼저 이루어지고, 축관부설치단계(S20)가 이후에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2성형단계(S40)는 축관부(30)를 타격하여 자루부(10) 측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로, 상금형세팅단계(S41) 및 상금형이동단계(S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제2성형단계(S40)는 축관부(30)를 타격하여 이동시킴으로써, 소켓부(20)의 상단 부분이 절곡되어 절곡부(23)가 형성되도록 하는 2차 성형을 하는 단계로, 상기 축관부(30)를 타격하는 과정만으로도 자루부(10)와 헤드부(40)가 상호간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여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상금형세팅단계(S41)는 하측에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의 절곡홈(310)이 형성되고, 상기 절곡홈(310) 내주면에 하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가압돌기(320)가 형성된 상금형(300)을 축관부(30)의 쐐기(31) 상단 부분에 위치시키는 단계이다.
이때, 절곡홈(310)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면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는 곡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후술되는 상금형이동단계(S42)에서 축관부(30)가 자루부(10) 측으로 이동되면, 소켓부(20)의 상단 부분이 쐐기(31)의 외주면을 따라 외측으로 벌어진 후, 상기 절곡홈(310)의 곡면을 따라 내측으로 절곡되어 절곡부(23)가 형성되도록 한다.
설계조건에 따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금형(300)에 형성된 가압돌기(320)는 중심측에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가이드돌기(321)가 형성되고, 쐐기(31)는 상기 가이드돌기(321)에 대응되도록 중심측에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의 가이드홈(31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상금형세팅단계(S41)에서 상금형(300)이 축관부(30) 상측에 위치하는 과정에서 상금형(300)의 가압돌기(320) 하측에 형성된 가이드돌기(321)가 축관부(30)의 쐐기(31) 상측에 형성된 가이드홈(31a)에 안내됨으로써, 상금형(300)의 중심축과 쐐기(31)의 중심축이 일치되도록 하여 후술되는 상금형이동단계(S42)에서 상금형(300)의 정확한 타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금형(300)을 정확한 위치에서 타격하여 타격하는 방향과 힘이 올바르게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소켓부(20)의 절곡부(23)가 일정한 형태로 구부러지도록 하여 축관부(30)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금형이동단계(S42)는 상금형세팅단계(S41)에서 상금형(300)이 축관부(30) 상측에 안착되면, 상기 상금형(300)을 타격하여 축관부(30)를 자루부(10) 측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이다.
이에,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금형(300)에 형성된 가압돌기(320)가 쐐기(31)의 상단 부분을 가압하면, 축관부(30)가 자루부(10) 측으로 이동되어 자루부(10)와 소켓부(20)의 상단 일부분이 축관부(30)의 쐐기(31) 외주면을 따라 외측으로 벌어지려는 힘에 의해 헤드부(40)의 통공(41) 내주면을 가압하게 됨으로써, 자루부(10)와 헤드부(40)가 상호가에 겨고하게 결합되도록 하다.
이와 동시에, 소켓부(20)의 상단 일부분이 쐐기(31)의 외주면을 따라 외측으로 벌어진 후, 상금형(300)에 형성된 절곡홈(310)을 따라 쐐기(31)의 상단 일부분을 감싸는 형태로 절곡됨으로써, 절곡부(23)가 형성되고, 이에, 축관부(3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소켓부를 구비한 망치의 제작방법은 자루부(10)와 헤드부(40) 결합시, 소켓부(20)와 축관부(30)를 구비하되, 상기 축관부(30)를 자루부(10) 측으로 타격하여 이동시킴으로써, 축관부(30)에 형성된 소켓부(20)의 상단 일부분이 상금형(300)에 형성된 절곡홈(310)에 안내되어 쐐기(31)의 상단 일부분을 감쌓아 절곡부(23)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단순한 공정만으로도 자루부(10)와 헤드부(40)를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종래 용접에 의한 방법을 이용하지 않으므로, 공정이 단순해질 뿐만 아니라, 제작에 따른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 나아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력에 의해 자루부(10)와 헤드부(40)가 상호간에 견고하게 결합됨으로써, 이탈이 방지되어 망치 본연의 제기능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10 : 자루부 11 : 자루테이퍼부
20 : 소켓부 21 : 소켓테이퍼부
22 : 돌출부 23 : 절곡부
30 : 축관부 31 : 쐐기
31a : 가이드홈 40 : 헤드부
41 : 통공 42 : 보호부재
42a : 지지턱 100 : 상부지그
110 : 테이퍼성형홈 111 : 제1성형홈
112 : 제2성형홈 200 : 하부지그
210 : 관통공 211 : 단턱
300 : 상금형 310 : 절곡홈
320 : 가압돌기 321 : 가이드돌기

Claims (10)

  1. 자루부(10);
    상기 자루부(10)의 상단 일부부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소켓부(20);
    상기 자루부(10)의 상단에 하단측 부분이 끼워지며, 상단측 부분은 상측은 넓고 하측은 좁은 상광하협 형태의 쐐기(31)가 형성된 축관부(30); 및
    상측과 하측이 연통된 통공(41)이 형성되어 상기 자루부(10), 소켓부(20), 축관부(30)가 상기 통공(41)에 삽입되도록 하는 헤드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쐐기(31)의 상단 부분을 가압하면, 소켓부(20)의 상단 부분이 쐐기(31)의 외외주면을 따라 외측으로 벌어진 후,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쐐기(31)의 상단 일부분을 감쌓아 절곡부(23)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부를 구비한 망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루부(10)는
    하측보다 상측의 지름이 작아지도록 하는 자루테이퍼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소켓부(20)는
    하측보다 상측의 지름이 작아지도록 하는 소켓테이퍼부(21)가 형성되되,
    상기 자루테이퍼부(11)의 상측에 소켓테이퍼부(21)가 접촉됨으로써, 상기 소켓부(20)가 자루부(10) 상측에 안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부를 구비한 망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20)는
    소켓테이퍼부(21)의 하측단에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돌출부(2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부를 구비한 망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쐐기(31)는
    하단 단면은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단 단면은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이루어지되,
    상단 단면에서 가장 짧은 반지름은 하단 단면의 지름보다 큰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부를 구비한 망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40)는
    통공(41)에 삽입되는 보호부재(42)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보호부재(42)는 통공(41)의 내주면과 소켓부(20) 외주면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부를 구비한 망치.
  6. 자루부(10)의 상단 일부분을 감싸도록 소켓부(20)를 구비하는 제1성형단계(S10);
    상기 자루부(10)의 상단에 상단측 부분은 상측은 넓고 하측은 좁은 상광하협 형태의 쐐기(31)가 형성된 축관부(30)의 하단측 부분을 삽입하는 축관부설치단계(S20);
    자루부(10), 소켓부(20) 및 축관부(30)가 헤드부(40)의 통공(41)에 삽입되도록 하는 헤드부안착단계(S30); 및
    상기 축관부(30)를 타격하여 자루부(10) 측으로 이동시키는 제2성형단계(S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부를 구비한 망치의 제작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성형단계(S10)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는 형태의 제1성형홈(111) 및 상기 제1성형홈(111) 상측에 형성되는 제2성형홈(112)을 포함하는 테이퍼성형홈(110)이 하측에서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로 이루어진 상부지그(100)와 상,하측을 연통하는 관통공(210)이 형성된 하부지그(200) 사이에 자루부(10)의 상단 일부분이 끼워진 소켓부(20)를 위치시켜, 상기 자루부(10)가 관통공(210)에 관통되도록 하는 상하지그설치단계(S11); 및
    상기 상부지그(100)와 하부지그(200)를 상호 근접하도록 이동시켜, 소켓부(20)의 외측면 일부분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돌출부(22)가 형성되도록 하는 상하지그이동단계(S12);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상하지그이동단계(S12)는
    상기 자루부(10) 및 소켓부(20)가 테이퍼성형홈(110) 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테이퍼성형홈(110)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자루부(10)는 하측보다 상측의 지름이 작아지도록 하는 자루테이퍼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소켓부(20)는 하측보다 상측의 지름이 작아지도록 하는 소켓테이퍼부(2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부를 구비한 망치의 제작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안착단계(S30)는
    통공(41)의 내주면과 소켓부(20) 외주면 사이에 보호부재(42)를 구비하되,
    상기 보호부재(42)의 하단은 소켓부(20)의 외측면 일부분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22)에 걸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부를 구비한 망치의 제작방법.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성형단계(S40)는
    하측에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의 절곡홈(310)이 형성되고, 상기 절곡홈(310) 내주면에 하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가압돌기(320)가 형성된 상금형(300)을 상기 쐐기(31)의 상단 부분에 위치시키는 상금형세팅단계(S41); 및
    상기 상금형(300)을 타격하여 쐐기(31)가 형성된 축관부(30)를 자루부(10) 측으로 이동시키는 상금형이동단계(S42);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절곡홈(310)은
    상금형(300) 하측면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는 곡면 형태로 이루어지며, 축관부(30)가 자루부(10) 측으로 이동되면, 소켓부(20)의 상단 부분이 쐐기(31)의 외주면을 따라 외측으로 벌어진 후, 상기 절곡홈(310)의 곡면을 따라 내측으로 절곡되어 쐐기(31)의 상단 일부분을 감쌓아 절곡부(23)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부를 구비한 망치의 제작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가압돌기(320)는
    중심측에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가이드돌기(321)가 형성되고,
    상기 쐐기(31)는
    중심측에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의 가이드홈(31a)이 형성되되,
    상기 상금형세팅단계(S41)에서 가이드돌기(321)는 가이드홈(31a)에 안내되어, 상금형(300)의 중심축과 쐐기(31)의 중심축이 일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부를 구비한 망치의 제작방법.
KR1020170088943A 2017-07-13 2017-07-13 소켓부를 구비한 망치 및 그 제작방법 KR101785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943A KR101785281B1 (ko) 2017-07-13 2017-07-13 소켓부를 구비한 망치 및 그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943A KR101785281B1 (ko) 2017-07-13 2017-07-13 소켓부를 구비한 망치 및 그 제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5281B1 true KR101785281B1 (ko) 2017-10-16

Family

ID=60295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8943A KR101785281B1 (ko) 2017-07-13 2017-07-13 소켓부를 구비한 망치 및 그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52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4289A (ko) * 2018-10-19 2020-04-29 주식회사 세종에프지 충격방지 해머 및 그 제작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6545Y1 (ko) 2005-09-30 2006-01-23 최도수 완충 및 보강구조를 갖는 망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6545Y1 (ko) 2005-09-30 2006-01-23 최도수 완충 및 보강구조를 갖는 망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4289A (ko) * 2018-10-19 2020-04-29 주식회사 세종에프지 충격방지 해머 및 그 제작방법
KR102130421B1 (ko) * 2018-10-19 2020-07-06 주식회사 세종에프지 충격방지 해머 및 그 제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46439T3 (es) Remache ciego.
JP3953463B2 (ja) 改良された骨格を有する被包性のデッドブロー型ハンマー
JP5145129B2 (ja) クリップ
US5897404A (en) Socket terminal
JP6364554B2 (ja) 釣り糸ガイド、釣り糸ガイドを備える釣り竿及び釣り糸ガイド用ブランク
EP0093815B2 (en) Propelling pencil
US20100084520A1 (en) Clip
JP2005030532A (ja) チャック及び管継手
JPH0724091A (ja) ゴルフ用クラブ
US7582023B2 (en) Connecting structure of a shaft and a grip member of a golf club
KR101785281B1 (ko) 소켓부를 구비한 망치 및 그 제작방법
US20080146386A1 (en) Coupling for attaching a lacrosse head to a lacrosse handle
US20150105175A1 (en) Handle grip assembly for swing-type ball game equipment
KR20170038257A (ko) 충격 흡수 기능이 구비된 목발
KR20080071043A (ko) 망치
US7090514B2 (en) Screw radial connector for electric wires
JP2018511357A5 (ko)
US2874738A (en) Claw hammer with tubular handle
US20040206209A1 (en) Hand-held framing tool
JP5029120B2 (ja) ゴルフクラブ
US20050060860A1 (en) Tire valve puller
JP2006336869A (ja) ストラットマウントの製造方法
JP4005610B2 (ja) 建築用木材の連結ピン
US20040079781A1 (en) Combination of tube and cap assembly for stapling gun
JP2006187240A (ja) 印籠継式釣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