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801Y1 - 조립식 책상 - Google Patents

조립식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5801Y1
KR200465801Y1 KR2020120005351U KR20120005351U KR200465801Y1 KR 200465801 Y1 KR200465801 Y1 KR 200465801Y1 KR 2020120005351 U KR2020120005351 U KR 2020120005351U KR 20120005351 U KR20120005351 U KR 20120005351U KR 200465801 Y1 KR200465801 Y1 KR 2004658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leg
plate
top plate
de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53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드메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드메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드메탈
Priority to KR20201200053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8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8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80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03Connecting table tops to 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21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44Leg joints; Corner joint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책상에 관한 것으로서, 책상의 기본 구성인 판재, 지지프레임, 레그 등을 일체로 연결하여 결합할 수 있는 지지브라켓을 구비함으로써, 책상을 간단하면서도 손쉽게 조립할 수 있는 동시에,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는 조립식 책상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식 책상{ASSEMBLY DESK}
본 고안은 조립식 책상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 성능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책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은 상판과 측판을 구성하는 판재와, 상기 판재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상판을 수직방향으로 지지하는 레그(leg) 등으로 이루어지며, 나사 등의 체결부재를 통해 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책상은 전체적인 부피가 커서 차량에 탑재하는데 제약이 있으며, 자체 하중이 상당한 목재 또는 MDF(Medium Density Fibreboard)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운반 작업 시 불편하며, 사용중 외부 충격 등에 의해 모서리 부분이 쉽게 파손되는 등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책상은 각각의 구성들이 단지 별도의 체결 구성인 나사만을 통해 고정되므로 서로 간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공보 제1986-0012820호(1986.11.05)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판재, 지지프레임, 레그 등을 일체로 연결하여 결합할 수 있는 매개체를 구비하여 일체화된 조립 구조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책상은, 상판과 측판을 구성하는 판재; 상기 판재를 지지하되, 상기 상판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지지프레임; 상기 상판과 지지프레임을 바닥면에 대하여 지지하는 레그; 및, 상기 상판의 모서리부에서 상기 판재, 지지프레임 및 레그를 동시에 지지 고정하는 지지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그는 배선 덕트로 이용될 수 있도록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브라켓은, 하단부에 레그가 연결되는 레그 연결부; 상기 상판의 일측 테두리를 따라 수평으로 연장되며 일측의 상기 지지프레임이 연결되는 지지프레임 연결부; 및, 상기 상판의 일측 테두리에 이웃하는 타측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며 일측의 상기 지지프레임과 이웃하는 타측 지지프레임이 수용되는 지지프레임 수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브라켓은 상기 레그 연결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측판의 측면이 밀착 고정되도록 내측으로 함몰된 고정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그는 상기 측판의 측면과 마주보는 대응면에 레그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된 삽입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브라켓은 상기 상판과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 구멍이 형성된 고정몸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몸체는 상기 레그 연결부와 상기 지지프레임 연결부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몸체는 상기 지지프레임 수용부에 수용 가능한 지지프레임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몸체의 높이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높이와 같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그 연결부는 그 저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중공의 레그가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레그의 외형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돌출 리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프레임 수용부는 지지프레임의 종단면 일부가 수용되어 지지되는 수용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프레임 연결부와 지지프레임 수용부에는 상기 지지프레임과 나사 결합을 통해 상기 지지프레임이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의 연결 구멍에 대응하는 체결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책상에 의하면, 책상의 기본 구성인 판재, 지지프레임, 레그 등을 일체로 연결하여 결합할 수 있는 지지브라켓을 구비함으로써, 책상을 간단하면서도 손쉽게 조립할 수 있는 동시에,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책상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상판이 분리된 조립식 책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책상의 지지브라켓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지지브라켓, 측판 및 레그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식 책상은 각각 상판(110)과 측판(120)으로 구성된 판재(100)와, 상기 판재(10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판(110)을 지지하되, 상기 상판(110)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지지프레임(200)과, 상기 상판(110)과 측판(120) 및 지지프레임(200)을 바닥면에 대하여 지지하는 레그(leg,300)가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에 더하여, 체결 구멍(450)을 통한 나사 결합에 의해 상기 상판(110)의 모서리부에서 상기 상판(110)과 측판(120), 지지프레임(200) 및 레그(300)를 동시에 지지 고정하는 지지브라켓(400)을 포함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판재(100)는 통상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세워지는 복수의 측판(120)과, 상기 측판(120)의 상부에 바닥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설치되는 상판(110)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프레임(200)은 상기 상판(110)의 하부에 지지되고, 일부는 상기 상판(110)과 측판(120) 사이에 개재되며, 연결 구멍(210)을 통한 나사 결합에 의해 상판(110)에 고정된다.
상기 레그(300)는 상기 측판(120)의 양측면에 고정되어 상판(110)을 지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레그(300)는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져, 책상 위에 놓이는 다수의 전자기기에 각각 연결된 배선들을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는 배선 덕트로 이용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브라켓(400)에는 하단부에 레그(300)가 연결되는 레그 연결부(410)가 형성된다.
또한, 또한, 상기 상판(110)의 일측 테두리를 따라 수평으로 연장되며 일측의 상기 지지프레임(200)이 연결되는 지지프레임 연결부(420)가 형성된다.
상기 상판(110)의 일측 테두리에 이웃하는 타측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며 일측의 상기 지지프레임(200)과 이웃하는 타측 지지프레임(200)이 수용되는 지지프레임 수용부(430)가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지지브라켓(400)에는 상기 레그 연결부(4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측판(120)의 측면이 밀착 고정되도록 내측으로 함몰된 고정홈부(440)가 형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레그(300)는 상기 측판(120)의 측면과 마주보는 대응면에 레그(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된 삽입홈부(310)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측판(12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브라켓(400)에 형성된 고정홈부(440)와 레그(300)에 형성된 삽입홈부(310)에 각각 모서리면과 측면이 밀착 고정되므로, 상기 측판(120)이 책상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상판(110)에 대해 지지브라켓(400)이 체결 구멍(460)을 통해 나사 결합되어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브라켓(400)에는 체결 구멍(460)이 형성된 다수의 고정몸체(45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고정몸체(450)는 상기 레그 연결부(410)와 지지프레임 연결부(420) 사이에 형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지지프레임 수용부(430)에 수용 가능한 지지프레임(200)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기 고정몸체(450)의 높이는 상기 지지브라켓(400) 상에 돌출되는 나사 등의 체결부재가 상판(110)에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적절히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프레임(200)의 높이와 대략 동일하게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그 연결부(410)는 그 저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중공의 레그(300)가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레그(300)의 외형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돌출 리브(411)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레그(300)는 상기 돌출 리브(411)에 억지 끼움 형태로 결합된다.
상기 지지프레임 연결부(420)는 중공의 지지프레임(200)이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지지프레임(200)의 외형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돌출 편재(421)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지지프레임(200)은 상기 돌출 편재(421)에 억지 끼움 형태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 수용부(430)는 상기 지지프레임(200)의 종단면 일부가 수용되어 지지되는 수용홈(431)을 포함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프레임 연결부(420)와 상기 지지프레임 수용부(430)에는 상기 지지프레임(200)과 나사 결합을 통해 상기 지지프레임(200)이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지지프레임(200)의 연결 구멍(210)에 대응하는 체결 구멍(460)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판(110), 지지프레임(200) 및 지지브라켓(400)이 나사 결합에 의해 서로 고정되는 것으로 한정하였으나, 상기 나사를 비롯한 볼트, 리벳, 스크류, 피스 중 어느 하나의 체결부재를 통해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설명부호 130은 후방 레그(300) 사이에 고정되는 후면판으로서, 특히 치마를 착용한 여자의 특정 신체부위가 책상 후방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레그(300)의 하단부에는 나사 조절을 통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높이조절부재(320)가 구비되어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실시 또한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판재 110 : 상판
120 : 측판 130 : 후면판
200 : 지지프레임 210 : 연결 구멍
300 : 레그 310 : 삽입홈부
320 : 높이조절부재 400 : 지지브라켓
410 : 레그 연결부 411 : 돌출 리브
420 : 지지프레임 연결부 421 : 돌출 편재
430 : 지지프레임 수용부 431 : 수용홈
440 : 고정홈부 450 : 고정몸체
460 : 체결 구멍

Claims (12)

  1. 상판과 측판을 구성하는 판재;
    상기 상판을 지지하되, 상기 상판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지지프레임;
    상기 상판과 측판 및 지지프레임을 바닥면에 대하여 지지하는 레그; 및,
    상기 상판의 모서리부에서 상기 상판과 측판, 지지프레임 및 레그를 동시에 지지 고정하는 지지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지지브라켓은,
    하단부에 레그가 연결되는 레그 연결부;
    상기 상판의 일측 테두리를 따라 수평으로 연장되며 일측의 상기 지지프레임이 연결되는 지지프레임 연결부;
    상기 상판의 일측 테두리에 이웃하는 타측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며 일측의 상기 지지프레임과 이웃하는 타측 지지프레임이 수용되는 지지프레임 수용부;
    상기 상판의 하면에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 구멍이 형성되되, 상기 레그 연결부와 지지프레임 연결부 사이에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지지프레임 수용부에 수용 가능한 지지프레임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형성된 고정몸체; 및,
    상기 체결 구멍을 통해 상기 상판에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책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는 배선 덕트로 이용될 수 있도록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책상.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라켓은 상기 레그 연결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측판의 측면이 밀착 고정되도록 내측으로 함몰된 고정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책상.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는 상기 측판의 측면과 마주보는 대응면에 레그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된 삽입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책상.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의 높이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높이와 같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책상.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 연결부는 그 저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중공의 레그가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레그의 외형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돌출 리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책상.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 수용부는 지지프레임의 종단면 일부가 수용되어 지지되는 수용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책상.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 연결부와 지지프레임 수용부에는 상기 지지프레임과 나사 결합을 통해 상기 지지프레임이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의 연결 구멍에 대응하는 체결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책상.







KR2020120005351U 2012-06-21 2012-06-21 조립식 책상 KR2004658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5351U KR200465801Y1 (ko) 2012-06-21 2012-06-21 조립식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5351U KR200465801Y1 (ko) 2012-06-21 2012-06-21 조립식 책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5801Y1 true KR200465801Y1 (ko) 2013-03-11

Family

ID=51359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5351U KR200465801Y1 (ko) 2012-06-21 2012-06-21 조립식 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801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3791B1 (ko) * 2015-08-06 2018-03-02 이병규 원터치 조립식 세면대
KR102057842B1 (ko) * 2019-08-08 2019-12-20 부호체어원(주) 미노출 구조 기반의 3방향 테이블 지지장치
US11434950B2 (en) * 2020-09-02 2022-09-06 Ningbo Ego International Co., Ltd. Quick-assembly furniture design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KR20240019893A (ko) 2022-08-05 2024-02-14 (주)엠이에스 조립식 책상 및 이에 설치되는 조립식 방음 부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23604A (en) * 1993-08-27 1995-06-13 Chern; Chen-Tsung Modular cabinet frame structure
KR101042290B1 (ko) * 2008-09-09 2011-06-17 박도형 테이블 상판 보강프레임의 연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23604A (en) * 1993-08-27 1995-06-13 Chern; Chen-Tsung Modular cabinet frame structure
KR101042290B1 (ko) * 2008-09-09 2011-06-17 박도형 테이블 상판 보강프레임의 연결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3791B1 (ko) * 2015-08-06 2018-03-02 이병규 원터치 조립식 세면대
KR102057842B1 (ko) * 2019-08-08 2019-12-20 부호체어원(주) 미노출 구조 기반의 3방향 테이블 지지장치
US11434950B2 (en) * 2020-09-02 2022-09-06 Ningbo Ego International Co., Ltd. Quick-assembly furniture design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KR20240019893A (ko) 2022-08-05 2024-02-14 (주)엠이에스 조립식 책상 및 이에 설치되는 조립식 방음 부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96758B2 (en) Frame assembly
KR101453493B1 (ko) 조립식 책상
KR200465801Y1 (ko) 조립식 책상
KR101397547B1 (ko) 조립이 용이한 가구
KR101531812B1 (ko) 조립형 테이블
KR20120003323U (ko) 가구용 금속제 다리구조.
KR200464099Y1 (ko) 조립식 책상
KR101300631B1 (ko) 테이블
KR101420866B1 (ko) 책상
JP2006238994A (ja) 家具の脚装置
JP7027772B2 (ja) 天板の支持装置
KR101344906B1 (ko) 가구의 모서리 연결구
KR101400684B1 (ko) 가구용 금속프레임 조립구조
JP4924364B2 (ja) 組立式デスク
JP4749853B2 (ja) 組立式デスク
JP2000157342A (ja) テーブル用の脚とその脚を具備した脚フレームとテーブル
KR101735070B1 (ko) 가구용 조립식 상판
KR200431374Y1 (ko) 상판의 양면 사용이 가능한 책상
KR101158363B1 (ko) 조립상자 키트
KR200406549Y1 (ko) 유리칸막이 테이블
JP2007202910A (ja)
JP6173708B2 (ja) 机の配線ダクト
KR102235203B1 (ko) 피씨방 책상용 선반
JP2008049182A (ja) 組立式デスク
KR200423192Y1 (ko) 책상 상판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