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3791B1 - 원터치 조립식 세면대 - Google Patents

원터치 조립식 세면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3791B1
KR101833791B1 KR1020150111118A KR20150111118A KR101833791B1 KR 101833791 B1 KR101833791 B1 KR 101833791B1 KR 1020150111118 A KR1020150111118 A KR 1020150111118A KR 20150111118 A KR20150111118 A KR 20150111118A KR 101833791 B1 KR101833791 B1 KR 1018337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unit
side plate
connectors
hole
fram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1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7342A (ko
Inventor
이병규
Original Assignee
이병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규 filed Critical 이병규
Priority to KR1020150111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3791B1/ko
Publication of KR20170017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7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3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37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02Portable toilet tables; Wash cabinets or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6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separ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 spi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06Replaceable hygienic linings or casings for wash-basi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12Wash-basins attachable to sinks; Collapsible washing stands attachable to sin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두리에 설치되는 각관형상의 다수개의 프레임(P)과 외면의 마감재를 포함한 상판유닛(100);
테두리에 설치되는 각관형상의 다수개의 프레임(P)과 외면의 마감재를 포함한 전면판유닛(200);
테두리에 설치되는 각관형상의 다수개의 프레임(P)과 외면의 마감재를 포함한 2개의 측면판유닛(300); 및,
테두리에 설치되는 각관형상의 다수개의 프레임(P)으로 구성되는 하부프레임유닛(400);
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다수개의 프레임(P) 상호간에는 단부가 상기 프레임(P)의 단부의 구멍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연결구(J)로 연결되고,
상기 측면판유닛(300)의 연결구(J)와 상기 측면판유닛(300)의 연결구(J)는 수평으로 상부좌우연결구(510)로 결합되고,
상기 상판유닛(100)의 연결구(J)와 상기 측면판유닛(300)의 연결구(J)는 수직으로 상하연결구(530)로 결합되고,
상기 하부프레임유닛(400)의 연결구(J)와 상기 측면판유닛(300)의 구멍채널(360)은 수평으로 하부좌우연결구(550)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상부좌우연결구(510)와 상기 상하연결구(530)는 연결구(J) 내부에서 장부맞춤되어 상기 상판유닛(100)을 상부로 상승시키지 않는 한 분리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조립식 세면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원터치 조립식 세면대{the one touch type assembly washstand}
본 발명은 주택 및 숙박 그리고 상업시설 등에 이용가능한 조립식 세면대로써, 기존에 현장에서 재단 및 시공하던 재래식 공법에서 벗어나 모든 부재를 공장에서 유닛단위로 사전제작하고 현장에서는 단순히 조립하므로 금속(트러스) 및 석공사 등을 동시에 시행할 수 있어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경제성이 우수한 원터치 조립식 세면대에 관한 것이다.
기존 대리석을 포함한 세면대를 설치할 때에는 각각 트러스공사와 석공사를 분리 발주하여 개별업체가 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공법은 아래와 같은 문제점을 가진다.
1) 현장에서 시공하므로 제품의 정밀도가 떨어지며,
2) 현장작업자 숙련도에 따라 품질 좌우되고,
3) 트러스공사시 현장용접으로 인한 화재위험이 있고
4) 2공정이상의 업체투입으로 공사기간이 늘어나며,
5) 하자발생시 책임한계가 불명확하여 업체간 분쟁의 소지를 가짐.
이에 본 발명자는,
1) 현장에서 재단 및 설치하던 대리석세면대를 제품화하고,
2) 기성 공장제작품 제작하여 균일한 마감품질을 유지확보하며,
3) 공정간소화(트러스+석재)로 공기단축 및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고,
4) 일반인도 손쉽게 시공가능하며,
5) 조립방식으로 화재위험이 없는
본 발명을 하기에 이르렀다.
[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3-0067104 ‘보조 세면대가 삽입된 세면대’, 2003년08월14일 [문헌 2]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3-0039848 ‘청결 세면대’, 2003년05월22일
본 발명은 주택 및 숙박 그리고 상업시설 등에 이용가능한 조립식 세면대로써, 기존에 현장에서 재단 및 시공하던 재래식 공법에서 벗어나 모든 부재를 공장에서 유닛단위로 사전제작하고 현장에서는 단순히 조립하므로 금속(트러스) 및 석공사 등을 동시에 시행할 수 있어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경제성이 우수한 원터치 조립식 세면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테두리에 설치되는 각관형상의 다수개의 프레임(P)과 외면의 마감재를 포함한 상판유닛(100);
테두리에 설치되는 각관형상의 다수개의 프레임(P)과 외면의 마감재를 포함한 전면판유닛(200);
테두리에 설치되는 각관형상의 다수개의 프레임(P)과 외면의 마감재를 포함한 2개의 측면판유닛(300); 및,
테두리에 설치되는 각관형상의 다수개의 프레임(P)으로 구성되는 하부프레임유닛(400);
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다수개의 프레임(P) 상호간에는 단부가 상기 프레임(P)의 단부의 구멍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연결구(J)로 연결되고,
상기 측면판유닛(300)의 연결구(J)와 상기 측면판유닛(300)의 연결구(J)는 수평으로 상부좌우연결구(510)로 결합되고,
상기 상판유닛(100)의 연결구(J)와 상기 측면판유닛(300)의 연결구(J)는 수직으로 상하연결구(530)로 결합되고,
상기 하부프레임유닛(400)의 연결구(J)와 상기 측면판유닛(300)의 구멍채널(360)은 수평으로 하부좌우연결구(550)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상부좌우연결구(510)와 상기 상하연결구(530)는 연결구(J) 내부에서 장부맞춤되어 상기 상판유닛(100)을 상부로 상승시키지 않는 한 분리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조립식 세면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주택 및 숙박 그리고 상업시설 등에 이용가능한 조립식 세면대로써, 기존에 현장에서 재단 및 시공하던 재래식 공법에서 벗어나 모든 부재를 공장에서 유닛단위로 사전제작하고 현장에서는 단순히 조립하므로 금속(트러스) 및 석공사 등을 동시에 시행할 수 있어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경제성이 우수한 원터치 조립식 세면대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터치 조립식 세면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측면판과 하부프레임유닛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전면판유닛과 측면판유닛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상판유닛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높이조절구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측면판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하부프레임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연결구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원터치 조립식 세면대의 다른 실시예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개념이 바람직하게 구현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터치 조립식 세면대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원터치 조립식 세면대는,
테두리에 설치되는 각관형상의 다수개의 프레임(P)과 외면의 마감재를 포함한 상판유닛(100);
테두리에 설치되는 각관형상의 다수개의 프레임(P)과 외면의 마감재를 포함한 전면판유닛(200);
테두리에 설치되는 각관형상의 다수개의 프레임(P)과 외면의 마감재를 포함한 2개의 측면판유닛(300); 및,
테두리에 설치되는 각관형상의 다수개의 프레임(P)으로 구성되는 하부프레임유닛(400);
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다수개의 프레임(P) 상호간에는 단부가 상기 프레임(P)의 단부의 구멍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연결구(J)로 연결되고,
상기 측면판유닛(300)의 연결구(J)와 상기 측면판유닛(300)의 연결구(J)는 수평으로 상부좌우연결구(510)로 결합되고,
상기 상판유닛(100)의 연결구(J)와 상기 측면판유닛(300)의 연결구(J)는 수직으로 상하연결구(530)로 결합되고,
상기 하부프레임유닛(400)의 연결구(J)와 상기 측면판유닛(300)의 구멍채널(360)은 수평으로 하부좌우연결구(550)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상부좌우연결구(510)와 상기 상하연결구(530)는 연결구(J) 내부에서 장부맞춤되어 상기 상판유닛(100)을 상부로 상승시키지 않는 한 분리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감재는 대리석을 얇게 절단하여 사용하거나 타일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으로는 내구성 및 내식성이 확보되는 아연도 각관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측면판과 하부프레임유닛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프레임유닛(400)의 연결구(J)는 상기 측면판유닛(300) 쪽으로 1개의 구멍이 형성된 연결구(J1)이고,
상기 하부좌우연결구(550)는,
상기 연결구(J1)의 구멍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본체(552); 및,
상기 구멍채널(360)의 슬롯에 끼워져 고정되는 걸림촉(554);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전면판유닛과 측면판유닛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상판유닛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판유닛(200)의 연결구(J)는 상기 측면판유닛(300) 쪽으로 1개의 구멍이 형성된 연결구(J1)이고, 상기 상판유닛(100)의 연결구(J)는 상기 측면판유닛(300) 쪽으로 수직으로 1개의 구멍이 형성된 연결구(J3)이고, 상기 측면판유닛(300)의 연결구(J)는 상기 상판유닛(100)과 상기 측면판유닛(300) 쪽으로 각각 상부와 측부 쪽으로 총 2개의 구멍이 형성된 연결구(J2)이고,
상기 상부좌우연결구(510)는,
상기 전면판유닛(200)의 상기 연결구(J1)의 구멍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본체(512); 및,
상기 측면판유닛(300)의 상기 연결구(J2)의 구멍으로 수평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장부(51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하연결구(530)는,
상기 상판유닛(100)의 상기 연결구(J1)의 구멍으로 아래에서 삽입되어 결합되는 본체(532); 및,
상기 측면판유닛(300)의 상기 연결구(J2)의 구멍으로 수직으로 삽입되어 상기 장부(514)와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장부(514)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장부끼움부(53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높이조절구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멍채널(360)의 하부에는 나사(B)를 회전시키면 높낮이가 조절되는 높이조절구(57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측면판유닛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서 하부프레임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판유닛(300) 및 하부프레임유닛(400)은 다수개의 프레임(340, 440)을 다양한 형상의 연결구(J, J1, J2 J4, J6)를 사용하여 다양한 형상과 크기로 제작한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연결구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좌우연결구(510)와 상기 상하연결구(530)는 생략되고,
상기 상부좌우연결구(510)와 상기 상하연결구(530)를 한부재로 구성한 연결구(J7);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원터치 조립식 세면대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하연결구(530)는 생략되고,
상기 상판유닛(100)의 프레임(P) 상부에 마감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연결구(J8)를 사용하여 프레임을 결합한다.
도 9의 실시예는 프레임(P)을 현장설치한 후 이어서 석재와 같은 큰 부재를 결합하는 순서로 진행한다.
도 1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감재의 두께를 줄이면서 보강하기 위하여 허니콤보강재(120);가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세면대를 트러스와 석재 등 마감재를 일체화해 납품하는 것으로 모든 부재를 공장에서 사전제작하여 현장에서는 단순조립하므로 일반인도 설치가 가능해 시공성이 높고 공기 및 시공비 절감효과가 높다.
또한 기존 공사성격의 대리석 세면대를 조립식으로 제품화하여 제공하므로 일반적인 건설시장등(B2B) 뿐만 아니라 최근 커져가는 개인DIY(B2C)시장까지 공략이 가능하다.
그리고 최근 높아가는 고급 인테리어자재에 대한 소비욕구는 높아가는 추세이며, 이중 주택의 경우 과거 거실에 인테리어를 집중하였다면 최근에는 그 중심이 욕실쪽으로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중 본 발명은 대리석 세면대를 시스템화하여 납품하므로 건설유통시장(B2B)의 관점에서 보면.
1) 도기유통대리점들은 세면볼 등 단순자재만 판매하고 석재 및 트러스시공업체들이 설치하는 것에서 새로운 시장기회로 매출액의 증대가 가능하고,
2) 석재시공전문업체는 트러스시공업체와의 잦은 분쟁에서 해방되며, 시공성 향상으로 매출액 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며,
3) 중간소비자인 건설사인 입장에서는 공정의 단순화로 건설원가절감과 균일한 품질확보와 공사관리가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또한 개인DIY시장(B2C)의 관점에서 보면,
1) 높은 비용과 공사성격의 리모델링에 대한 부담감(ex. 소음, 공사기간)에서 벗어나 소비자가 조립이 가능하므로 고급 인테리어자재의 개인 소비욕구 충족이 가능하고,
2) 환경적 관점에서 보면 공장제작품으로 현장폐기물이 감소하며, 계획적 생산으로 유한한 자원의 효율적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B: 나사
P: 프레임
J, J1, J2, J3, J7, J8
100: 상판유닛
120; 허니콤보강재
200: 전면판유닛
300: 측면판유닛
360: 구멍채널
400: 하부프레임유닛
510: 상부좌우연결구
512: 본체
514: 장부
530: 상하연결구
532: 본체
534: 장부끼움부
550: 하부좌우연결구
552: 본체
554: 걸림촉

Claims (8)

  1. 테두리에 설치되는 각관형상의 다수개의 프레임(P)과 외면의 마감재를 포함한 상판유닛(100);
    테두리에 설치되는 각관형상의 다수개의 프레임(P)과 외면의 마감재를 포함한 전면판유닛(200);
    테두리에 설치되는 각관형상의 다수개의 프레임(P)과 외면의 마감재를 포함한 2개의 측면판유닛(300); 및,
    테두리에 설치되는 각관형상의 다수개의 프레임(P)으로 구성되는 하부프레임유닛(400);
    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다수개의 프레임(P) 상호간에는 단부가 상기 프레임(P)의 단부의 구멍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연결구(J)로 연결되고,
    상기 측면판유닛(300)의 연결구(J)와 상기 측면판유닛(300)의 연결구(J)는 수평으로 상부좌우연결구(510)로 결합되고,
    상기 상판유닛(100)의 연결구(J)와 상기 측면판유닛(300)의 연결구(J)는 수직으로 상하연결구(530)로 결합되고,
    상기 하부프레임유닛(400)의 연결구(J)와 상기 측면판유닛(300)의 구멍채널(360)은 수평으로 하부좌우연결구(550)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상부좌우연결구(510)와 상기 상하연결구(530)는 연결구(J) 내부에서 장부맞춤되어 상기 상판유닛(100)을 상부로 상승시키지 않는 한 분리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전면판유닛(200)의 연결구(J)는 상기 측면판유닛(300) 쪽으로 1개의 구멍이 형성된 연결구(J1)이고, 상기 상판유닛(100)의 연결구(J)는 상기 측면판유닛(300) 쪽으로 수직으로 1개의 구멍이 형성된 연결구(J3)이고, 상기 측면판유닛(300)의 연결구(J)는 상기 상판유닛(100)과 상기 측면판유닛(300) 쪽으로 각각 상부와 측부 쪽으로 총 2개의 구멍이 형성된 연결구(J2)이고,
    상기 상부좌우연결구(510)는,
    상기 전면판유닛(200)의 상기 연결구(J1)의 구멍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본체(512); 및,
    상기 측면판유닛(300)의 상기 연결구(J2)의 구멍으로 수평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장부(51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하연결구(530)는,
    상기 상판유닛(100)의 상기 연결구(J1)의 구멍으로 아래에서 삽입되어 결합되는 본체(532); 및,
    상기 측면판유닛(300)의 상기 연결구(J2)의 구멍으로 수직으로 삽입되어 상기 장부(514)와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장부(514)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장부끼움부(53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조립식 세면대.
  2. 제1항에서,
    상기 하부프레임유닛(400)의 연결구(J)는 상기 측면판유닛(300) 쪽으로 1개의 구멍이 형성된 연결구(J1)이고,
    상기 하부좌우연결구(550)는,
    상기 연결구(J1)의 구멍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본체(552); 및,
    상기 구멍채널(360)의 슬롯에 끼워져 고정되는 걸림촉(554);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조립식 세면대.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구멍채널(360)의 하부에는 나사(B)를 회전시키면 높낮이가 조절되는 높이조절구(57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조립식 세면대.
  5. 삭제
  6. 제1항에서,
    상기 상부좌우연결구(510)와 상기 상하연결구(530)는 생략되고,
    상기 상부좌우연결구(510)와 상기 상하연결구(530)를 한부재로 구성한 연결구(J7);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조립식 세면대.
  7.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상하연결구(530)는 생략되고,
    상기 상판유닛(100)의 프레임(P) 상부에 마감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조립식 세면대.
  8. 삭제
KR1020150111118A 2015-08-06 2015-08-06 원터치 조립식 세면대 KR1018337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1118A KR101833791B1 (ko) 2015-08-06 2015-08-06 원터치 조립식 세면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1118A KR101833791B1 (ko) 2015-08-06 2015-08-06 원터치 조립식 세면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7342A KR20170017342A (ko) 2017-02-15
KR101833791B1 true KR101833791B1 (ko) 2018-03-02

Family

ID=58111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1118A KR101833791B1 (ko) 2015-08-06 2015-08-06 원터치 조립식 세면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379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4681Y1 (ko) * 2006-09-26 2006-12-26 주식회사 바체 비철 금속층이 일체로 형성된 석재
KR200465801Y1 (ko) * 2012-06-21 2013-03-11 주식회사 우드메탈 조립식 책상
KR101436965B1 (ko) * 2014-07-16 2014-09-12 삼인싸이언스(주) 실험 테이블의 조립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3949B1 (ko) 2001-11-15 2004-06-04 소동하 청결 세면대
KR20030067104A (ko) 2002-02-07 2003-08-14 배경한 보조 세면대가 삽입된 세면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4681Y1 (ko) * 2006-09-26 2006-12-26 주식회사 바체 비철 금속층이 일체로 형성된 석재
KR200465801Y1 (ko) * 2012-06-21 2013-03-11 주식회사 우드메탈 조립식 책상
KR101436965B1 (ko) * 2014-07-16 2014-09-12 삼인싸이언스(주) 실험 테이블의 조립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7342A (ko) 2017-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36629A1 (en) Concealed drainage apparatus
US20120036632A1 (en) Kits from which may be manufactured drainable structures with concealed drains
US20090211021A1 (en) Housing to Facilitate the Alignment and Replacement of a Faucet Body of a Water Faucet
US20120036631A1 (en) Tileable drain and cover apparatus
US20120036630A1 (en) Cover for concealed drain
WO2012021618A2 (en) Methods for installing drainable structures with concealed drains
US20100186333A1 (en) Modular Tile Panel and Associated Methods
US1533444A (en) Floor slab for plumbing fixtures
JP6780999B2 (ja) 衛生設備ユニット
KR101833791B1 (ko) 원터치 조립식 세면대
JP3190882U (ja) 金属製シンクと異質素材のカウンター天板との接合構造
US9687119B2 (en) Frameless shower implement having grooved surfacing
KR200382026Y1 (ko) 수전이음쇠의 고정장치
KR20120027659A (ko) 타일 시공장치
CN103835466B (zh) 组合式卫生间墙面模块
JP7027767B2 (ja) 床面敷設陶板
GB2592176A (en) Prebuilt module for installing water-related fittings
TWI729890B (zh) 地板排水結構及其方法
CN203808352U (zh) 一种住宅产业化拼装式整体卫浴和整体厨房壁板
JP6931795B2 (ja) 衛生ユニット構造体およびその施工方法
CN217517717U (zh) 一种装配式、可拆卸卫生间洗手盆
JP6799816B2 (ja) 構造体、排水設備及び排水設備の製造方法
TWI783442B (zh) 衛生單元結構體及其施工方法
KR200423527Y1 (ko) 천정 마감패널 고정구
WO2015146474A1 (ja) 浴室ユニット及びそ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