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9816B1 - 접어져 조립되어 서랍이 출입되는 서랍함체 - Google Patents

접어져 조립되어 서랍이 출입되는 서랍함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9816B1
KR101859816B1 KR1020160045172A KR20160045172A KR101859816B1 KR 101859816 B1 KR101859816 B1 KR 101859816B1 KR 1020160045172 A KR1020160045172 A KR 1020160045172A KR 20160045172 A KR20160045172 A KR 20160045172A KR 101859816 B1 KR101859816 B1 KR 1018598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plate
folded
assembled
rai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5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6906A (ko
Inventor
이민규
Original Assignee
이민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민규 filed Critical 이민규
Priority to KR1020160045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9816B1/ko
Publication of KR20170116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6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9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98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4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made mainly of wood or plastic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4Chests of drawers;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23Fastening devices for slides or guides
    • A47B88/427Fastening devices for slides or guides at drawer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19Accessories or additional elements for drawers, e.g. drawer lighting
    • A47B88/931Rails or rods mounted above the drawer walls, e.g. for stabilisation of the drawer or for suspension of the cont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81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of objects with parts connected by a thin section, e.g. hinge, tear l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랍이 출입가능하게 내공간이 형성되면서 육면체로 이루어지는 사출성형되는 서랍함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랍함체가 사출성형의 용이성을 위하여 펼쳐진 상태로 본체판과 덮개판으로 성형된 상태에서 이들을 각각 접어서 간단하게 끼움조립토록 하여 내공간이 형성되면서 면체로 이루어지는 육면체의 서랍함체를 제공토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접어져 조립되어 서랍이 출입되는 서랍함체{BOX for a drawer}
본 발명은 서랍이 출입가능하게 내공간이 형성되면서 육면체로 이루어지는 사출성형되는 서랍함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랍함체가 사출성형의 용이성을 위하여 펼쳐진 상태로 성형된 상태에서 간단하게 접어서 내공간이 형성되면서 육면체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현재 대부분의 플라스틱으로 사출성형되는 서랍함체는 서랍의 출입을 위하여 내공간이 형성되는 육면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육면체의 전방으로는 서랍의 출입을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육면체를 구비하는 서랍함체는 반드시 사출성형을 위하여는 내공간이 어느정도 확보되어야 하고 또는 내공간을 형성하는 서랍함체의 내벽면에는 서랍의 출입을 유도하는 다양한 가이드레일이 구비되어져야 함으로 플라스틱 사출성형시 슬라이드 금형구조를 채용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출성형의 어려움으로 대부분 서랍함체를 육면체의 전부를 면체로 제조하지 못하게 되고 서랍함체의 네 모서리에만 직립되는 지지대로 형성한 후 상판과 하단이 조립되는 구조를 취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지지대의 두께로 인하여 서랍을 사용하여 수납할 경우에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어 제한적인 공간에서 많은 양을 수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제한적인 공간에서도 많은 양의 수납이 가능토록 함은 물론 아주 좁은 내공간을 형성할 경우에도 서랍함체의 구현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또한 이런 상태에서도 내공간을 형성하는 서랍함체의 내벽면에 레일이 구비토록 함으로서 서랍의 출입이 용이토록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절첩되어지는 본체판과 덮개판으로 구분하여 각각 펼쳐진 상태에서 접혀짐에 의하여 간단하게 육면체가 모두 면체로 이루어지면서 사출성형이 용이하면서도 그 내측에 레일 등의 구현도 가능토록 한 것이다.
또한 접혀짐을 위하여는 각각 레일이 구비되는 좌우측면과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면이 절첩라인에 의하여 내측으로 절첩토록 하는 본체판과 상기 본체판과 조립되면서 후면과 상면을 형성하는 절첩라인에 의하여 절첩되는 덮개판으로 구성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판은 바닥면과 좌우측면이 절첩라인에 의하여 내측으로 접혀질 경우에 접혀져 직립된 상태에서의 지지력과 좌우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좌우측면에는 절첩라인과 근접하게 직립살을 형성하고, 바닥면에는 직립살을 수용가능하도록 수용홈을 구비하는 격벽을 형성토록 한 것이다.
또한 접혀진 상태에서 직립되면서 좌우측면에 형성되는 레일은 2단으로 형성토록 함으로서 하나의 서랍함체에 복수의 서랍이 출입가능토록 하거나 하나의 서랍만이 출입할경우에 서랍의 유동을 방지하면서 부드러운 출입이 가능토록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레일은 서랍이 출입될 경우에 서랍에 많은 하중이 거리게 될 경우에도 레일의 수평유지가 가능토록 상기 직립살이 상측으로 연장되어 레일과 직교하게 연결되어 하중에 대응토록 하고, 그 상측으로도 격자상의 보강지지살이 구비되어져 다단의 레일의 하중에 대응하면서도 좌우 측면의 변형도 방지토록 한 것이다.
또한 본체판이 접혀짐에 의하여 서랍함체를 형성한 상태에서 다단으로 적층이 가능토록 본체판의 바닥면의 이면으로는 사각돌출테두리를 형성토록 하고, 덮개판의 상면에는 상기 사각돌출테두리와 맞물리게 사각돌부로 형성토록 함으로서 덮개판의 상면의 비틀림도 방지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사각돌출테두리는 좌우측면이 접혀짐에 의하여 좌우측면에 형성된 직립살이 바닥면과 밀착될 경우에 바닥면의 변형을 일으킬 수 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직립살의 밑변은 사각돌출테두리에 직교하게 받쳐지도록 함으로서 다단적층은 물론 보강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또한 레일을 형성할 경우에 좌우측면의 보강을 위하여 형성되는 격자상의 보강지지살의 수평지지살을 레일의 상측에 위치토록 하여 서랍이 출입할 경우에 가이드역활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서랍이 접혀진 상태에서 사랍함체로 출입할 경우에 본체판의 좌우측면에 형성되는 레일에 걸쳐지면서 출입할 수 있도록 서랍에 레일받침가이드를 형성할 경우에 레일받침가이드를 사출성형이 용이하게 최소로 하면서도 플라스틱의 변형이나 수축에 의하여도 서랍이 안정적으로 레일에 받쳐지면서 출입이 가능하고 동시에 격자상의 보강지지살의 수평지지살에 밀착되면서 최소의 마찰력으로 출입할 수 있도록 서랍의 상단에 구비되는 레일받침가이드에는 만곡돌기를 일정간격으로 형성토록 한 것이다.
또한 서랍이 서랍함체로 출입할 경우에 서랍이 더이상 진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좌우측면에는 스토퍼를 레일과 동일선상에 돌출토록 하고, 상기 스토퍼와 밀착될 수 있으면서도 서랍의 물품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측벽이 내공간을 형성하는 내벽면과 밀착될 수 없도록 단지게 돌출되는 돌출면과 레일받침가이드의 상면에 형성된 스토퍼가 걸림되어지면서 빠짐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또한 후면과 절첩되면서 상면을 형성하는 덮개판은 후면이 본체판과 조립토록 하기 위하여 후면에는 후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걸림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걸림돌기의 외측으로는 결합된 상태에서 유격방지를 위한 걸림돌기를 구비토록 한 것이고, 상기 걸림돌기가 걸림되어 임의 적인 빠짐이 방지되도록 본체판에는 걸림대와 걸림대가 형성되는 본체판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걸림대의 죄우변으로는 상기 걸림돌기가 밀착될 수 있도록 됨으로서 본체판에 덮개판이 조립된 상태에서 유격이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본체판과 덮개판이 조립될 경우에 본체판의 좌우측면의 상변과 덮개판의 상면을 형성하는 좌우변에는 각각 내벽을 갖는 외향턱과 상기 내벽을 수용가능한 수용홈을 구비토록 하여 견고한 고정이 가능토록 상기 수용홈에 내벽이 수용된 상태에서 임의 적인 빠짐방지를 위하여 수용홈에는 개구되어진 걸림대를 형성토록 하고 내벽에는 상기 걸림대에 걸림가능하게 걸림돌기가 형성되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용홈에는 수용홈의 보강을 위하여 일정간격으로 보강리브를 형성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좌우측면이 접혀짐과 접혀지는 덮개판의 간단한 조립에 의하여 서랍함체가 구비되어지고, 이와 같이 구비되어진 서랍함체에는 레일이 구비되어져 서랍이 출입될 경우에 서랍의 상단이 레일에 받쳐진 상태에서 출입하게 됨으로 서랍의 출입이 용이하게 되면서도 서랍의 물품수납공간부를 최대로 사용가능하면서도 좁은 공간에서의 서랍을 사용한 수납이 가능하게 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펼쳐진 상태에서 사출성형됨으로 레임의 형성이나 다양한 보강수단의 구현이 간단한 사출성형에 의하여 가능하게 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접혀짐에 의하여 조립이면서도 하나의 몸체로 사출성형과 동일하게 견고성도 구현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본체판과 덮개판이 접혀지면서 조립되는 일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본체판의 펼쳐진 상태의 일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서랍함체에 서랍이 출입되는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서랍이 빠진 상태에서 물품수납공간부보다 단이지게 돌출면이 형성된 일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본체판의 바닥면과 덮개판의 후면이 조립된 일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서랍함체가 적층된 일실시예.
도 7은 도6의 적층된 상태에서 이탈방지를 나타낸 단면도.
도7a는 본 발명의 다단적층을 위한 돌출테두리의 또 다른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덮개판의 펼쳐진 상태의 일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서랍함체가 조립된 상태의 일실시예.
도10은 본 발명의 본체판의 좌우측면의 상변의 형태를 도시한 일실시예.
도11은 본 발명의 본체판의 돌축이 구비된 상태의 일실시예.
도12는 본 발명의 직립살이 돌출테두리에 의하여 지지되는 일실시예>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도시된 도면은 이해를 돕기 위하여 과장되게 표현한 부분이 있고 또는 도면에 도시된 구조는 기능적인 설명을 위한 하나의 일 실시 예로서 이러한 부분들이 본 발명의 목적을 제한해서는 아니되는 것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립구성은 가로방향으로 접혀지는 본체판(100)과 세로방향으로 접혀지는 덮개판(200)으로 구분하여 각각 일측방향으로만 접혀짐이 가능하게 펼쳐진 상태에서 사출성형되고, 접혀짐과 조립에 의하여 간단하게 서랍함체(10)의 육면체가 모두 면체로 이루어지면서 서랍(20)이 출입가능한 내공간(11)의 내벽에 레일 등의 구현도 가능토록 한 서랍이 출입되는 본체(1)에 관한 것이다.
도2는 본 발명의 펼쳐진 상태에서 사출성형된 본체판(100)을 나타낸 것으로, 가로방향으로 절첩되어지고, 일측으로만 접혀짐을 위하여는 각각 레일(111,121)이 구비되고, 바닥면(130)의 좌우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좌우측면(110,120)은 절첩라인(140)에 의하여 내측으로만 절첩되면서 직립되어지는 본체판(100)과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판(100)과 조립되면서 후면(210)과 상면(220)을 형성하는 절첩라인(230)에 의하여 절첩되는 덮개판(200)으로 구성토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본체판(100)은 바닥면(130)과 좌우측면(110,120)이 절첩라인(140)에 의하여 내측으로 접혀질 경우에 접혀져 직립된 상태에서의 지지력과 좌우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좌우측면(110,120)에는 절첩라인(140)과 근접하게 직립살(112,122)을 형성하고, 바닥면(130)에는 직립살(112,122)을 수용가능하도록 수용홈(131)을 구비하는 격실(132)을 형성토록 한 것이다.
또한 좌우측면(110,120)이 접혀진 상태에서 직립되어 형성되는 레일(111,121)은 2단으로 형성(111,111a,121,121a)토록 함으로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서랍함체(10)에 복수의 서랍(20)이 출입가능토록 하거나 하나의 서랍(20)만이 출입할 경우에는 서랍(20)의 물품수용공간부(21)가 하부의 레일(111a,121a)에 의하여 좌우 유동을 방지하면서 마찰저항이 최소로 되면서 부드러운 출입이 가능토록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 레일(111a,121a)은 서랍(20)이 출입될 경우에 서랍(20)의 물품수용공간부(21)에 많은 물건을 수용한 상태에서 하중이 걸리게 될 경우에도 하부레일(111a,121a)의 수평유지가 가능토록 상기 직립살(112,122)은 상측으로 연장되어 하단레일(111a,121a)과 직교하게 일체로 연결되어 직립살(112,122)이 좌우측면이 접혀진 상태에서 바닥면(130)의 수용홈(131)에 수용되어질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많은 하중에도 대응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레일의 상측으로도 격자상의 보강지지살(113,123)이 구비되어져 상부레일(111,121)의 하단에 일체로 연장됨으로 상부레일에 걸리는 하중에 대응가능하면서도 접혀져 직립되어지는 좌우측면(110,120)이 직립된 상태에서도 수직하중에 견딤이 가능하여 조립된 상태에서 전체적인 형태의 변형도 방지토록 한 것이다.
또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판(100)의 접혀짐과 덮개판(200)의 조립에 의하여 서랍함체(10)를 형성한 상태에서 다단으로 적층이 가능토록 본체판(100)의 바닥면(130)의 이면으로는 돌출테두리(133)를 형성토록 하고, 덮개판(200)의 상면(220)에는 상기 돌출테두리(133)가 맞물려 유동이 방지되게 사각돌부(221)로 형성토록 함으로서 덮개판(200)의 상면(220)의 비틀림도 방지토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돌출테두리(133)를 전체적으로 연결토록 하였으나 도7a와 같이 상기 사각돌부(221)의 4 모서리를 감싸는 형태로만 구현토록 할 경우에도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동일한 효과를 발생토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돌출테두리의 외측으로 서랍함체를 형성한 상태에서 각 모서리에는 돌축을 형성하고 상기 돌축에 패킹을 장착함으로서 다단으로 적층된 상태에서 유동의 방지는 물론 바닥에 놓고 사용할 경우에 패킹의 마찰력으로 미끄럼을 방지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돌출테두리(133)가 사각의 형태로 전체적으로 연결토록 할 경우에는 좌우측면(110,120)이 접혀짐에 의하여 좌우측면(110,120)에 형성된 직립살(112,122)이 바닥면(130)과 밀착될 경우에 바닥면(130)을 부분적으로 가압하여 변형을 일으킬 수 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직립살(112,122)의 바닥면(130)과 밀착되는 밑변(112a,122a)은 직립살보다 길게 연장토록 한 상태에서 돌출테두리(133)에 직교하게 받쳐지도록 함으로서 보강이 가능토록 함은 물론 수용실(132)의 수용홈(131)에 수용된 상태에서의 지지력도 증가토록 함으로서 조립된 상태에서의 유격을 최소로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체판(100)의 좌우측면(110,120)에 상.하부레일(111,121,111a,121a)을 형성할 경우에 좌우측면(110,120)의 보강을 위하여 형성되는 격자상의 보강지지살(113,123)의 수평지지살(113a,123a)을 레일(111,121,111a,121a)의 상측에 각각 위치토록 하여 서랍(20)이 출입할 경우에 레일받침가이드(22)가 레일(111,121,111a,121a)에 놓여진 상태에서 레일에서 이탈되지 않게 가이드역활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서랍(20)이 본체판(100)과 덮개판(200)이 각각 접혀져 서로 조립된 상태에서 서랍함체(10)로 출입할 경우에 본체판(100)의 좌우측면(110,120)에 형성되는 레일(111,121,111a,121a)에 걸쳐지면서 출입할 수 있도록 서랍에 레일받침가이드(22)를 형성할 경우에 레일받침가이드(22)를 사출성형이 용이하면서 공간활용을 위하여 최소로 돌출토록 하면서도 플라스틱의 변형이나 수축에 의하여도 서랍(20)이 안정적으로 레일(111,121,111a,121a)에 받쳐지면서 출입이 가능하고 동시에 격자상의 보강지지살(113,123)의 수평지지살(113a,123a)에 밀착되면서 최소의 마찰력으로 출입할 수 있도록 서랍(20)의 상단에 구비되는 레일받침가이드(22)에는 외측으로 돌출되게 만곡돌기(23)를 일정간격으로 형성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만곡돌기(23)에 의하여 레일(111,121,111a,121a)에서 서랍(20)의 레일받침가이드(22)가 이탈되지 않으면서 마찰을 최소로 하여 안정적인 출입이 가능한 것이고, 이를 위하여 수평지지살(113a,123a)의 돌출되는 높이를 레일(111,121,111a,121a)이 돌출되는 높이보다 낮게 돌출토록 하는 것이다.
또한 서랍(20)이 서랍함체(10)로 출입할 경우에 서랍(20)을 닫을 경우에 서랍함체(10)로 더 이상 진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닫힌 상태에서 서랍(20)의 전면이 서랍함체(10)의 전면과 동일면을 형성토록 하면서 서랍(20)이 빠질 경우에는 서랍함체(10)에서 완전히 빠지는 것을 방지토록 하기 위하여 본체판(100)의 좌우측면(110,120)에는 스토퍼(114,124)를 레일(111,121,111a,121a)과 동일선상에 일정면적을 유지하면서 전방으로 돌출형성토록 하고, 상기 스토퍼(114,124)에 걸림될 수 있도록 서랍(20)에는 물품수용공간부(21)를 형성하는 측벽이 서랍함체(10)의 내공간을 형성하는 내벽면과 밀착될 수 없도록 물품수용공간부(21)를 형성하는 측벽보다 단지게 돌출되는 돌출면(24)을 형성토록 하고, 상기 서랍(20)의 상단에 구비되는 레일받침가이드(22)의 상면에는 스토퍼(25)를 형성함으로서 서랍(20)을 서랍함체(10)에 진입할 경우와 빼낼 경우에 서랍함체(10)의 좌우측면에 형성된 스토퍼(124)에 의하여 걸림되면서 완전히 빠지게 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면서 서랍(20)의 전면이 서랍함체(10)와 항상 동일면으로 유지토록 하면서도 조립된 본체판(100)과 덮개판(200)이 서랍함체(10)로 조립된 상태에서 서랍(20)의 출입에 의하여 서랍함체(10)가 충격으로 파손되는 것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또한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210)과 절첩되면서 조립된 상태에서의 서랍함체의 상면(220)을 형성하는 덮개판(200)은 후면(210)이 본체판(100)과 조립토록 하기 위하여 후면(210)에는 후면(210)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걸림돌기(211)를 형성하고, 상기 걸림돌기(211)의 외측으로는 결합된 상태에서 유격방지를 위한 단속돌기(212)를 구비토록 한 것이고, 도5에 도시되 바와 같이 상기 걸림돌기(211)가 본체판과 조립되어진 상태에서 걸림되어 임의적인 빠짐이 방지되도록 본체판(100)의 바닥면(130)에는 걸림대(133)와 상기 걸림대(133)가 형성되는 본체판에는 천공부(134)가 형성되어 성형의 용이성과 상기 걸림대(133)가 얇은 판재형태로 이루어져 조립시 걸림돌기(211)를 밀어넣으면 탄력작동되면서 조립도 용이하게 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걸림대(133)에 강제삽입시 삽입이 용이하도록 걸림돌기(211)의 선단에는 경사면(211a)이 형성되어 강제 삽입할 경우에 결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걸림대(133)의 좌우변으로는 상기 단속돌기(212)가 밀착될 수 있도록 됨으로서 본체판(100)에 덮개판(200)이 걸림돌기(211)와 걸림대(133)에 의하여 조립된 상태에서 덮개판(200)의 후면(210)과 본체판(100)의 바닥면(130)과의 유격이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도8 내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판(100)과 덮개판(200)이 조립될 경우에 본체판(100)의 좌우측면(110,120)의 상변과 덮개판(200)의 상면(220)을 형성하는 좌우변에는 각각 내벽(115)을 갖는 외향턱(116)과 상기 내벽(115)을 수용가능한 수용홈(222)을 구비토록 하여 견고한 고정이 가능토록 상기 수용홈(222)에 내벽(115)이 수용된 상태에서 임의 적인 빠짐방지를 위하여 수용홈(222)에는 하방이 개구되어진 걸림대(223)를 형성토록 하고 내벽(115)에는 상기 걸림대(223)에 걸림가능하게 걸림돌기(117)가 형성되고 걸림돌기(117)에는 경사면(117a)이 형성되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용홈(222)에는 수용홈의 벌어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간격으로 보강리브(224)를 형성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수용홈(222)의 벌어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강리브(224)가 형성된 상태에서 본체판(100)의 외향턱(116)을 갖는 내벽(115)이 내입될 경우에 끼임이 가능토록 하면서 내벽(115)의 두께보다 폭이 큰 수용홈(222)에 긴밀한 밀착이 가능하도록 내벽(115)의 외측 즉 외향턱(16)이 형성된 부분에도 보강리브(118)를 일정간격으로 형성토록 함으로서 내벽(115)이 수용홈(222)에 긴밀한 끼임이 가능토록 하면서 끼임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체판(100)이 덮개판(200)과 조립에 의하여 서랍함체(10)로 조립된 상태에서 본체판의 바닥면(130)의 전방으로는 바퀴(1)의 장착을 위한 장착공간(135)을 구비토록 한 것이다.
10: 서랍함체 11: 내공간
20: 사랍 21: 물품수용공간부
22:레일받침가이드 23: 만곡돌기
100:본체판 115: 내벽
116: 외향턱 117: 걸림돌기
200: 덮개판 210:후면
211: 걸림돌기

Claims (16)

  1. 바닥면(130)의 좌우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며 내측으로만 돌출되게 레일(111,121)이 구비되어지는 좌우측면(110,120)은 절첩라인(140)에 의하여 내측으로만 절첩되면서 직립되어지는 본체판(100)과 상기 본체판(100)과 조립되면서 후면(210)과 상면(220)을 형성하며 절첩라인(230)에 의하여 내측으로만 절첩되는 덮개판(200)으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판(100)은 바닥면(130)의 좌우로 위치되는 좌우측면(110,120)이 절첩라인(140)에 의하여 내측으로 접혀질 경우에 접혀져 직립된 상태에서의 지지력과 좌우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좌우측면(110,120)에는 절첩라인(140)과 근접하게 직립살(112,122)을 형성하고, 바닥면(130)에는 상기 직립살(112,122)을 수용가능하도록 수용홈(131)을 구비하는 격실(132)을 형성토록 하고,
    상기 덮개판과 본체판의 조립은 덮개판의 후면(210)에는 후면(210)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걸림돌기(211)를 돌출형성하고, 상기 걸림돌기(211)의 외측으로는 걸림돌기가 결합되는 걸림대와의 밀착상태를 유지하여 결합된 상태에서 유격방지를 위한 단속돌기(212)를 구비토록 하고,
    상기 걸림돌기(211)가 결합되는 걸림대는 본체판(100)의 바닥면(130)에 직립되어지는 판상의 걸림대(133)와 상기 걸림대(133)가 형성되는 본체판에는 천공부(134)가 형성되어 조립시 걸림돌기(211)를 밀어넣으면 걸림대가 탄력작동되면서 천공부에 조립되어져 걸림되어 임의적인 빠짐이 방지되도록 되고,
    상기 본체판(100)의 좌우측면(110,120)의 상변과 덮개판(200)의 상면(220)을 형성하는 좌우변에는 각각 내벽(115)을 갖는 외향턱(116)과 상기 내벽(115)을 수용가능하면서 수용홈의 벌어짐 방지를 위하여 일정간격으로 보강리브가 구비되는 수용홈(222)을 구비토록 하고,
    상기 수용홈(222)에 내벽(115)이 수용된 상태에서 임의 적인 빠짐방지를 위하여 수용홈(222)에는 하방이 개구되어진 걸림대(223)를 형성토록 하고 내벽(115)에는 상기 걸림대(223)에 걸림가능하게 걸림돌기(117)가 형성되어 걸림된 상태에서 임의적인 빠짐이 방지되는 접어져 조립되어 서랍이 출입되는 서랍함체.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면(110,120)이 접혀진 상태에서 직립되어 형성되는 레일(111,121)은 2단으로 형성(111,111a,121,121a)토록 하고,
    하부레일(111a, 121a)은 하중이 걸리게 될 경우에도 하부레일(111a,121a)의 수평유지가 가능토록 상기 직립살(112,122)은 상측으로 연장되어 하부레일(111a, 121a)과 직교하게 일체로 연결되어지는 접어져 조립되어 서랍이 출입되는 서랍함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레일의 상측으로도 격자상의 보강지지살(113,123)이 구비되어져 상부레일(111,121)의 하단에 일체로 연장됨으로 상부레일에 걸리는 하중에 대응가능하면서도 접혀져 직립되어지는 좌우측면(110,120)이 직립된 상태에서도 수직하중에 견딤이 가능하여 조립된 상태에서 전체적인 형태의 변형도 방지토록 한 접어져 조립되어 서랍이 출입되는 서랍함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립살은 좌우측면(110,120)이 접혀짐에 의하여 직립살(112,122)이 바닥면(130)과 밀착될 경우에 바닥면(130)을 부분적으로 가압하여 변형을 일으킬 수 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직립살(112,122)의 바닥면(130)과 밀착되는 밑변(112a,122a)은 직립살보다 크게 전방으로 돌출되게 연장토록하고,
    상기 본체판(100)의 접혀짐과 덮개판(200)의 조립에 의하여 서랍함체(10)를 형성한 상태에서 다단으로 적층이 가능토록 본체판(100)의 바닥면(130)의 이면으로는 돌출테두리(133)를 형성토록 하고, 덮개판(200)의 상면(220)에는 상기 돌출테두리(133)가 맞물려 유동이 방지되게 사각돌부(221)로 형성토록 할 경우에 상기 직립살의 밑변은 상기 돌출테두리(133)에 직교하게 받쳐지도록 함으로서 보강이 가능토록 함은 물론 수용실(132)의 수용홈(131)에 수용된 상태에서의 지지력도 증가토록 한 접어져 조립되어 서랍이 출입되는 서랍함체.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판(100)의 좌우측면(110,120)에 상.하부레일(111,121,111a,121a)을 형성할 경우에 좌우측면(110,120)의 보강을 위하여 형성되는 격자상의 보강지지살(113,123)의 수평지지살(113a,123a)을 레일(111,121,111a,121a)의 상측에 각각 위치토록 하여 서랍(20)이 서랍함체에서 출입할 경우에 레일받침가이드(22)가 레일(111,121,111a,121a)에 놓여진 상태에서 레일에서 이탈되지 않게 가이드역활을 할 수 있도록 한 접어져 조립되어 서랍이 출입되는 서랍함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살(113a,123a)의 돌출되는 높이를 레일(111,121,111a,121a)이 돌출되는 높이보다 낮게 돌출토록 하는 접어져 조립되어 서랍이 출입되는 서랍함체.
  10. 제1항 또는 제4항 또는 제8항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판(100)의 좌우측면(110,120)에는 스토퍼(114,124)를 레일(111,121,111a,121a)과 동일선상에 일정면적을 유지하면서 전방으로 돌출형성토록 하여 서랍(20)에 형성되는 물품수용공간부(21)를 형성하는 측벽이 서랍함체(10)의 내공간을 형성하는 내벽면과 밀착될 수 없도록 물품수용공간부(21)를 형성하는 측벽보다 단지게 돌출형성되는 돌출면(24)과 걸림되어지면서 서랍(20)의 전면이 서랍함체(10)와 항상 동일면으로 유지토록 하고,
    상기 서랍(20)의 상단에 구비되는 레일받침가이드(22)의 상면에 형성된 스토퍼(25)가 걸림되면서 서랍(20)을 서랍함체(10)에 진입할 경우와 빼낼 경우에 서랍함체(10)의 좌우측면에 형성된 스토퍼(124)에 의하여 걸림되면서 완전히 빠지게 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접어져 조립되어 서랍이 출입되는 서랍함체.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제1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수용홈(222)의 벌어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강리브(224)가 형성된 상태에서 본체판(100)의 외향턱(116)을 갖는 내벽(115)이 내입될 경우에 끼임이 가능토록 하면서 내벽(115)의 두께보다 폭이 큰 수용홈(222)에 긴밀한 밀착이 가능하도록 내벽(115)의 외측 즉 외향턱(16)이 형성된 부분에도 보강리브(118)를 일정간격으로 형성토록 함으로서 내벽(115)이 수용홈(222)에 긴밀하게 수용되어지는 접어져 조립되어 서랍이 출입되는 서랍함체.
  16. 삭제
KR1020160045172A 2016-04-12 2016-04-12 접어져 조립되어 서랍이 출입되는 서랍함체 KR101859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5172A KR101859816B1 (ko) 2016-04-12 2016-04-12 접어져 조립되어 서랍이 출입되는 서랍함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5172A KR101859816B1 (ko) 2016-04-12 2016-04-12 접어져 조립되어 서랍이 출입되는 서랍함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6906A KR20170116906A (ko) 2017-10-20
KR101859816B1 true KR101859816B1 (ko) 2018-06-28

Family

ID=60299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5172A KR101859816B1 (ko) 2016-04-12 2016-04-12 접어져 조립되어 서랍이 출입되는 서랍함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98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0372B1 (ko) * 2017-12-22 2019-10-21 엠에스인텍(주) 개폐식 고정클램프가 구비된 다용도 선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09442A1 (en) * 2001-02-09 2002-08-15 Mu-Chuan Hsu Cabinet
KR200321259Y1 (ko) * 2003-04-23 2003-07-31 주식회사 모아 시스템즈 서랍형 수납함
KR200441019Y1 (ko) * 2007-02-06 2008-07-17 주식회사 새샘 서랍형 수납장
US20090251031A1 (en) * 2008-04-04 2009-10-08 Protrend Co., Ltd. Sectional cabinet
JP2016007465A (ja) * 2014-06-26 2016-01-18 プラス株式会社 組立式収納庫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561853C (en) * 2005-09-30 2012-07-31 Adrian Steel Co. Modular storage unit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09442A1 (en) * 2001-02-09 2002-08-15 Mu-Chuan Hsu Cabinet
KR200321259Y1 (ko) * 2003-04-23 2003-07-31 주식회사 모아 시스템즈 서랍형 수납함
KR200441019Y1 (ko) * 2007-02-06 2008-07-17 주식회사 새샘 서랍형 수납장
US20090251031A1 (en) * 2008-04-04 2009-10-08 Protrend Co., Ltd. Sectional cabinet
JP2016007465A (ja) * 2014-06-26 2016-01-18 プラス株式会社 組立式収納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6906A (ko) 2017-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5632B1 (ko) 조립식 수납박스
KR101859816B1 (ko) 접어져 조립되어 서랍이 출입되는 서랍함체
KR20170118118A (ko) 적층가능한 컨테이너 시스템
KR20220009725A (ko) 수납장
KR100949400B1 (ko) 다용도 조립식 보관함
KR102040306B1 (ko) 서류함
KR20190005581A (ko) 서류함
KR101205243B1 (ko) 서랍장착구조
KR101622772B1 (ko) 조립식 수납함
KR102043567B1 (ko) 연결 사용이 가능한 다목적 수납함
KR200474593Y1 (ko) 경량 시스템 서랍장
CN218605750U (zh) 可组合的储物柜、储物柜安装结构和组合式储物装置
KR100709143B1 (ko) 선반구성체 및 간이 선반 부착 수납 유니트
KR101823395B1 (ko) 수납 상자 조립체
JP6955793B1 (ja) 収納容器と収納具
KR200462575Y1 (ko) 인출방지스위치를 가지는 다목적 부품 보관함
JP3099678U (ja) 複数段にトレーが取り付けられた衣装ケース
KR200334987Y1 (ko) 서랍식 보관함
KR200395229Y1 (ko) 플라스틱 수납박스
KR101648679B1 (ko) 선반에 넣고 빼냄이 용이한 물품 수납 트레이
JP3185386U (ja) 抽斗ケースの持出掛止機構
JP5746241B2 (ja) 家具
JPH07148040A (ja) 組立式引出しボックス
KR102328522B1 (ko) 조립식 서랍
JP3020294U (ja) 収納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